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041Y1 - 마루운동매트 - Google Patents

마루운동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041Y1
KR200219041Y1 KR2020000024736U KR20000024736U KR200219041Y1 KR 200219041 Y1 KR200219041 Y1 KR 200219041Y1 KR 2020000024736 U KR2020000024736 U KR 2020000024736U KR 20000024736 U KR20000024736 U KR 20000024736U KR 200219041 Y1 KR200219041 Y1 KR 2002190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ard
floor
air
present
unit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광식
Original Assignee
현대체육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체육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체육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4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0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0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041Y1/ko

Link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동 선수가 도약, 점프, 구르기, 착지등의 연속된 동작시 발생되는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여 운동선수에 가해지는 부상 정도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내구성이 향상된 마루운동매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개의 평판이 적층되고 상기 평판의 가장자리부에 지지대가 설치되어 구성된 마루운동매트에 있어서, 상기 평판중의 최하단에 해당된 최하부 평판의 하면에 공기튜브가 다수개 분할되게 결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루운동매트{A FLOOR MAT FOR GAME}
본 고안은 마루운동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 선수가 도약, 점프, 구르기, 착지등의 연속된 동작시 발생되는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여 운동선수에 가해지는 부상 정도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내구성이 향상된 마루운동매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마루운동매트의 일례로 본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출원 공개00-00000호에 기재되어 있는바, 그 구성은 다수개의 하부단위 조각체를 가로ㆍ세로 배열하여 전체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된 하부 탄성보드와, 하단이 마루바닥에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하부 탄성보드의 하부단위 조각체 각각의 하면에 꺽쇠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는 다수개의 탄성고무 스프링과, 다수개의 상부단위 조각체를 적어도 두개 이상 하부단위 조각체에 동시에 걸쳐지도록 배열하여 상기 하부 탄성보드의 상면에 적층된 상부 탄성보드와, 상기 하부단위 조각체의 상면 적정 위치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단위 조각체 각각의 하면 적정 위치에 꺽쇠를 매개로 하여 고정 설치되어 상호 결합되는 다수개의 제1 암ㆍ수 벨크로와, 다수개의 쿠션 조각체를 상호 요철 결합하여 상기 상부 탄성보드의 상면에 적층된 쿠션판과, 탄성고무 스프링의 테두리부를 따라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쿠션판의 상면에 적층되되, 상기 지지대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진 카페트와, 상기 지지대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카페트의 가장자리 하면 적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암ㆍ수 벨크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르면 탄성고무 스프링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탄성보드의 하면에 지지되는 상부 지지부(1)와, 지면에 지지되는 하부 지지부(2)와, 상ㆍ하부 지지부(1)(2) 사이에 설치되는 고리 형상의 탄성부(3)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운동 선수가 도약, 점프, 구르기, 착지등의 연속된 동작을 실시할 경우 상기 탄성고무 스프링을 구성하는 고리 형상의 탄성부(3)가 종종 파손되어 자체 고유 기능이 충격 흡수를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내구성의 저하로 인해 운동 선수가 부상을 입을 우려도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탄성고무 스프링은 하부 탄성보드를 구성하는 하부단위 조각체의 하면에 대략 32개 정도, 전체적으로는 1600개 정도로 그 사용 개수가 많기 때문에 마루운동매트를 조립 및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운동 선수가 도약, 점프, 구르기, 착지등의 연속된 동작시 발생되는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여 운동선수에 가해지는 부상 정도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내구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조립 및 분해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마루운동매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마루운동매트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하부 탄성보드를 구성하는 