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860Y1 - 어깨 부착용 무선 조정 총 - Google Patents

어깨 부착용 무선 조정 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860Y1
KR200216860Y1 KR2020000027568U KR20000027568U KR200216860Y1 KR 200216860 Y1 KR200216860 Y1 KR 200216860Y1 KR 2020000027568 U KR2020000027568 U KR 2020000027568U KR 20000027568 U KR20000027568 U KR 20000027568U KR 200216860 Y1 KR200216860 Y1 KR 200216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n
firearm
trigger
ball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5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인춘호
인주호
Original Assignee
김동환
인주호
인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인주호, 인춘호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20200000275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8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860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러범과 교전 또는 진압 시 진압 대원의 어깨 부착용 무선 조정총을 착용하고 진압 장소에 투입되어 진압 대원 스스로 총기에 전원을 투입하는 시점부터 총기에 부착된 화상 발신기(晝像 發信機)에서 보내지는 진압 상황을 진압 부대 통제 소나 차량에 설치된 모니터를 통해 총기를 무선으로 상, 하, 좌, 우로 조정하여 진압 대원의 경계 및 유사시에는 테러범 발견 시 통제 소나 차량에서 무선으로 테러범을 향해 진압 대원의 어깨에 부착된 총기를 지휘 통제 소나 차량에서 무선으로 단발, 연발 사격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부착용 무선 조정총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소음기와 사격 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4단계 장치가 기본적으로 장착된 총기에 화상 발신기 와 무선 조정 모터와 무선 조정 방아쇠가 장착된 총기를 진압 대원의 어깨에 부착하고 안전 장치 해제 후부터 총기에 부착된 화상 발신기에서 발신하는 교전, 진압, 대치 현장 화상 자료를 테러 진압 부대의 통제 소에서 수신하여 모니터를 통해 현장 상황을 살피면서 어깨 부착 총을 상하100도 좌우 300도를 조정하여 테러 진압 요원의 안전과 교전 중에 발생되는 진압 요원의 부상 및 사상시에도 총기와 연결된 진압 대원 휴대용 배터리 전원이 다할때까지는 총기가 계속적으로 작동하므로 교전 상황을 살필 수 있고 테러범 확인 시 총기 사용을 할 수 있는 장점과 함께 교전 시 발생 할 수 있는 개인 화기의 탄환소멸 시 어깨에 부착된 총기를 수동으로 어깨에서 분리 안전핀을 분리하고 총기에서 수동 버튼식 방아쇠 안전핀 제거 후 분리된 총기를 가지고 진압 대원이 수동으로도 발사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하고 있다.

Description

어깨 부착용 무선 조정 총 {Shoulder cliped wireless remote control gun}
본 고안은 어깨 부착용 무선 조정 총에 관한 것으로 주목적은 테러범 발생시 진압과 비밀을 요하는 통제 구역 경비를 기존에 설치된 모니터와 통합 사용하여 제 3자 침투 시 곧 바로 대응 할 수 있고 테러범과 산악전 발생 시에는 군견에 장착하여 투입하는 방식과 차량, 모형 항공기, 테러범이 대치 중인 주변에도 위장 총기를 설치 사용하여 테러범을 제압 할 수 있고 총격전으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를 막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어깨 부착용 무선 조정 총(도1)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총기에 화상 발신기(1)가 장착되어 통제 차량에 설치된 모니터(158)로 총기 사용 상황을 발신(2)하고 발신된 상황을 모니터로 보면서 총기 조정 손잡이(159)를 잡고 진압대원의 총기를 무선 조정하면 이 조정 신호는 다시 화상 발신기 안테나(2)로 수신되어 총기 조정 각에 맞게 무선 조정 모터(122,127)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총기가 움직이고 또한, 조정 손잡이(159)에 부착된 총기 발사 버튼(161)을 누르면 무선으로 총기를 발사 할 수 있는 어깨 부착용 무선 조정 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총기는 총을 휴대한 사람만이 발사를 하고 발사 방법은 방아쇠에 손가락을 넣고 잡아당기면 총기가 발사되며 이런 방아쇠 역할을 하기 위한 방아쇠로 솔래노이드 스위치식 방아쇠(49)가 적용되어 손가락이 아닌 전기의 힘으로 총기를 발사 할 수 있고 수동으로 무선 조정 총기를 발사할 상황이 발생되면 버튼식 수동 방아쇠(84)를 이용 발사하면 된다.
그리고 ,권총과 소총은 손잡이가 있어 사격 시 반동을 어깨, 팔로 완하 되지만 무선 조정 총은 손잡이가 없으므로 사격 시 발생되는 반동을 어깨 부착대(145)에 그대로 전달되면 진압 대원의 개인 화기 사용 시에 충격이 가해져 이중으로 사격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4단계 충격 흡수 장치를 두어 무선 조정 총기 사용 시 발생되는 충격을 어깨 부착대 까지 전달되는 힘을 완하 시켰다.
기존 총기의 사격 시 생기는 소음은 총기의 사용 방법에 따라 소음기를 분리, 장착 사용되었지만 본 무선 조정 총은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사용되며 본 총기에 소음기가 부착되지 않으면 어깨 부착 사격이 불가능해지며 사격 후 귀 울림으로 현장상황 음을 듣지 못하게 됨으로 제작 시 부착되는 구조다. 본 총기에 사용되는 총기의 탄환은 권총의 탄환보다 구경도 작고 작약의 양도 근접 사격에만 적용될 수 있도록 소량이 삽입된다 기존의 총기는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개발이 되는 반면 본 총기는 분해 시 특수 공구 사용 목적은 특수 공구를 사용하여 부속품간의 결함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며 화상 발신기(1) ,회전 모터(122,127), 솔래노이드 스위치식 방아쇠(49)는 정비 교육을 이수한 전문가가 정비하게 되어 있으며 화상 발신기는 방수 구조로 전문가가 아닌 비전문가 분해 시에는 파손의 염려가 있어 특수 공구를 삽입하여 열리게 제작되었다.
