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8006Y1 - 도어록의 자동 잠금 및 해제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의 자동 잠금 및 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8006Y1
KR200218006Y1 KR2020000028269U KR20000028269U KR200218006Y1 KR 200218006 Y1 KR200218006 Y1 KR 200218006Y1 KR 2020000028269 U KR2020000028269 U KR 2020000028269U KR 20000028269 U KR20000028269 U KR 20000028269U KR 200218006 Y1 KR200218006 Y1 KR 2002180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nk
dead bolt
bolt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현
Original Assignee
최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현 filed Critical 최용현
Priority to KR2020000028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80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80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8006Y1/ko

Link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택현관 또는 사무실용 도어에 구비된 도어록(1)의 자동잠금 및 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도어록(1)은 실내에 구비된 손잡이(HD)를 돌리면 일차적으로 회동하며 외주연에 형성된 돌출턱(111)에 의해 제 2링크(231)가 작동하며 제 1링크(420)를 터치하여 데드볼트(200)의 제 1링크홀(221)로 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중간캠(110)과, 상기 중간캠(111)의 양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링크(420)로 부터 분리된 데드볼트(200)를 소정의 각도(θ)로 시차를 두고 연동하여 외주연에 형성된 제 1회동아암(121)으로 후퇴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회동아암(121)의 일측에 형성된 제 1평기어(122)와 치합된 제 2평기어(131)와 일체로 형성된 제 2회동아암(130)이 프리볼트(300)를 후퇴시켜 도어가 용이하게 열리도록 하는 측면캠(120)으로 이루어진 캠 조립체(100)와;
상기 제 1링크(420)에 의해 잠김 또는 해제 동작이 제어되는 데드볼트(200)와;
상기 도어를 닫기 위해 손잡이(HD)를 놓으면 후단에 구비된 제 2스프링(SP2)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도어록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되는 헤드(310)와, 상기 헤드(310)에 구비된 헤드레버(311)가 도어문틀에 접촉하면 작동하는 택트스위치(312)와, 상기 택트스위치(312)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솔레노이드(400)에 전달하도록 하는 프리볼트(300)와;
상기 택트스위치(312)에서 전달된 전기적신호에 의해 전, 후로 작동되는 실린더(410)와, 상기 실린더(410)의 작동에 의해 제 1링크(420)를 터치하면, 상기 제 1링크(420)에 구속된 데드볼트(200)를 해제하여 후단에 구비된 제 1스프링(SP1)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며 도어가 자동으로 잠기도록 하는 솔레노이드(40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실외에서는 데드볼트에 의해 자동으로 잠기므로 도어를 잠그지 않아도 되므로 외출이 자유롭도록 함과 동시에 도난에 대한 보안을 유지하도록 한 효과가 있고, 실내에서는 상기 도어록 내부에 구비된 캠 조립체에 의해서 데드볼트와 프리볼트를 동시에 작동함으로써 별도의 해제장치 없이도 도어를 열 수 있으므로, 화재시에 외부로의 도피가 용이하여 화재에 의한 인명피해를 예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록의 자동 잠금 및 해제장치{Auto Locking and Release Equipment of DoorLock}
본 고안은 주택이나 아파트의 현관문에 장착되는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더 상세하게는 도어록 내부에 솔레노이드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를 닫을 때, 프리볼트에 구비된 택트스위치에 의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데드볼트가 전진함으로써 자동으로 록킹상태가 되어 실외에서는 열리지 않고, 실내에서는 손잡이를 회동함으로써 내부에 구비된 캠조립체에 의해 상기 프리볼트와 데드볼트가 동시에 후퇴하도록 작동하여 한번에 도어를 열도록 하고, 실외에서 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통상의 열쇠 이외에 지문인식 시스템 또는 카드키를 이용한 전자식 개페장치의 전기적 신호가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달됨으로써, 데드볼트를 구속하고 있는 제 1링크를 해제하여 용이하게 도어가 열리도록 하는 도어록의 자동 잠금 및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드볼트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기도록 하는 잠금장치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가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는 도어록을 도시한 것으로써, 도시한 바에 의하면, 종래의 도어록은 손잡이의 주변에 키박스가 구비되어 외출할 때 상기 키박스에 열쇠를 삽입하여 일일히 도어를 잠그고 상기 손잡이를 2 ~ 3회정도 잠김상태를 확인하고 외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도어록은 사용자가 외출할 때 일일히 상부에 구비된 키박스(Key Box)를 열쇠를 이용해 잠그고 외출해야 함으로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바쁘게 외출할 때 깜빡 잊고 외출할 경우 도어록의 잠금상태를 확인하지 못할 경우 도난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1a에 도시한 것은 일반적으로 아파트 또는 주택의 현관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에 의하면, 하부에는 기본적인 도어록(1)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사용자들의 선택에 의해 장착되는 보조잠금장치(2)가 장착된 것이다.