하부단위 조각체의 상면에 제1 암ㆍ수 벨크로중의 어느 하나가 다수개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충격흡수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카페트 하면에 제2 암ㆍ수 벨크로중의 어느 하나가 다수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고안에 의한 상부 탄성보드를 구성하는 상부단위 조각체 및 이의 하면에 제1 암ㆍ수 벨크로중의 다른 하나가 다수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하부 탄성보드위에 상부 탄성보드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하부 탄성보드 아래에 충격흡수체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쿠션판의 구성을 일부만 도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마루운동매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10 종래 기술에 적용되는 탄성고무 스프링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공기튜브
21 : 상판
22 : 하판
23 : 연결부
24 : 공기밸브
100 : 평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개의 평판이 적층되고 상기 평판의 가장자리부에 지지대가 설치되어 구성된 마루운동매트에 있어서, 상기 평판중의 최하단에 해당된 최하부 평판의 하면에 공기튜브가 다수개 분할되게 결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마루운동매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마루운동매트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하부 탄성보드를 구성하는 하부단위 조각체의 상면에 제1 암ㆍ수 벨크로중의 어느 하나가 다수개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충격흡수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카페트 하면에 제2 암ㆍ수 벨크로중의 어느 하나가 다수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고안에 의한 상부 탄성보드를 구성하는 상부단위 조각체 및 이의 하면에 제1 암ㆍ수 벨크로중의 다른 하나가 다수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하부 탄성보드위에 상부 탄성보드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하부 탄성보드 아래에 충격흡수체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쿠션판의 구성을 일부만 도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마루운동매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평판(100)이 적층되고 상기 평판(100)의 가장자리부에 지지대(60)가 설치되어 구성된 마루운동매트에 있어서, 상기 평판(100)중의 최하단에 해당된 최하부 평판의 하면에 공기튜브(20)가 다수개 분할되게 결합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평판(100)은 하부 탄성보드(10)와, 상부 탄성보드(30)와, 쿠션파(50)과, 카페트(7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탄성보드(10)와 상부 탄성보드(30)는 제1 암ㆍ수 벨크로(10a)(30a)에 의해 상호 결합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60)와 상기 카페트(70)는 제2 암ㆍ수 벨크로(60a)(70a)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상기 하부 탄성보드(10)는 도 1과 도 2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삭형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하부단위 조각체(11)를 가로ㆍ세로 배열하여 전체 형상이 정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부단위 조각체(11)의 장변ㆍ단변의 길이는 각각 120㎝(센티미터)*240㎝(센티미터)이며, 이들의 가로ㆍ세로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각각 12M(미터), 12M(미터)이다.
상기 상부 탄성보드(30)는 도 1, 도 5a 내지 도 5d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상부단위 조각체(31)(32)(33)(34)를 하부 탄성보드(10)를 구성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 하부단위 조각체(11)에 동시에 걸쳐지도록 배열하여 상기 하부 탄성보드(10)의 상면에 적층되며, 전체 형상이 상기 하부 탄성보드(10)와 동일한 정사각 형상을 하게 된다.
상기 상부단위 조각체(31)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44개가 사용되는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단위 조각체(11)의 크기와 동일하며, 총 44개의 상부단위 조각체(31)중 36개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하부단위 조각체(11)에 동시에 걸쳐짐과 아울러 하부단위 조각체(11)의 배열방향과 동일하게 배열된다.
한편, 상기 상부단위 조각체(31)중 나머지 8개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하부단위 조각체(11)에 동시에 걸쳐짐과 아울러 하부단위 조각체(11)의 배열방향과 직각으로 배열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 탄성보드(10)의 상면에 상부단위 조각체(31)를 배열하고 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금친 부분에 대항되는 영역(A,B,C)만 남게된다.
상기 영역(A)에는 도 5b에 도시된 상부단위 조각체(32)가 배치되는데, 2개의 하부단위 조각체(11)에 동시에 걸쳐지게 배치되며, 이 영역(A)의 크기는 상부단위 조각체(32)의 크기와 동일하다.
즉, 상부단위 조각체(31)의 2/3의 크기와 동일하다.
상기 영역(B)에는 도 5c에 도시된 상부단위 조각체(33)가 배치되는데, 이 영역(B)의 크기는 상부단위 조각체(33)의 크기와 동일하다.
