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557B1 -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557B1
KR102437557B1 KR1020220053045A KR20220053045A KR102437557B1 KR 102437557 B1 KR102437557 B1 KR 102437557B1 KR 1020220053045 A KR1020220053045 A KR 1020220053045A KR 20220053045 A KR20220053045 A KR 20220053045A KR 102437557 B1 KR102437557 B1 KR 102437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unit
foreign material
sorting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일섭
엄명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리텍
Priority to KR1020220053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7Apparatus in which aggregates or articles are moved along or past openings which increase in siz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 B07B13/072Apparatus in which aggregates or articles are moved along or past openings which increase in siz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the openings being rollers with a divergent axis and the material moving substantially along the rollers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마운팅프레임부; 마운팅프레임부의 상부에 구성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 진동발생부에 구성되고 진동을 전달받는 진동전달부; 및 진동전달부의 상측에 경사지게 구성되고 진동전달부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을 통하여 상단부로 투입된 재생골재가 하단부로 이동시 소정 크기 이하의 재생골재는 진동전달부의 하측으로 집중 낙하되게 하고 이물질은 하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진동데크부를 포함하는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Foreign body separating apparatus for recycle gravel}
본 발명은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또는 토목 구조물의 철거시 발생되는 건설폐기물 중 재생골재를 추출하는 과정에서 건설폐기물에 혼합된 이물질을 선별하여 재생골재의 재생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 및 산업화의 진행 과정에서 생겨난 많은 구조물 즉, 교량이나 도로 및 각종 건축물들은 세월이 지남에 따라 점차 노후화되어 가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주거문화의 개선을 위해 많은 지역에서 재건축 및 재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노후 구조물의 해체나 재건축 및 재개발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많은 건설폐기물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건설폐기물을 그대로 매립할 경우에는 매립지의 확보가 힘들 뿐 아니라 매립비용이 많이 들며, 환경에도 막대한 영향을 주게 됨으로 자연환경의 보호와 함께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2가지 측면에서 건설폐기물을 재활용 처리하기 위한 갖가지 대책들이 강구되어 왔으며, 국내에서도 건설폐기물에 대한 여러 가지 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친환경적 측면 및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건설 및 건축 구조물의 해체시에 발생하는 건설폐기물은 매립되지 않고 소정의 장소로 수집된 후 파쇄공정, 이물질 선별공정, 재생골재와 모르타르 선별공정 및 재생골재 표면에 부착된 모르타르 박리공정 등 일련의 중간처리과정을 통해 양질의 자원으로 생산되고 있다.
한편, 건설폐기물은 폐목재류를 비롯하여, 스티로폼 등의 폐 합성수지류, 철근과 같은 금속류, 폐 종이류, 시멘트 강화제로 사용되는 폐 섬유류 등이 포함되는 혼합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다양한 불순물이 혼재되어 있는 건설폐기물은 처리과정을 통해서 소각용 및 재생용으로 분리하게 된다.
여기서, 대부분의 재생골재를 얻기 위한 이물질 선별과정에서 습식이나 건식 재생골재 생산설비는 통상 죠 크라셔에 의해 건설폐기물을 파쇄시켜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쇠붙이 철편 분리기인 자력선별기를 거치면서 철근과 같은 금속물질을 분리시키는 한편, 진동스크린에 의해 일부 토사 및 이물질을 분리시킨 다음, 진동스크린에서 바로 낙하시키는 과정에서 진동스크린의 일측에 설치된 송풍기에 의해 일부 가벼운 쓰레기들을 분리시키는 구조를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진동스크린과 같은 종래의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는, 경사형 또는 판형의 진동스크린이 다단 구조로 구성되고 건설폐기물들이 진동스크린을 따라 하강하면서 이물질이 선별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때, 1차 진동스크린은 통상 복수개의 롤러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 구성되어 롤러들 사이의 공간으로 이물질보다 작은 크기의 재생골재가 낙하되면서 선별되도록 하고, 2차 진동스크린은 고정된 크기의 선별공을 제공하는 타공판으로 구성되어 선별공으로 이물질보다 작은 크기의 재생골재가 낙하되면서 선별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종래의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는, 1차 진동스크린의 롤러들 사이의 공간이 가변될 수 없어 상기 공간 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재생골재는 1차 진동스크린의 롤러들 사이의 공간에 끼어 빠지지 않게 되고 끼임 현상이 누적됨에 따라 지속적인 이물질 선별이 방해되어 2차 진동스크린으로 낙하되지 않고 롤러들 사이에 끼어 있다가 이물질과 함께 이물질 적재 공간으로 이송되어 선별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등록특허 10-0968793
(특허문헌 0002) 등록특허 10-1284933
