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658Y1 -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658Y1
KR200218658Y1 KR2020000030654U KR20000030654U KR200218658Y1 KR 200218658 Y1 KR200218658 Y1 KR 200218658Y1 KR 2020000030654 U KR2020000030654 U KR 2020000030654U KR 20000030654 U KR20000030654 U KR 20000030654U KR 200218658 Y1 KR200218658 Y1 KR 2002186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earphone
ear hole
passage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6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주
Original Assignee
박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주 filed Critical 박형주
Priority to KR20200000306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6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6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658Y1/ko

Links

Landscapes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이어폰이 귓구멍 내에 긴밀하게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이어폰이 개시된다.
종래에 이어폰을 귓구멍 내에 삽입하는 경우에 장시간 사용시 귀가 아프고 삽입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결선의 선단에 음향 발생부가 결합된 이어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부(30)는 배면 커버(31)의 전방에 스피커(32)를 개재하여 음향 통로(33a)를 연장시킨 전면 커버(33)가 결합되고, 상기 음향 통로(33a)에는 수축성이 있는 큐션재(34)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이 제공된다.
따라서, 전면 커버에 음향 통로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음향 통로에 발큐션재가 삽입됨에 따라 사용자의 귓구멍에 음향 발생부를 삽입하는 것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삽입 상태가 긴밀하게 유지되고, 또한 장시간 사용 시에도 귓구멍이 아프지 않게 되며, 음향 통로를 통하여 음향이 전달됨으로써 음향감이 더욱 향상된다.

Description

이어폰{Earphone}
본 고안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귓구멍 내에 삽입이 용이하고 삽입된 상태가 긴밀하게 유지되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어폰은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디오나 카세트 또는 휴대폰 등에 이어폰 잭에 접속되어 음의 전기적 신호를 받아들이는 플러그(10)와, 상기 플러그(10)에 연결선(11)으로 연결되어 플러그(10)로부터 보내지는 전기적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향 발생부(12)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이어폰 구조는 음향 발생부(12)를 사용자의 귓구멍 내에 삽입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음향 발생부(12)의 크기는 일정하고 사용자의 귓구멍 크기는 각각 다르게 됨에 따라 착용감이 서로 다르게 된다.
즉, 사용자의 귓구멍 크기가 음향 발생부(12)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작은 힘이 연결선(11)에 작용하여도 귓구멍으로부터 음향 발생부(12)가 이탈되는 등의 사용에 불편이 있으며, 귓구멍의 크기가 음향 발생부(12)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에는 삽입 후에 귓구멍이 아프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귓구멍의 크기에 관계없이 긴밀하게 음향 발생부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삽입 후에도 통증이 전혀 없는 이어폰을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어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을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을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음향 발생부 31 : 배면 커버
32 : 스피커 33 : 전면 커버
33a : 음향 통로 34 : 큐션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은 플러그(20), 연결선(21), 음향 발생부(30)가 결합된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부(30)는 배면 커버(31)와, 스피커(32)와, 상기 배면커버와 결합되어 형성된 공간에 상기 스피커(32)를 수납하고, 전면에 귓구멍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음향 통로(33a)를 가진 전면커버(33)와, 수축되었다가 복원시 지연복원 특성을 가지며, 귓구멍에 상기 음향 통로(33a)의 삽입시 귓구멍 내주연과 음향통로(33a) 사이의 완충작용을 하기 위하여 상기 음향통로(33a)의 외주연에 삽입되는 큐션재(3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전면 커버에 음향 통로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음향 통로에 지연복원 특성을 가진 큐션재가 삽입됨에 따라 삽입시에는 큐션재를 수축시켜서 귓구멍에 용이하게 삽입하고, 삽입 후에는 큐션재가 서서히 복원되어 귓구멍에 맞게 복원되므로 귓구멍에 긴밀하게 착용되어 장시간 사용 시에도 귓구멍이 아프지 않게 되며, 음향 통로를 통하여 음향이 전달됨으로써 음향감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 결합 단면도로서, 참조 부호 21은 오디오나 카세트 또는 휴대폰 등에 이어폰 잭에 플러그로 접속되어 음의 전기적 신호를 받아들이는 코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코드(21)의 일단에는 플러그(20)가 연결되어 있고, 타단에는 음향 발생부(3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음향 발생부(30)는 배면 커버(31)와, 상기 배면 커버(31)의 내측에 위치되어 플러그(20)로부터 보내지는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시키는 스피커(32)와, 상기 배면 커버(31)의 전방에 결합 고정되는 전면 커버(3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 커버(33)는 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음향 통로(33a)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통로(33a)의 외측에는 큐션재(34)가 삽입된다.
상기 큐션재(34)는 통상의 스폰지가 아니라 우레탄나 스폰지와 같은 발포수지에 접착제를 함침시켜서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스폰지는 수축한 다음에 외력이 제거되면 즉시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지만 본 고안의 큐션재는 수축시 처음에는 수축된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고 이 후에 서서히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지연복원 특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귓구멍에 삽입시에는 손으로 압력을 가하여 귓구멍에 삽입되기 쉬운 형상으로 수축하여 삽입하면, 삽입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에 서서히 펴지게 되어 귓구멍의 형상으로 복원되므로 귓구멍에 긴밀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 구조는 사용자가 음향 발생부(30)를 귓구멍 내에 삽입하는 경우에 큐션재(34)를 손가락으로 눌러서 압축시킨 후 귓구멍 내에 삽입하면 발포 수지(34)가 수축된 상태에서 삽입이 이루어지고, 후에 시간을 두고 팽창되면서 귓구멍 내에 큐션재(34)가 긴밀하게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큐션재(34)는 접착제가 함침된 스폰지로 이루어짐에 따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도 귓구멍이 아프거나 쉽게 이탈되는 일이 없이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전면 커버(33)에 음향 통로(33a)가 소정의 길이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음향감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전면 커버에 음향 통로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음향 통로에 큐션재가 삽입됨에 따라 사용자의 귓구멍에 음향 발생부를 삽입하는 것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삽입 상태가 긴밀하게 유지되고, 또한 장시간 사용 시에도 귓구멍이 아프지 않게 되며, 음향 통로를 통하여 음향이 전달됨으로써 음향감이 더욱 향상되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플러그(20), 연결선(21), 음향 발생부(30)가 결합된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부(30)는 배면 커버(31)와, 스피커(32)와, 상기 배면커버와 결합되어 형성된 공간에 상기 스피커(32)를 수납하고, 전면에 귓구멍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음향 통로(33a)를 가진 전면커버(33)와, 수축되었다가 복원시 지연복원 특성을 가지며, 귓구멍에 상기 음향 통로(33a)의 삽입시 귓구멍 내주연과 음향통로(33a) 사이의 완충작용을 하기 위하여 상기 음향통로(33a)의 외주연에 삽입되는 큐션재(3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큐션재는 우레탄 또는 스폰지와 같은 발포 수지에 복원특성을 지연시키기 위한 접착제가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KR2020000030654U 2000-11-02 2000-11-02 이어폰 KR2002186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654U KR200218658Y1 (ko) 2000-11-02 2000-11-02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654U KR200218658Y1 (ko) 2000-11-02 2000-11-02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658Y1 true KR200218658Y1 (ko) 2001-04-02