즉, 도어를 열기 위해서는 상부의 보조잠금장치(2)의 노브(2a)를 뒤로 당긴 후, 레베(2b)를 회동하여 열고, 그 다음에 하부에 구비된 도어록(1)의 잠금쇠(1a)를 회동한 후 도어를 개방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 하부에 구비된 잠금장치를 모두 걸고 생활하는 근래의 생활형태에 의해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급하게 서두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다수의 동작에 의해 잠금장치를 해제하지도 못하고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Gas) 또는 화염에 의해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외출할 때 일일히 열쇠를 이용해 도어록의 록킹상태를 확인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록킹이 이루어져 외출이 자유롭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록킹이 되는 도어록에 의해 도난의 위험성을 없애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실내의 손잡이를 돌리는 것만으로도 용이하게 도어가 열리도록 하여 화재에 의한 인명피해를 예방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과 도 1a는 종래의 도어록 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 도어록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로써, 도어록의 각 구성이 초기상태로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 도어록의 구성중 데드볼트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투상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도어록의 구성중 프리볼트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투상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캠 조립체의 구성과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도와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 도어록 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도어록 10;케이스
11;커버 12;장착플랜지
100;캠 조립체 110;중간캠
111;돌출턱 112;제 1사각홀
120;측면캠 121;제 1회동아암
122;제 1평기어 123;제 2사각홀
130;제 2회동아암 131;제 2회동아암
200;데드볼트 210;록커
220;록커브라켓 221,222;제 1, 2링크홀
230;몸체 231;제 2링크
300;프리볼트 310;헤드
311;헤드레버 312;택트스위치
SP1,SP2;제 1,2스프링
본 고안은 주택현관 또는 사무실용 도어에 구비된 도어록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도어록은 실내에 구비된 손잡이를 돌리면 일차적으로 회동하며 외주연에 형성된 돌출턱에 의해 제 2링크가 작동하며 제 1링크를 터치하여 데드볼트의 제 1링크홀로 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중간캠과, 상기 중간캠의 양측으로 구비되고, 소정의 각도(θ)를 유지한 채 일정한 시차를 두고 연동하여 상기 제 1링크로 부터 분리된 데드볼트를 외주연에 형성된 제 1회동아암으로 후퇴시키고, 상기 제 1회동아암의 일측에 형성된 제 1평기어와 치합된 제 2평기어와 일체로 형성된 제 2회동아암이 프리볼트를 후퇴시켜 도어가 용이하게 열리도록 하는 측면캠으로 이루어진 캠 조립체와;
상기 2링크에 의해 분리된 제 1링크에 의해 잠김 또는 해제 동작이 제어되는 데드볼트와;
상기 도어를 닫기 의해 손잡이를 놓으면 후단에 구비된 제 2스프링에 의해 복원되어 도어록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는 헤드와, 상기 헤드에 구비된 헤드레버가 도어문틀에 접촉하면 작동하는 택트스위치와, 상기 택트스위치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솔레노이드에 전달하도록 하는 프리볼트와;
상기 택트스위치에서 전달된 전기적신호에 의해 전, 후로 작동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제 1링크를 터치하면, 상기 제 1링크에 구속된 데드볼트를 해제하여 후단에 구비된 제 1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며 도어가 자동으로 잠기도록 하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 도어록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로써, 도어록의 각 구성이 초기상태로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 도어록의 구성중 데드볼트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투상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도어록의 구성중 프리볼트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투상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캠 조립체의 구성과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도와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 도어록 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도어록(1)의 구성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어록(1)은 기본적으로 통상의 금속판으로 후술하는 각 구성을 감싸도록 하는 커버(11)와, 상기 커버(11)의 일측에 장착되어 통상의 여닫이문과 장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장착플랜지(12)가 결합된 케이스(10)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캠 조립체(100)를 중심으로 상부에 구비된 데드볼트(200)(Dead Bolt)와 하부에 구비된 프리볼트(300)(Free Bolt)와 상기 캠 조립체(100) 일측에 구비되는 솔레노이드(400)(Solenoid)로 대별된다.