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520B1 - 접이식 용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520B1
KR102133520B1 KR1020190030868A KR20190030868A KR102133520B1 KR 102133520 B1 KR102133520 B1 KR 102133520B1 KR 1020190030868 A KR1020190030868 A KR 1020190030868A KR 20190030868 A KR20190030868 A KR 20190030868A KR 102133520 B1 KR102133520 B1 KR 102133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folding
folded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성
Original Assignee
정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성 filed Critical 정기성
Priority to KR1020190030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520B1/ko
Priority to PCT/KR2020/003356 priority patent/WO202018994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65D5/36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at least one of the ends of the body remaining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41Reinforcements
    • B65D5/445Reinforc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 B65D5/448Metal or wire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 본체, 바닥부 및 덮개가 납작한 형태로 접이됨과 동시에, 접이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정이 이루어지고, 용기로서의 사용시에는 간단하게 용기 본체측의 고정돌부와 결합된 고정홈을 이탈시킨 다음, 단변을 외측으로 확장시켜 육각형의 기둥형태로 확장시켜 음료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체적으로 전환시켜 줌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간단하며, 나아가 일회성이 아닌 다회성 용도로 야외활동시 유용하게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기존 일회성의 용기에 비해 폐기물 감소효과와 더불어 소재를 재활용하는 자원절약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접이식 용기{Folding type vessel}
본 발명은 접이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내부 잔존공간 없이 접이식으로 최대한 납작하게 줄여 휴대성을 높이고, 용기형태가 되게 펼쳐서 사용할 때에는 내용물을 안정되게 담을 수 있음은 물론, 내용물을 담아 운반하는 과정에서 쉽게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는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제품으로 제작되어 사용되어 오고 있는 용기들은 음식, 기타 대상물 등을 담기 위해 금속, 유리,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요구하는 체적을 갖는 그릇, 컵 등의 용기제품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외에는 일회성 용도로 사출 제작하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용기는 휴대 용이성을 위해 용기의 무게와 부피를 현저히 줄여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사용시에는 충분히 대상물을 담을 수 있는 크기의 체적으로 확장시켜 사용할 수 있는 접이식 용기가 제작되어 야외활동 용도로 판매되거나 홍보용품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접이식 용기는 물이나 음료를 담을 수 있는 휴대용 컵, 혹은 그릇 형태가 있으며, 이와 관련된 선원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2192호(명칭: 나선형 접이식 휴대용 용기, 등록일자: 2016년 12월 22일, 이하, 이를 '특허문헌 1'이라 칭함) 및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68969호(명칭: 휴대용 컵, 공개일자: 1998년 12월 05일, 이하 이를 '특허문헌 2'이라 칭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나선형 접이식 휴대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나선형 접어서 용기 케이스에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등변 삼각형의 제1피스와 상기 제1피스의 역삼각형인 제2피스가 한 쌍을 이루어 마름모형 단위체를 형성하며, 상기 마름모형 단위체가 각각 단위층을 이루되, 상기 단위층이 복수 개의 층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위층들의 표면을 코팅하고 있는 코팅부를 포함하며, 원통으로 제작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측에 형성되는 지지틀; 상기 지지틀과 결합하며, 개폐부를 포함하는 뚜껑부; 상기 뚜껑부와 결합되며,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회전부; 및 상기 본체부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와 암수 결합되는 고정돌기 홈이 형성된 하판;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의 제1피스와 제2피스 사이가 자바라식으로 접었다 폈다 하여 