(특허문헌 0003) 등록특허 10-0838259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단 구조의 진동스크린 중 1차 진동스크린이 복수개의 롤러들 사이의 간격이 재생골재의 크기에 따라 설정 간격에서 최대 간격까지 가변되는 진동데크의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재생골재의 크기가 롤러들 사이의 설정 간격과 최대 간격 사이에 해당되는 경우 롤러 사이의 영구적 끼임을 방지하고 모두 선별되도록 하여 선별 효과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데크의 복수개의 롤러들이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하여 롤러들 사이의 공간에 재생골재가 쉽게 끼워져 롤러들 사이의 간격이 쉽게 벌어지도록 하여 이물질의 선별 효과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운팅프레임부; 마운팅프레임부의 상부에 구성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 진동발생부에 구성되고 진동을 전달받는 진동전달부; 및 진동전달부의 상측에 경사지게 구성되고 진동전달부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을 통하여 상단부로 투입된 재생골재가 하단부로 이동시 소정 크기 이하의 재생골재는 진동전달부의 하측으로 집중 낙하되게 하고 이물질은 하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진동데크부를 포함하는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진동데크부는, 진동전달부의 한 쌍의 진동전달패널 상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연속 구성되고 타원 형상의 간격조절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브라켓과; 진동전달패널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샤프트를 통해 진동전달패널 사이에 구성된 브라켓의 간격조절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선별용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별용 롤러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는, 진동전달부의 하측에 경사를 따라 구성되고 진동전달부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을 통하여 진동데크부로부터 낙하된 재생골재와 이물질이 하단부로 이동시 소정 크기 이하의 재생골재는 진동전달부의 하측으로 집중 낙하되게 하고 이물질은 하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진동스크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다단 구조의 진동스크린 중 1차 진동스크린의 복수개의 롤러들 사이의 간격이 재생골재의 크기에 따라 설정 간격에서 최대 간격까지 가변되도록 하여 재생골재의 크기가 롤러들 사이의 설정 간격과 최대 간격 사이에 해당되는 경우 롤러 사이의 영구적 끼임을 방지하고 모두 선별되도록 하여 선별 효과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1차 진동스크린의 복수개의 롤러들이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하여 롤러들 사이의 공간에 재생골재가 쉽게 끼워져 롤러들 사이의 간격이 쉽게 벌어지도록 하여 이물질의 선별 효과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와 측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에 있어서 진동데크부의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
도 6과 도 7은 도 1의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에 있어서 진동데크부를 통해 소정 크기 이하의 재생골재가 선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8 내지 도 10은 도 1의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에 있어서 진동데크부를 통해 소정 크기 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재생골재가 선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는, 마운팅프레임부(110), 마운팅프레임부(110)의 상부에 구성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120), 진동발생부(120)에 경사를 가지면서 구성되고 진동을 전달받는 진동전달부(130), 진동전달부(130)의 상측에 경사를 따라 구성되고 진동전달부(130)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을 통하여 상단부로 투입된 재생골재(1)가 하단부로 이동시 소정 크기 이하의 재생골재(1)는 진동전달부(130)의 하측으로 집중 낙하되게 하고 이물질(2)은 하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진동데크부(140) 및 진동전달부(130)의 하측에 경사를 따라 구성되고 진동전달부(130)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을 통하여 진동데크부(140)로부터 낙하된 재생골재(1)와 이물질(2)이 하단부로 이동시 소정 크기 이하의 재생골재(1)는 진동전달부(130)의 하측으로 집중 낙하되게 하고 이물질(2)은 하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진동스크린부(150) 등을 포함한다.
마운팅프레임부(110)는, 상기 구성부들이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수단으로서, 공지의 지지프레임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진동발생부(120)는, 마운팅프레임부(110)의 상부에 구성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수단으로서, 지지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소정 간격과 높이를 가지면서 설치되어 진동전달부(130)의 일단부가 진동 전달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상부진동수단(121), 프레임의 상부 타측에 소정 간격과 상부진동수단(121)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면서 설치되어 진동전달부(130)의 타단부가 진동 전달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하부진동수단(122) 및 진동전달부(130)의 중간부에 위치되고 진동을 발생시켜 상부진동수단(121)과 하부진동수단(122)이 진동되도록 하는 진동모터(123)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진동수단(121)과 하부진동수단(122)은,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24)의 상측에 진동스프링(125)의 하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진동스프링(125)의 상단에 진동전달부(130)의 일단부나 타단부가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다.