안전 장치는 기존의 총기와 작동하는 방법이 유사하고 반응도 빠르며 무선 조정 총사격 중에도 안전장치를 진압 대원이 안전 모드로 바꾸면 총기는 발사되지 않는다. 무선 총기의 노리쇠 뭉치가 작동하는 원리는 기존의 총기와 같은 가스 작용식이다. 무선 총기의 노리쇠 뭉치의 모양은 총기의 용도에 따라 위장용일 경우 완전히 바뀐다.
의장 출원 번호 30-2000-0021568의 어깨 부착 총의 기능은 본 총기와 같고 C형 화상 발신기를 장착하여 발신, 수신 거리가 짧으며 화상 탐색 거리도 짧은 단점과 어깨 부착대의 홈이 비좁게 설계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총기의 화상 발신기는 A형 화상 발신기(도2A)로 대체되어 화상 탐색에서 좀더 탐색 거리를 증가시키고 또한 통제 소에서 발신되는 데이터에 빠른 대응을 할 수 있게 되며 발신, 수신안테나가 확대되어 발신 수신 거리도 늘어나고 회전 모터(122,127)도 밀봉 처리하여 회전시 소음을 줄이고 총기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나 배터리(162) 사용 시간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진압 대원이 보조 배터리를 휴대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어 대원의 기동력 저하가 발생되지만 대원의 시선과 무선 총기의 감시 기능이 추가됨으로 대원의 안전성은 증가되고 어깨 부착대(145)의 간격도 늘어나고 고무 밀착구(149)도 간단하게 디자인되어 어깨 장착 시 걸림 현상을 줄였다.
도1은 본 고안의 어깨 부착용 무선 조정 총의 전체를 보인 외형도
도2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A형식 화상 발신기(書像 發信機) 외형도
(B)는 B형식 화상 발신기 외형도
도3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C형식 화상 발신기를 도시한 외형도
(B)는 C형식 화상 발신기 좌측면도
도4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노리쇠 뭉치 좌측을 도시한 외형도
(B)는 노리쇠 뭉치 부분 조립도
도5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노리쇠 뭉치 우측을 도시한 외형도
(B)는 노리쇠 뭉치 온 단면도
도6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공이 좌측면도
(B)는 본 고안에 따른 부속품간의 부속 배치도
도7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장전 손잡이 외형도
(B)는 노리쇠 전진기의 부분 조립도
도8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노리쇠 멈치, 멈치 걸이 손잡이의 배치도
(B) 노리쇠 멈치와 멈치 걸이 손잡이의 배치 단면도
도9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몸통과 노리쇠 멈치와 멈치 걸이 손잡이 배치 평면도
(B)는 노리쇠 멈치걸이를 만을 보인 외형도
도10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솔래노이드 스위치(Solenoid Switch)식 방아쇠와 공이 치기, 공이 치기 걸이의 부품 부분 조립도
(B)는 솔래노이드 스위치(Solenoid Switch)식 방아쇠 고정판 외형도
도11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솔래노이드 스위치식 방아쇠에 쉬프트 레버(Shift Lever)의 결합을 보인 부분 단면도
(B)는 공이 치기, 공이 치기 걸이, 총기의 안전장치가 결합된 부품 조립도
도12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공이 치기 좌측 면도와 평면도
(C)는 총기 안전 장치와 스토퍼(Stopper)간의 부분 조립도
도13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탄환 발사 직전의 각 부품간에 작동을 보인 단면도
(B)는 탄환 발사 후 노리쇠 뭉치가 후퇴되면서 탄피를 배출하기 전의 각 부품간의 작동을 보인 단면도
도14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탄창과 결합된 노리쇠 뭉치 후퇴 시작시 탄환 전진기의 위치를 보인 정면도
(B)는 탄창과 노리쇠 뭉치 완전 후퇴시 탄환 전진기의 위치를 보인 정면도
도15의 (A)(B)(C)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탄창과 결합된 노리쇠 뭉치 탄환 전진기의 작동을 보인 간략도
도16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탄환 외형도
(B)는 탄환의 온 단면도
(C)는 총기 몸통 덮개 분리 핀의 외형도
도17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탄약 실을 절개 사시한 부분 단면도
(B)는 총기 몸통과 덮개 외형도
도18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버튼(Button)식 수동 방아쇠와 결합되는 부속품을 보인 부분 조립도
(B)는 버튼(Button)식 수동 방아쇠 온 단면도
도19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에 사용되는 탄창을 보인 외형도
(B)는 탄창의 온 단면도
도20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에 사용되는 탄창과 총기의 몸통에 부착된 탄창 탈, 부착 버튼과의 결합을 보인 부분 단면도
(B)는 탄창 탈, 부착 버튼의 부속품의 부분 조립도
도21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에 사용되는 소음기를 절개한 부분 단면도
(B)는 총열, 가스 활대의 외형도
도22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에 사용되는 공냉식 냉각판 외형도
(B)는 소음기 외형도
도23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1차 충격 흡수 장치의 장착 위치를 도시한 부분 외형도
(B)는 1차 충격 흡수 장치 부속품간의 부분 조립도
도24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2차 충격 흡수 장치의 외형도
(B)는 3차 충격 흡수 장치의 부속품간의 부분 조립도
