KR200220639Y1 -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 - Google Patents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639Y1
KR200220639Y1 KR2020000025037U KR20000025037U KR200220639Y1 KR 200220639 Y1 KR200220639 Y1 KR 200220639Y1 KR 2020000025037 U KR2020000025037 U KR 2020000025037U KR 20000025037 U KR20000025037 U KR 20000025037U KR 200220639 Y1 KR200220639 Y1 KR 200220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lightweight
partition
fauce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화
황수업
Original Assignee
홍성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화 filed Critical 홍성화
Priority to KR2020000025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6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639Y1/ko

Link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경량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로 수전 어댑터를 부착하여 신속하고 간단하게 배관 체결작업 및 벽체 조립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최근 건축되어지는 건물의 벽면은 기둥과 내력 벽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벽체가 경량 칸막이로 시공되어지고 있다.
종래에 건축되는 건물의 화장실 및 주방 등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배관은 바닥으로부터 설치된 벽면으로 노출된 채 입상되어져 설치되고 타일 등의 마감재에 의하여 마감 처리되는데, 벽체로 이용되는 경량 칸막이와 타일 등의 마감재 사이에는 노출되어진 배관에 의해 공간이 생기게 되고 이로 인해 부착된 마감재는 가벼운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었다. 또한 마감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공간 사이로 내화 단열재인 석면 등을 충진하여 시공하였으나 이 석면은 발암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사용이 규제되고 있고, 이러한 충진재를 충진하기 위하여 추가의 재료비 및 인건비가 요구되어 건축비가 상승되고 물가상승의 한 요인이 되고, 상기의 공간은 어둡고 다습하여 각종 해충의 서식처로 제공되어 인간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경량칸막이 양면 사이에 바닥으로부터 입상되어지는 배관의 끝단과 체결된 수전 어댑터를 고정 부착함으로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

Description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Lighte weighted partition which contains adapter}
본 고안은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건축되는 건물의 화장실 및 주방 등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배관은 바닥으로부터 설치된 벽면으로 노출된 채 입상되어져 설치되고 타일 등의 마감재에 의하여 마감 처리되는데, 벽체로 이용되는 경량 칸막이와 타일 등의 마감재 사이에는 노출되어진 배관에 의해 공간이 생기게 되고 이로 인해 부착된 마감재는 가벼운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었다. 또한 마감재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공간 사이로 내화 단열재인 석면 등을 충진하여 시공하였으나 이 석면은 발암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사용이 규제되고 있고, 이러한 충진재를 충진하기 위하여 추가의 재료비 및 인건비가 요구되어 건축비가 상승되고 물가상승의 한 요인이 되고, 상기의 공간은 어둡고 다습하여 각종 해충의 서식처로 제공되어 인간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경량 칸막이 양면 사이로 바닥으로부터 입상되어지는 배관의 끝단과 체결된 수전 어댑터를 고정 부착함으로서 배관의 돌출을 배제하고 마감재와의 공간을 없앰으로서 충진재의 사용을 없애고 실제 사용 면적을 증가시키면서도 건축비의 인하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 일례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사용 일례에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사용 일례에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수전 어댑터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수전 어댑터의 평면도.
도 7은 a - 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어댑터 고정 커버의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보호캡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경량 칸막이 11 : 외벽
12 : 내벽 13 : 보강재
20 : 수전 어댑터 21 : 인입구
22 : 예비구 23 : 토출구
30 : 어댑터 고정 커버 31, 31` : 볼트구멍
40 : 워터햄머 흡수기 50 : 보호 캡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수전 어댑터(20)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10)는 외벽(11)과 내벽(12)의 양 벽면과 상기 양 벽면 사이로 보강재(13)를 가지는 경량 칸막이(10)와
상기 경량 칸막이(10) 속에서 입상되어지는 인입 배관에 연장되어 체결되는 하단은 인입구(21)가 되고 그 타단은 예비구(22)가 되는 관통된 원형관과 상기관 중앙부에서 경량 칸막이(10) 외벽(11) 방향으로 직교되는 관통된 또 하나의 원형의 관 외주 면으로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다수로 체결되는 암나사가 가공된 다수의 체결구(24)를 가지는 토출구(23)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인입구(21)와 예비구(22) 및 토출구(23)의 끝단에는 각각 나사산이 가공된 수전 어댑터(20) 및
상기 어댑터(20)의 토출구(23)가 삽입될 수 있는 홀(32)이 천공되고 상기 홀(32)주위와 4모서리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다수의 볼트구멍(31, 31`)이 가공되어 상기 어댑터(20)의 체결구(24)가 천공된 볼트구멍(31)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경량 칸막이(10)를 연결하기 위하여 측면으로 설치되는 지지대(12, 12`)의 체결구가 천공된 볼트구멍(31`)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경량 칸막이 외벽(11)면에 단단히 고정되는 어댑터 고정 커버(30)로 구성되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전 어댑터(20)의 예비구(22)로 체결되는 워터햄머 흡수기(4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어댑터(20) 토출구(23)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보호 캡(50)을 더 포함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는 경량 칸막이(10)와 수전 어댑터(20) 및 어댑터 고정커버(30)로 구성된다.
