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486Y1 - 돈분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돈분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486Y1
KR200220486Y1 KR2020000031003U KR20000031003U KR200220486Y1 KR 200220486 Y1 KR200220486 Y1 KR 200220486Y1 KR 2020000031003 U KR2020000031003 U KR 2020000031003U KR 20000031003 U KR20000031003 U KR 20000031003U KR 200220486 Y1 KR200220486 Y1 KR 2002204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val blade
blade attachment
hole
belt pulley
eccentric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김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환 filed Critical 김용환
Priority to KR2020000031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4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486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돈사의 바닥에 단단하게 붙어있는 고형의 퇴적물을 제거날에 의하여 분리시킬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자체적으로 흡수함으로써 소음이 나지 않는 돈분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돈분 제거장치는, 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와, 모터의 회전봉에 부착된 제1 벨트풀리와, 벨트에 의하여 제1 벨트풀리에 연결된 제2 벨트풀리와, 이 제2 벨트풀리에 고정된 편심축과, 이 편심축이 통과하기 위한 구멍을 가지며 편심축의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유동 연결구와, 이 유동 연결구에 결합되어서 직선 왕복운동을 행하는 제거날 부착구와, 이 제거날 부착구에 결합되어서 제거날 부착구가 직선 왕복운동을 행할 때에 동일한 직선 왕복운동을 행하는 제거날과, 전술한 제거날 부착구 및 제거날이 직선 왕복운동할 때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거날 부착구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 스프링과, 몸체의 내부 상면과 제거날 부착구의 상면의 사이에 설치되어서 제거날 부착구의 상면과 맞닿도록 되어 있는 롤러형태의 하나 또는 다수의 요동방지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돈분 제거장치 {Hogpen Cleaner}
본 고안은 돈사(돼지우리)에서 발생하는 오물(즉, 돈분)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돈사의 바닥에 퇴적되어 굳어진 퇴적물을 기계적 소음없이 돈사의 바닥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돈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돈사의 바닥에는 돼지의 배설물과 털이 혼합된 퇴적물이 쌓이게 되는데, 이 퇴적물을 돼지들이 밟고 다니는 동안에 퇴적물로부터 수분이 증발되어서 돈사의 바닥에는 딱딱하게 굳어진 고형물의 퇴적물이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돈사의 바닥에 눌어붙은 딱딱한 퇴적물은 삽이나 갈고리 등을 이용하더라도 돈사의 바닥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모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출원번호 제95-23490호 (발명의 명칭: 돈사퇴적물 제거장치) 및 특허출원번호 제96-15134호 (발명의 명칭: 돈사퇴적물 제거장치) 등에서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타격캠 및 캠에 연동되어 작동하는 해머에 의해 퇴적물을 타격하여 분리 및 제거하는 방식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돈사퇴적물 제거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심한 소음이 유발되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돼지(특히, 어린 돼지)의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즉, 종래의 돈사퇴적물 제거장치를 사용하여 돈사 내의 퇴적물을 제거할 때에는 타격캠의 회전소리 및 해머의 타격소리에 의해 돼지들이 스트레스를 받게 됨으로써 성질이 포악해지거나 살이 찌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돈사의 바닥에 단단하게 붙어있는 고형의 퇴적물을 제거날에 의하여 분리시킬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자체적으로 흡수함으로써 소음이 나지 않는 돈분 제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돈분 제거장치는, 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와, 모터의 회전봉에 부착된 제1 벨트풀리와, 벨트에 의하여 제1 벨트풀리에 연결된 제2 벨트풀리와, 이 제2 벨트풀리에 고정된 편심축과, 이 편심축이 통과하기 위한 구멍을 가지며 편심축의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유동 연결구와, 이 유동 연결구에 결합되어서 직선 왕복운동을 행하는 제거날 부착구와, 이 제거날 부착구에 결합되어서 제거날 부착구가 직선 왕복운동을 행할 때에 동일한 직선 왕복운동을 행하는 제거날과, 전술한 제거날 부착구 및 제거날이 직선 왕복운동할 때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제거날 부착구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 스프링과, 몸체의 내부 상면과 제거날 부착구의 상면의 사이에 설치되어서 제거날 부착구의 상면과 맞닿도록 되어 있는 롤러형태의 하나 또는 다수의 요동방지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동 연결구는 제거날 부착구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고, 제거날 부착구에는 유동 연결구의 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편심축은 몸체의 상면 하부에 설치된 제1 베어링, 제거날 부착구 내의 구멍, 유동 연결구의 구멍, 유동 연결구의 구멍에 고정 부착된 제3 베어링을 각각 통과한 다음에 지지판의 상면에 고정 부착된 제2 베어링을 거쳐서 지지판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거날 부착판의 하부에는 제1 수직벽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수직벽에는 직선왕복막대가 제거날 부착판의 직선왕복운동의 방향과 평행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직선왕복막대는 몸체의 내부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제2 수직벽 내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직선 왕복운동함으로써 제거날 부착판이 정하여진 경로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제1 스프링은 제거날 부착판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제2 수직벽에 형성된 돌출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제2 스프링은 직선왕복막대의 주면에 권취되어서 제2 수직벽과의 사이에 설치된다.
