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188Y1 - 이동식 토사 선별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토사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188Y1
KR200218188Y1 KR2020000025219U KR20000025219U KR200218188Y1 KR 200218188 Y1 KR200218188 Y1 KR 200218188Y1 KR 2020000025219 U KR2020000025219 U KR 2020000025219U KR 20000025219 U KR20000025219 U KR 20000025219U KR 200218188 Y1 KR200218188 Y1 KR 2002181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rame
site
frame
waste
re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2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텍
Priority to KR20200000252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1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1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188Y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건축, 재개발현장에서 발생된 폐기물 및 매립폐기물 등에 포함되어 있는 토사를 분리, 선별하기 위하여 현장에 따라 손쉽게 이동 할 수 있는 이동식 토사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하부프레임(F)과 상부프레임(F')을 서포터(1)(1')로 지지시켜 상부프레임(F')의 상부로 바닥면에 고무판(21)이 착설되고 바이브레이터(22)에 의해 작동되는 진동식호퍼(2)를 장착시키고 상부프레임(F')의 전단측으로 운송차량(도시없음)과 연결시킬 수 있는 앵커(3)를 형성하고 진동식 호퍼(2)의 후단으로 착탈식 고무망(41)으로 형성된 원심분리기(4)를 장착시키며 원심분리기(4)의 측하단으로 절첩식 토사이송 컨베이어(7)를 장착시키고 상,하프레임(F)(F')의 양측면 전,후에 아웃트 리거(5)(5')를 착설시키며 후단에는 구동용(이동시) 승하강식 대차(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토사 선별기.

Description

이동식 토사 선별기{Removable type earth and sand separator}
본 고안은 재건축,재개발현장에서 발생된 폐기물 및 매립폐기물 등에 포함되어 있는 토사를 분리,선별하기 위하여 현장에 따라 손쉽게 이동 할 수 있는 이동식 토사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상부로 진동식호퍼와 착탈식 고무망으로 형성된 원심분리기를 장착시키고 프레임 양측면 전,후에 아웃트 리거를 착설시켜 후단에 설치된 구동용 대차의 승하강시에 활용할 수 있게 하여 폐기물 및 매립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한 선별작업시 토사와 폐기물을 원활하게 선별시킬 뿐만 아니라 현장에 따라 손쉽게 이동시키면서도 토사선별기의 사용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건축 또는 재개발에 의한 기존 건축을 철거할 때 발생되는 폐기물은 콘크리트,토사,폐목재,아스팔트,암석,합성수지,지류 및 비닐류 등의 다양한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어 그 종류가 다양하며 선별작업을 통하여 신축현장에 직접 사용이 가능한 골재도 있고 분리하여 재가공시켜 활용 할 수 있는 자원도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재건축 현장에서 철거시에 발생되는 콘크리트,토사,철근등이 포함된 폐기물을 매립처리장으로 이송시켜 폐기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인한 매립지의 확보문제와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등의 환경보호운동에 역행하고 있으며 분리 선별을 통한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도 선별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모든 폐기물을 매립 처리하므로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재건축 현장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분리,선별시키기 위하여 첫 번째 단계로서 철거된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가 가장 작은 토사를 선별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폐기물의 종류별로 선별 및 분리가 가능한 다음공정의 작업을 가능케 한 것이다.