도25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2차 충격 흡수 장치와 기어 스토퍼(Stopper) 장착 위치를 보인 부분 좌측면도
(B)는 기어 스토퍼(Stopper)의 외형도
도26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기어 스토퍼의 부속품간의 부분 조립도
(B)는 기어 스토퍼의 좌측면도
도27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상, 하 회전에 사용되는 A형의 모터(Motor) 외형도
(B)는 회전용 모터를 이루는 부속품간의 부분 조립도
도28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좌, 우 회전에 사용되는 B형 모터의 외형도
(B)본 고안의 원리가 적용된 소총 제작 시에 사용되는 C형 모터를 보인 외형도
도29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좌, 우 회전 기어 장치의 부속품간의 부분 조립도
(B)는 좌우 회전 기어 장치의 온 단면도
도30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어깨 부착대와 총기 회전 부와의 1차 연결부 외형도
(B)는 1차 연결부 온 단면도
도31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1차 연결부 평면도
(B)는 4차 충격 흡수 장치의 부속품간의 부분 조립도
도32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원리가 적용된 소총 소염기
(B)는 총기 몸통과 2차 충격 흡수 장치 분리 안전핀 외형도
도33은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에 사용되는 어깨 부착대 외형도
도34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에 사용되는 어깨 부착대 금속 멜빵 부착부 외형도
도35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 사용되는 어깨 부착대의 충격 흡수 고무 외형도
도36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사용 목적에 따라 병행(竝行) 사용되는 소총 삼각대 외형도
(B)는 벽면 부착대의 외형도
도37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사용 시 화상 발신기, 전자 방아쇠, 회전 모터 작동하는 원리를 보인 작동 원리도
(B)는 총기를 좌, 우, 상, 하로 조정하고 총기를 발사하는 조정 손잡이 외형도
도38은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외형도
도39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를 진압 대원의 어깨에 멜빵을 이용 장착된 모습을 보이는 멜빵 장착도
(B)는 본 고안의 일부가 적용된 소형 테러범 진압용 총기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화상 발신기 (晝像 發信機)
2. 화상 발신(發信) ,전자 방아쇠, 모터 회전각 수신(受信)안테나
3. 화상 발신기 보호 렌즈 4. 화상 발신기 보호 렌즈 고정판
5. 화상 발신기 탈, 부착 버튼 6. 화상 발신기 음성(音聲) 수신구(受信口)
7. 화상 발신기 풍향(風向) 수신구 8. 화상 발신기 고정 홈
9. 노리쇠 뭉치 10. 노리쇠 뭉치 전진기 유도(誘導) 홈
11. 노리쇠 뭉치 전방(前方) 가스 배출구
12.노리쇠 뭉치 후방(後方) 가스 배출구
13. 노리쇠 뭉치 탄환 전진기(前進機) 14. 노리쇠 뭉치 탄환 배출기(排出機)
15. 노리쇠 뭉치 탄환 배출기 원형 고정 핀 16. 스프링 고정홈
17. 노리쇠 갈퀴 18. 평행핀
19. 평행핀 고정 홈 20. 스프링
21. 노리쇠 완충(緩衝) 스프링 탈선 방지 레일(Rail) 홈
22. 노리쇠 뭉치 가이드(Guide) 23. 노리쇠 뭉치 완충 스프링 고정 홈
24. 공이 25. 공이 치기 블록
26.공이 압축 공기 ,가스 배출구
27. 공이 고정 C형 동심 멈춤링(구멍용)
28. 공이 입구 29. 공이 고정 멈춤링 고정 홈
30. 장전(裝塡) 손잡이 31. 장전 손잡이 걸이
32. 장전 손잡이 고무 패킹(Packing) 33. 장전 손잡이 노리쇠 걸이
34. 노리쇠 뭉치 전진기 35. 노리쇠 전진기 사각 고정 핀
36. 노리쇠 전진기 버튼(Button) 37. 납작머리 볼트(육각)
38. 노리쇠 멈치 39. 노리쇠 멈치 손잡이
40. 노리쇠 멈치 결합부 41. 노리쇠 멈치 걸이
42. 노리쇠 멈치 걸이 손잡이 43. 노리쇠 멈치 걸이 스프링 덮개
44. 볼트 구멍
45. 노리쇠 멈치 걸이 전진 스프링 고정대
46. 총기 몸통 47. 공이 치기
48. 공이 치기 걸이
49. 솔래노이드 스위치(Solenoid Switch)식 방아쇠
50. 방아쇠 스프링 탈선 방지판 51. 방아쇠 전원 투입 부
52. 솔래노이드 스위치(Solenoid Switch)식 방아쇠 고정판
53. 방아쇠 쉬프트 레버(Shift lever)
54. 방아쇠 쉬프트 레버(Shift lever) 공이 치기 걸이 결합부
55. 계자 (界磁)코일(Coil) 56. 계자 (界磁)코일 덮개
57. 쉬프트 레버 유도(誘導) 금속 58. 안전 장치
59. 안전장치 레버 60.안전 장치 스토퍼(Stopper)
61. 안전 장치 스토퍼 고정 홈 62. 안전 장치 안전(Safe) 모드
63. 안전 장치 발사(Fire) 모드 64. 가스 활대
65. 공이 치기 (노리쇠 완충 스프링 탈선 방지 레일 )유도 홈
66. 노리쇠 완충 스프링 탈선 방지 레일 67. 노리쇠 뭉치 가이드 레일
68. 탄환 69. 탄피
70. 약실 71. 탄창
72. 탄두 73. 뇌관(雷管)
74 탄환(노리쇠 갈퀴 걸리는)홈
75. 총기 몸통 덮개 분리 핀 76. 총기 몸통 덮개 분리 핀 손잡이
77. 총열 78. 탄피 배출구
79. 탄창 결합구 80. 탄환 약실 유도 홈
81. 장전 손잡이 결합구 82. 3차 완충기 결합구
83. 계단식 몸통 덮개 84. 버튼(Button)식 수동 방아쇠
85. 버튼식 수동 방아쇠 안전핀 구멍 86. 방아쇠 쉬프트 레버 결합 구멍
87. 버튼식 수동 방아쇠 안전핀 88. 버튼식 수동 방아쇠 안전핀 걸이
89. 탄창(탄환)유도 레일 90.1차 탄환 가이드
91. 2차 탄환 가이드
92. 탄창(노리쇠 탄환 전진기 가이드) 홈
93. 탄창 탈 부착 버튼 94. 소음기 화염 방지부
95. 소음기
96. 소음기 가스 활대 가스 흡입 ,배출구
97. 소음기 소음 흡입구 98. 소음기 소음 제거구
99. 공냉식 냉각판 100. 냉각구
101. 화상 발신기 탈, 부착 레일 102. 총기 1차 충격 흡수 장치
103. 1차 충격 흡수 장치 덮개
104. 총기 (1차 충격 흡수 장치 )설치 부분