본 고안의 돈분 제거장치는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유동 연결구에 결합되어 마찬가지의 직선 왕복운동을 행하는 제거날에 의하여 돈분을 분리시키기 때문에 종래의 경우와 같이 해머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소음이 적게 발생하며, 다수의 스프링에 의해 충격이 흡수되기 때문에 장기간 고장없는 기계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돈분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돈분 제거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돈분 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돈분 제거장치 2 : 몸체
4 : 바퀴 6 : 손잡이
8 : 손잡이 지지체 10, 12 : 벨트풀리
14 : 벨트 16 : 제거날부착구
18 : 제거날 20 : 모터
22 : 체결부재 30 : 편심축
32, 54, 58, 60, 82 : 구멍 34, 42 : 베어링 케이스
36, 44, 62 : 베어링 40 : 유동 연결구
46 : 지지판 48 : 홈
50 : 유동 연결구 결합용 부재 52 : 상자형 돌출부
56 : 고정구 59, 84 : 스프링 돌출부
70, 80 : 수직벽 74 : 직선왕복막대
90, 92 : 스프링 110 : 안내부재
120 : 요동방지구 122 : 축
124 : 롤링부재 126 : 수직돌출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돈분 제거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돈분 제거장치(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돈분 제거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돈분 제거장치(1)의 몸체(2)의 하부에는 바퀴(4)가 부착되어 있으며, 몸체(2)의 후면에는 손잡이(6)가 부착된 손잡이 지지체(8)가 경사지게 부착되어 있다.
몸체(2)의 상부에는 두 개의 벨트풀리(10)(12)가 부착되어 있는데, 제1 벨트풀리(10)는 몸체(2)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20)(도 2 참조)와 연결되어 있고, 제2 벨트풀리(12)는 벨트(14)에 의해 제1 벨트풀리(10)에 연결되어서 모터(20)의 회전력을 돈분 제거장치(1) 내부의 기계요소들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2 벨트풀리(12)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제2 벨트풀리(12)는 제1 벨트풀리 (10)보다 직경이 작게 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몸체(2)의 상부에는 케이스가 덮혀지고, 제1 및 제2 벨트풀리(10)(12)는 이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몸체(2)의 전방에는 판형의 제거날 부착판(16)이 위치하고, 이 제거날 부착판(16)의 종단부 상단에는 판형의 제거날(18)이 체결부재(22)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전술한 제2 벨트풀리(12)가 회전하면 이 회전운동은 후술하는 내부의 기계요소들의 작동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며, 이에 따라 제거날 부착판(16)이 직선왕복운동을 함과 동시에 제거날(18)도 직선왕복운동을 함으로써 돈사의 바닥에 붙어 있는 고형 퇴적물을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모터(20)의 회전봉의 종단부에는 제1 벨트풀리(10)가 고정 부착되어 있고, 제1 벨트풀리(10)는 벨트(14)에 의해 제2 벨트풀리(12)에 연결된다. 제2 벨트풀리(12)에는 편심축(30)이 부착되어 있으며, 편심축(30)은 몸체(2)의 구멍(32) 및 구멍(32)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제1 베어링(36)을 통과하여 내부로 연장된다. 참조부호(34)는 제1 베어링(36)을 내장하는 베어링 케이스이다.