접이식으로 제작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특허문헌 2에서 컵은, 필요에 따라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어서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뚜껑이 필요 없으며, 음료수의 보관용기로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어린이가 사용할 경우에는 컵에 빨대를 꽂아서 개구부를 닫으면 빨대가 컵에 꽂힌 상태에서 개구부가 폐쇄되므로 어린이가 내용물을 흘리지 않고 용이하게 먹을 수 있어서 더욱 편리하도록 컵의 용기부는 수평방향으로 다수개의 플리트가 형성된 자바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기부의 상단개구부에는 한 쌍의 얇은 철판이 매입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특허문헌 1 및 2의 기술은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의 본체부분 체적을 자바라 형태로 제작하여 높이를 확장시켜 그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들은 담기는 내용물에 따라 상하방향으로만 부피를 줄일 수 있다는 점이 한정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줄여놓은 상태에서 내부 공간 면적이 남아 있는 형태가 됨으되부로 전반적으로 줄인 실제 부피는 확장된 부피와 큰 차이를 갖지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은 부피를 최소화하기 휴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실질적으로 음료를 용기에 채웠을 때 용기를 들고 운반할 경우 본체부 길이에 대한 측면 흔들림과 상하 유동에 더욱 취약하기 때문에 내용물이 쏟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내부의 잔존공간 없이 접이식으로 최대한 납작하게 줄여 휴대성을 높이고, 용기형태가 되게 펼쳐서 사용할 때에는 내용물을 안정되게 담을 수 있음은 물론, 내용물을 담아 운반하는 과정에서 쉽게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는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용기는, 장변과 단변이 상호 마주하도록 제1면 내지 제6면을 갖고, 제1면 또는 제6면 중 어느 한 면의 장변 단부에는 각형이 되게 둘레 형성을 위한 부착부가 연장 형성되며, 마주하는 제1면과 제4면을 제외한 제2면, 제3면 및 제5면, 제6면에는 각각 절반으로 접기 위한 접이선이 형성되고, 상기 접이선을 기준으로 그 외측 면에는 상호 결합되어 접이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돌부와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면과 제3면의 접이선 및 제5면과 제6면의 접이선에는 제1면과 제4면으로부터 제2면과 제3면, 제5면과 제6면을 외측으로 펼쳐주기 위한 제1끈부재가 연결된 용기 본체와;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갖는 띠형의 판스프링 또는 강선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면 내지 제6면의 외측 둘레에 구비되어 용기 본체를 각형으로 펼쳐 확장시 육각형의 기둥형태로 유지시키는 지지부재와; 육각형의 바닥면 및 바닥면으로부터 용기 본체의 제1면 내지 제6면의 하부 내측 면에 각각 부착되는 부착면이 연장 형성되고, 바닥면 중앙으로부터 바닥면의 각 모서리로 이어지는 접이선 및 접이선 사이의 사이접이선이 형성되어 오므려지고 펴지는 접이가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면의 저부 중앙측에는 바닥면을 육각형이 되도록 펼치기 위한 제2끈부재가 구비되어 용기 본체의 하단에 부착되어 밀봉되는 바닥부와; 육각형으로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용기 본체의 외측 상단을 수용하는 제1둘레부와 용기 본체의 상단 내측을 수용하는 제2둘레부를 가지며, 상면 중앙으로부터 각 모서리로 이어지는 접이선 및 접이선 사이의 사이접이선이 형성되어 오므려지고 펴지는 접이가 이루어지며, 상면 중앙측에는 육각형이 되도록 펼치기 위한 제3끈부재가 구비되어 용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되는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 내측 모서리에는 걸림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제2둘레부 모서리에는 상기 걸림돌기를 안내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용기 본체로부터 덮개의 탈착이 이루어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는, 용기 본체, 바닥부 및 덮개가 납작한 형태로 접이됨과 동시에, 접이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정이 이루어지고, 용기로서의 사용시에는 간단하게 용기 본체측의 고정돌부와 결합된 고정홈을 이탈시킨 다음, 단변을 외측으로 확장시켜 육각형의 기둥형태로 확장시켜 음료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체적으로 전환시켜 줌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간단하며, 나아가 일회성이 아닌 다회성 용도로 야외활동시 유용하게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하고 기존 일회성의 용기에 비해 폐기물 감소효과와 더불어 소재를 재활용하는 자원절약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접이식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의 용기 본체를 전개하여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의 바닥부를 전개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를 