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607Y1 - 길이조절이 가능한 양구스패너_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 가능한 양구스패너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607Y1
KR200219607Y1 KR2019980022976U KR19980022976U KR200219607Y1 KR 200219607 Y1 KR200219607 Y1 KR 200219607Y1 KR 2019980022976 U KR2019980022976 U KR 2019980022976U KR 19980022976 U KR19980022976 U KR 19980022976U KR 200219607 Y1 KR200219607 Y1 KR 2002196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nner
length
holes
spanners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9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611U (ko
Inventor
김호철
Original Assignee
김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철 filed Critical 김호철
Priority to KR20199800229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607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6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6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6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607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몸체가 양측으로 분할되어 연결몸체에 의해 자루가 양측방향으로 출몰되도록 하므로써 스패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양구 스패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구스패너를 가지고 작업을 하다보면 작업상황에 따라 짧은 길이의 스패너가 필요할 때도 있고, 길이가 긴 스패너가 필요할 때도 있다.
하지만 종래의 양구스패너는 일정한 길이로만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상황에 따라 다른 공구를 사용하는 등 다른 방법으로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양구스패너(10a)(10b)의 자루(12a)(12b)를 2분할하고, 상기 스패너(10a)(10b)의 자루(12a)(12b)가 삽입되어 출몰되는 길이가 긴 지지구멍(22a)(22b)을 상하로 형성한 이중관 형상의 연결체(20)를 구비하여 상기 양측 스패너의 자루(12a)(12b)를 반대방향으로 위치시켜 각각 지지구멍(22a)(22b)에 삽입시키고,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길이조절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 고안은 스패너가 길이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하기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 상황에 따라 작업자가 길이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길이조절이 가능한 양구스패너
본 고안은 양쪽에 볼트를 조이는 조임구가 형성된 양구스패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몸체가 양측으로 분할되어 연결몸체에 의해 자루가 양측방향으로 출몰되도록 하므로써 스패너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길이조절이 가능한 양구 스패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구스패너는 양측에 크기가 다른 조임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사용할 때 볼트의 크기에 따라 돌려가며 볼트를 조이고 푸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양구스패너를 가지고 작업을 하다보면 작업상황에 따라 짧은 길이의 스패너가 필요할 때도 있고, 길이가 긴 스패너가 필요할 때도 있다.
하지만 종래의 양구스패너는 일정한 길이로만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상황에 따라 다른 공구를 사용하는 등 다른 방법으로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양구스패너가 길이조절이 되도록 하여 작업상황에 따라 작업자가 편리하게 길이조절을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패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패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패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패너의 길이조절을 위해 버튼이 눌러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10b - 스패너 11a,11b - 조임구 12a,12b - 자루
13a,12b - 절결구멍 14a,14b - 위치조절구멍 20 - 연결체
22a,22b - 지지구멍 23 - 버튼구멍 24,25 - 작동구멍
30 - 버튼 31 - 봉 32,33 - 스토퍼
35 - 스프링 36 - 스프링받이
양측에 조임구가 형성된 양구스패너에 있어서,
상기 양구스패너의 자루를 2분할하고, 상기 스패너의 자루가 삽입되어 출몰되는 길이가 긴 지지구멍을 상하로 형성한 이중관 형상의 연결체를 구비하여 상기 양측 스패너의 자루를 반대방향으로 위치시켜 각각 지지구멍에 삽입시키고,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길이조절하여 사용하는 것.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패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패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조임구(11a)(11b)를 구비한 양구스패너가 2분할되어 형성된 양측 스패너 자루(12a)(12b)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절결구멍(13a)(13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구멍(13a)(13b)에 일정한 간격으로 절결구멍(13a)(13b) 보다 넓은 지름의 길이조절구멍(14a)(14b)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연결체(20)는 스패너(10a)(10b)의 자루(12a)(12b)가 삽입되어 출몰되는 지지구멍(22a)(22b)을 상하로 구비한 이중관 구조의 직사각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체(20)의 중앙부에는 버튼(30)이 설치되는데, 버튼(30)이 설치되는 연결체(20)의 상면에는 버튼구멍(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튼구멍(23)의 하부로 길이조절구멍(14a)(14b) 크기의 작동구멍(24)(25)이 상하 관통형성되어 있다.