상기 경량 칸막이(10) 내벽(12)의 안쪽면으로는 배관 및 수전 어댑터(20)을 수용하기 위한 목적된 높이 및 폭을 공간으로 확보한 보강재(13)가 부착되고, 외벽(11)이 분리된 상태로 타 경량 칸막이들과 지지대(14,14`)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바닥으로부터 입상되어진 인입 배관은 상기 조립된 경량 칸막이(10)내 목적된 높이 및 폭이 확보된 공간에서 수전 어댑터(20) 인입구(21)에 체결되어 위치된다. 이때 수전 어댑터(20)의 토출구(23)는 분리된 상기 외벽(11)을 향하며, 예비구(22)는 캡 등의 배관 자재에 의해 막혀지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관 조립 및 벽체 설치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토출구(2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32`)이 천공된 상기 외벽(11)의 내면을 노출된 상기 보강재(13)에 부착하고 결합된 상기 배관 및 수전 어댑터(20)는 경량 칸막이(10) 외벽(11)의 외면으로 부착되는 어댑터 고정커버(30)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단단히 고정된다. 이 때 상기 어댑터 고정커버(30)의 네 모서리와 수전 어댑터(20)의 토출구(23)가 삽입되는 홀(32)의 주변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삽입되는 다수의 볼트구멍(31, 31`)이 가공되어 상기 어댑터(20)의 체결구(24)가 천공된 볼트구멍(31)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경량 칸막이(10)를 연결하기 위하여 측면으로 설치되는 지지대(14, 14`)의 체결구(15)가 천공된 볼트구멍(31`)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경량 칸막이 외벽(11)면에 단단히 고정되어 진다.
이때 상기 볼트구멍(31, 31`)을 십자형으로 가공하면 체결되어지는 배관 및 수전 어댑터(20)가 시공상 부주의 및 기타 사유로 인해 가공된 체결구(14, 24)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도 볼트의 위치 변경이 어느 정도 자유로워 쉽게 나사 결합할 수 있고, 볼트 이외의 리벳 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으며, 체결되는 어댑터(20)의 형상은 엘보(ㄱ), 티(┝) 또는 크로스(+) 등으로 용도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량 칸막이(10)의 외벽(11)과 내벽(12)을 분리하지 않고 목적된 길이를 갖는 관의 일단으로 수전 어댑터(10)를 결합한 후 상기 경량 칸막이(10) 하부로 삽입하여 어댑터 고정커버(30)에 단단히 고정한 후 타단에는 엘보 등의 배관이음자재를 이용하여 인입 배관과 체결한 후 바닥 콘크리트를 타설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체결된 배관 및 수전 어댑터(20)는 경량 칸막이(10)내에 위치하여 설치가 완료되고 최종적으로 토출구(23)에 체결되는 수전 등의 조작 시에도 흔들림이 없이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의구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1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전 어댑터(20)의 예비구(22)로 워터햄머 흡수기(40)가 체결된다. 상기 워터햄머 흡수기(40)는 데크 타입의 싱크대에 이용되는 원터치 방식의 수전 사용시 발생되는 워터햄머 현상을 흡수하여 배관에 가해지는 충격을 해소함으로서 결합된 배관 및 수전 어댑터(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의 구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역시 앞서 고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수전 어댑터(20)의 토출구(23)로 보호 캡(50)이 부착된다. 상기 보호 캡(50)은 배관 및 벽체 조립작업 후 경량 칸막이(10) 외벽(11)의 외면으로 부착되는 타일 등의 마감재 공사시 상기 토출구(23)내로 이물질의 삽입을 방지하고 외주면에 가공된 나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나사산에 체결되어지는 나사산을 가지고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의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는 경량 칸막이와 수전 어댑터 그리고 보호 캡과 워터햄머 흡수기 모두를 가지고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 역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에 따르면, 벽체로 이용되는 경량 칸막이 내로 배관이 위치되어지게 됨으로 벽체와 마감재 사이의 공간을 없애게 되어 공간처리에 따르는 재료비 및 인건비를 절감하고 공간 내에서 서식할 수 있는 해충의 번식을 예방하며 실제 건물의 사용 면적을 더 넓게 확보하고 건축비의 인하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외벽과 내벽 및 보강재로 구성된 경량 칸막이에 있어서, 벽면(11, 12)으로는 수전 어댑터(20)의 토출구(23)가 끼워질 수 있는 1개 이상의 홀(32`)과 상기 홀(32`)의 원주로는 상기 어댑터(2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 수단이 끼워지는 다수의 홀이 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 