(손잡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상기 데드볼트(200)는 상기 캠 조립체(100)의 측면에 구비된 제 1회동아암(121)의 회동에 의해 뒤로 후퇴하는 것이고, 상기 제 1회동아암(121)의 일측에 구비된 제 1평기어(122)에 치합된 제 2평기어(131)와 일체로 형성된 제 2회동아암(130)의 회동에 의해 프리볼트(300)가 상술한 바와 같은 직선운동으로 후퇴하여,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데드볼트(200)의 록커(210)와 프리볼트(300)의 헤드(310)가 케이스(10)로 삽입되며 도어(Door)가 오픈되는 것이다.(상기 데드볼트(200)와 프리볼트(300)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캠 조립체(100)의 일측에는 솔레노이드(400)가 구비되어 상술한 데드볼트(200)에 걸려있는 제 1링크(420)를 작동하도록 하여 데드볼트(200)의 잠금과 해제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초기상태는 일측에 상세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링크(420)가 상기 데드볼트(200)에 구비된 멈춤핀(223)을 밀어 올려 실외에서 손잡이(미도시)를 회동하여 도어를 열고자 할 때에는 데드볼트(200)의 몸체(230)가 상기 록커(210)와는 분리되어 제 1회동아암(121)만 작동함으로써, 실외에 구비된 손잡이는 헛돌게 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데드볼트(200)의 선단에는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록커(210)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록커브라켓(220)과 결합하도록 하는 연결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211)와 록커(210)의 중간부에 돌출로 형성된 제 1가이드 핀(21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제 1가이드 핀(212)은 상술한 케이스(10)에 형성된 장공(미도시)을 따라 용이하게 전, 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고, 상기 가이드 핀(212)의 후단으로 제 1 핀홀(2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핀홀(213)의 설명은 후술하는 록커브라켓(220)에서 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부(211)와 결합되는 록커브라켓(220)은 'ㄷ'자 형상으로 절곡성형하여 선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핀(212)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핀 홈(220a)이 형성된다.
상기 핀 홈(220a)의 후단에는 상술한 록커(210)의 제 1핀홀(213)과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핀홀(224)이 형성되어 외측에서 소정 규격의 핀을 삽입하여 록커(210)와 록커브라켓(220)을 일체화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록커브라켓(220)의 상부에는 장공(225)이 형성되어 몸체(230)의 선단에 형성된 제 3핀홀(미도시)에 삽입되는 제 2 가이드 핀(226)이 용이하게 전, 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몸체의 전, 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닫혀있는 도어를 실외에서 손잡이(미도시)를 회동하여 열고자 할 때, 상기 손잡이가 헛돌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멈춤핀(223)이 제 1링크(420)에 의해 상부로 밀어 올려진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몸체만 상술한 장공(225)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230)의 중간부에는 하부로 돌출되고, 그 내부는 중공부가 형성된 핀 시트(240)(Pin Seat)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 시트(240)에는 도 2에서 간략하게 동작설명한 바와 같은 멈춤핀(241)이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스프링(SP)이 구비되어 멈춤핀(241)을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고, 하부에서 제 1링크(420)에 의해 상기 멈춤핀(241)은 상, 하로 이동하며 데드볼트(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핀 시트(240)의 후단으로는 제 2링크(231)가 구비되어 회동은 가능하되, 상부에 구비된 스프링(SP)에 의해 선단이 위로 치켜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SP)의 상부에는 제 1회동아암(미도시)에 의해 뒤로 당겨지도록 하는 제 1푸쉬핀(232)이 구비되고, 상기 제 1푸쉬핀(232)의 후단에는 제 1압축스프링(SP1)이 구비되도록 스프링시트(233)(Spring Seat)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다.