납작하게 접어놓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본체를 납작하게 절첩된 상태에서 다각형으로 확장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본체의 상부에 덮개가 결합되는 상태를 예시한 부분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1)는, 용기 본체(10), 지지부재(20), 바닥부(30), 덮개(40)로 이루어지며,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성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용기 본체(10)는, 첨부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변과 단변이 상호 마주하도록 제1면 내지 제6면(11F~16F)을 갖고, 제1면 또는 제6면 중 어느 한 면의 장변 단부에는 각형이 되게 둘레 형성을 위한 부착부(17F)가 연장 형성되며, 마주하는 제1면(11F)과 제4면(14F)을 제외한 제2면(12F), 제3면(13F) 및 제5면(15F), 제6면(16F)에는 각각 절반으로 접히기 위한 접이선(12a, 13a, 15a, 16a)이 형성되고, 상기 접이선을 기준으로 그 외측 면에는 상호 결합되어 접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돌부(12b, 13b, 15b, 16b)와 고정홈(12c, 13c, 15c, 16c)이 형성되며, 상기 제2면과 제3면의 접이선 및 제5면과 제6면의 접이선에는 제1면과 제4면으로부터 제2면과 제3면, 제5면과 제6면을 외측으로 펼쳐주기 위한 제1끈부재(L1)가 연결된다.
상기 고정홈(12c, 13c, 15c, 16c)에 대한 고정돌부(12b, 13b, 15b, 16b)의 끼움은 강압적으로 결합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20)는, 용기 본체의 제1면 내지 제6면(11F~16F)의 외측 둘레에 구비되어 용기 본체(10)를 각형으로 펼쳐 확장시 육각형의 기둥형태로 유지시키도록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갖는 띠형의 판스프링 또는 강선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상에서의 상기 지지부재는 띠형의 판스프링으로 도시하기로 한다.
상기 바닥부(30)는 첨부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육각형의 바닥면(31) 및 바닥면으로부터 용기 본체(10)의 제1면 내지 제6면의 하부 내측 면에 각각 부착되는 부착면(32)이 연장 형성되고, 바닥면(31) 중앙으로부터 바닥면의 각 모서리로 이어지는 제1 내지 제6접이선(31a) 및 제1 내지 제6접이선(31a) 사이의 제1 내지 제6사이접이선(31b)이 형성되어 오므려지고 펴지는 접이가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면(31)의 저부 중앙측에는 바닥면을 육각형이 되도록 펼치기 위한 제2끈부재(L2)가 구비되어 용기 본체(10)의 하단에 부착되어 밀봉되는 구종이다.
상기 덮개(40)는, 육각형으로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용기 본체(10)의 외측 상단을 수용하는 제1둘레부(41)와 용기 본체(10)의 상단 내측을 수용하는 제2둘레부(42)를 가지며, 상면 중앙으로부터 각 모서리로 이어지는 접이선(43a) 및 접이선(43a) 사이의 사이접이선(43b)이 형성되어 오므려지고 펴지는 접이가 이루어지며, 상면 중앙측에는 육각형이 되도록 펼치기 위한 제3끈부재(L3)가 구비되어 용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단 내측 모서리에는 걸림돌기(10a)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덮개(40)의 제2둘레부(42) 모서리에는 상기 걸림돌기(10a)를 안내하는 삽입홈(42a)이 형성되어 용기 본체로부터 덮개의 탈착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접이식 용기(1)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어 접이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접이식 용기(1)는 끈부재들을 제외한 용기 본체, 바닥부, 덮개는 모두 동일한 PE 혹은 PP 등의 무독성 소재의 얇은 판재를 가공하여 제작되는 것이며, 상기 용기 본체, 바닥부, 덮개에 형성되는 접이선 들은 모두 요구하는 방향으로 접혀지도록 일면에 대해 접이 방향을 고려한 접이용 홈을 형성하여 접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40a는 덮개에 마련된 스트로우 삽입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접이식 용기의 사용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 본체(10)의 형성은 육각 기둥형태가 될 수 있도록 부착면(17F)을 이와 접하는 제1면(11F)의 장변에 맞대어 부착함으로써, 통형의 용기 본체(10)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용기 본체(10)의 하부측에 바닥부(30)의 부착면(32)을 상기 용기 본체(10)의 제1면 내지 제6면(11F~16F)의 내측과 밀착시켜 열융착 방식으로 부착한 다음,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무독성 수지로 연결이음부를 메워 용기 본체의 제작을 완성하고, 별도로 제작된 덮개(40)와 결합하여 사용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접이식 용기의 휴대(1)는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납작한 형태로 접어 용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이 거의 없는 형태로 접어 휴대할 수 있으며, 음료나 음식물을 담기 위한 용기로서의 활용은 첨부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를 펼쳐 도 1에서와 같이 통형으로 확장시켜 음료나 물을 담기 위한 체적으로 용기 본체(10)를 변형시켜 준다.
