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084Y1 - 구조용 나선관의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구조용 나선관의 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084Y1
KR200220084Y1 KR2020000031598U KR20000031598U KR200220084Y1 KR 200220084 Y1 KR200220084 Y1 KR 200220084Y1 KR 2020000031598 U KR2020000031598 U KR 2020000031598U KR 20000031598 U KR20000031598 U KR 20000031598U KR 200220084 Y1 KR200220084 Y1 KR 2002200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on
reinforcing
present
spiral tube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5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이
Original Assignee
민병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이 filed Critical 민병이
Priority to KR20200000315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0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0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084Y1/ko

Links

Landscapes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중공부(12)와 고정대(20)가 나선권회로 일체화로 구성된 나선관에서 구조적으로 보강대(15)등을 구성시켜준 구조용 나선관의 보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종래의 중공부(12)와 고정대(20)로 구성된 나선관(11)에서 외토압보강 및 견고성을 위해서 지지대 등을 보강하는데 경량성 및 경제성을 보강하면서 효과적으로 일체화시켜 수요자에게 저렴하게 공급하기 위함이다.
[고안의 구성]
본 고안에서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인의 선고안 출원된 20-1991-5362에서는 양측벽면(13)에 보강대(15)를 구성하는데 융착리브(14)가 없어 넓은 면적의 융착대를 필요하고 또 20-1996-22172에서는 중공부(12)의 일측에서 보강대(15)용 벨트 수지대를 일체로 압출시켜 주는데 이는 타측의 벨트 수지대를 중공부(12)에 융착하는데 비교적 넓은 면적의 융착대가 필요하며 또 10-2000-824에서는 중공부(12)의 양측벽면(13)에서 일체로 압출시켜 보강대 구성하여 주는데 이는 생산 공정상 어려움이 많은 바 본 고안에서는 중공부(12)의 양측벽면(13)에 융착리브(14)를 형성하되 별도의 다이스에서 용융보강벨트(23)을 공급하여 융착리브(14)와 용융보강벨트(23)의 양측부위를 일체로 융착시켜 보강대(15) 또는 V형 지지대(18)과 융착대(26) 등의 보강 장치를 제공하는 고안이며 이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고안이다.
[고안의 효과]
본 고안은 보강대(15)또는 V형 지지대(18)과 융착대(26)의 구조를 양측벽면(13)에 형성된 융착리브(14)에 일체화로 고정하여 주므로 경량성 생산성 등에 월등한 경제성을 제공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구조용 나선관의 보강장치{.}
본 고안은 오폐수관, 하수도관, 배수로관으로 널리 사용되는 구조용 보강 나선관의 보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강 나선관의 보강 장치는 외토압 보강효과에 비교하여 사용 중량이 무거워서 경제성에 대한 문제점등으로 실용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의 대책으로서 본인의 선고안 및 발명 출원된 20-1991-5362 및 20-1996-22172, 10-2000-824에 의거하면 종래의 단면이 형 중공부(12)에다 외토압 보강을 위하여 양측벽면의 중간부위에 보강벨트(15)를 일체화하기 위하여 융착대를 구성하기가 실제 제조 과정에서 어려워 경제적인 생산이 곤란하며 또 중공부(12)의 일측에 일체로 벨트를 압출시켜 사용되지만 이의 제조 공정이 어려운 현실이다.
본 고안은 주로 나서관 규격이 중대형 (600m/m 이상) 제품에서 경제적으로 적용하려는 제품으로서 중공구(12)의 양측벽면(13)에 융착리브(14)(14')를 형성하되 별도의 용융보강벨트(23)를 압출시켜 융착리브(14)(14')에 일체화로 보강대(15) 및 V형 보강대(18)와 융착대(16)을 형성시켜 구조적으로 외토압 보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요부 분해도
도3은 도2의 요부 단면도
도4,5(가)(나),6은 도3의 실시예의 요부 단면도
도7,8,9는 도3,4의 응용예의 요부 단면도
도10,11,12는 도5,6의 실시예의 요부 단면도
도13(가)(나)은 본 고안의 실시예1의 요부 단면도
도14,15는 도13의 실시예의 요부 단면도
도16,17은 도14의 실시예의 요부 단면도
도18은 도16의 요부 횡단면도
도19,20은 본고안의 실시예2의 요부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나선관 12,12'. 중공부 13. 양측벽면
