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7263Y1 - 구조 보강 나선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구조 보강 나선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263Y1
KR200287263Y1 KR2020020016668U KR20020016668U KR200287263Y1 KR 200287263 Y1 KR200287263 Y1 KR 200287263Y1 KR 2020020016668 U KR2020020016668 U KR 2020020016668U KR 20020016668 U KR20020016668 U KR 20020016668U KR 200287263 Y1 KR200287263 Y1 KR 2002872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urved
spiral
manufacturing apparatus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이
Original Assignee
민병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이 filed Critical 민병이
Priority to KR2020020016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2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2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263Y1/ko

Links

Landscapes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중 매설하여 배수로관, 오폐수관, 하수관용으로 사용되는 고강도 나선관용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선관용 제조장치는 압출기의 다이스에 냉각파이프를 조립하되 성형기에 연접으로 조립하여 주어서 다이스에서 압출되는 튜브를 냉각파이프를 따라 성형기의 성형롤러의 회전으로 나선권회로 회전하면서 성형되어 형성된 중공구의 양측벽면을 나선권회로 형성된 상대편의 양측벽면에 일체로 융착하여 주도록 구성된 나선관 제조장치를 사용되어 왔다
이때 제조되는 나선관은 중공구의 양측벽면으로 일체로 융착하여 제공된 구조이므로 지중 매설하여 집중하중을 받는 경우 중공구 부위의 취약점이 노출되는 경우가 많았다.
고로 상기 제조장치로 제조된 나선관은 중공구의 상,하측 부위의 중공구부위가 집중하중이 가해지는 도로, 연약지역 등의 지역에서는 원주방향으로 파손되는 취약점이 노출되는바 이에 대한 보강 나선관 구조를 제조하기 위한 발명으로 상기 사용되는 냉각파이프(4)의 직선부에서부터 만곡부 까지 상,하측 만곡분리관(5)(5')와 만곡분리대(6)을 형성하여주되 다이스(2)에서 압출된 튜브(4)를 직선부의 만곡분리대(6)에 맞추어 양측에서 융착롤러(9)(9')로 튜브(4)를 절곡시켜 융착으로 지지대(8)을 형성으로 상,하측에 형성된 중공구(7)(7')의 양측벽면(12)을 서로 일체로 융착으로 보강구(17)을 성형시켜 주도록 제공되는 제조장치로서 이때 제조되는나선관(16)은 종래의 나선관에서 중공구 및 양측벽면의 보강구조를 구조적으로 보강시켜 주는 제품을 제조하는 고안으로 이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조 보강 나선관 제조장치{omitted}
본 고안은 오폐수관, 하수관, 우수관용으로 사용되는 배수로관용 나선관에 대한 제조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제 나선관의 제조장치는 압출기에 조립된 다이스에서 일측이 만곡되고 타측은 다이스에 고정되어서 성형롤러가 조립된 나선관 성형기에 조립되어서 다이스에서 압출되는 압출 튜브를 성형기의 성형롤러의 회전에 의하여 나선권회로 회전되면서 튜브의 중공구가 형성되는 양측벽면을 일체로 융착하면서 성형되는 나선관을 제조하는 제조 장치가 사용되어 왔다
이때 제조되는 나선관은 냉각파이프에서 만곡부위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냉각파이프를 사용하므로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구(7)의 양측벽면(12)를 나선권회로 일체로 융착하여 제조되어 제공되므로 이의 제품을 지중 매설하여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집중하중이나 누수 등으로 지반이 연약해지는 경우 중공구(7)의 상,하측면이 나선권회 방향으로 파손되므로 장기간 사용이나 하중이 많이 작용하는 도로용이나 건축용 등에서 사용이 제약되는 현실이다
특히 집중 호우 및 장마 등으로 폭우가 많이 내리는 경우를 대비하여 배수로관용 나선관의 사용 규격이 종래의 사용되는 시공 현장에 적절한 규격에 비교하여 중,대형(ø600m/m이상)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많은데 본 고안의 제품에서는 제품의 규격에 따른 두께의 보강 등으로 중공구의 크기가 커지는 구조에서 집중하중에 의한 외토압으로 파손되는 위험으로 이에 대한 대안이 요구되어 왔다.