도 4에 도시한 것은 상술한 데드볼트(200)와 동시에 후퇴 동작하여 도어가 용이하게 열리도록 하는 프리볼트(30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프리볼트(300)는 선단에 헤드(310)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310)의 일측은 경사부(310a)가 형성되어 도어가 닫힐 때 문틀(미도시)에 부딪치지 않고 부드럽게 닫히도록 한 것으로써, 상기 경사부(310a)에는 헤드레버(311)(Head Lever)가 구비되어 하부에 구비되는 택트스위치(312)를 상기 문틀에 접촉과 동시에 터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문틀에 접촉할 때 상기 택트스위치(312)가 작동하여 상술한 솔레노이드(400)에 전기적 신호를 보냄으로써 제 1링크(420)의 하단을 실린더(410)로 밀어 상기 데드볼트(200)로 부터 분리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술한 멈춤핀(223)이 하부로 이동하여 상술한 데드볼트(200)의 몸체(230)와 록커브라켓(220)을 일체화하도록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일체화된 데드볼트(200)는 후단에 구비된 제 1스프링(SP1)에 의해 앞으로 전진하며 닫혀진 상태의 도어문틀에 고정되도록 도어록케이스(10)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다.
또한, 후단부에는 상술한 데드볼트(200)와 마찬가지로 스프링시트(320)가 구비되어 제 2스프링(SP2)의 압축력을 용이하게 받도록 하였고, 최후단에는 제 2푸쉬핀(330)이 구비되어 실, 내외에서 작동되는 손잡이에 의해 회동하도록 하는 제 2회동아암(130)에 의해 뒤로 당겨져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도 5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본 고안의 캠 조립체(100)의 구성과 손잡이(HD)와의 결합에 의해 도어를 열기 위해 회동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써, 도시한 손잡이(HD)는 통상의 구형(球型) 손잡이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손잡이(HD)는 대표적인 실시예에 지나지 않을 뿐, 당 업계의 제조기술로서 레버(Lever)형 손잡이등 다양한 형상의 손잡이(HD)를 장착하여 제작이 가능한 것이다.
가)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본 고안의 캠 조립체(100)는 양측으로 구비된 측면캠(120)의 내측으로 큰 규격의 제 2사각홀(1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캠(120)의 사이에 구비된 중심캠(110)에는 상기 제 2사각홀(123)보다는 작게 형성된 제 1사각홀(112)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캠(120)에 형성된 제 2사각홀(123)은 사각이되 소정의 각도(θ), 즉, 15도 정도로 헛 돌도록 형성된 사각형이다.
상기 15도로 각도가 형성된 이유로는 후술하는 손잡이가 회동하는 동작을 할 때 작동순서에 따라 중간캠(110)이 먼저 작동하도록 시차를 두기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즉, 손잡이(HD)를 일시적으로 회동하되 콘넥터(CNT)의 선단부(CNF)와 상기 콘넥터(CNT) 내부에 구비된 사각봉(SQB)의 작동하는 시차를 두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캠(120)의 사이에 구비된 중심캠(110)에 형성된 제 1사각홀(112)은 작게 형성되어 있고, 그 제 1사각홀(112)의 내부에는 실내에 구비된 손잡이(HD)와 연결된 콘넥터(CNT)의 중심에 구비된 사각봉(SQB)이 상기 제 1사각홀(112)의 내측에 걸치도록 삽입이 된다.