105. 좌우 회전 기어 장치 연결 구멍 106. 2차 충격 흡수 장치
107. 2차 충격 흡수 장치 완충 고무 108. 3차 충격 흡수 장치 결합구
109. 3차 충격 흡수 장치 (소형 완충기) 110. 소형 완충기 결합구
111. 평기어(Spur Gear) 112. 기어 스토퍼(Gear Stopper)
113. 스토퍼 기어 가이드 114. 스토퍼 기어 가이드 스프링 홈
115. 스토퍼 기어 가이드 스프링 부착 홈 116. 스토퍼 기어 정지 턱
117. 스토퍼 기어 가이드 레일 118. 기어 스토퍼 부착 부
119.기어 스토퍼 부착 구멍 120.스토퍼 기어(Gear)
121. 스토퍼 기어 안착 홈 122. A형식 상,하 회전 모터(Motor)
123.주(主) 상, 하 운동 모터 기어 124. 모터(Motor) 링(Ring) 기어
125. 링 기어 맞물림 내접(內接) 기어 126. 모터 주(主)기어
127. B형식 좌, 우 회전 모터 128. C형식 소총(Rifle)용 회전 모터
129. 모터 기어 조립 판 130. 총기 좌우 회전 기어 장치
131. 총기 주(主) 전원 통과 구멍
132. 총기 분리 안전핀 구멍(어깨 부착대와 총기 분리)
133. 고정핀(1차 연결부와 좌, 우 회전 기어 장치)
134. 1차 충격 흡수 장치 고정핀 135. 좌우 회전 기어 장치 연결 구멍
136. 어깨 부착대 1차 연결부 137. 4차 충격 흡수 장치 볼트
138. 4차 충격 흡수 장치 완충 고무 139. 4차 충격 흡수 장치 너트
140. 4차 충격 흡수 장치 너트 고정 분할 핀 141. 소총 소염기
142.소염기 화염, 가스 배출구 143.총기 분리 안전 핀
144. 총기 분리 안전핀 걸이 145. 총기 어깨 부착대
146. 어깨 부착대 주(主) 전원 통과 구멍 147. 어깨 부착대 충격 흡수 고무
148. 어깨 부착대 멜빵 걸이 구멍
149. 어깨 부착대 충격 흡수 고무 밀착(密着)구
150. 어깨 부착대 충격 흡수 고무 주 전원 통과 구멍 151.소총 삼각 받침대
152. 삼각 받침대 무게 추 153. 삼각 받침대 주 전원 통과 구멍
154. 총기 벽면 부착대 155. 총기 벽면 부착대 주 전원 통과 구멍
156. 화상 발신기 발신 157. 통제 차량 수신기
158. 통제 차량 모니터 159. 무선 총기 조정 손잡이
160.무선 총기 조정 손잡이 안전 장치
161. 무선 총기 조정 손잡이 총기 발사 버튼
162. 무선 조정 총기용 스틱형(Stick type)배터리
163. 총기 주 전원(+) 공급선
164. 총기 주 전원 (-) 공급선 165. 총기에서 배터리 분리 잭(Jack)
166. 무선 조정 총기를 장착 한 테러 진압 요원
167. 어깨 부착대 고정용 멜빵 168. 고정용 멜빵 탈 ,부착 장치
169. 향수 분사기로 위장한 테러범 진압용 총기 170. 향수 분사구
171. 위장 총기 상부 172. 위장 총기 중부
173. 위장 총기 하부(볼트 고정용 판) 174. 위장 총기 화상 송출기
175. 위장 총기 발신, 수신 안테나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의 테러 진압 시 테러 진압 현장에 투입된 전 진압 대원 부상과 사상이 발생되면 진압이 중단되지만 본 총기는 진압 대원의 총기 사용의사와 상관없이 배터리 전원이 소멸되지 않는 동안은 통제 소에서 조정하는 방식대로 작동 계속되며 총기 또한 무선으로 발사 할 수 있고 현장 상황을 동시에 살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도1은 어깨 부착용 무선 조정 총의 외형 도로 기존의 손에 의해 발사되는 방아쇠가 보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2(A)는 A형식 화상 발신기(1)는 무선 총기의 테러범 진압 현장 상황을 지휘 통제 소에 발신(2)하는 동시에 도1의 총기에 들어가는 솔래노이드 스위치(Solenoid Switch)식 방아쇠(49), 상, 하, 좌, 우 회전 모터(122,127)의 움직임을 지휘 통제 소에서 보낸 데이터를 수신(2)하여 작동하게 하며 화상 발신기 앞 부분에는 소형 카메라를 보호하는 렌즈(3)를 부착하여 작전 중에 파손되거나 물이 들어 간 경우 내부 수리 후 보호 렌즈가 부착된 고정판(4)을 교환하면 되고 또한, 무선 조정 총기에 있어서 화상 발신기와 2개의 회전 모터, 방아쇠가 방수 처리되며 총기에 화상 발신기(1)의 부착 방법은 도23(A)의 총기 몸통 상부에 설치된 화상 발신기 탈, 부착 레일(101)에 한 손으로 총기를 잡고 레일 홈에 끼우면 자동으로 홈에 들어가 키가 채워진다 화상 발신기 탈착 시에는 도1(A)의 화상 발신기 탈, 부착 버튼(5)을 엄지와 검지를 사용해 누르면서 총열 전방으로 밀면 화상 발신기 탈 부착 레일(101)에 고정된 키가 해제되면서 총기에서 분리된다. 도2의(B)는 본 고안에 따른 화상 발신기(1)와 솔래노이드 스위치식 방아쇠(49)가 적용이 된 소총에 장착되는 B형식 화상 발신기(1)로서 외부 부착형 사각형 안테나와 소형 총기에 부착되지 않는 음성 수신구(6)는 주로 인적이 없는 평지와 옥상에 소총 삼각 받침대(151) 사용 시 주위의 소음 확보를 목적으로 하고 또한, 원거리 사격 시 필요한 풍향 수신구(7)를 두어 소총 사격 시에 정확한 명중률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도3(A)(B)는 주로 소형 총기에 장착이 되는 C형식 화상 발신기(1)로서 화상을 비출 수 있는 거리가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4(A)(B)는 노리쇠 뭉치 좌측의 외형 도로 노리쇠 뭉치(9)는 본 총기 탄환(68)을 전진 후진하여 사격이 가능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조로 상부에는 노리쇠 뭉치 전진기(34) 유도홈(10)이 있고 중간에는 노리쇠 뭉치가 전, 후진 시 발생되는 움직임을 잡아 주는 가이드(22)가 양쪽으로 있으며 노리쇠 뭉치 하단 앞 부분은 기존의 총기에 사용되는 노리쇠 역할을 하는 갈퀴(17)와 탄환 배출기(14)가 위치하여 탄환의 장전에서 배출까지를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갈퀴(17)는 갈퀴와 갈퀴 스프링(20), 갈퀴 고정 핀(18)으로 이루어져 (B)의 갈퀴 고정부에 갈퀴와 스프링을 끼어 넣고 고정시켜 핀(18)으로 조립한다 노리쇠 뭉치에 조립이 끝난 갈퀴의 작용은 탄환 장전 시와 격발 시 탄환(68)과 탄피(69)의 노리쇠 갈퀴 홈(도16B)(74)을 잡고 전진 시에는 탄환을 약실로 밀고 들어가는 작용과 노리쇠 뭉치 후퇴 시에는 탄피(69)를 잡고 후퇴하는 작용으로 탄환 배출구 앞에까지 왔을 때 노리쇠 뭉치 탄환 배출기(14)의 힘으로 탄환이 밀리면서 좌측으로 배출이 된다.