본 고안은 배수로관용 나선관의 제조장치에서 성형기 및 냉각파이프의 구조 변경에 따른 제조 공정의 개선으로 종래의 나선관에서 중공구의 상, 하측면 및 양측벽면을 보강하는 구조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의 제공으로 대구경에서 고강도, 내구성의 나선관을 제조할 수 있는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제조장치가 조립되어 사용되는 요부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요부인 성형롤러가 조립된 구조의 사시도
도3은 도1에서 보조 다이스가 조립된 부분 단면도
도4(가)(나)는 본 고안의 요부인 냉각파이프의 사시도
도5(가)(나)는 도4에서 A-A선 단면도
도6은 도4에서 B-B선 단면도
도7은 도4에서 C-C선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에서 융착롤러로 튜브를 융착하는 공정을 보인 부분 단면도
도9는 본 고안의 요부인 성형롤러에서 제조 공정을 보인 부분 단면도
도10은 도9에서 도시된 제조 공정에 대한 실시예에 대한 부분 단면도
도11은 도9에서 제조된 제품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
도12는 도10에서 제조된 제품의 요부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13은 종래의 제조 장치에서 제조된 나선관의 요부의 부분 단면도
* 도면에서 중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성형기 2. 다이스 3. 압출기 4. 압출튜브
5,5'. 만곡 분리관 6. 만곡 분리대 7. 중공구 8. 지지대
9,9'. 융착롤러 12. 양측벽면 14. 융착대 16. 나선관
17. 보강구 18. 보조 다이스 19. 압출구 20. 성형롤러 21. 간격
23. 지지판 27. 중간지지판
본 고안은 배수로관용 나선관 제조장치로서 종래의 제조 장치로 구성되는 압출기의 다이스와 냉각파이프를 성형기에 다수개가 원형으로 구성되면서 조립된 성형롤러에 연동되게 조립하면서 다이스의 압출구에 맞추어 조립되는 제조장치에 있어서 주로 사용되는 성형롤러의 구성 및 냉각파이프의 구조를 보강하여 나선관에서 주요 부위로 인정되는 중공구 및 양측벽면에 대한 구조를 보강시켜 성형하므로 외토압 보강 및 중공구의 외토압 보강을 위한 고안으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기(3)에 조립된 나선관용 성형기(1)에 있어서 1차 성형공정으로 다이스(2)에서 튜브(4)를 압출시켜 냉각파이프(13)의 안내에 따라 성형기(1)의 성형롤러(20)의 회전으로 나선권회로 성형되면서 형성된 중공구(7)의양측벽면을 일체로 융착시켜 제조하는 나선관(16)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중공구(7)의 양측벽면(12)에서 중앙부로 절곡시켜 지지대(8)로 일체시켜 상,하측의 중공구(7)(7')를 형성하되 중앙부에 지지대(8)로 보강하기 위하여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스(2)에 조립된 냉각파이프(13)의 구조에서 만곡부위에서 양측 벽면의 중간부에 절곡부(22)를 서서히 깊게 형성하면서 만곡부의 끝부위에 상,하측의 만곡분리관(5)(5')을 만곡분리대(6)로 분리하되 다이스(2)에서 압출되는 튜브(4)를 냉각파이프(13)의 만곡부위로 압출하면서 성형시켜서 만곡분리대(6)에 맞추어 양측방향에서 서로 튜브(4)를 융착롤러(9)(9')로 절곡시켜 주면서 지지대(8)로 일체시켜서 상,하측에 중공구(7)(7')를 형성하여 주면서 본 고안의 목적인 배수로관용 나선관(16)을 제조하는 고안이다
상기 설명되는 냉각파이프(13)의 구조는 다이스(2)에서 조립되어서 직선부와 만곡부로 형성되는데 만곡부에서 절곡부(22)를 형성하면서 만곡부의 끝부위에서 부터 만곡분리대(6)을 형성한다
이때 튜브(4)의 양측부위를 서로 융착롤러(9)(9')로 절곡시켜 융착으로 형성된 지지대(8)는 상,하측으로 형성된 만곡분리관(5)(5')를 통과하는 동안 도면에 미도시된 냉각수의 공급으로 냉각되어 상,하측의 중공구(7)(7')를 형성하여 준다
여기서 지지대(8)를 성형하는 융착롤러(9)(9')의 조립은 나선권회로 회전되는 튜브(4)를 서로 넓은 폭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회전성형이 이루어 져야 되므로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성형기(1)의 성형롤러(20)를 중간지지판(27)으로 각각 전,후로 등분하여 주면서 성형롤러(20)를 조립하기 위한 전,후의 지지판(25)로성형롤러(20')(23)를 다수개를 서로 원형 상태로 각각 분리하여 조립한다