상기 용기 본체(10)의 확장변형은 겹으로 납작하게 된 용기 본체에 있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의 접이선(12a, 13a, 15a, 16a)을 기준으로 제1면(11F)과 제4면(14F) 사이에 위치한 제2면(12F), 제3면(13F) 사이, 제5면(15F), 제6면(16F) 사이를 각각 벌려준다.
여기서 상기 제2면(12F), 제3면(13F) 사이, 제5면(15F), 제6면(16F) 사이에 형성되어 상호 결합된 고정돌부(12b,13b,15b,16b)는 고정홈(12c,13c,15c,16c)으로부터 각각 강압적으로 이탈되어 제1면(11F)과 제4면(14F) 사이에 위치한 제2면(12F), 제3면(13F) 사이, 제5면(15F), 제6면(16F) 사이를 벌리기 쉬운 형태로 만들어 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2면(12F), 제3면(13F) 사이 및 제5면(15F), 제6면(16F) 사이에 연결된 제1끈부재(L1)를 화살표방향과 같이 양측에서 천천히 잡아당겨주면, 내접 되었던 제2면(12F), 제3면(13F)과 함께 제5면(15F), 제6면(16F)은 제1면(11F)과 제4면(14F)과 같이 동일한 단변을 갖는 육각형에 근접되도록 벌려 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바닥부(30)의 중앙 측에 구비된 제2끈부재(L2)는 하부방향으로, 덮개(40)의 상부 중앙측에 구비된 제3끈부재(L3)는 상부방향으로 당겨주면, 전반적으로 접이식 용기는 육각 기둥과 같은 형태가 되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납작한 형태에서 육각으로 전환된 접이식 용기(1)의 용기 본체(10)는 그 둘레부에 구비된 지지부재(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육각 형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덮개(30)는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약간 회전하여 걸림돌기를 탈착한 후 용기 본체(10)의 상향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분리가 이루어지게 되고, 용기 본체(10) 내에는 음료나 음식물을 담아 채울 수 있는 용기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덮개(40)를 용기 본체(10)의 상단에 맞추어 덮어 주면, 덮개의 제1둘레부(41)의 내측은 용기 본체(10)의 상단 외측둘레에 접하고, 제2둘레부(42)는 용기 본체의 내측 둘레에 접하는 형태에서 닫혀지게 되는 것이며, 여기서 상기 제2둘레부의 모서리에 형성된 삽입홈(42a)은 용기 본체(10)의 개구된 상단 내측에 형성한 걸림돌기(10a)에 안내되면서 덮개(40)를 안정되게 결합시켜 준다.
이러한 걸림돌기(10a)에 대한 상기 삽입홈(42a)은 덮개(40)의 바른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며, 덮개(4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쉽게 덮개가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덮개(40)를 덮은 상태에서는 덮개 상부에 마련된 스트로우 삽입부(40a)에 스트로우를 꽂아 내용물을 취할 수 있다.
