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549Y1 - 개량형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개량형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549Y1
KR200218549Y1 KR2020000030973U KR20000030973U KR200218549Y1 KR 200218549 Y1 KR200218549 Y1 KR 200218549Y1 KR 2020000030973 U KR2020000030973 U KR 2020000030973U KR 20000030973 U KR20000030973 U KR 20000030973U KR 200218549 Y1 KR200218549 Y1 KR 200218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ape
side plate
presen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의림
Original Assignee
최의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의림 filed Critical 최의림
Priority to KR2020000030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5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549Y1/ko

Links

Landscapes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물건을 수납 보호하여 운반하기 위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자의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된 상태로 접철시켜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며, 독특하고 미려한 외관을 창출하여 장식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개량형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는 짧은 각기둥형에서 수직중앙의 횡단직경이 상면 및 하면보다 더 큰 중광상하협(中廣上下狹)의 형상을 가지며, 절개선으로 형성된 손잡이가 중앙에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끼움홈이 형성된 상판과, 중앙에 걸이편과 걸이공이 형성된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을 연결하는 측벽을 형성하되 그 중앙에 접철선이 형성되어 상부측판과 하부측판으로 구획되는 측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판은 인접하는 측판끼리 서로 분리시켜서 수직으로 누르면 2겹으로 접철되어 포개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량형 포장상자{An improved packing box}
본 고안은 내부에 물건을 수납 보호하여 운반하기 위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자의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된 상태로 접철시켜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며, 독특하고 미려한 외관을 창출하여 장식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개량형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포장상자는 종이등의 판지를 제단하여 접착 또는 끼우는 방법으로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포장상자는 일단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조립한 후에는 그 부피가 입체적으로 최대화 되어 보관에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보관시에는 조립하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하다가 사용할 말단 점포나 상점에서 직접조립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자를 사용하는 일선에서는 신속히 상자를 사용하여야 할 경우 조립된 상태로 보관하다가 즉시 사용하야 하지만, 점포등의 넓이가 한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상자를 조립된 상태로 보관하기에는 공간이 매우 부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공간의 이용효율을 떨어뜨리게 되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선 상가 또는 공장에서 조립되지 않은 상태의 포장상자를 적제해놓고 사용하는 경우는 신속히 물건을 포장해주어야 하는 경우에는 포장상자의 조립에 시간이 소요되며, 번거로운 조립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원할한 상행위를 제약하는 일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며, 좀더 개량되고 사용이 간편한 포장상자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포장상자가 갖고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하고, 조립된 상태에서도 상하로 접철하여 판제형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하여 장식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개량된 포장상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측벽에 접철선을 형성하고 각각의 측벽이 서로 분리되도록 형성시킨 본 고안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는 바, 첨부도면을 참조로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를 눌렀을 때의 상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상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손잡이를 올린 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을 장식용으로 사용하는 상태도.
도6은 본 고안의 전개도.
도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9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
도10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상판 2: 하판
3: 접철선 4: 끼움홈
5: 끼움편 6: 걸이편
7: 걸이공 8: 접착면
9: 손잡이 10: 상부측판
11: 하부측판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6은 그 전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체적으로는 짧은 각기둥형에서 수직중앙의 횡단직경이 상면 및 하면보다 더 큰 중광상하협(中廣上下狹)의 형상을 가지며, 절개선으로 형성된 손잡이(9)가 중앙에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끼움홈(4)이 형성된 상판과, 중앙에 걸이편(6)과 걸이공(7)이 형성된 하판(2)과, 상기 상판(1)과 하판(2)을 연결하는 측벽을 형성하되 그 중앙에 접철선(3)이 형성되어 상부측판(10)과 하부측판(11)으로 구획되는 측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판은 인접하는 측판끼리 서로 분리시켜서 수직으로 누르면 2겹으로 접철되어 포개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6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종이판제나 합성수지판제를 제단하여 소정의 모양으로 절단하고, 다각형의 상판(1)과 하판(2)을 형성하며, 상기 상판과 하판에 연결되게 되는 측판을 형성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판과 하판을 정육각형의 모양으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변이 6개가 형성되며, 상판의 2변에는 끼움홈(4)을 형성하였고 다른 한 변은 하판과 직접연결되는 측판을 형성하며 다른 3변은 상부측판(10)을 형성하여 그 단부에 접착면(8′)을 형성하며, 하판(2)에는 그 중앙에 일부에 절개선을 형성하여 걸이편(6)을 형성하고 상기 걸이편에 걸이공(7)을 천공하였다.