도4(B)의 공이(24)는 도5(B)의 공이 입구(28) 쪽 방향으로 끼우고 사격 시에 공이 치기(47)가 공이를 타격 할 때와 사격 시 발생되는 가스가 공이 입구로 들어오면서 공이 블록(25)과의 압축, 연속 사격시 발생되는 공이 블록의 공기 압축 현상을 없애기 위하여 공이 블록(25)에 앞 블록 3개 뒤쪽 3개의 구멍(26)을 파공 하여 이런 가스나 공기로 인한 공이 압축 현상 발생되지 안는다. 또한, 공이 블록(25)은 노리쇠 전, 후진 시 발생되는 움직임에 좀 더 정확히 대응하기 위하여 공이 블록이 2개가 설치되어 상하로 떨리는 현상을 억제 할 수 있으며 공이를 노리쇠 뭉치에 끼우고 공이 고정핀(C형 동심 멈춤링 구멍용)(27)을 핀 홈(29)에 끼워 공이가 노리쇠 밖으로 빠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4(A)(B)의 노리쇠 탄환 배출기(14)는 배출기 고정핀(15)과 배출기(14) ,배출기 스프링(20)으로 이루어지며 노리쇠에 (B)처럼 파공 된 탄환 배출기 홈(16)에 배출기 스프링(20), 배출기(14) 순서로 조립하고 나면 배출기 핀(15)을 노리쇠 파공구(16)에 끼워 맞춰 사격 시에 발생되는 열기에서도 잘 견딜 수 있는 금속으로 제작하고 탄환 배출기(14)는 노리쇠 갈퀴(17)가 탄환(68)의 뒤쪽 좌측(74)을 고정한다면 배출기는 탄환의 뒤쪽에서 도15(B)(C)에서 같이 탄피(69)의 배출 각에 있어 큰 역할을 하며 배출기의 스프링(20)의 힘이 약해지면 탄피(69)가 배출이 되지 않는 고장이 발생된다. 또한, 노리쇠 뭉치(9) 전진 시에는 약실(70)에 탄환이 장전되면 배출기가 배출기 홈 뒤쪽으로 밀려들어가 있어 탄환에 움직임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다.
도4(A)의 노리쇠 뭉치 완충 스프링 고정홈(23)은 노리쇠 뭉치의 전진과 후진 운동시의 스프링 고정홈으로서 탄환 장전 시에 스프링의 탄력으로 장전이 되며 이러한 스프링 작용 시에 노리쇠 뭉치 스프링이 길기 때문에 도13(A)스프링 휨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인해 총기 몸통(46) 내부 공간으로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한 1차 수단으로 홈이 총기 몸통 덮개(83)와 노리쇠 뭉치(9)에 각각 파져 있으며 또한, 총기 고정 홈에서 밑쪽으로 밀리는 현상을 막기 위해 도4(A)의 노리쇠 뭉치에 완충 스프링 탈선 방지 레일(66)을 도5(B) 노리쇠 뭉치 중앙에 구멍을 파공(21)하여 스프링 탈선 방지 레일을 노리쇠에 뭉치에 끼워 넣고 도13(A)(B)에서처럼 노리쇠 뭉치 스프링을 항상 밑에서 대기하는 2차 수단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레일 전방은 총기 몸통(46) 과 총기 몸통 덮개(83)에 끼워진다.
도5의(A)는 노리쇠 뭉치 탄환 전진기(13)는 노리쇠 뭉치 우측에 위치하며 작용은 도14(A)의 노리쇠 뭉치(9)가 탄환 장전시 장전 손잡이(30)를 뒤쪽으로 당기면 노리쇠 뭉치가 후퇴하게 된다. 이 시점에서의 탄환 전진기는 탄창(71)에 삽입된 탄환(68)을 탄창 스프링 쪽으로 밀면 탄환이 스프링 쪽으로 밀리기 시작하고 노리쇠 뭉치가 탄창 보가 뒤쪽에 위치하면 도14(B)처럼 탄환(68)이 다시 정상 위치인 노리쇠 뭉치(9)쪽으로 붙게 되며 탄환 전진기(13)는 도20(A)탄창(노리쇠 탄환 전진기 가이드)홈(92)에 위치하면 도14(B)처럼 전진기는 탄환(68)의 후방에 위치하여 전진 시 탄환을 탄창(71)에서 전진시켜 약실(70)로 밀고 들어가는 작용을 한다.
도5(A)노리쇠 뭉치 가이드(22) 좌측이 우측 보다 긴 이유는 노리쇠 뭉치를 장전 손잡이(30)로 당기고 노리쇠 멈치(38)를 작동시키어 장전할 때 노리쇠 뭉치의 완충 스프링의 반발력을 더욱 더 크게 이용이 되어 탄창(71)의 탄환(68)을 부드럽게 약실(70)로 밀고 들어가기 위해서이고 이로 인해 노리쇠 뭉치의 위치가 탄창 결합 부 의 후미와 떨어 질 수 있다.
도5의(B) 노리쇠 뭉치 후방 가스 배출구(12)는 노리쇠 뭉치 스프링 고정홈(23)과 연결되어 있다.