이와 같이 제1 베어링(36)을 통과한 편심축(30)은 제거날 부착구(16)와 유동 연결구(40)의 구멍(60)(도 3 참조)을 각각 통과한 후, 그 종단부는 제2 베어링 케이스(42)에 내장된 제2 베어링(44)에 삽입된다. 유동 연결구(40)는 편심축(30)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편심축(30)의 편심부에 의해 구멍(60)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동 연결구(40)의 구멍(60) 내에 제3 베어링(62)을 삽입하여 편심축(30)의 편심부가 제3 베어링(6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2 베어링(44)을 내장한 베어링 케이스(42)는 지지판(46)에 고정 부착되는데, 지지판(46)은 몸체(2)의 내부 좌우측면에 체결부재(22)에 의해 고정 부착되며, 몸체(2)의 좌우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48)에는 바퀴(4)가 끼워진다.
한편, 제거날 부착구(16)의 저면에는 유동 연결구 결합용 부재(즉, 핀)(50)와 한 쌍의 상자형 돌출부(52)가 부착되어 있는데, 유동 연결구 결합용 부재(50)는 유동 연결구(40)의 앞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54)을 통과한 후에 고정구(56)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58)을 통과하게 되고, 이 유동 연결구 결합용 부재(50)가 통과된 고정구(56)는 체결부재(22)에 의해 상자형 돌출부(52)에 고정 부착된다. 그리고, 한 쌍의 상자형 돌출부(50)의 일면에는 돌출부(5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거날 부착구(16)의 저면에 있어서 유동 연결구 결합용 부재(50)와 상자형 돌출부(52)의 후방 종단부분에는 제거날 부착구(16)보다 폭이 좁은 제1 수직벽(70)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제1 수직벽(70)의 후면에는 직선왕복막대(74)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동 연결구 결합용 부재(50), 한 쌍의 상자형 돌출부(52), 한 쌍의 돌출부(59), 제1 수직벽(70), 직선왕복막대(74)는 제거날 부착구(16)와 일체로 구성된 것으로서, 제거날 부착구(16)와 함께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몸체(2)의 내부에는 구멍(82)이 형성되어 있는 제2 수직벽(80)이 내부 윗면에 수직으로 부착되어 있는데, 상술한 직선왕복막대(74)는 이 구멍(82)을 통과하며, 제2 수직벽(80)의 한쪽 면에는 한 쌍의 돌출부(84)가 부착되어 있다.
특히, 제거날 부착구(16)가 원활한 직선 왕복운동을 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그리고 제거날 부착구(16)에 연결되어 있는 제거날(18)이 고형의 퇴적물을 타격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제1 수직벽(70)과 제2 수직벽(80)의 사이에 위치한 직선왕복막대(72)의 외면에 제1 스프링(90)을 설치하고, 한 쌍의 돌출부 (59)와 한 쌍의 돌출부(84)의 사이에 제2 스프링(92)을 설치한다 (도 2 참조). 이와 같이 제2 수직벽(80)은 구멍(82)을 통과하는 직선왕복막대(74)를 지지하여 제거날 부착구(16)가 요동없이 원활한 직선왕복운동을 행하도록 보조할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스프링(90)(92)을 지지해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몸체(2)의 내부 전방부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ㄷ자형 안내부재(110)가 체결부재(22)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데, 이 안내부재(110)의 내부에 제거날 부착구(16)의 양측면을 삽입하여 제거날 부착구(16)의 안정적인 직선왕복운동을 유도하도록 하며, 안내부재(110)는 체결부재(22)에 의해 탈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거날 부착구(16)에 의해 마모된 안내부재(110)는 필요에 따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제거날 부착구(16)의 후방으로 몸체(2)의 윗면 바로 밑에는 한 쌍의 요동방지구(120a)(120b)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제거날 부착구(16)에 연결되어 있는 제거날(18)이 돈사의 퇴적물을 타격할 때에 제거날 부착구(16)가 위로 들려 올려지는 일이 없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요동방지구(120a)(120b)의 축(122)의 양측 종단부에는 한 쌍의 롤링부재(즉, 베어링)(124)가 부착되어 있으며, 축(122)의 중앙부에는 수직돌출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수직돌출부(126)는 몸체(2)의 내부 윗면에 용접 등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된다. 