14,14'. 융착리브 15. 보강대 16. 상측면
18. V형 지지대 20. 고정대 21. 보강대
22. 융착점 23. 보강벨트 24. 보강외벽
25. 파형보강대 26. 융착대 27. V형지지외벽
34. 걸이리브 35. 조립대
본 고안은 종래의 나선관에서 나선권회 방향으로 구성된 요홈부와 중공부에서 중공부(12)의 양측벽면(13)의 중간부위에다 보강대(15)를 경제적으로 일체화 시켜 주는 보강리브(14)를 형성시켜 주되 별도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는 별도의 다이스에서 압출된 PE원료가 용융된 보강벨트(23)의 양측부위를 보강리브(14)에 일체로 융착시켜 주면서 보강대(15)의 중간 부위를 절곡시켜 단면이 V형 지지대(18)을 융착대(26)으로 고정대(20)에 고정시켜 구성시켜준 제품을 제공하며 이의 실시예로서는 도4,5(가),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리브(14)를 양측벽면(13)의 상측부위에 위치시켜 주어도 본 고안의 제품이 제공되고 또 V형 지지대(18)대신에 단면이 직선 상태의 보강대(15)를 일체화시켜 주어도 본 고안의 보강제품이 제공된다. 도5(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리브(14)대신에 결합력을 더 보강하기 위하여 걸이리브(34)를 양측벽면(13)에 형성하되 지지대(15)의 양측부위를 조립대(35)로 형성시켜 결속력을 보강시켜 주어 본 고안의 견고성을 보강한다.
이때 이의 응용예로서는 도7,8,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제품에서 사용되어지는 중공부(12)의 상층면(16)에서부터 용융보강벨트(23)을 중첩시켜 일체화시켜 형성된 보강외벽(24)나 파형보강대(25)를 형성하는 종래의 보강 나선관에서도 양측벽면(13)에 융착리브(14)를 중공부(12)압출과 동시에 형성시켜 보강대(15)나 V형 지지대(18)와 융착대(26)을 구성시켜 견고성 및 외토압 보강을 제공하는 고안이다.
또 도10,11,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관(11)에서 나선권회로 중공부(12)와 고정대(20)으로 나선관(11)을 구성하여서 중공부(12)의 양측벽면(13)의 상측면(16) 및 중간부위에 융착리브(14)(14')를 각각형성하여 주되 별도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는 보조다이스에서 압출된 PE용융보강벨트(23)을 융착리브(14')에 양측부위를 일체화시켜 보강대(15) 또는 V형 지지대(18)을 구성하여 준 제품이며 이때 필요에 따라 나선관의 규격이800m/m이상의 초대구경에서는 다수개의 융착리브(14)(14')....와 보강대(15)(15').....등을 다수개로 일체로 구성시켜 외토압 및 견고성을 보강하도록 하여 준다.
본 고안의 실시예1로서는 도13(가),14,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품을 외토압 보강을 더 보강하고 또 나선관의 규격이 주로 초대형(1200m/m이상) 제품에 적용하기 위한 제품으로서 같은 규격의 두께의 중공부(12) 높이를 절반정도로 낮추어준 중공부(12)를 고정대(20)으로 일체화시켜 구성된 나선관에다 절반 정도 높이의 보조 중공부(12')의 양측벽면(13) 하측 부위에 융착리브(14)를 형성 시켜서 중공부(12)의 상측면(16)에 일체화로 나선권회 하여 주되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 다이스에서 압출된 용융보강벨트(23)을 융착리브(14)에 일체화시켜 제공되는 보강 나선관의 보강 장치로서 보조중공부(12')의 상측면에 보강외벽(24) 및 파형 보강대(25)을 일체화로 형성하여 주면 더욱더 경제적인 외토압이 제공되며 도13(나)에 도시된바와 같이 융착리브(14)대신에 결합력을 더 보강하기 위하여 걸이리브(34)를 양측벽면(13)에 형성하되 지지대(15)의 양측부위를 조립대(35)로 형성시켜 결속력을 보강시켜 주어 본 고안의 견고성을 보강한다. 이의 실시예로서는 도16,17,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중공부(12')를 더 적층시켜 3층 구조 이상으로 본 고안의 보강장치로 보강대(15) 및 V형지지대(18)와 융착대(26)을 제공하는 고안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2로서는 도19,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12)(12')의 중공구간에 상측면(16)을 절곡시켜 V형지지대(28)와 융착대(26) 및 파형보강대(25)와 융착점(22) 또는 V형지지외벽(27)과 융착대(26)을 제공하여 준 제품은 외토압 보강 및 경제적인 제품 제공에 경쟁력을 재고시켜 주는 고안이다.
본 고안은 보강나선관에서 경량성이면서 외토압 및 견고성 보강을 제공하는 제품으로서 특히 중공부(12)의 양측벽면(13)에 융착리브(14)을 형성하되 용융보강벨트(23)의 양측부위를 일체화시켜 보강대(15), V형지지대(18), 또는 파형보강대(25) 및 걸이리브(34)와 조립대(35)를 각각 제품의 특성에 따라 구성시켜 주며 또 중공부(12)의 높이를 2-3등분시켜 각각 보조 중공부(12')를 중첩시켜 주고 보강대(15)를 2-3층으로 형성시켜 주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중공부(12)의 상측면(16)에 보강외벽(24)를 서로 중첩시켜 제공되는 종래의 보강 나선관에 비교하여 경제성이 높은 제품 제공에 있다.