도6(A)는 본 총기에 사용되는 공이(24)의 좌측 좌측면 도로 공이 앞쪽은 탄환(68)의 뇌관(73) 격발 부분을 삼각형 모양으로 가공함으로서 격발 불량을 없앰과 함께 공이의 휨을 억제 할 수 있고 공이 블록과 블록 사이의 두께는 공이의 두께 중에서 제일 두텁다 공이 압축 공기 ,가스 배출 구멍(26) 6개는 앞쪽과 뒤쪽이 일치되게 가공되어 배출 공기의 역류를 막는다.
도6(B)는 본 총기 안에 들어가는 일부 부속간의 작동 위치를 표시한 부속 배치도로 총기 몸통(46)과 일부의 부속이 삭제되고 보이는 모습으로 뇌리쇠 뭉치(9)에 공이(24)와 갈퀴, 탄환 배출기 ,노리쇠 뭉치 완충 스프링 탈선 방지 레일(66), 노리쇠 전진기(34), 장전 손잡이(30) ,노리쇠 뭉치 멈치(38),노리쇠 멈치 걸이(41) ,공이 치기(47),공이 치기 걸이(48) ,안전 장치(58) ,솔래노이드 스위치식 방아쇠 쉬프트 레버(53) 의 위치가 설정되어 있으며 안전장치가 작동되어 공이 치기 걸이(48)에 물려있는 안전 모드(62) 상태이다
도7의(A)는 장전 손잡이로 노리쇠 뭉치(9)를 후퇴시키는 작용을 하며 총기 몸통 덮개(83)에 장착이 되며 (B)의 노리쇠 뭉치 전진기(34)는 장전 손잡이(30) 중간에 전진기 유도 홈이 파져 있어 노리쇠 뭉치 전진기(30) 작동 여부와 상관없이 노리쇠를 후퇴시킬 수 있으며 탄환 장전 시에 도6(B)에서 보면 노리쇠(9) 앞쪽 상단 부분이 장전 손잡이 앞 부분(33)과 맞물리게 되어 장전 손잡이에 검지를 넣으면 자동으로 덮개에 물린 정전 손잡이 걸이(31)가 해제되므로 장전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노리쇠가 장전 손잡이 노리쇠 걸이(33)와 물려 후퇴하며 노리쇠 뭉치 멈치 위치까지 잡아 당겨 멈치(38)가 작동되면 장전 손잡이(30)를 손으로 밀어 넣으면 장전 손잡이 걸이(31)가 총기 몸통 덮개(83)에 물리면서 도13(B)처럼 원위치로 가서 키가 채워지며 장전 손잡이 걸이는 손가락을 넣지 안으면 고무 패킹(32)과 걸이(32)스프링이 덮개에 물려 있기 때문에 사격 중이나 이동시에 장전 손잡이가 해제되지 않는다.
도7(B)는 노리쇠 뭉치 전진기(34)와 노리쇠 뭉치 전진기 고정 사각핀(35), 노리쇠 전진기 고정핀(18)을 보인 부분 조립 도로 노리쇠 뭉치 전진기 사각 고정판(19)과 노리쇠 전진기 고정핀(18) 사이에는 사각 스프링(20)이 총기 몸통에 도13(B)처럼 들어가서 노리쇠 전진기 버튼(36)을 손으로 누르지 않는 상태에서는 사각 스프링의 힘으로 밀고 있고 있기 때문에 사격 중에나 이동 중에는 노리쇠 뭉치에 설치된 노리쇠 뭉치 전진기(10)홈과 맞물림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며 노리쇠 뭉치 전진기의 버튼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홈을 파서 거칠게 했다.
도8(A)는 노리쇠 뭉치 멈치(38)로 탄환 장전 시에 노리쇠 뭉치 가이드(22) 좌측 앞부분을 잡아 노리쇠(9) 전진을 막는 역할을 하는 장치로 노리쇠 뭉치 멈치 걸이(41)와 결합되어 탄환 장전 시 멈치 걸이 손잡이(42)를 검지를 이용 잡아당기면 노리쇠 멈치(38) 일정 부분이 총의 몸통(46)으로 들어가서 노리쇠 뭉치가 후퇴되는 시점을 기다리다 노리쇠가 완전히 후퇴하면 도9(A)처럼 총의 몸통(46)에 설치된 멈치 스프링(20)의 힘으로 노리쇠 뭉치(9)를 잡게 되며 장전 손잡이(30)를 제 위치로 보낸 상태에서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멈치 손잡이(39)를 잡아당기면 노리쇠 뭉치의 스프링의 힘으로 탄환(68) 한 발이 장전이 되면서 멈치 걸이(41)가 멈치걸이 스프링(20)의 탄력 때문에 자동으로 멈치 결합부(40)와 멈치걸이 결합부(40)이 도9(A)와 같은 모습으로 결합이 된다. 노리쇠 뭉치 멈치(38)를 둥글게 하여 멈치 손잡이(39)를 당길 때 쉽게 노리쇠 뭉치와 분리되므로 인해 마찰이 작게 발생되도록 하였다
도8(B)는 노리쇠 뭉치 멈치(38)와 멈치 걸이(41)의 결합을 보인 정면도로 노리쇠 뭉치 멈치와 걸이 결합부(40)의 두께의 차이를 이용하기 때문에 스프링의 힘으로도 자동으로 결합이 되게 했다
도9(A)는 노리쇠 뭉치 멈치(38)가 총기의 몸통(46)과 결합되는 것을 보인 배치 평면도로 노리쇠 멈치 스프링(20)은 노리쇠 멈치를 총기 몸통(46) 안으로 밀어 넣는 작용을 보이는 반면 멈치 걸이 스프링(20)은 멈치 걸이와 결합되어 멈치(38)가 총기 몸통(46) 안으로 못 들어가게 멈치(38)를 걸어 주는 작용을 하며 이런 힘의 작용이 깨어지는 시점은 탄환 장전시 멈치 걸이 손잡이(42)를 잡아 당겼을 때 노리쇠 멈치가(38) 총의 몸통(46) 안으로 들어가면서 서로의 작동이 시작된다.