상기 사각봉(SQB)이 중심캠(110)의 두께에 반만 걸치도록 구비되는 이유는 후술할 실외 손잡이(HD)의 내부에 구비되는 사각봉(SQB)이 실외에서 열쇠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잠긴 도어를 열도록 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은 중심캠(110)의 외주연에 형성된 돌출턱(111)에 의해 데드볼트(200)를 구속하고 있는 제 1링크(420)를 회동시켜 상기 데드볼트(200)를 해제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실내에서 손잡이를 돌려 도어를 열 때에는 상술한 사각봉(SQB)이 상기 줌심캠(110)을 일차적으로 회동시켜 상술한 바와 같은 돌출턱(111)의 회동에 의해 데드볼트(200)가 해제되며 이차적으로는 상기 15도의 각도(θ)로 일정시차를 두고 내부에서 동시에 회동하는 콘넥터(CNT)의 선단부(CNF)가 따라 돌며 측면캠(120)을 회동시켜 상술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드볼트(200)와 프리볼트(300)를 동시에 작동시켜 뒤로 후진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실외에서 도어를 개방하도록 할 때에는 상기 손잡이(HD)에 전, 후로의 유동 없이 회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된 키이박스(KB)의 일단에 나사결합된 사각봉(SQB)은 상기 키이(Key)의 동작에 의해 회동될 때. 콘넥터(CNT)의 사각홀(미도시)내에 구비된 사각봉(SQB)은 회동되지 않고 나사의 피치(Pitch)만큼 전방으로 전진하며 중심캠(110)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콘넥터(CNT)의 선단부(CNF)는 상술한 바와 같이 15도의 각도(θ) 만큼 다소의 시차를 두고 연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도어의 개,폐는 일측으로만 가능한 것으로써, 타측으로는 걸림쇠(미도시)를 구비하여 회동이 불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6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데드볼트(200)와 프리볼트(300)의 동작에 의해 본 고안 도어록의 자동으로 잠김 또는 해제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이하, 실내에 구비된 손잡이로 여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고, 실외에 구비된 손잡이로 여는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본 고안의 도어록(1)은 일차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손잡이를 일측으로 회동함으로써, 캠 조립체(100)중 중간에 구비된 중간 캠(110)(Middle Cam)이 일차적으로 동작한다.
이때, 일차적으로 회동하는 중간캠(100)의 외주연에 형성된 돌출턱(111)이 상술한 바와 같은 데드볼트(200)의 하부에 구비된 제 2링크(231)의 하단을 밀어 올림으로써, 중앙에 형성된 힌지점(HP)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돌출턱(111)의 반대측에 구비된 수직부(111a)가 제 1링크(420)를 누름으로써, 상기 멈춤 핀(223)을 밀어 올리고 있던 제 1링크(420)를 이탈시켜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것이 상기 1차적인 제 1링크(420)의 해제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은 캠 조립체(100)의 2단 동작에 의해 양측으로 구비된 측면 캠(120)에 형성된 제 1회동아암(121)이 연속적으로 작동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데드볼트(200)의 후단에 구비된 제 1푸쉬 핀(232)을 뒤로 밀어 후퇴시키는 것이다.