상기한 이동식 토사 선별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상부로 폐기물을 투입할 때 일정하고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게 바닥면에 고무판이 착설된 진동식호퍼를 장착시키고 프레임의 전단측으로 운송차량과 연결시킬 수 있는 앵커를 형성하고 진동식 호퍼의 후단으로 착탈식 고무망으로 형성된 원심분리기를 장착시켜 고무망을 손쉽게 교체 할 수 있게 하고 원심분리기의 외부에는 고압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먼지의 비산을 방지시키고 습기가 함유된 폐기물의 토사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심분리기 외부에 톱니가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토사 감시창을 설치하여 운전중의 토사의 고착상태를 확인 할 수 있게 하였으며 프레임 양측면 전,후에 아웃트 리거를 착설시켜 후단에 설치된 구동용(이동시) 대차의 승하강시에 지지시켜 활용할 수 있게 하여 폐기물 및 매립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한 선별작업시 토사와 폐기물을 원활하게 선별시킬 뿐만 아니라 현장에 따라 손쉽게 이동시키면서도 토사선별기의 사용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한 선별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전체구조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이동준비시 전체구조도
도 3 은 본 고안의 토사이송 컨베이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구조도
도 4 는 본 고안의 작업상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서포터 (2) 진동식 호퍼
(3) 앵커 (4) 원심분리기
(5)(5') 아웃트 리거 (6) 승하강식 대차
(7) 토사이송 컨베이어 (8)(8') 토사 고착방지용 톱니
(9)(9') 토사 감시창 (21) 고무판
(22) 바이브레이터 (41) 고무망
(F) 하부프레임 (F') 상부프레임
이하 고안의 요지를 첨부된 도면에 연계시켜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의 전체구조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이동준비시 전체구조도,
도 3 은 본 고안의 토사이송 컨베이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구조도,
도 4 는 본 고안의 작업상태의 평면도이다.
하부프레임(F)과 상부프레임(F')을 서포터(1)(1')로 지지시켜 상부프레임(F')의 상부로 바닥면에 고무판(21)이 착설되고 바이브레이터(22)에 의해 작동되는 진동식호퍼(2)를 장착시키고 상부프레임(F')의 전단측으로 운송차량(도시없음)과 연결시킬 수 있는 앵커(3)를 형성하고 진동식 호퍼(2)의 후단으로 착탈식 고무망(41)으로 형성된 원심분리기(4)를 장착시키며 원심분리기(4)의 측하단으로 절첩식 토사이송 컨베이어(7)를 장착시키고 상,하프레임(F)(F')의 양측면 전,후에 아웃트 리거(5)(5')를 착설시키며 후단에는 구동용(이동시) 승하강식 대차(6)를 설치한 구조이다.
상기한 원심분리기(4)의 외부에는 고압 분사노즐(도시없음)를 설치 할 수 있고 토사 고착 방지용 톱니(8)(8')와 토사 감시창(9)(9')을 설치하여 운전중에 토사의 고착을 감시 할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재건축 현장에서 발생되는 철거 폐기물 중에 토사를 선별하기 위하여 상부프레임(F')의 전단부에 설치된 앵커(3)를 운송차량의 후미에 연결시키고 측면 토사이송 컨베이어(7)를 접은상태에서 이송용 승하강식 대차(6)에 의하여 재건축 현장으로 이동시킨다.
운송차량에 연결이동시와 현장설치시에는 상,하부프레임(F)(F')의 측면 전후에 설치된 아웃트 리거(5)(5')를 하강시켜 하부프레임(F)의 저면을 지상으로부터 상승시킨 후 승하강식 대차(6)를 하강작동시켜 지면에 접지시키고 앵커(3)를 운송차량에 연결시킨 후 아웃트 리거(5)(5')를 상승시켜 대차(6)로 이동하고 이때 토사이송 컨베이어(7)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부로 접은 상태이다.
