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807Y1 - 수전금구용 코브라관구조 - Google Patents

수전금구용 코브라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807Y1
KR200219807Y1 KR2019990001470U KR19990001470U KR200219807Y1 KR 200219807 Y1 KR200219807 Y1 KR 200219807Y1 KR 2019990001470 U KR2019990001470 U KR 2019990001470U KR 19990001470 U KR19990001470 U KR 19990001470U KR 200219807 Y1 KR200219807 Y1 KR 200219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bra
cobra tube
bent
tube
fauc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1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297U (ko
Inventor
노혁희
Original Assignee
노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혁희 filed Critical 노혁희
Priority to KR2019990001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807Y1/ko
Publication of KR200000092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2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807Y1/ko

Link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와 세면대에 설치되는 수전금구의 토수구를 코브라관으로 구성하되 그 토수용 코브라관을 철판의 절곡 결합에 의해서만 구성함으로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철편만으로 권선된 코브라관이 인위적으로 절곡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그 코브라관과 수전금구 및 토수 조절부재의 결합을 프레스작업 없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전금구용 코브라관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는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토수방향과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코브라관을 철편의 중앙부와 양단을 절곡하면서 나선형으로 권선하여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코브라관의 절곡된 양단 중 일측의 절곡 단부를 내측으로 다시 절곡하여 구성하고, 그 구성된 코브라관의 양단에는 연결관을 압입하여 수전금구의 몸체와 조절부재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내측으로 다시 절곡된 일측 단부는 결합된 타측 단부를 절곡된 탄성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수전금구용 코브라관구조 {A cobra duct structure for a hydrant}
본 고안은 싱크대용 및 세면대용에 설치되어 토수방향과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전금구용 코브라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싱크대와 세면대에 설치되는 수전금구의 토수구를 코브라관으로 구성하되 그 토수용 코브라관을 철판의 절곡 결합에 의해서만 구성함으로서 제조원가를 절감함과 동시에 그 코브라관과 수전금구 및 토수 조절부재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수전금구용 코브라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수와 온수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수전금구는 직수용 토수구를 자유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싱크대용과 직수용 토수구만이 고정 구성된 세면대용과 그 세면대용에 샤워기를 설치한 욕실용으로 구별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전금구중 싱크대용과 세면대용 수전금구는 직수용 토수구가 수전금구의 몸체와 같이 주물품으로 구성됨은 물론 그 토수구가 싱크대와 세면대의 정면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것이므로 싱크대와 세면대에 물을 받으면서 사용할 때 토수구로 인해 많은 불편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싱크대용 수전금구에 인위적으로 자유롭게 굴곡시킬 수 있는 코브라관을 설치하여 토수구의 높이와 위치를 사용에 편리하도록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개발되었으나, 상기와 같은 코브라관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선(51)과 철판(52)을 나선형으로 함께 권선하여 구성한 코브라관(50)을 사용함으로서 코브라관(50)의 사용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 코브라관(50)의 일측을 수전금구에 연결하거나 타측을 조절부재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관의 단부를 프레스로 누르는 공정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공정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인위적으로 자유롭게 굴곡시킬 수 있는 코브라관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금속관(60)이 있었으나, 이는 철선은 사용하지 않고 철판(61)들을 나선형으로 단순하게 권선시킨 것이므로 굴곡시킨 상태로 금속관(60)을 유지시킬 수 없어 샤워기의 호스 대용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싱크대와 세면대에 설치되는 수전금구의 토수구를 코브라관으로 구성하되 그 토수용 코브라관을 철판의 절곡 결합에 의해서만 구성함으로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철편만으로 권선된 코브라관이 인위적으로 절곡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그 코브라관과 수전금구 및 토수 조절부재의 결합을 프레스작업 없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수전금구용 코브라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좌측면도
도 3은 본 고안 도 1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도 2의 B부 확대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종래의 코브라관을 보인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몸체 2 : 급수구
3 : 손잡이 4 : 토수홀
5 : 코브라관 6 : 철편
7, 8 : 단부 9, 12 : 연결관
10, 13 : 압입관 14 : 체결구
15 : 조절부재 16 : 나사돌기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의 일측에 결합되어 토수방향과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코브라관(5)을 철편(6)의 중앙부와 양단을 절곡하면서 나선형으로 권선하여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코브라관(5)의 절곡된 양단 중 일측의 절곡 단부(7)를 내측으로 다시 절곡하여 구성하고, 그 구성된 코브라관(5)의 양단에는 연결관(9)(12)을 압입하여 수전금구의 몸체(1)와 조절부재(15)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내측으로 다시 절곡된 일측 단부(7)는 결합된 타측 단부(8)를 절곡된 탄성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손잡이(3)로 밸브를 조절하면 온수 또는 냉수 및 온냉 혼합수가 토수홀(4)을 통해 코브라관(5)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코브라관(5)으로 공급된 물은 코브라관(5)의 타단의 타단에 결합된 조절부재(15)를 통해 토수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코브라관(5)은 철선을 사용하지 않고, 철편(6)만을 나선형으로 절곡하면서 권선하되 권선되는 철편(6)의 일측 단부(7)를 내측으로 다시 한번 절곡함으로서 다시 절곡된 단부(7)가 탄성력을 가지고 결합되는 타측 단부(8)를 지지하게 되어 코브라관(5)을 자유롭게 절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곡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코브라관(5)은 그 양단에 외측으로 결합되는 연결관(9)(12)과 내측으로 결합되는 압입관(10)(13)을 압입하여 결합함으로서 별도의 프레스 작업으로 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연결관(9)(12)을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측 연결관(9) 외측의 너트(11)와 타측 연결관(12) 외측의 체결구(14)를 사용하면 간편하게 수전금구의 몸체(1)와 조절부재(15)에 코브라관(5)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브라관(5)의 양단에 결합되는 연결관(9)(12)은 그 내측면에 나사돌기(16)를 형성하여 코브라관(5)의 양단에 체결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연결돤(9)(12)과 코브라관(5)의 결합을 더욱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코브라관의 절곡된 양단 중 일측의 절곡 단부를 내측으로 다시 절곡하여 구성하고, 그 구성된 코브라관의 양단에는 연결관을 압입하여 수전금구의 몸체와 조절부재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내측으로 다시 절곡된 일측 단부는 결합된 타측 단부를 절곡된 탄성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코브라관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철편만으로 권선된 코브라관이 인위적으로 절곡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코브라관과 수전금구 및 토수 조절부재의 결합을 프레스작업 없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3)