진동전달부(130)는, 진동발생부(120)에 경사를 가지면서 구성되어 진동을 전달받는 진동전달수단으로서, 상부진동수단(121)과 하부진동수단(122)의 진동스프링(125) 상단에 양단이 각각 경사를 가지면서 고정되고 중간에 진동모터(123)가 고정되는 한 쌍의 진동전달패널(131)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진동전달부(130)는, 한 쌍의 진동전달패널(131)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결시키는 연결프레임(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진동발생부(120)와 진동전달부(130)에 의하면, 진동모터(123)로부터 발생된 진동에 의해 한 쌍의 진동전달패널(131)이 상부진동수단(121)과 하부진동수단(122) 및 진동스프링(125)을 이용하여 진동되도록 할 수 있다.
진동데크부(140)는, 재생골재(1)에 포함된 이물질(2)이 1차로 선별되도록 하는 선별수단으로서, 한 쌍의 진동전달패널(131) 상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연속 구성되고 타원 형상의 간격조절공(141)이 형성된 복수개의 간격조절용 브라켓(142)과, 한 쌍의 진동전달패널(131) 사이에 대응되는 길이와 다각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샤프트(143)를 통해 진동전달패널(131) 사이에 구성된 브라켓(142)의 간격조절공(1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물질(2)은 진동전달패널(131)의 타단부로 이동되도록 하고 소정 크기를 가지는 재생골재(1)는 진동스크린부(150)로 낙하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선별용 롤러(144)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선별용 롤러(144)들은 경사를 가지는 브라켓(142)의 간격조절공(141)에 결합됨에 따라 간격조절공(141)의 하측부(141a)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선별용 롤러(144)들의 설정 간격에 따른 공간의 고정크기(S1)에 대응된 크기 이하의 재생골재(1)만이 진동스크린부(150)로 낙하되되어 이물질(2)의 선별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크기(S1)에 대응된 크기 보다 큰 크기의 재생골재(1)가 설정 간격으로 이격된 선별용 롤러(144)들 사이에 끼워지는 경우 상대적으로 상측부에 위치된 선별용 롤러(144)가 간격조절공(141)의 상측부(141a)로 위치가 가변되고, 이에, 선별용 롤러(144)들의 최대 간격까지 가변되는 공간의 가변크기(S2)에 대응된 크기 이하의 재생골재(1)에 해당되는 경우, 재생골재(1)가 상기 고정크기(S1) 보다 크더라도 진동스크린부(150)로 낙하되어 이물질(2)의 선별이 가능해지게 된다.
따라서 진동데크부(140)에 의하면, 복수개의 선별용 롤러(144)들 사이의 간격이 재생골재(1)의 크기에 따라 설정 간격에서 최대 간격까지 가변되도록 하여 재생골재(1)의 크기가 선별용 롤러(144)들 사이의 설정 간격과 최대 간격 사이에 해당되는 경우 선별용 롤러(144)들 사이의 공간에 영구적으로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모두 선별되도록 하여 선별 효과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진동데크부(140)에 의하면, 복수개의 선별용 롤러(144)들이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하여 선별용 롤러(144)들 사이의 공간에 재생골재(1)가 쉽게 끼워져 선별용 롤러(144)들 사이의 간격이 쉽게 벌어지도록 하여 이물질(2)의 선별 효과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진동데크부(140)에 의하면, 선별용 롤러(144)가 간격조절공(141)에 결합되도록 하는 샤프트(143)가 선별용 롤러(144)의 양단면에 중심 이외에, 편심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하여, 재생골재(1)가 끼워지면서 회전시 해당 선별용 롤러(144)가 인접한 선별용 롤러(144)들에 비해 낮은 위치나 높은 위치를 가지는 것을 통하여 선별용 롤러(144)들의 간격이 보다 다양하고 입체적으로 가변되도록 하여 재생골재(1)의 낙하가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진동스크린부(150)는, 진동데크부(140)로부터 낙하된 재생골재(1)에 포함된 이물질(2)이 2차로 선별되도록 하는 선별수단으로서, 한 쌍의 진동전달패널(131) 하측에 구성되고 소정 크기의 선별공을 가지는 스크린(151)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스크린(151)은, 타공판, 크림프망, 메쉬스크린 및 자립망 등과 같은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진동스크린부(150)에 의하면, 진동전달부(130)의 하측에 경사를 따라 구성되어 진동데크부(140)로부터 낙하된 재생골재(1)와 이물질(2)이 하단부로 이동시 소정 크기 이하의 재생골재(1)는 진동전달부(130)의 하측으로 집중 낙하되게 하고 이물질(2)은 하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진동모터(123)가 구동되어 진동모터(123)로부터 발생된 진동에 의해 한 쌍의 진동전달패널(131)이 상부진동수단(121)과 하부진동수단(122) 및 진동스프링(125)을 이용하여 진동데크부(140)와 진동스크린부(150)가 진동된다.