현장에서 선별기를 설치시에도 아웃트 리거(5)(5')를 하강시켜서 지면에 지지시킨 후 앵커(3)를 운송차량으로부터 해제시키고 승하강식 대차(6)를 상승시키고 아웃트 리거(5)(5')를 순차적으로 상승시켜서 하부프레임(F)이 지면에 접지되게하여 선별기가 지면에 안정된 상태로 설치되면 원심분리기(4)의 측하단 즉 하부프레임(F)과 상부프레임(F') 사이에 토사이송 컨베이어(7)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강시켜 선별기의 측면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선별기가 현장에 설치되며 죠 크러셔 또는 임팩트 크러셔로 철거된 폐기물을 일정크기로 파쇄시켜 중장비로 진동식 호퍼(2)에 폐기물을 투입시키면 바닥면의 고무판(21)에 의하여 완충되면서 적재되고 호퍼(2)의 하단에 설치된 바이브레이터(22)가 작동하여 폐기물이 일시에 원심분리기(4)로 투입되어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폐기물을 일정하고 원활하게 원심분리기(4)로 투입시키며 원심분리기(4)의 회전작동으로 착탈식 고무망(41)으로 선별된 토사는 하단의 토사이송 컨베이어(7)에 의하여 선별분리시키고 원심분리기(4)를 통과한 폐기물은 다음공정 작업장치에 의하여 선별시켜 재활용 골재로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의 선별기 원심분리기(4)의 외부에 장착된 고무망(41)은 재질이 고무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손쉽게 교체 할 수 있고,원심분리기(4)의 외부에는 고압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작업시 발생되는 비산먼지를 제거시킬 수 있으며, 습기 또는 침수된 폐기물을 선별시에는 원심분리기(4)의 고무망(41)에 토사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톱니(8)(8')가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토사 감시창(9)(9')을 설치하여 원심분리기(4)의 운전중에 토사의 고착상태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대처할 수 있게 하여 편리하게 토사를 선별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재건축시 발생되는 철거폐기물 및 매립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한 선별작업시 토사와 폐기물을 원활하게 선별시킬 뿐만 아니라 호퍼,원심분리기 및 컨베이어가 단위장치로 형성되어 있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또한 현장에 따라 승하강식 대차를 이용하여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현장대처능력이 우수하여 작업공수를 절감시킬 수 있고 토사선별기의 사용시 접지면을 확보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하부프레임(F)과 상부프레임(F')을 서포터(1)(1')로 지지시켜 상부프레임(F')의 상부로 바닥면에 고무판(21)이 착설되고 바이브레이터(22)에 의해 작동되는 진동식호퍼(2)를 장착시키고 상부프레임(F')의 전단측으로 운송차량(도시없음)과 연결시킬 수 있는 앵커(3)를 형성하고 진동식 호퍼(2)의 후단으로 착탈식 고무망(41)으로 형성된 원심분리기(4)를 장착시키며 원심분리기(4)의 측하단으로 절첩식 토사이송 컨베이어(7)를 장착시키고 상,하프레임(F)(F')의 양측면 전,후에 아웃트 리거(5)(5')를 착설시키며 후단에는 구동용(이동시) 승하강식 대차(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토사 선별기.
KR2020000025219U 2000-09-05 2000-09-05 이동식 토사 선별기 KR2002181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219U KR200218188Y1 (ko) 2000-09-05 2000-09-05 이동식 토사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219U KR200218188Y1 (ko) 2000-09-05 2000-09-05 이동식 토사 선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188Y1 true KR200218188Y1 (ko) 2001-03-15

Family

ID=73088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219U KR200218188Y1 (ko) 2000-09-05 2000-09-05 이동식 토사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1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696B1 (ko) * 2016-02-22 2016-10-21 (주)수프로 식생기반 물리성 개량장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696B1 (ko) * 2016-02-22 2016-10-21 (주)수프로 식생기반 물리성 개량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582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분리장치
KR100873954B1 (ko) 매립 폐기물 및 건축 폐기물 분쇄 분리 처리장치
KR100981949B1 (ko) 폐토사의 재생장치
KR100587023B1 (ko) 파쇄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100467420B1 (ko) 건설 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장치
KR200218188Y1 (ko) 이동식 토사 선별기
KR100660142B1 (ko)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43540B1 (ko)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
KR100506369B1 (ko)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
KR20030063758A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356719B1 (ko) 폐기물의 현장처리 방법과 그 장치
KR200194531Y1 (ko) 폐기물의 현장처리 장치
KR100458183B1 (ko) 재건축 폐기물의 현장처리 방법과 그 장치
KR100494579B1 (ko) 폐기물선별장치
KR100514605B1 (ko) 건설폐기물 및 매립폐기물용 토사 선별장치
KR102055552B1 (ko) 건설폐기물 선별방법
KR102071876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비산방지수단 설치방법
KR100453933B1 (ko)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 컨베이어 장치
KR200255270Y1 (ko) 폐기물 선별장치
KR102437557B1 (ko)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
KR100313346B1 (ko) 재건축 폐기물의 현장처리 방법과 그 장치
KR200275784Y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200204210Y1 (ko) 폐 골재를 재생하기 위한 분리장치
KR100467419B1 (ko) 폐기물의 고도 처리방법
CN211070758U (zh) 一种环保型移动式建筑垃圾土地修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