여가서 전측 성형롤러(20')는 만곡된 성형튜브(4)를 냉각파이프(13)의 만곡부의 끝부에서 형성되는 만곡분리대(6)에 맞추어 양측에서 튜브(4)를 절곡시켜 지지대(8)을 성형하면서 상,하측에 성형된 중공구(7)(7')의 양측벽면(12)을 서로 간격(14)를 형성하면서 나선권회로 성형되도록 후측 성형롤러(21)를 지지판(25)과의 조립 각도를 낮게 조정하여 주면 양측벽면(12)에 일정간격(21)을 형성하면서 나선권회로 성형되는데 여기서 별도의 보조 다이스(18)에서 융착 원료를 압출시켜 상,하측의 중공구(7)(7')에서 양측벽면(12) 사이의 간격(21)에 융착대(14)를 압출시켜 지지대(8) 사이의 보강구(17)에도 융착대(14)가 삽설하도록 한다
즉 상기 설명은 본 고안의 제조 장치에서 성형기(1)의 성형롤러(20)를 조립하는 지지판(25)와의 조립 각도에 따라 나선권회된 핏치 폭이 결정되므로 1차 공정으로 전측 성형롤러(21)은 나선권회된 튜브(4)에 융착롤러(9)(9')를 양측으로 조립시켜 절곡시켜 지지대(8)를 성형하기 위하여 지지판(21)과의 조립각도를 크게 조립하고, 2차 공정으로 후측 성형롤러(23)에서는 튜브(4)가 성형되어 상,하측의 중공구(7)(7')의 양측벽면(12) 사이에 융착대(14)를 삽설용 간격을 유지되도록 나선권회된 핏치 폭을 결정하면서 별도의 보조다이스(18)에서 융착 원료를 압출하여 준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부인 냉각파이프(13)는 다이스(2)에서 조립되어서 직선부와 만곡부를 통과하면서 튜브(4)가 통과되면서 만곡분리대(6)가 시작하는 부위에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롤러(9)(9')를 양측에서 튜브(4)를 절곡시켜 융착으로 형성된 지지대(8)는 상,하측의 만곡분리관(5)(5')와 만곡분리대(6)를 동시에통과하면서 나선권회로 회전하는 동안 냉각 성형되어 주면서 상,하측의 중공구(7)(7')에 형성된 양측벽면(12)를 일체로 융착하면서 보강구(17)을 구성한다
이때 사용되는 융착롤러(9)(9')는 성형기(1)의 몸체에 고정시켜서 조립으로 다이스(2)에서 압출되는 튜브(4)를 양측으로 균일하게 만곡분리대(6)에서 절곡시켜 지지대(8)가 형성되도록 한다.
또 본 고안의 요부인 냉각파이프(13)의 실시예로서는 도5(가)(나)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파이프(13)의 몸체로 구성되는 직선부와 내측 만곡분리관(26)와 외측 만곡분리관(26')를 서로 별도로 제작한 다음 만곡요홈대(6)를 형성되도록 직선부와 만곡부를 서로 일체로 고정부(24)로 고정시켜 주고 냉각호오스(26)는 각각 냉각파이프(26)(26')에 내장시켜 주어 사용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조 장치에서 대규격(ø1000m/m이상)의 제품에서는 제품의 크기에 따라 두께가 커지며 이에 따른 보강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서는 도10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명된 냉각파이프(13)에서 상, 하측에 만곡요홈대(6)(6')를 형성하는 만곡분리관(5)(5')(5")를 형성하여 상, 하측의 중공구(8)(8')사이에 중공구(7")와 지지대(8')를 구성하여 제조되는 나선관용 제조 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배수로관용 나선관 제조장치에서 제조되는 중공구 및 양측벽면의 외토압 보강 및 견고성을 증대시켜 주기 위하여 종래의 제조장치에서 사용되는 성형기의 성형롤러를 전,후측으로 분리하여 주어서 나선권회의 핏치 폭을 조정하여주고 냉각파이프의 만곡부에서 만곡절곡부가 형성되면서 만곡분리대가 형성된 만곡분리관을 형성하되 냉각파이프에다 압출 튜브를 양측으로 융착롤러로 튜브를 절곡시켜 지지대로 일체하되 상,하측에 중공구를 형성하면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나선권회로 성형하되 보조 다이스에서 융착제를 합출하도록 구성된 제조장치로서 생산공정의 간단화 되면서 제조된 나선관은 외토압 보강을 위한 구조 보강 및 생산성 제고와 경제성 보장으로 수요층의 증대와 사용범위의 확대 등을 제공하는 고안이다.