즉, 상부단위 조각체(31)의 1/3의 크기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단위 조각체(33)는 그 사용 갯수가 2개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적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영역(C)에는 도 5d에 도시된 상부단위 조각체(34)가 다수개 배치되는데, 2개의 하부단위 조각체(11)에 동시에 걸쳐지게 배치되며, 이 영역(C)의 크기는 상부단위 조각체(34)의 크기와 동일하다.
즉, 상부단위 조각체(31)의 길이 방향의 절반의 크기와 동일하다.
상기 제1 암ㆍ수 벨크로(10a)(30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단위 조각체(11) 각각의 상면 적정 위치와, 이에 대응되는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단위 조각체(31)(32)(33)(34) 각각의 하면 적정 위치에 꺽쇠(13)를 매개로 하여 다수개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공기튜브(20)는 도 1과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하부 평판의 하면, 즉 하부 탄성보드(10)의 하면에 지지되는 상판(21)과, 지면에 지지되는 하판(22)과, 상기 상ㆍ하판(21)(22) 사이의 공간이 밀봉되도록 상기 상ㆍ하판(21)(22)의 가장자리부에 연결되는 플렉시블한 재질로된 연결부(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ㆍ하판(21)(22) 및 연결부(23) 사이의 공간에는 공기가 충진된다.
상기 연결부(23)의 일측에 상ㆍ하판(21)(22)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공기밸브(24)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밸브(24)를 설치한 이유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기튜브(20)가 다수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튜브(20)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 및 배출 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즉, 공기튜브(20)에 외력이 가해질때 그 완충 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그리고, 공기튜브(20)내로 공기를 주입하는 것은 압력계측부를 가진 공기주입장치를 이용하여 공기밸브(24)로 주입한다.
한편, 상기 공기튜브(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탄성보드(1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되는데, 그 구조는 에어튜브(20)의 상면과, 이에 대응되는 최하부 평판의 하면 즉 하부 탄성보드(10)의 하면에 각각 설치된 암ㆍ수 벨크로(25)(26)에 의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튜브(20)의 설치 개수는 하부 탄성보드(10)를 4등분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4개가 사용되었으며, 그 사용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즉, 공기튜브(20)를 단일체로 한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쿠션판(50)은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언급한 공기 공용의 기술로서 상부 탄성보드(30)의 상면에 적층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조각(51)들이 요철(51a)(51b) 결합되어 전체를 이루게 된다.
상기 지지대(60)는 PE(폴리에틸렌) 재질로써,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튜브(20)의 테두리를 따라 4개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대(60)의 높이가 에어튜브(2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하부 탄성보드(10)의 하면과 지면 사이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60)의 상면 높이는 에어튜브(20)의 상면과 일직선을 유지하는 높이가 된다.
상기 카페트(70)는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판(50)의 상면에 적층되되, 상기 쿠션판(50)과 지지대(60)의 상면을 함께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2 암ㆍ수 벨크로(60a)(70a)는 도 1과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60)의 외주면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카페트(70)의 가장자리 하면 적정 위치에 접착제(미도시)를 매개로 하여 다수개가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지지대(60)의 외주면에는 부직포 재질의 천을 감싸고, 이에 대응되는 카페트(70)의 하면에는 벨크로를 부착하여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마루운동매트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면에 공기튜브(20)를 가로ㆍ세로 배열한 다음, 이 공기튜브(20)의 상면에 하부단위 조각체(11)를 가로ㆍ세로 배열하여 전체 형상이 사각 형상이 되도록 하여 하부 탄성보드(10)를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튜브(20)의 상면과, 하부 탄성보드(10)의 하면에는 각각 암ㆍ수 벨크로(24)(25)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 탄성보드(10)를 공기튜브(20)의 상면에 적층 배열할때 상기 암ㆍ수 벨크로(24)(25)는 상호 결합되며, 결국에는 공기튜브(20)와 하부 탄성보드(10)는 상호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부 탄성보드(10)를 공기튜브(20)의 상면에 적층하기 전에 하부 탄성보드(10)를 구성하는 하부단위 조각체(11)의 상면 적정 위치에 꺽쇠(13)를 매개로 하여 제1 암ㆍ수 벨크로중의 어느 하나(10a)를 다수개 고정 설치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후, 하부 탄성보드(10)의 상면에 상부 탄성보드(30)를 적층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진행하기 전에 상부 탄성보드(30)를 구성하는 상부단위 조각체(31)(32)(33)(34)의 하면 적정 위치에 꺽쇠(13)를 매개로 하여 제1 암ㆍ수 벨크로중 어느 하나(30a)를 다수개 고정 설치한다.