상기 하판(2)에는 6개의 변 중에서 하나는 상판과 직접 연결되는측판을 형성하였고 3개의 변에는 그 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부(8)를 형성한 하부측판을 형성하며, 다른 2개의 변에는 하부측판과 상부측판을 모두 일체로 갖는 측판을 형성하되 상부측판의 단부에는 상판(1)의 끼움홈(4)에 끼워지는 끼움편(5)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본 고안의 전개지는 접착부(8)를 각기 대응하는 접착면(8′)에 붙이고 끼움편(5)을 끼움홈(4)에 끼움으로써 조립을 완성한다.
이렇게 조립된 본 고안은 2개의 측판의 끼움편(5)을 열고 물건을 넣거나 꺼내게 된다.
상기 끼움편을 2개의 측판에 형성한 것은 6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감안하여 최대한의 크기를 갖는 물건을 넣기 위해서는 6각형의 2변이 열려야 가능 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각각의 측판이 서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도3에서와 같이 측판과 인접하는 측판 사이가 이격되게 된다. 그러나 물건을 내부에 넣게 되면 물건의 무게로 인하여 도1에서와 같이 측판끼리 서로 붙어서 거의 폐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때문에 매우 작은 물건이 아닌 한 외부로의 이탈은 염려할 필요가 없다.
도2는 본 고안의 접철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1과 같이 조립된 본 고안은 보관이 용이하도록 접철하여 평판형상으로 보관한다. 본 고안을 수직으로 누르게 되면 측판에 형성된 접철선에 의하여 측판이 접어지게 되어 납작한 평판의 형상으로 되어 부피가 작아져서 많은 양을 적층시켜 보관 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렇게 접철된 상태로 보관하다가 사용할 때는 상하로 당겨서 입체형상으로 만들어 내부에 물건을 넣고 끼움편을 끼우고 도4와 같이 상판의 손잡이(9)를 올려서 파지하면 되는 것이다.
도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본 고안이 갖는 미려한 형태를 이용하여 장식용구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었다. 본 고안의 하판에 형성된 걸림편(6)을 올리고 상기 걸림편(6)의 걸림공(7)에 끈(20)을 묶어서 천정등에 매달아 놓으면 장식용으로도 뛰어난 미감을 줄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7에서와 같이 상판(1′)과 하판의 모양을 팔각형으로 형성하였으며,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서는 도8에서와 같이 상판과 하판의 모양을 사각형으로 하였다.
이 외에도 여러 형태의 다각형 모양으로 상판과 하판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며, 그 상판의 변의 수에 따라 끼움편을 적당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9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로서, 전체적인 형상을 각기둥형상으로 하였다. 즉, 상판과 하판과 수직방향의 횡단면의 모양과 크기가 동일한 각기둥형상을 갖도록 구성하였다. 물론 그외의 각부의 구조와 조립되는 원리 및 접철되는 방식은 동일하다. 즉 각각의 측판은 이웃하는 측판과 분리되어 있고 접철선을 갖도록 하는 것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횡단면의 모양을 육각형으로 하였지만 역시 여러 다각형이 가능하다.
