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864Y1 - 향기나는 단추 - Google Patents

향기나는 단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864Y1
KR200216864Y1 KR2020000027687U KR20000027687U KR200216864Y1 KR 200216864 Y1 KR200216864 Y1 KR 200216864Y1 KR 2020000027687 U KR2020000027687 U KR 2020000027687U KR 20000027687 U KR20000027687 U KR 20000027687U KR 200216864 Y1 KR200216864 Y1 KR 2002168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buttons
button
sce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6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헌
Original Assignee
정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헌 filed Critical 정규헌
Priority to KR2020000027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8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8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864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류에 부착되는 단추와 브러지와 같은 장신구 종류에 다양한 향기를 함유하도록 하여 의류 또는 장신구를 사용하는 동안 자신의 취향에 맞는 향기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향기나는 단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신이 원하는 향기를 내기 위해서는 향수를 구입하여 스프레이 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나, 향기가 오래가지 못하고 자주 스프레이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본체(2)의 내부에 향기 보관공간(4)을 형성하여 젤 또는 고체의 향기체(5)를 보관하며, 향기체(5)의 외측으로 향기 배출공(7)이 형성된 덮개(6)를 설치하여 단추 또는 장신구를 사용하는 동안 원하는 향기를 계속해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향기나는 단추{.}
본 고안은 의류에 부착되는 단추와 브러지와 같은 장신구 종류에 다양한 향기를 함유하도록 하여 의류 또는 장신구를 사용하는 동안 자신의 취향에 맞는 향기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향기나는 단추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양한 식물에서 추출되는 향기는 주로 향수로 제조되어 판매되며, 신체의 일부 또는 의류에 적당량을 스프레이 하여 향기를 내도록 한다.
그러나 의류자체에는 향기를 낼 수 있도록 할 수 없으므로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소비자들은 다양한 향기를 통하여 정신치료 또는 마음을 안정시키는 것에 대하여 좋은 반응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단추 또는 브러지와 같은 장신구에 향기를 함유하고 있도록 하여 사용하는 동안 향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단추 또는 브러지와 같은 장신구에 소비자가 원하는 다양한 향기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단추 또는 장신구의 본체에 향기 보관공간을 형성하여 향기체를 보관하고, 향기 배출공이 형성된 덮개를 덮어 보관함으로써 단추 또는 장신구를 사용하는 동안 자신이 선택한 향기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추 2 : 본체
4 : 향기 보관공간 5 : 향기체
6 : 덮개 7 : 향기 배출공
본 고안은 의류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멍(3)이 형성된 단추(1) 또는 브러지와 같은 장신구의 본체(2)에 향기 보관공간(4)을 형성하여 여기에 젤 형태나 고체 형태로 향기체(5)를 향기 보관공간(4)에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향기체(5)가 보관되는 향기 보관공간(4)의 외측에는 향기체(5)의 이탈을 방지하며, 일정한 장소에 있도록 덮개(6)로 덮어 고정한다.
상기 덮개(6)에는 다수의 양기 배출공(7)이 아주 작게 형성되어 있어서 내부에 보관된 향기체(5)의 향기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단추(1)의 경우 향기 보관공간(4)에 소비자가 원하는 향기를 갖는 향기체(5)를 삽입하여 덮개(6)를 덮어 내부에 보관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원하는 향기를 갖는 향기체(5)를 구입하여 의류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미 향기체(5)가 보관되어 있는 경우 소비자가 원하는 향기체로 덮개(6)를 분리한 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브러지와 같은 장신구의 경우에도 향기 보관공간(4)에 소비자가 원하는 향을 내는 향기체(5)를 삽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향기체(5)는 덮개(6)로 보관하는 단추(1) 또는 장신구를 사용하는 경우 향기체(5)가 젤 형태를 갖고 있거나, 고체로 제조되어서 덮개(6)의 향기 배출공(7)을 통하여 향기를 배출하게 되므로 단추(1) 또는 장신구를 사용하는 동안 소비자가 원하는 향기를 맏을 수 있으며, 자신뿐만 아니라 삼자에게도 향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단추 또는 브러지와 같은 장신구에 향기 보관공간을 형성하여 향기체를 넣고 덮개를 덮어 보관함으로써 의류 도는 장신구의 수명이 다하는 동안 소비자가 원하는 향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덮개를 분리하면 젤 또는 고체의 향기체를 안정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원하는 향기로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구멍(3)이 형성된 단추(1) 또는 브러지와 같은 장신구에 있어서, 본체(2)의 내부에 향기 보관공간(4)을 형성하여 젤 또는 고체의 향기체(5)를 보관하며, 향기체(5)의 외측으로 향기 배출공(7)이 형성된 덮개(6)를 설치하여 향기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향기나는 단추.
KR2020000027687U 2000-10-04 2000-10-04 향기나는 단추 KR2002168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687U KR200216864Y1 (ko) 2000-10-04 2000-10-04 향기나는 단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687U KR200216864Y1 (ko) 2000-10-04 2000-10-04 향기나는 단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864Y1 true KR200216864Y1 (ko) 2001-03-15

Family

ID=73058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687U KR200216864Y1 (ko) 2000-10-04 2000-10-04 향기나는 단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8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88277B2 (ja) 芳香剤揮散容器
US11559117B2 (en) Spray and sniff aroma wristband
KR100683530B1 (ko) 방향 팔찌
KR200216864Y1 (ko) 향기나는 단추
KR200406741Y1 (ko) 방향장식물의 방향체 결합구조
KR200420999Y1 (ko) 방향제가 구비된 종교장신구
JP3132292U (ja) 携帯式アロマキャリア
KR200205468Y1 (ko) 방향제를 갖는 장신구
JP2001238942A (ja) 身廻品の芳香装置
KR200339582Y1 (ko) 해충퇴치기능을 가지는 장식용품
ES2288087B1 (es) Perfumero personal rellenable e intercambiable.
KR200256875Y1 (ko) 방향액이 함침된 도자기 장식물
KR102368431B1 (ko) 방향제 거치대
KR200190595Y1 (ko) 향기나는 악세사리
KR200346891Y1 (ko) 향이 나는 명함을 위한 케이스
KR200244600Y1 (ko) 향기나는 액세서리
KR20160064266A (ko) 발향 커프스 단추
KR200178921Y1 (ko) 향핀을 결합할 수 있는 조화
KR200329464Y1 (ko) 지속적인 향기보존 브래지어
GB2373430A (en) Cufflinks with fragrance dispenser
KR200362515Y1 (ko) 향기 나는 마스크
KR200428806Y1 (ko) 향수 주머니 귀 목걸이 (귀걸이 목걸이)
KR200382216Y1 (ko) 방향수단을 구비한 침대용 매트리스
KR920002012Y1 (ko) 향수가 내장된 악세사리용 장신구
KR200274566Y1 (ko) 탈, 부착형 향기 발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