따라서, 요동방지구 (120a)(120b)의 롤링부재(124)가 제거날 부착구(16)의 상판에 밀착되어 제거날 부착구(16)의 들림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제거날 부착구(16)의 안정적인 직선왕복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도 2 참조).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아니하나, 손잡이 지지체(8)에 오일주입기를 설치하여 금속부재들이 서로 접촉하여 마찰되는 부분에 오일을 주입함으로써 마찰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손잡이 지지체(8)에 설치되어 있는 오일주입기에는 호스가 연결되어 있고, 이 호스는 제거날 부착구(16)와 안내부재(110)가 접촉하는 부분 및 유동 연결구 결합용 부재(50)와 구멍(58)이 접촉하는 부분까지 각각 연장되므로, 오일주입기를 작동시키면 오일주입기에서 배출된 오일이 호스를 통해 안내부재(110) 및 구멍(58)에 주입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돈분 제거장치(1)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모터(20)에 전원을 가하면 모터(20)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봉에 고정 부착된 제1 벨트풀리(10)가 회전하고, 제1 벨트풀리(10)는 벨트(14)에 의해서 제2 벨트풀리(12)에 회전동력을 전달한다.
제2 벨트풀리(12)가 회전하면, 제2 벨트풀리(12)에 고정 부착된 편심축(30)도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편심축(30)의 편심부에 위치한 제3 베어링(60)과 일체로 구성된 유동 연결구(40)가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유동 연결구(40)가 편심체 (30)의 편심부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되면, 유동 연결구(40)와 유동 연결구 결합용 부재(50)에 의해 고정 연결된 제거날 부착구(16)도 역시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제거날 부착구(16)와 연결된 제거날(18)도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거날 부착구(16)에 연결된 제거날(16)이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전진 및 후진운동을 반복 수행하면서 돈사의 바닥에 있는 고형의 퇴적물을 바닥에서 분리해내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돈분 제거장치(1)는 제거날 부착구(16)가 돈사의 퇴적물을 분리하기 위해 직선 왕복운동을 할 경우, 직선왕복막대(74), 제2 수직벽(80), 안내부재(110), 요동 방지구(120)에 의해서 제거날 부착구(16)가 안정된 직선 왕복운동을 유지하게 되며, 특히 제거날(18)이 고형의 퇴적물을 분리하기 위해 돈사의 바닥을 타격할 경우에 발생하는 충격을 제1 및 제2 스프링(90)(92)이 흡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장치를 이용하여 돈사의 퇴적물을 분리할 때에 심한 소음이 발생하였던 문제점이 해소되므로, 돈사 내의 돼지들이 소음에 인한 스트레스를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돈분 제거장치에는 각종의 충격흡수장치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충격에 의한 구조의 이완 및 변형이 최소화됨으로써 사용상의 효율이 크게 증대되고, 또한 제거날 부착구가 항상 안정적으로 직선왕복운동을 함으로써 돈사 퇴적물을 정확하게 분리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몸체(2)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20)와,
    상기 모터(20)의 회전봉에 부착된 제1 벨트풀리(10)와,
    벨트(14)에 의하여 상기 제1 벨트풀리(10)에 연결된 제2 벨트풀리(12)와,
    상기 제2 벨트풀리(12)에 고정된 편심축(30)과,
    상기 편심축(30)이 통과하기 위한 구멍(60)을 가지며 상기 편심축(30)의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유동 연결구(40)와,
    상기 유동 연결구(40)에 결합되어서 직선 왕복운동을 행하는 제거날 부착구(16)와,
    상기 제거날 부착구(16)에 결합되어서 상기 제거날 부착구(16)가 직선 왕복운동을 행할 때에 동일한 직선 왕복운동을 행하는 제거날(18)과,
    상기 제거날 부착구(16) 및 제거날(18)이 직선 왕복운동할 때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제거날 부착구(16)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및 제2 스프링(90)(92)과,