즉, 상부단위 조각체의 하면에 설치되는 벨크로(30a)의 부착 위치는 하부단위 조각체(11)에 설치된 벨크로(10a)의 위치에 대응된다.
상기와 같이, 제1 암ㆍ수 벨크로중의 어느 하나(30a)가 설치된 상부단위 조각체를 한개씩 하부 탄성보드(10)를 구성하는 하부단위 조각체(11)위에 어태치시키되, 상부단위 조각체(31)의 양단이 두개의 하부단위 조각체(11)에 동시에 걸쳐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어태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부단위 조각체(31)를 하부단위 조각체(11)의 상면에 어태치시키게 되면, 제1 암ㆍ수 벨크로(10a)(30a)는 상호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부단위 조각체를 어태치시키되 하부 탄성보드(10)의 상면에 가로ㆍ세로의 길이가 12M*12M가 되는 사각형상의 상부 탄성보드(30)의 조립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 탄성보드(30)의 조립을 완료한 후에, 상부 탄성보드(30)의 상면에 다수개의 조각(51)들을 요철(51a)(51b) 결합시켜 쿠션판(50)을 적층시킨다.
이후, 4층으로된 하부 탄성보드(10)와 공기튜브(20)와 상부 탄성보드(30)와 쿠션판(50)의 조립을 완료한 후에, 이들의 각 측면에 소정 높이를 갖는 지지대(60)를 배치한다.
여기서, 지지대(60)에는, 그 외주면에 제2 암ㆍ수 벨크로중의 어느 하나(60a)인 천이 감싸여져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대(60)의 배치를 완료한 후에, 가장자리가 쿠션판(50)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가진 카페트(70)를 적층한다.
여기서, 상기 카페트(70)의 하면 가장자리중 상기 지지대(6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벨크로(60a)의 위치에 대응되게 제2 암ㆍ수 벨크로중의 어느 하나(70a)가 접착제를 매개로 고정 설치된 상태이다.
이후, 카페트(70)의 가장자리 하면에 고정 설치된 벨크로(70a)와 지지대(60)의 상면에 고정된 벨크로(60a)가 결합되도록 카페트(70)의 상면 가장자리를 눌러준다.
상기와 같은 순서로 인해 마루운동매트의 분해는 조립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되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마루운동매트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동 선수가 카페트(70)의 상면에서 도약, 점프, 구르기, 착지등의 모션을 취하더라도 지지대(60)는 제2 암ㆍ수 벨크로(60a)(70a)를 매개로 하여 카페트(7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이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카페트(70)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상부 탄성보드(30)와 하부 탄성보드(10)는 제1 암ㆍ수 벨크로(10a)(30a)를 매개로 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이 없게 되어 마루운동매트의 와해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하부단위 조각체(11)와 상부단위 조각체(31)가 상호 교차되는 방식으로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상부 탄성보드(30)와 하부 탄성보드(10)간에 유동이 없게 된다.