한편, 접이식 용기(1)를 초기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덮개를 열어 물 세척으로 용기 본체를 닦아내고, 물기를 제거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의 제2면, 제3면 사이, 제5면, 제6면 사이에 형성된 고정돌부(12b,13b,15b,16b)를 고정홈(12c,13c,15c,16c)에 고정시켜 주면, 이와 동시에 바닥부의 제1 내지 제6접이선(31a)에 대해 그 사이의 제1 내지 제6사이접이선(31b)이 오므려지고, 상기 덮개(40) 또한 접이선(43a)에 대해 그 사이의 사이접이선(43b)이 오므려지게 되어 용기 본체와 함께 납작한 형태로 만들어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용기는 기존 상하방향으로 길이를 늘이는 방식으로 체적을 확장하는 접이식 용기들에 비해 절첩시에는 거의 내부공간이 없는 콤팩트한 부피로 줄여줄 수 있음은 물론, 컵 형태가 되도록 육각형으로 만들고, 그 내부에 내용물을 담은 상태는 좌우 흔들림에 대해 내용물이 쏟아지는 기존 용기에 비해 안정감을 제공한다.
아울러 최대한 부피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백패킹과 같은 등산, 이외 스포츠관람, 야외 나들이시 유용하게 사용하고, 보관이 용이함은 물론, 사용방법 또한 누구나 손쉽게 취급할 수 있으며, 일회성이 아닌 용품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일회용으로 사용하는 용기에 비해 폐기물 감소효과와 더불어 소재를 재활용하는 자원절약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접이식 용기 10: 용기 본체
10a: 걸림돌기 11F~16F: 제1면 내지 제6면
17F: 부착부 12a,13a,15a,16a: 접이선
12b,13b,15b,16b: 고정돌부 12c,13c,15c,16c: 고정홈
20: 지지부재 30: 바닥부
31: 바닥면 31a: 제1내지 제6접이선
31b: 제1 내지 제6사이접이선 32: 부착면
40: 덮개 40a: 스트로우 삽입부
41: 제1둘레부 42: 제2둘레부
42a: 삽입홈 43 : 덮개면
43a: 접이선 43b: 사이접이선
L1: 제1끈부재 L2: 제2끈부재
L3: 제3끈부재

Claims (3)

  1. 접이식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용기(1)는,
    장변과 단변이 상호 마주하도록 제1면 내지 제6면(11F~16F)을 갖고, 제1면 또는 제6면 중 어느 한 면의 장변 단부에는 각형이 되게 둘레 형성을 위한 부착부(17F)가 연장 형성되며, 마주하는 제1면(11F)과 제4면(14F)을 제외한 제2면(12F), 제3면(13F) 및 제5면(15F), 제6면(16F)에는 각각 절반으로 접히기 위한 접이선(12a, 13a, 15a, 16a)이 형성되고, 상기 접이선(12a, 13a, 15a, 16a)을 기준으로 그 외측 면에는 상호 결합되어 접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돌부(12b, 13b, 15b, 16b)와 고정홈(12c, 13c, 15c, 16c)이 형성되며, 상기 제2면과 제3면의 접이선 및 제5면과 제6면의 접이선에는 제1면과 제4면으로부터 제2면과 제3면, 제5면과 제6면을 외측으로 펼쳐주기 위한 제1끈부재(L1)가 연결된 용기 본체(10)와;
    탄성에 의한 복원력을 갖는 띠형의 판스프링 또는 강선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면 내지 제6면(11F~16F)의 외측 둘레에 구비되어 용기 본체(10)를 각형으로 펼쳐 확장시 육각형의 기둥형태로 유지시키는 지지부재(20)와;
    육각형의 바닥면(31) 및 바닥면으로부터 용기 본체(10)의 제1면 내지 제6면의 하부 내측 면에 각각 부착되는 부착면(32)이 연장 형성되고, 바닥면(31) 중앙으로부터 바닥면의 각 모서리로 이어지는 제1 내지 제6접이선(31a) 및 제1 내지 제6접이선 사이의 제1 내지 제6사이접이선(31b)이 형성되어 오므려지고 펴지는 접이가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면(31)의 저부 중앙측에는 바닥면을 육각형이 되도록 펼치기 위한 제2끈부재(L2)가 구비되어 용기 본체(10)의 하단에 부착되어 밀봉되는 바닥부(30)와;
    육각형으로 상부가 밀폐되고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용기 본체(10)의 외측 상단을 수용하는 제1둘레부(41)와 용기 본체(10)의 상단 내측을 수용하는 제2둘레부(42)를 가지며, 상면 중앙으로부터 각 모서리로 이어지는 접이선(43a) 및 접이선 사이의 사이접이선(43b)이 형성되어 오므려지고 펴지는 접이가 이루어지며, 상면 중앙측에는 육각형이 되도록 펼치기 위한 제3끈부재(L3)가 구비되어 용기 본체의 상부에 탈착되는 덮개(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단 내측 모서리에는 걸림돌기(10a)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덮개(40)의 제2둘레부(42) 모서리에는 상기 걸림돌기(10a)를 안내하는 삽입홈(42a)이 형성되어 용기 본체로부터 덮개의 탈착이 이루어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용기.