    상기 몸체(2)의 내부 상면과 상기 제거날 부착구(16)의 상면의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거날 부착구(16)의 상면과 맞닿도록 되어 있는 롤러형태의 하나 또는 다수의 요동방지구(12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분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연결구(40)는 상기 제거날 부착구(16)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거날 부착구(16)에는 상기 유동 연결구(40)의 상기 구멍 (60)과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5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편심축(30)은 상기 몸체(2)의 상면 하부에 설치된 제1 베어링(36), 상기 제거날 부착구(16) 내의 상기 구멍, 상기 유동 연결구(40)의 상기 구멍(60), 상기 유동 연결구(40)의 상기 구멍 (60)에 고정 부착된 제3 베어링(62)을 각각 통과한 다음에 지지판(46)의 상면에 고정 부착된 제2 베어링(44)을 거쳐서 상기 지지판(46)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분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날 부착판(16)의 하부에는 제1 수직벽(7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수직벽(70)에는 직선왕복막대(74)가 상기 제거날 부착판(16)의 직선왕복운동의 방향과 평행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직선왕복막대(74)는 상기 몸체(2)의 내부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제2 수직벽(80) 내에 형성된 구멍(82)에 삽입되어 직선 왕복운동함으로써 상기 제거날 부착판(16)이 정하여진 경로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분 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90)은 상기 제거날 부착판(16)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59)와 상기 제2 수직벽(80)에 형성된 돌출부(84)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스프링(92)은 상기 직선왕복막대(74)의 주면에 권취되어서 상기 제2 수직벽(80)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분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금속 부품들이 서로 마찰하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일을 주입하기 위한 오일주입기가 손잡이 지지체(8)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돈분 제거장치.
KR2020000031003U 2000-11-06 2000-11-06 돈분 제거장치 KR2002204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003U KR200220486Y1 (ko) 2000-11-06 2000-11-06 돈분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003U KR200220486Y1 (ko) 2000-11-06 2000-11-06 돈분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486Y1 true KR200220486Y1 (ko) 2001-04-16

Family

ID=73060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003U KR200220486Y1 (ko) 2000-11-06 2000-11-06 돈분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4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1829C (en) Impact rapping device
CN100381093C (zh) 真空吸尘器的刷往复旋转装置
CN109316849A (zh) 一种集粉器布袋粉尘清除装置
JP4789370B2 (ja) 作業機械の下部構造のためのローラー組立体
KR200220486Y1 (ko) 돈분 제거장치
KR200455643Y1 (ko) 진공 청소기용 타격장치
CN110522361B (zh) 一种手推式拖地机及其使用方法
KR100756322B1 (ko) 브러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
CN107115189A (zh) 一种往复振动型运动装置
CN108505240A (zh) 布料清洗设备
CN112046410A (zh) 一种基于渣土车防撒漏智能ai设备
KR100774584B1 (ko) 제진기의 레이크 체결부
CN208295099U (zh) 一种换挡摇臂结构
CN217264885U (zh) 一种回转反捞式格栅除污机
CN110934554A (zh) 洗鞋机
KR101413238B1 (ko) 드럼 세탁기
JP2004155529A (ja) コンベアチェーン
KR100499358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시
CN212557896U (zh) 一种砂浆溜管
CN219798087U (zh) 一种收球网振打机构
CN112853678B (zh) 具有自清洁装置的波轮洗衣机
CN221072803U (zh) 一种破碎锤防飞溅降尘结构
WO2021104231A1 (zh) 具有自清洁装置的波轮洗衣机
KR200248926Y1 (ko) 각도조정및장력유지기능을구비한벨트클리너
CN213230237U (zh) 一种高效的除铁器轴传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