도10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로서, 전체적 형상은 하판에서 수직방향의 소정위치 까지는 횡단면의 모양과 크기가 동일한 각기둥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직방향의 소정위치 부터 상판까지는 상판으로 갈 수록 그 횡단면의 크기가 작아지는 형상을 갖도록 하였다. 내부에 넣은 물건의 안정성을 더욱 잘 고려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 역시 전체적 형상 외에는 다른 각부의 구조 즉, 조립되는 원리 및 접철되는 방식등은 동일하다. 즉 각각의 측판은 이웃하는 측판과 분리되어 있고 접철선을 갖도록 하는 것은 동일하다.
본 실시예는 횡단면의 모양을 육각형으로 하였지만 역시 여러 다각형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조립된상태로 접철하여 평판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이 매우 용이하며 사용시에는 상하로 당기기만 하면 바로 입체형상의 조립체가 되어 바로 물건을 넣을 수 있게 되므로 수납시간을 단축하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그 모양을 여러형태의 다면체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모양을 구현할 수 있으며, 외관이 미려하여 장식용으로 사용하여도 매우 우수하게 되어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전체적 형상은 짧은 각기둥형에서 수직중앙의 횡단직경이 상면 및 하면보다 더 큰 중광상하협(中廣上下狹)의 형상을 가지며, 절개선으로 형성된 손잡이(9)가 중앙에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끼움홈(4)이 형성된 상판과, 중앙에 걸이편(6)과 걸이공(7)이 형성된 하판(2)과, 상기 상판(1)과 하판(2)을 연결하는 측벽을 형성하되 그 중앙에 접철선(3)이 형성되어 상부측판(10)과 하부측판(11)으로 구획되는 측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판은 인접하는 측판끼리 서로 분리시켜서 수직으로 누르면 2겹으로 접철되어 포개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포장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적 형상은 각기둥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포장상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적 형상은 하판에서 수직방향의 소정위치 까지는 횡단면의 모양과 크기가 동일한 각기둥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직방향의 소정위치 부터 상판까지는 상판으로 갈 수록 그 횡단면의 크기가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포장상자.
KR2020000030973U 2000-11-06 2000-11-06 개량형 포장상자 KR200218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973U KR200218549Y1 (ko) 2000-11-06 2000-11-06 개량형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973U KR200218549Y1 (ko) 2000-11-06 2000-11-06 개량형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549Y1 true KR200218549Y1 (ko) 2001-04-02

Family

ID=73060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973U KR200218549Y1 (ko) 2000-11-06 2000-11-06 개량형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54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520B1 (ko) * 2019-03-19 2020-07-14 정기성 접이식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520B1 (ko) * 2019-03-19 2020-07-14 정기성 접이식 용기
WO2020189946A1 (ko) * 2019-03-19 2020-09-24 정기성 접이식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0527B2 (en) Foldable boxes
US4917291A (en) Unitary gift box
KR20090058865A (ko) 포장박스
USD974762S1 (en) Collapsible storage box
KR200218549Y1 (ko) 개량형 포장상자
KR200417986Y1 (ko) 포장용 상자
KR100913061B1 (ko) 적층이 용이한 선물용 포장상자
KR200440979Y1 (ko) 포장용 상자
JPH0335703Y2 (ko)
KR200445468Y1 (ko) 다용도 박스 조립용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박스
KR200406280Y1 (ko) 포장박스
USD957949S1 (en) Reusable gift bag
CN216301766U (zh) 一种简洁式多层袋打包盒
JP7360677B2 (ja) 紙製重箱
JP3223424U (ja) 組み立て式角形状弁当容器。
JP4220289B2 (ja) 組立式紙函
KR200374426Y1 (ko) 수납함
JPS6340424Y2 (ko)
KR200260343Y1 (ko) 조립식 케익용 상자 덮개
JPS621110Y2 (ko)
KR200261423Y1 (ko) 디자인 박스
JPS636014Y2 (ko)
KR200273128Y1 (ko) 원터치 4면 접착식 상자
JPH08175530A (ja) カートン
JPH10218159A (ja) 梱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