도9(B)는 멈치 걸이 손잡이(41)를 보인 외형 도로 스프링(20)과 스프링 덮개(43)가 삭제된 상태의 멈치 걸이 손잡이로 총기 몸통에 부착된 스프링 고정 대가 보이지 않고노리쇠 멈치 결합부(40)는 멈치 앞쪽과 두께가 같고 뒤쪽 보다 가늘기 때문에 걸이 손잡이(42)를 잡아당기면 멈치(38)가 들어가면서 멈치 걸이 결합부(40)가 멈치 두꺼운 부분에 걸리고 멈치 손잡이(39)를 잡아당기면 멈치의 두께와 걸이 손잡이의 결합부(40)의 두께가 일치되어 자동으로 잠기게 된다.
도10의(A)는 솔래노이드 스위치식 방아쇠(49)로 기존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총기의 방아쇠는 검지를 넣고 잡아당기면 격발되는 방식이지만 본 총기에 사용되는 방아쇠(49)는 기존의 손가락으로 발사하는 부분이 없어지고 솔래노이드 스위치식 방아쇠가 적용되며 방아쇠에 결합되는 공이 치기(47),공이 치기 걸이(48)가 쉬프트 레버(53)와 연결이 되어 통제 소에서 도37(B)의 총기 조정 손잡이(159)의 안전 장치(160)를 잡고 총기 발사 버튼(161)을 누르면 이 신호는 화상 발신기 안테나(2)로 수신되어 화상 발신기 안에 내장된 센서에서 신호가 감지되어 배터리(162) 전원이 솔래노이드 스위치식 방아쇠(49)에 전기가 공급되어 공이 치기 걸이(48)를 방아쇠 쪽으로 잡아당김으로 공이 치기(47)가 작동이 되어 총기를 발사 할 수 있다.
솔래노이드 스위치식 방아쇠(49) (이하 방아쇠라 명칭 함) 내부 구조는 도11(A)의 계자 코일(55)로 되어 있으며 이 계자 코일은 쉬프트 레버(53)를 잡아당기기 위한 풀인 코일(Pull in Coil)과 연속 사격에서는 쉬프트 레버(53)를 계속적으로 잡고 있어야 되기 때문에 호울딩 코일(Holding Coil)이 함께 내장되어 있으며 호울딩 코일은 적은 양의 코일과 선이 가늘고 전류의 전압도 작으므로 쉬프트 레버(53)쪽이 풀인 코일이 위치하며 뒤쪽 쉬프트 레버 유도 금속(57)쪽이 홀딩 코일이 내장이 되며 작동 원리는 쉬프트 레버가 항상 방아쇠 쪽에서 대기함으로 방아쇠에 전기를 넣어 계자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그때 발생된 자력의 힘으로 방아쇠를 작동하고 방아쇠에 전원을 넣지 않으면 방아쇠 스프링(20)의 힘으로 대기 상태로 돌아오게 되며 재질은 방아쇠에 직류 전기가 흐르므로 재질은 강도와 내구력이 강한 소재로 만들어진다.
도10(B)는 방아쇠 고정판에 관한 것으로 방아쇠 고장 시에 총기에서 분리하기 쉽게 총기의 몸통(46)에 고정 볼트(37)를 풀고 중앙이 접어지는 식으로 된 고정판을 내리고 노리쇠 뭉치(9)를 총기에서 분리시키고 공이 치기(18) 핀과 스프링(20), 공이 치기 걸이 고정핀(18)을 제거하고 쉬프트 레버(53)에 부착된 방아쇠 스프링 탈선판(50)을 돌려 빼내고 공이 치기 걸이(48)와 연결된 쉬프트 레버를 총기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쉬프트 레버(53)와 공이 치기 걸이(48)가 빠지고 쉬프트 레버에 부착된 스프링 탈선 방지판(50)이 분리되어 전자 방아쇠(49)와 방지판(50)이 함께 빠지고 방아쇠 전원 투입구(51)의 전원 잭을 해제하여 방아쇠를 교환하거나 안에 이 물질을 제거 할 수 있고 부착은 역순으로 행하면 된다.
도11의(A)는 방아쇠(49)와 쉬프트 레버(53)만이 결합된 모습으로 방아쇠 안에 들어가는 계자 코일(55)과 전자석의 힘이 발생되는 부분으로 방아쇠에 전원이 투입되면 쉬프트 레버(53)가 방아쇠 안쪽 쉬프트 레버 유도 금속 (57)쪽으로 붙는다. 방아쇠(49)와 쉬프트레바 방아쇠 스프링 탈선 방지판(50)안에는 도13에(A)(B)처럼 스프링(20)이 들어가서 전류가 없는 상태에서는 이 스프링(20)의 힘으로 후퇴해 대기 상태를 이룬다.
도11의(B)는 공이 치기(47)와 공이 치기 걸이(48) ,안전 장치(58) ,안전 장치 스토퍼(60) ,스토퍼 스프링(20)을 보인 부분 조립 도로 안전 장치(58)가 격발 상태가 아닌 안전 모드(Safe)(62)로서 격발 대기 상태이다.
도12(A)(B)는 공이 치기(47)의 좌측 면도와 평면도로 공이 치기(47)에 스프링 장착홈(16)으로 공이 치기의 무게 중심은 뒤쪽으로 쏠리게 하여 공이 타격 시 큰 힘을 발휘하도록 하며 (B)는 공이 치기(47)가 노리쇠 뭉치 완충 스프링 탈선 방지 레일(66)과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홈(65)을 파서 공이 치기의 안정성을 확보했다.
도12(C)는 공기 치기(47)가 작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 장치(58)로서 공이 치기 걸이(48)에 뒷면을 잡아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곡면 처리를 하여 안전 장치가 풀리지 못하게 하고 또한, 최종적으로 총기 몸통(46) 외부에 설치된 안전 장치의 스토퍼(60)가 안전 모드(62)와 발사 모드(63)에서만 회전하도록 해 주므로 2중 안전 장치가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13(A)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탄환 발사 직전의 각 부품간의 작동을 보인 단면도로 통제 소에서 총기를 발사하는 시점으로 공이 치기(47)가 공이(24)를 친 상황이다. 공이 치기 걸이(48)는 방아쇠가 작동이 되어 공이 치기(47)를 놓아 공이를 치고 안전 장치(58)는 발사 모드(63)로 전환이 되었고 쉬프트 레바에 설치된 방아쇠 스프링(20)은 방아쇠가 작동한 거리만큼의 이동을 보인다.