또한, 그와 동시에 상기 측면캠(120)의 소정부위에 형성된 제 1평기어(122)에 치합되는 제 2평기어(131)와 일체로 형성된 제 2회동아암(130)이 프리볼트(300)의 후단에 형성된 제 2푸쉬핀(330)을 후퇴시킴으로써 록커(210)와 헤드(310)가 동시에 도어록(1)의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이 되고, 그로 인해 도어가 용이하게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 1링크(420)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록커브라켓(220)의 하측선단에 형성된 제 2링크홀(222)에 상부가 삽입되며 다시 데드볼트(200)를 구속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볼트(300)는 손잡이의 회동을 풀 때, 즉, 도어의 손잡이를 놓게 되면 후단에 구비된 제 2스프링(SP2)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며 도어록(1)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되게 되며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람의 출입이 완료되고 도어를 닫을 때, 상술한 프리볼트(300)의 헤드(310)에 구비된 헤드레버(311)가 도어문틀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헤드레버(311)의 하측에 구비된 택트스위치(312)를 터치하게 되면, 상기 택트스위치(312)로 부터 전기적신호를 받은 솔레노이드(400)가 작동하여 솔레노이드(400) 내부에 구비된 실린더(410)가 전진하며 제 1링크(420)의 하측을 밀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록커브라켓(220) 하측의 제 2링크홀(222)에 삽입되어 있던 제 1링크(420)의 상단은 상기 제 2링크홀(222)로 부터 빠져 나오게 되며 데드볼트(200)의 후단에 구비된 제 1스프링(SP1)의 탄성력에 의해 록커(210)가 상기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되어 도어문틀의 내부에 삽입이 됨으로써 자동으로 잠김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실린더(410)는 그와 동시에 뒤로 후퇴하여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초기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상태로 복원된 본 고안의 도어록(1)은 제 1링크(420)가 상기 제 2링크홀(221)의 후단에 형성된 제 1링크홀(221)에 다시 삽입이 되어 데드볼트(200)의 몸체(230)와 록커브라켓(220)은 멈춤핀(223)이 상부로 밀어 올려지게 됨으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실외에서 열기 위해 손잡이를 돌리게 되면 상기 손잡이는 헛돌게 되는 것이고,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키박스(KB)에 열쇠를 꽂아서 돌려야만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솔레노이드(400)는 헤드레버(311)의 하측에 구비된 택트스위치(312)에 의해서만 작동이 되는 것이 아니고, 외부에서 조작되는 개폐수단, 즉, 통상의 열쇠 이외에 카드 키(Card Key) 또는 지문인식 시스템등의 전자식 개폐장치를 통해 작동이 가능하여 점차 첨단화되어 가고 있는 주거시설에 적합한 잠금장치라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는 통상의 열쇠를 이용하여 도어의 잠긴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통상의 카드키 또는 지문 인식시스템의 전기적신호를 상기 솔레노이드(400)에 전달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즉, 상술한 솔레노이드(400)에 의해 전자장치를 통한 전기적신호에 의해서도 도어의 오픈이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고안의 청구항 기재범위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외출할 때 일일히 열쇠를 이용해 도어록의 록킹상태를 확인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록킹이 이루어져 외출이 자유롭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록킹이 되는 도어록에 의해 도난의 위험성을 없애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할 경우 별도 해제장치의 작동없이 실내의 손잡이를 돌리는 것만으로도 도어가 열리므로 외부로 도피하기가 용이하여 화재에 의한 인명피해를 예방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주택현관 또는 사무실용 도어에 구비된 도어록(1)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1)은 실내에 구비된 손잡이(HD)를 돌리면 일차적으로 회동하며 외주연에 형성된 돌출턱(111)에 의해 제 2링크(231)가 제 1링크(420)를 터치하여 데드볼트(200)의 제 1링크홀(221)로 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중간캠(110)과, 상기 중간캠(111)의 양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링크(420)로 부터 분리된 데드볼트(200)를 소정의 각도(θ)로 시차를 두고 연동하여 외주연에 형성된 제 1회동아암(121)으로 후퇴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회동아암(121)의 일측에 형성된 제 1평기어(122)와 치합된 제 2평기어(131)와 일체로 형성된 제 2회동아암(130)이 프리볼트(300)를 후퇴시켜 도어가 용이하게 열리도록 하는 측면캠(120)으로 이루어진 캠 조립체(100)와;