  1. 몸체(1)의 일측에 결합되어 토수방향과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코브라관(5)을 철편(6)의 중앙부와 양단을 절곡하면서 나선형으로 권선하여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코브라관(5)의 절곡된 양단 중 일측의 절곡 단부(7)를 내측으로 다시 절곡하여 구성하고, 그 구성된 코브라관(5)의 양단에는 연결관(9)(12)을 압입하여 수전금구의 몸체(1)와 조절부재(15)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수전금구용 코브라관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으로 다시 절곡된 일측 단부(7)는 결합된 타측 단부(8)를 절곡된 탄성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수전금구용 코브라관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브라관(5)의 양단에 결합되는 연결관(9)(12)은 그 내측면에 나사돌기(16)를 형성하여 코브라관(5)의 양단에 체결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수전금구용 코브라관구조.
KR2019990001470U 1999-02-02 1999-02-02 수전금구용 코브라관구조 KR200219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470U KR200219807Y1 (ko) 1999-02-02 1999-02-02 수전금구용 코브라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470U KR200219807Y1 (ko) 1999-02-02 1999-02-02 수전금구용 코브라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297U KR20000009297U (ko) 2000-06-05
KR200219807Y1 true KR200219807Y1 (ko) 2001-04-16

Family

ID=54757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470U KR200219807Y1 (ko) 1999-02-02 1999-02-02 수전금구용 코브라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8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658A (ko) * 2002-08-07 2004-02-14 방재원 샤워기꼭지 상.하.좌.우. 꺽어짐 및 샤워기 원터치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297U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02725A1 (en) Exposed hose faucet
KR200219807Y1 (ko) 수전금구용 코브라관구조
KR20080004251U (ko) 수도전의 샤워기 연결구조
US7350825B1 (en) Wall-mounted elbow duct
JP2011172892A (ja) シャワー用節水器具
KR200152836Y1 (ko) 싱글 레버식 혼합수전
KR101145109B1 (ko) 벽면설치용 수전
KR200160959Y1 (ko) 토수위치 조절이 가능한 토수구조
CN219973382U (zh) 具有多出水模式的台式水龙头
JP2572743Y2 (ja) シャワー装置
KR200379885Y1 (ko) 호스 연결용 다용도 수도꼭지
JPH0932058A (ja) シャワ−水栓のホ−ス干渉防止装置
CN212327084U (zh) 一种预埋式冷热冲洗器
CN217232077U (zh) 一种洗漱盆
US20170073945A1 (en) Tub faucet
CN220504044U (zh) 一种改进水流体结构的暗装淋浴龙头
KR200255510Y1 (ko) 플렉시블 파이프
CN219060205U (zh) 一种浴室柜用喷枪装置
JP4456219B2 (ja) 断熱キャップ
CN210830648U (zh) 一种可自由变形的水龙头
AU2006201628B2 (en) Improved Mixer Tap Arrangement
KR200163666Y1 (ko) 토수위치조절이가능한토수장치
JP3042899U (ja) 節水器具用アダプター
KR20000016435U (ko) 세면대용 수전금구
KR200187830Y1 (ko) 유량조절 및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