Claims (3)

  1. 압출기의 다이스(2)와 보조 다이스(18)에 냉각파이프(4)가 조립되고 성형기(1)의 성형롤러(20)가 조립된 배수로관용 나선관 제조장치에 있어서 냉각파이프(4)의 만곡부에서 만곡분리관(5)(5')와 만곡요홈대(6)를 형성하되 만곡부의 만곡요홈대(6)에서 양측으로 융착롤러(9)(9')를 조립시켜 주고 성형롤러(20)를 중강지지판(27)로 전,후측 성형롤러(20')(23)로 조립하여 구성된 구조 보강 나선관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냉각파이프(4)를 내,외측만곡분리관(26)(26')를 만곡요홈대(6)가 형성되도록 직선부에 고정부(24)로 고정시켜 구성된 구조 보강 나선관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냉각파이프(4)의 만곡부위에 만곡분리관(5)(5')와 만곡요홈대(6)에 만곡분리관(5'')와 만곡요홈대(6')를 구성된 구조 보강 나선관 제조장치
KR2020020016668U 2002-05-30 2002-05-30 구조 보강 나선관 제조장치 KR2002872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668U KR200287263Y1 (ko) 2002-05-30 2002-05-30 구조 보강 나선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668U KR200287263Y1 (ko) 2002-05-30 2002-05-30 구조 보강 나선관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726A Division KR100554538B1 (ko) 2002-05-28 2002-05-28 구조 보강 나선관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263Y1 true KR200287263Y1 (ko) 2002-08-27

Family

ID=7307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668U KR200287263Y1 (ko) 2002-05-30 2002-05-30 구조 보강 나선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2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975B1 (ko) 압출 상태로 연결한 프로파일을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장치와 그 제조방법
KR200287263Y1 (ko) 구조 보강 나선관 제조장치
KR101200091B1 (ko) 내경코팅부를 구비한 원료 절약형 폴리프로필렌 하수관
KR100554538B1 (ko) 구조 보강 나선관 제조장치
KR101857093B1 (ko) 강성이 보강된 다중벽 합성수지관
KR100554537B1 (ko) 고강도 나선관용 제조장치
KR200287255Y1 (ko) 고강도 나선관용 제조장치
KR101090296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KR101023770B1 (ko) 압출 상태로 연결한 프로파일을 이용한 복층벽 하수관
KR200352642Y1 (ko) 터널형 구조 복합관
KR20080017158A (ko) 합성수지관의 이중 삼각형 보강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425148B1 (ko) 압출하는 프로파일의 양쪽 측부면을 요철 가공하여 보강 연결부재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하수관과 그 성형장치
KR101181180B1 (ko) 강성이 향상된 합성수지 다중벽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900318B1 (ko) 강성이 보강된 다중벽 합성수지관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857097B1 (ko) 강성이 보강된 다중벽 합성수지관
KR200293771Y1 (ko) 구조용 나선관 제조장치
KR101900317B1 (ko) 강성이 보강된 이중벽 합성수지관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5770536B2 (ja) 製管用部材
KR100392077B1 (ko) 고강도 나선관의 제조 장치
KR20000021521A (ko) 고강도 나선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50103B1 (ko) 구조용 나선관 제조장치
KR100537088B1 (ko) 강도를 향상시킨 이중벽 하수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900316B1 (ko) 강성이 보강된 다중벽 합성수지관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40002251A (ko) 내경코팅부를 구비한 원료 절약형 폴리프로필렌 하수관용 제작장치
KR101900314B1 (ko) 강성이 보강된 이중벽 합성수지관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