  2. 삭제
  3. 삭제
KR1020190030868A 2019-03-19 2019-03-19 접이식 용기 KR102133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868A KR102133520B1 (ko) 2019-03-19 2019-03-19 접이식 용기
PCT/KR2020/003356 WO2020189946A1 (ko) 2019-03-19 2020-03-11 접이식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868A KR102133520B1 (ko) 2019-03-19 2019-03-19 접이식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520B1 true KR102133520B1 (ko) 2020-07-14

Family

ID=71526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868A KR102133520B1 (ko) 2019-03-19 2019-03-19 접이식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3520B1 (ko)
WO (1) WO202018994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549Y1 (ko) * 2000-11-06 2001-04-02 최의림 개량형 포장상자
KR20090012294U (ko) * 2008-05-27 2009-12-02 박동용 가방식 과일포장용기
WO2012017938A1 (ja) * 2010-08-05 2012-02-09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85091A (ja) * 2016-04-07 2017-10-12 藤原産業株式会社 自立型折り畳み式バッ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1634A (ja) * 1999-01-21 2000-08-02 Shiseido Co Ltd 包装用紙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549Y1 (ko) * 2000-11-06 2001-04-02 최의림 개량형 포장상자
KR20090012294U (ko) * 2008-05-27 2009-12-02 박동용 가방식 과일포장용기
WO2012017938A1 (ja) * 2010-08-05 2012-02-09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85091A (ja) * 2016-04-07 2017-10-12 藤原産業株式会社 自立型折り畳み式バッ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9946A1 (ko)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0257B2 (en) Collapsible shape-retaining containers
US10913574B1 (en) Flat lying foldable integrated lid and container
US10384832B2 (en) Flip bottle
US20130075393A1 (en) Collapsible bottle
US8556099B2 (en) Collapsible cup for zero waste applications
CN107949524A (zh) 可重复使用的杯子
CN210842533U (zh) 折叠式纸杯
JP7071759B2 (ja) 内部アクセスを有する分注容器
TW436451B (en) A rigid mouthed bag and the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2005008153A (ja) 合成樹脂製壜体
KR102133520B1 (ko) 접이식 용기
USD525488S1 (en) Condiment kit
US8662336B2 (en) Bag scaffold
US20150282653A1 (en) Beverage Container
KR200490081Y1 (ko) 접이식 종이컵
GB2556618A (en) Collar and cap
US11772853B2 (en) Storage container
JP2014118164A (ja) 容器
TWM573609U (zh) Container with straw function
TWI674866B (zh) 杯蓋結構
CN215400449U (zh) 一种储物瓶
TWM570642U (zh) Deformation structure of the tote bag
KR200442298Y1 (ko) 식품용기
TWM568633U (zh) Environmental protection bag
KR200474056Y1 (ko) 세울 수 있는 접철식 봉투형 종이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