이후,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컨베이어벨트 등을 통해 진동데크부(140)의 상단부에 이물질(2)이 포함된 재생골재(1)가 투입되면, 브라켓(142)의 간격조절공(141) 하측부(141a)에 위치된 복수개의 선별용 롤러(144)들 사이의 설정 간격에 따라 제공되는 공간 즉, 고정크기(S1) 보다 작은 크기의 재생골재(1)들은 진동스크린부(150)로 낙하되고 이물질(2)들은 진동데크부(140)의 하단부를 통해 외부 이물질 적재공간으로 배출된다.
이때, 고정크기(S1) 보다 큰 크기의 재생골재(1)가 선별용 롤러(144)들 사이의 설정 간격에 따라 제공되는 공간에 끼워지게 되면, 인접한 한 쌍의 선별용 롤러(144) 중 상대적으로 상측부에 위치된 선별용 롤러(144)가 브라켓(142)의 간격조절공(141) 상측부(141b)로 이동되고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된 선별용 롤러(144)가 브라켓(142)의 간격조절공(141) 하측부(141a)에 위치됨에 따라, 한 쌍의 선별용 롤러(144) 사이의 간격이 설정 간격 보다 넓어짐에 따라 선별용 롤러(144)들의 최대 간격에 대응되는 공간 즉, 가변크기(S2) 보다 작은 크기의 재생골재(1)들은 진동스크린부(150)로 낙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선별용 롤러(144)들이 다각형의 단면을 가짐에 따라, 선별용 롤러(144)들 사이의 공간에 재생골재(1)가 쉽게 끼워져 선별용 롤러(144)들 사이의 간격이 쉽게 벌어지게 되어 재생골재(1)가 진동스크린부(150)로 쉽게 낙하될 수 있다.
이후, 진동스크린부(150)로 낙하된 재생골재(1)와 이에 포함된 이물질(2)은 소정 크기의 선별공을 가지는 스크린(151)을 따라 하단부로 이동되면서 선별공의 크기 이하의 재생골재(1)는 진동전달부(130)의 하측으로 낙하고 이물질(2)은 하단부를 통해 외부 이물질 적재공간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데크부(140)의 복수개의 선별용 롤러(144)들 사이의 간격이 재생골재(1)의 크기에 따라 설정 간격에서 최대 간격까지 가변되도록 하여 재생골재(1)의 크기가 선별용 롤러(144)들 사이의 설정 간격과 최대 간격 사이에 해당되는 경우 선별용 롤러(144)들 사이의 공간에 영구적으로 끼이는 것을 방지하고 모두 선별되도록 하여 선별 효과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선별용 롤러(144)들이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하여 선별용 롤러(144)들 사이의 공간에 재생골재(1)가 쉽게 끼워져 선별용 롤러(144)들 사이의 간격이 쉽게 벌어지도록 하여 이물질(2)의 선별 효과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마운팅프레임부(110); 마운팅프레임부(110)의 상부에 구성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부(120); 진동발생부(120)에 구성되고 진동을 전달받는 진동전달부(130); 및 진동전달부(130)의 상측에 경사지게 구성되고 진동전달부(130)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을 통하여 상단부로 투입된 재생골재(1)가 하단부로 이동시 소정 크기 이하의 재생골재(1)는 진동전달부(130)의 하측으로 집중 낙하되게 하고 이물질(2)은 하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진동데크부(140)를 포함하는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에 있어서,
    진동데크부(140)는,
    진동전달부(130)의 한 쌍의 진동전달패널(131) 상측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연속 구성되고 타원 형상의 간격조절공(141)이 형성된 복수개의 브라켓(142)과; 진동전달패널(131)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샤프트(143)를 통해 진동전달패널(131) 사이에 구성된 브라켓(142)의 간격조절공(1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선별용 롤러(144)를 포함하고,
    선별용 롤러(144)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진동발생부(120)는,
    마운팅프레임부(110)의 상부 일측에 소정 간격과 높이를 가지면서 설치되어 진동전달부(130)의 일단부가 진동 전달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상부진동수단(121); 마운팅프레임부(110)의 상부 타측에 소정 간격과 상부진동수단(121)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면서 설치되어 진동전달부(130)의 타단부가 진동 전달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하부진동수단(122); 및 진동전달부(130)의 중간부에 위치되고 진동을 발생시켜 상부진동수단(121)과 하부진동수단(122)이 진동되도록 하는 진동모터(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부진동수단(121)과 하부진동수단(122)은,
    마운팅프레임부(110)의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24)의 상측에 진동스프링(125)의 하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진동스프링(125)의 상단에 진동전달부(130)의 일단부나 타단부가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진동전달부(130)는,