Family

ID=73090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654U KR200218658Y1 (ko) 2000-11-02 2000-11-02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6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711A (ko) * 2001-10-12 2003-04-18 변기만 통증방지용 이어폰
KR100841287B1 (ko) 2006-12-18 2008-06-25 삼신이노텍 주식회사 이어폰용 하우징 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711A (ko) * 2001-10-12 2003-04-18 변기만 통증방지용 이어폰
KR100841287B1 (ko) 2006-12-18 2008-06-25 삼신이노텍 주식회사 이어폰용 하우징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52187B2 (ja) イヤホン装置
CA2470238C (en) Expandable in-ear device
KR101494487B1 (ko) 형태 조절식 이어폰
EP0560415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EP2061273A1 (en) Bone conduction speaker
WO1998051125A1 (en) Earmold and casing for a flexible hearing aid
US20090202098A1 (en) Occluding Earbud System and Method
CN1984505A (zh) 骨传导受话装置
CN107172512A (zh) 耳机耳翼
US6035961A (en) Earphone with a soft, compressible housing and adjustable earpiece loop
KR100878597B1 (ko) 이어폰
KR200204510Y1 (ko) 이어폰 커버
WO1993005623A1 (en) Headset
JP2003032772A (ja) 耳掛け式イヤホン
CN211656347U (zh) 一种入耳式耳机及耳机固持结构
JP2006115060A (ja) 耳挿入型イヤホン
WO2002007477A3 (en) Audio headset
KR200218658Y1 (ko) 이어폰
EP0383483A1 (en) Earphone having resilient insertion device
CN209845238U (zh) 新型骨传导耳机
JP3001184B2 (ja) イヤ−マイク、イヤホ−ン等の耳栓
KR200255406Y1 (ko) 이어폰의 이어피스 장착구조
KR101827386B1 (ko) 이어폰용 가변 이어팁
JP2551369Y2 (ja) イヤホン
JP2884564B2 (ja) ヘッドフォ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