또한, 하부 탄성보드(10)의 하면에 다수개의 에어튜브를 고정 설치하였기 때문에 종래에서처럼, 운동 선수의 동작시에 발생되는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음과 아울러 파손이 발생되지 않는 등 내구성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탄성고무 스프링을 하부 탄성보드를 구성하는 하부단위 조각체의 하면에 대략 32개 정도, 전체적으로는 1600개 정도로 그 사용하는 반면에 본 고안에서는 에어튜브를 대략 4개 정도 사용하기 때문에 마루운동매트를 조립 및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단축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운동 선수가 도약, 점프, 구르기, 착지등의 연속된 동작시 발생되는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여 운동선수에 가해지는 부상 정도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내구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조립 및 분해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다수개의 평판(100)이 적층되고 상기 평판(100)의 가장자리부에 지지대(60)가 설치되어 구성된 마루운동매트에 있어서,
    상기 평판(100)중 최하부의 평판 하면에 공기튜브(20)가 다수개 분할되게 결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운동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튜브(20)는 상기 최하부 평판의 하면에 지지되는 상판(21)과, 지면에 지되는 하판(22)과, 상기 상ㆍ하판(21)(22) 사이의 공간이 밀봉되도록 상기 상ㆍ하판(21)(22)의 가장자리부에 연결되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된 연결부(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ㆍ하판(21)(22) 및 상기 연결부(23) 사이의 밀폐 공간에는 공기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운동매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3)의 일측에 상ㆍ하판(21)(22) 사이의 공간으로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공기밸브(24)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운동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튜브(20)의 상면과, 이에 대응되는 상기 최하부 평판의 하면에는 각각 암ㆍ수 벨크로(24)(25)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운동매트.
KR2020000024736U 2000-08-31 2000-08-31 마루운동매트 KR2002190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736U KR200219041Y1 (ko) 2000-08-31 2000-08-31 마루운동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736U KR200219041Y1 (ko) 2000-08-31 2000-08-31 마루운동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041Y1 true KR200219041Y1 (ko) 2001-04-02

Family

ID=73058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736U KR200219041Y1 (ko) 2000-08-31 2000-08-31 마루운동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0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192B1 (ko) * 2004-10-27 2007-01-10 현대체육산업(주) 산수경기용 패널 구조체
KR100878553B1 (ko) 2004-10-27 2009-01-14 현대체육산업(주) 내구성이 향상된 마루운동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192B1 (ko) * 2004-10-27 2007-01-10 현대체육산업(주) 산수경기용 패널 구조체
KR100878553B1 (ko) 2004-10-27 2009-01-14 현대체육산업(주) 내구성이 향상된 마루운동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2813B2 (en) Rebounding arena construction systems
CN102483124B (zh) 能量吸收和分配材料
US20160166077A1 (en) Inflatable mattress
US5551922A (en) Toy water slide
PL205489B1 (pl) Element amortyzujący buta, zwłaszcza buta sportowego
KR102548281B1 (ko) 트램펄린 서스펜션 장착 및 연결 시스템
KR100947968B1 (ko) 골프 연습용 매트
KR200219041Y1 (ko) 마루운동매트
EP1609509B1 (en) Modular foam implement
CN213609781U (zh) 用于娱乐设施的可充气附件、娱乐设施、以及充气公园
KR200212768Y1 (ko) 마루운동매트
JP4387998B2 (ja) ハニカム緩衝装置
KR200379035Y1 (ko) 운동용 매트
KR200481993Y1 (ko) 매트 조립체
KR20230155582A (ko) 매트리스 어셈블리들
CN210540639U (zh) 一种便携式垫子
WO2014062074A1 (en) Inflatable jumping pit
KR100878553B1 (ko) 내구성이 향상된 마루운동매트
JP3116046B2 (ja) 衝撃吸収マット
GB2224644A (en) Water-bed
JP2947772B2 (ja) 衝撃吸収用クッションパッド
CN218291581U (zh) 一种无缝式桥梁伸缩装置
KR101300580B1 (ko) 에어 튜브가 내장된 침대용 매트리스
KR200454875Y1 (ko) 볼 매트리스
JPS611071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