칸막이(10) 외벽(11)면과 접하고 수전 어댑터(20)의 토출구(23)가 끼워질 수 있는 1개 이상의 홀(32`)과 상기 홀(32`)의 원주로는 상기 어댑터(2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 수단이 끼워지는 다수의 홀이 평면상에 천공된 평판상의 어댑터 고정 커버(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전 어댑터(20)는 토출구(23) 개구면과 평형하고 중앙부 외주면을 감싸는 고정용 체결 수단이 끼워지는 다수의 홀이 가공된 체결구(24)를 가지며, 형상은 엘보(ㄱ), 티(┝) 또는 크로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20) 개구된 일구로 체결되는 공지의 워터햄머 흡수기(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20)의 돌출 개구된 토출구(23)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보호 캡(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
  6. (정정)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이 끼워지는 다수의 홀은 십자형으로 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
KR2020000025037U 2000-09-04 2000-09-04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 KR200220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037U KR200220639Y1 (ko) 2000-09-04 2000-09-04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037U KR200220639Y1 (ko) 2000-09-04 2000-09-04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639Y1 true KR200220639Y1 (ko) 2001-04-16

Family

ID=7307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037U KR200220639Y1 (ko) 2000-09-04 2000-09-04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6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733B1 (ko) * 2003-01-13 2005-05-19 대림산업 주식회사 건식벽체에서의 전기설비의 배관시공 방법
KR100986615B1 (ko) * 2008-03-14 2010-10-08 김용철 설비 매입형 벽 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733B1 (ko) * 2003-01-13 2005-05-19 대림산업 주식회사 건식벽체에서의 전기설비의 배관시공 방법
KR100986615B1 (ko) * 2008-03-14 2010-10-08 김용철 설비 매입형 벽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136233A1 (en) Fix holder, steel wire, bricks, and bricks wall reinforcement method thereby
KR102200978B1 (ko) 건식 조적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내진용 건식 조적 구조
KR200220639Y1 (ko) 수전 어댑터가 부착된 경량 칸막이
KR20140097752A (ko) 조립식 돔 구조물의 하부 지지부재
KR101438077B1 (ko) 물탱크용 타이로드 설치구조
US8763317B2 (en) Concrete roof panel
KR200324354Y1 (ko) 건축용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KR200337968Y1 (ko) 철근 지지 및 방수시트 고정용 앵커볼트
KR101904290B1 (ko) 콜렛척 타입의 조립구조를 구비한 볼트러스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체결구조
KR102005633B1 (ko) 고단열기능을 갖는 일체형 패널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0641382B1 (ko) 배수처리가 용이한 공동주택의 외단열구조
KR101688187B1 (ko) 조립식 물탱크의 패널 조립용 긴 사각머리 볼트
KR20140097749A (ko) 조립식 큐브 구조물의 하부 지지부재
KR102183615B1 (ko) 결합력과 지지력이 상승된 앙카플레이트
JP6339803B2 (ja) 内外装材の取付具及び型枠パネル
KR200207070Y1 (ko) 아파트용 배수관 연결구
KR10056727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구조 및 그 체결방법
KR200331522Y1 (ko) 앵커 볼트
KR102202470B1 (ko) 조적 슬리브
KR102411535B1 (ko) 환기 효율을 향상시킨 조적 슬리브
KR102364921B1 (ko) 앵커 어셈블리
KR102388349B1 (ko) 실내 벽면 마감용 황토벽돌 구조물
KR200270260Y1 (ko) 방수 시트와 철근 고정용 앵커 볼트
KR102551776B1 (ko) 각관들을 바탕으로 내진설계가 가능한 구조물 및 그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0704658B1 (ko) 냉온수배관용 바닥매립형 엘보우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냉온수배관 연결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