    상기 제 1링크(420)에 의해 자동으로 잠김 또는 해제 동작이 제어되는 데드볼트(200)와;
    상기 도어를 닫기 위해 손잡이(HD)를 놓으면 후단에 구비된 제 2스프링(SP2)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도어록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되는 헤드(310)와, 상기 헤드(310)에 구비된 헤드레버(311)가 도어문틀에 접촉하면 작동하는 택트스위치(312)와, 상기 택트스위치(312)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솔레노이드(400)에 전달하도록 하는 프리볼트(300)와;
    상기 프리볼트(300)에 구비된 택트스위치(312)에서 전달된 전기적신호에 의해 전, 후로 작동되는 실린더(410)와, 상기 실린더(410)의 작동에 의해 제 1링크(420)의 하단을 터치하면, 상기 제 1링크(420)에 구속된 데드볼트(200)를 해제하여 후단에 구비된 제 1스프링(SP1)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며 도어가 자동으로 잠기도록 하는 솔레노이드(4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자동잠금 및 해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 조립체(100)는 측면캠(120)의 내부에 형성된 제 2사각홀(123)의 각도(θ)에 의해 일정시차를 두고 2단 동작으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자동 잠금 및 해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캠 조립체(100)는 실내에 구비된 손잡이(HD)와 연동하는 콘넥터(CNT)에 구비된 사각봉(SQB)에 의해 1차적으로 중간캠(110)이 회동하여 데드볼트(200)를 해제하고, 2차적으로는 상기 콘넥터(CNT)의 선단부(CNF)와 결합된 측면캠(120)의 제 2사각홀(123)의 각도에 의해 소정의 시차를 두고 회동함으로써, 데드볼트(200)와 프리볼트(300)가 동시에 후퇴하여 도어가 열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자동 잠금 및 해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400)에 전기적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도어록(1)을 개방하는 수단은 열쇠 이외에 카드키, 지문인식시스템중 어느 것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의 자동 잠금 및 해제장치.
KR2020000028269U 2000-10-11 2000-10-11 도어록의 자동 잠금 및 해제장치 KR2002180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269U KR200218006Y1 (ko) 2000-10-11 2000-10-11 도어록의 자동 잠금 및 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269U KR200218006Y1 (ko) 2000-10-11 2000-10-11 도어록의 자동 잠금 및 해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8006Y1 true KR200218006Y1 (ko) 2001-03-15

Family

ID=73058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269U KR200218006Y1 (ko) 2000-10-11 2000-10-11 도어록의 자동 잠금 및 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80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928B1 (ko) * 2002-11-21 2005-05-06 주식회사 바이락 도어잠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928B1 (ko) * 2002-11-21 2005-05-06 주식회사 바이락 도어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8150A (en) Compact electric strike
US7040671B2 (en) Lock assembly with two hook devices
AU2120201A (en) Lock mechanism
US5809812A (en) Security device for electronic locks
WO2008135964A1 (en) Mortise lock with dead bolt release
KR101842834B1 (ko) 폴딩도어 락 잠금장치
KR101771196B1 (ko) 패닉 기능을 구비한 모티스
US20040239125A1 (en) Toolbox rotary latch
KR101990918B1 (ko) 슬라이드형 연동도어 모티스
GB2039983A (en) Automatic deadlock
KR20010071324A (ko) 장붓구멍 자물쇠
EP1054124A2 (en) Exit device
KR200218006Y1 (ko) 도어록의 자동 잠금 및 해제장치
KR101256040B1 (ko) 슬라이딩 도어 핸들
JP4823874B2 (ja) 電気錠
KR100734032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KR100748712B1 (ko) 건물용 출입문개폐장치
KR200407877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JP2007016424A (ja) 両開きドア
JP3636115B2 (ja) ドアロックユニット
JP4231595B2 (ja) 施錠装置
EP0579003A1 (en) Burglar-proof device for a lock with swivel bolt
RU2475614C2 (ru) Врезной замок с зубчатым элементом разблокирования запорного ригеля
JPH0539170Y2 (ko)
JPH024299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