Claims (6)

  1. 중공부(12)와 고정대(20)를 나선권회시켜 구성된 나선관(11)에 있어서 요홈부의 양측벽면(13)의 중간 부위나 상측부위에다 융착리브(14)를 형성하되 별도의 다이스에서 공급되는 용융보강벨트(23)의 양측부위를 융착리브(14)에 융착시켜 보강대(15)를 구성한 구조용 나선관의 보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융착리브(14)(14')... 와 보강대(15)(15')...를 다수개로 구성한 구조용 나선관의 보강장치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중공부(12)의 상측면(16)에서 일체로 보강외벽(24)를 구성한 구조용 나선관의 보강장치
  4. 제1항에서 같은 규격의 나선관(11) 두께를 2-3등분시켜준 중공부(12)의 상측면(16)에 보조중공부(12')을 일체로 하되 양측벽면(13)의 하측부위에 형성된 융착리브(14')에 V형 지지대(18)와 융착대(26)를 일체화로 구성된 구조용 나선관의 보강 장치
  5. 제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중공부(12)의 상측면(16)을 절곡시켜 V형 지지대(18)와 융착대(26) 또는 파형 보강대(25)와 융착점(22) 및 V형 지지외벽(27)와 융착대(26)를 구성한 구조용 나선관의 보강 장치
  6. 제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걸이리브(34)와 조립대(35)가 구성한 구조용 나선관의 보강 장치
KR2020000031598U 2000-11-11 2000-11-11 구조용 나선관의 보강장치 KR2002200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598U KR200220084Y1 (ko) 2000-11-11 2000-11-11 구조용 나선관의 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598U KR200220084Y1 (ko) 2000-11-11 2000-11-11 구조용 나선관의 보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333A Division KR20010106051A (ko) 2000-05-20 2000-05-20 구조용 나선관의 보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084Y1 true KR200220084Y1 (ko) 2001-04-16

Family

ID=73091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598U KR200220084Y1 (ko) 2000-11-11 2000-11-11 구조용 나선관의 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0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908B1 (ko) 내경 안전 결합용 폴리에틸렌 하수관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101160052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KR200220084Y1 (ko) 구조용 나선관의 보강장치
KR20010106051A (ko) 구조용 나선관의 보강장치
KR100700070B1 (ko) 상,하수관용 고강도 나선관의 제조 장치
KR100499018B1 (ko) 토목및도로공사에서하수관용구조보강나선관
KR20000021521A (ko) 고강도 나선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31581Y1 (ko) 합성수지 삼중벽 평활관
KR100554536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용 피이 구조용 고강도 나선관 제조방법
JP5770536B2 (ja) 製管用部材
KR20000008391U (ko) 고강도 나선관
KR100424040B1 (ko) 고강도 나선관
KR100351950B1 (ko) 구조용 고강도 나선관
CN210716346U (zh) 一种带有支撑筋的多孔加筋缠绕波纹管
KR200287263Y1 (ko) 구조 보강 나선관 제조장치
KR100341108B1 (ko) 배수로관용 고강도 나선관
KR101425805B1 (ko) 외경 안전 결합용 폴리에틸렌 하수관
KR20030006238A (ko) 보강층을 갖는 나선형 합성수지관
KR100730636B1 (ko) 건축 및 도로공사에 사용되는 상하수관용 나선관
KR101095653B1 (ko) 보강 구조를 갖는 프로파일 및 이를 이용한 다층 벽 하수관
KR100554537B1 (ko) 고강도 나선관용 제조장치
KR20000047356A (ko) 피이구조 보강용 나선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50104B1 (ko) 도로공사에서의 하수관용 고강도 나선관 제조장치
KR980008803U (ko) 보강나선관 및 그의 제조장치
KR200221262Y1 (ko) 보강 나선관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