    상부진동수단(121)과 하부진동수단(122)의 진동스프링(125) 상단에 양단이 각각 경사를 가지면서 고정되고 중간에 진동모터(123)가 고정되는 한 쌍의 진동전달패널(1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진동전달부(130)의 하측에 경사지게 구성되고 진동전달부(130)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을 통하여 진동데크부(140)로부터 낙하된 재생골재(1)와 이물질(2)이 하단부로 이동시 소정 크기 이하의 재생골재(1)는 진동전달부(130)의 하측으로 집중 낙하되게 하고 이물질(2)은 하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진동스크린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
KR1020220053045A 2022-04-28 2022-04-28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 KR102437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045A KR102437557B1 (ko) 2022-04-28 2022-04-28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045A KR102437557B1 (ko) 2022-04-28 2022-04-28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7557B1 true KR102437557B1 (ko) 2022-08-29

Family

ID=8311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045A KR102437557B1 (ko) 2022-04-28 2022-04-28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55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390Y1 (ko) * 2005-09-08 2005-12-09 백승환 그리즈리스크린이 장착된 골재선별기
KR100838259B1 (ko) 2008-02-05 2008-06-17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골재용 진동 선별기
KR100968793B1 (ko) 2010-03-25 2010-07-08 동해기계공업(주) 이물질처리 및 집진 기능을 갖는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1284933B1 (ko) 2011-07-29 2013-07-10 안두혁 골재용 진동 선별기
KR20200076166A (ko) * 2018-12-19 2020-06-29 허정규 선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390Y1 (ko) * 2005-09-08 2005-12-09 백승환 그리즈리스크린이 장착된 골재선별기
KR100838259B1 (ko) 2008-02-05 2008-06-17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골재용 진동 선별기
KR100968793B1 (ko) 2010-03-25 2010-07-08 동해기계공업(주) 이물질처리 및 집진 기능을 갖는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1284933B1 (ko) 2011-07-29 2013-07-10 안두혁 골재용 진동 선별기
KR20200076166A (ko) * 2018-12-19 2020-06-29 허정규 선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417B1 (ko) 선별장치용 진동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골재선별장치
KR102443540B1 (ko)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
KR102164244B1 (ko) 원석의 선택적 파쇄와 필터링이 가능한 크러싱 시스템
KR101474357B1 (ko) 트롬멜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시스템
KR100374162B1 (ko) 매립쓰레기 선별장치
KR102437557B1 (ko)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
KR100759987B1 (ko) 재생 골재의 목재 선별장치
KR100436545B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978087B1 (ko) 진동스크린을 이용한 이물질과 잔골재 분리장치
KR102582107B1 (ko)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
KR100453933B1 (ko)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 컨베이어 장치
CN115945495A (zh) 一种建筑垃圾再生骨料生产混凝土的制备方法
KR200194531Y1 (ko) 폐기물의 현장처리 장치
KR100356719B1 (ko) 폐기물의 현장처리 방법과 그 장치
KR200284249Y1 (ko)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 컨베이어 장치
JP2917788B2 (ja) 廃棄物の分離回収方法とその設備
KR200275784Y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1633419B1 (ko) 가변진동발생기를 이용한 골재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골재생산방법
KR100518918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1489362B1 (ko) 5mm 이하의 부순 모래를 효율적으로 선별하기 위한 체 거름망(sieve) 및 그 이용방법
KR101606907B1 (ko) 부순 모래를 효율적으로 선별하기 위한 체 거름망(sieve) 및 그 이용방법
KR102422283B1 (ko) 골재 선별장치
KR20190071882A (ko) 건축폐기물 처리장치
CN216500628U (zh) 一种基粗细骨料一体分选设备
KR102492427B1 (ko) 회전 케이지 타입을 가지는 재생골재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