버튼구멍(23)과 작동구멍(24)(25)내에서 상하 작동하는 버튼(30)은 스패너(10a)(10b)의 절결구멍(13a)(13b)의 간격을 지름으로 하는 봉(31)의 하부에 스패너(10a)(10b)의 설치간격으로 길이조절구멍(14a)(14b)에 대응삽입되는 원형테 형상의 스토퍼(32)(33)가 상하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스토퍼(32)(33)의 상부에는 봉(31)의 상단이 충분한 길이를 갖기 때문에 버튼구멍(23)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어 손으로 누를 수 있는 누름구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버튼(30)의 하부에는 버튼(30)을 탄력복원시키는 스프링(35)이 탄력설치되며, 그 하부 즉, 작동구멍(24)(25) 하부의 연결체(20) 저면에 결합되어 스프링(35)의 하단을 지지하는 스프링받이(36)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연결체(20)의 상하 지지구멍(22a)(22b)에 각 스패너(10a)(10b)의 자루(12a)(12b)를 반대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삽입시킨 후 각 스패너(10a)(10b)의 위치조절구멍(14a)(14b)을 작동구멍(24)(25)과 일치시킨 다음 작동구멍(24)(25)에 버튼(30)을 삽입시켜 최상부로 밀어올리면 버튼(30)의 상단이 버튼구멍(23)을 통하여 상부로 노출되게 되며 각 스토퍼(32)(33)는 스패너(10a)(10b) 자루(12a)(12b)의 위치조절구멍(14a)(14b)에 삽입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토퍼(32)(33)의 하부에 스프링(35)을 탄지시키고 그 하부에 스프링받이(36)를 위치시켜 연결체(20)의 저면에 고정 결합시키면 버튼(30)은 항상 도 3과 같이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양측 스패너(10a)(10b)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스패너(10a)(10b)의 길이를 줄이거나 연장시킬 때에는 도 4와 같이 연결체(20)의 버튼구멍(23)에 노출된 버튼(30)의 상단을 누르게 되면 버튼(30)은 하부의 스프링(35)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게 되고 위치조절구멍(14a)(14b)내에 위치해 있던 스토퍼(32)(33)는 연결체(20)의 작동구멍(24)(25)내에 위치하게 된다. 대신 스패너(10a)(10b)의 위치조절구멍(14a)(14b)내에는 버튼(30)의 봉(31)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양측 스패너(10a)(10b)는 연결체(20)의 지지구멍(22a)(22b)내에서 출몰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길이를 적당히 조절한 후 누르고 있던 버튼(30)의 상단을 해지시킨다. 이 작동에 의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35)이 이완되면서 버튼(30)을 밀어올려 도 3과 같이 다시 스토퍼(32)(33)가 각 스패너(10a)(10b) 자루(12a)(12b)의 위치조절구멍(14a)(14b)에 삽입되게 된다.
이 상태가 되면 다시 스패너(10a)(10b)는 스토퍼(32)(33)에 의해 길이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스패너로서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패너가 길이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하기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 상황에 따라 작업자가 길이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양측에 조임구(11a)(11b)가 형성된 양구스패너(10a)(10b)에 있어서,
    상기 양구스패너를 두 개의 몸체로 2분할하고, 분할된 상기 스패너(10a)(10b)의 자루(12a)(12b)가 삽입되어 출몰되는 길이가 긴 지지구멍(22a)(22b)을 상하로 형성한 이중관 형상의 연결체(20)를 구비하여 상기 양측 스패너의 자루(12a)(12b)를 반대방향으로 위치시켜 각각 지지구멍(22a)(22b)에 삽입시키고,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길이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양구스패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 수단은,
    상기 각 스패너(10a)(10b)의 자루(12a)(12b)에 길이방향으로 절결 형성된 절결구멍(13a)(13b)과 이 절결구멍(13a)(13b)에 일정한 간격으로 절결구멍(13a)(13b)의 간격보다 넓은 지름으로 형성된 길이조절구멍(14a)(14b)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20)의 중앙부 상면에 버튼구멍(23)과 상기 버튼구멍(23)의 하부로 길이조절구멍(14a)(14b)의 크기로 상하관통형성된 작동구멍(24)(25)을 포함하고,
    상기 스패너(10a)(10b)의 절결구멍(13a)(13b)의 간격을 지름으로 하는 봉(31)에 스패너(10a)(10b)의 설치간격으로 상기 길이조절구멍(14a)(14b)에 대응삽입되는 원형테 형상의 스토퍼(32)(33)를 구비한 버튼(30)과,
    상기 버튼(30)의 하부에 탄력설치되어 버튼(30)을 탄력복원시키는 스프링(35)과;
    상기 작동구멍(24)(25) 하부의 연결체(20)에 결합되어 스프링(35)의 하단을 지지하는 스프링받이(36)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양구스패너.
KR2019980022976U 1998-11-24 1998-11-24 길이조절이 가능한 양구스패너_ KR2002196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976U KR200219607Y1 (ko) 1998-11-24 1998-11-24 길이조절이 가능한 양구스패너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976U KR200219607Y1 (ko) 1998-11-24 1998-11-24 길이조절이 가능한 양구스패너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611U KR20000010611U (ko) 2000-06-15
KR200219607Y1 true KR200219607Y1 (ko) 2001-04-02

Family

ID=6950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976U KR200219607Y1 (ko) 1998-11-24 1998-11-24 길이조절이 가능한 양구스패너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6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1655A1 (en) * 2018-03-30 2019-10-0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ipe wrench
US11890742B2 (en) 2020-08-04 2024-02-0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Extendable wrench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1655A1 (en) * 2018-03-30 2019-10-0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ipe wrench
CN112188946A (zh) * 2018-03-30 2021-01-05 米沃奇电动工具公司 管扳手
US11207762B2 (en) 2018-03-30 2021-12-28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ipe wrench
US11731249B2 (en) 2018-03-30 2023-08-2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ipe wrench
US11890742B2 (en) 2020-08-04 2024-02-06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Extendable wren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611U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5743A (en) Anchoring fixture for holding a musical instrument
US5515744A (en) Adjustable stem member
US4644831A (en) Adaptor sleeve
US7114713B2 (en) Connector assembly for clamping tool and system utilizing same
US5906452A (en) Mechanism for folding a bicycle
US5383706A (en) Adjusting assembly for bicycle seat
US20020145264A1 (en) Folding structure of a scooter
US6029548A (en) Adjustable wrench
EP0874129A3 (en) Apparatus for gripping a down hole tubular
US4998841A (en) Clamps and clamp assemblies
US5152566A (en) Spreader arm mounting device
KR200219607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양구스패너_
US6019020A (en) Pipe wrench with transverse retaining function
GB2296884A (en) Adjustable wrench
US3892149A (en) Multiple hand tool
MX9802743A (es) Dispositivo para maquinar extremos de tubo.
US20020131818A1 (en) Fastening means
US6966243B1 (en) Universal plier structure
US4884306A (en) Clamping holder for fixing a support rod to a child's bed
US6877403B2 (en) Telescopic socket assembly
JP4107804B2 (ja) アームレスト装置
JPH0623636Y2 (ja) 樋支持具
JPH0719726Y2 (ja) 簡易型多機能工具
KR20020049474A (ko) 멀티소켓
USD397125S (en) Tool hol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