도13(B)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총기의 발사 후 노리쇠가 완전히 후퇴된 상태의 부속간의 작동 모습을 보인 단면도로 노리쇠 전진기(34)의 작동 위치, 노리쇠 완충 스프링(20)의 역할 총기에 설치된 노리쇠 뭉치 가이드 홈(67)의 역할, 약실(70), 노리쇠 완충 스프링 탈선 방지 레일(66)의 설치 위치와 노리쇠 뭉치(9)가 격발이 되어 그 가스의 힘으로 작동되어 탄피(69)를 물고 배출이 되기 전에 시점 모습으로 노리쇠가 후퇴하면서 자동으로 공이 치기(47)를 공이 치기 걸이(48)에 걸리게 하므로 다음 탄환(68) 발사 대기 상태를 만들 수 있고 수동 발사 방아쇠(84)안에서 쉬프트 레바(53)가 전, 후진 운동을 한다. 또한, 방아쇠(49)는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는 발사 대기상태로 돌아가기 때문에 방아쇠 스프링(20)의 힘으로 원위치로 다시 가며 이 다음 단계는 탄피(69)가 밖으로 완전 배출이 된다.
도14(A)는 노리쇠 뭉치 탄환 전진기(13)가 후퇴 할 때 탄창(71)에 탄환(68)을 밀어내는 시점에서의 일부분을 도시한 정면도로 노리쇠 뭉치(9)가 후퇴하면 탄창(71)에 설치된 노리쇠 뭉치 탄환 전진기(13) 홈을 따라 탄창 스프링(20)으로 밀고 있는 탄환을 탄창(71)의 탄환 배출구 안쪽으로 밀어내며 도14의(B)처럼 노리쇠 뭉치(9)가 완전히 후퇴하면 전진기(13)가 탄환(68)에 뒤쪽에 위치하므로 보이지 않는다. 그러면서 탄환은 탄창(71)의 탄환 배출구 쪽으로 나오게 되므로 이 다음 단계인 탄환을 약실로 밀고 들어 갈 수 있다.
도15(A)(B)(C)는 탄환 전진기(13)의 역할 표현을 한 작동 도로 다른 부분은 보이지 안고 탄환 전진기(13)와 탄창(71),탄환(68),약실(70),총열(77) 부분이 강조되어 있으며 (A)는 격발이 되어 가스의 힘으로 노리쇠 뭉치가 반절 이상 후퇴를 시작한 모습으로 탄환 전진기(13)는 탄창의 유도홈(92)에 끼워지기 시작하는 단계이며 (B)는 노리쇠 뭉치(9)가 4분의3이상 후퇴 된 모습으로 갈퀴(17)와 탄환 배출기(14)가 작동하여 탄피(69)를 탄피 배출구(78)로 배출을 시작하는 시점이며 (C)는 노리쇠 뭉치(9)가 완전히 후퇴하여 탄환(68)을 장전 할 수 있는 위치로 후퇴한 모습이며 탄창(71)에 삽입된 탄환도 약실(70)에 들어가려고 준비하는 모습을 보이며 탄피(69)는 완전히 탄피(69) 배출구(78)로 배출되어 나가는 모습이다. 또한, 사격 중에 발생되는 소음과 탄피 배출구(78)로 나오는 탄피와 소음의 일부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탄피 배출구(78)(에는자 모양의 강화 플라스틱 판이 탄피 배출구(78)에 부착돼 순간적인 소음차단과 목 부분으로 튀어져 나가는 탄환이 어깨 쪽으로 떨어지게 하기 위해서이다.
도16(A)(B)는 본 총기에 사용되는 일반 탄환(68)으로 본 고안이 응용된 타 총기 제작 시에는 탄환(68)의 모양과 탄창(71)의 모양 노리쇠 뭉치(9), 방아쇠(49), 안전장치(58) 등 모든 부속품이 바뀐다.
도20(C)는계단식 몸통 덮개(83) 분리핀(75)과 3차 충격 흡수 장치(109) 분리 핀으로 총기의 후방에 장착되어 특수 공구를 사용 좌측으로 돌리면 분리되고 우측으로 돌리면 잠기고 잡아당기면 핀(75) 전체가 빠지지 않고 일부분만이 빠짐으로 총기 분해시 핀(75)을 분실할 염려가 없다.
도17(A)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총기의 총열(77)과 약실(70), 약실 입구 탄환 유도 홈(80)과 탄창 삽입구(79),탄피 배출구(78)를 일부 보인 부분 단면도로 기존에 사용 중인 일자형 약실 입구가 아닌 노리쇠 뭉치(9)의 회전 작용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탄환유도홈(80)을 파서 갈퀴(17)와 탄환(68)의 결합을 용이하기 위해서이며 노리쇠 뭉치의 전방 약실(70)과의 결합은 기존의 총기 밀착과 같이 총의 몸통(46) 가공 시 뭉치의 앞부분의 일부는 사격 시 발생되는 가스를 이용하기 위해 안쪽으로 밀착이 된다.
도17(B)는 총기 몸통(46)과 계단식 총기 덮개(83)와 분리핀(75)을 보인 외형 도로 장전 손잡이(30)는 제거된 상태의 모습으로 총기 고장과 분해, 정비 시에 필요로 하는 총기 덮개(83)를 분리하기 위한 핀과 함께 또한, 총기 몸통 분해 시 방법은 도24(B)의 3차 충격 흡수 장치 결합구(110) 맨 아래의 핀(18)을 특수 제거 공구로 제거하여 2차 충격 흡수(106)장치와 분리가 되면 도17(B)의 총기 덮개(83)에 설치된 3차 충격 흡수 장치(109)를 제거하기 위해 3차 충격 흡수 장치 고정핀(75)을 특수 공구로 좌측으로 돌리고 빼내면 3차 충격 흡수 장치(109)와 덮개(83)가 분리가 된다. 분리된 3차 충격 흡수 장치(109,110)는 들어 올려서 뒤쪽으로 밀어 놓고 총기 덮개(83) 2개의 분리 핀(75)도 특수 공구를 이용 좌측으로 돌려 빼면 노리쇠 완충 스프링의 힘으로 덮개가 분리되면 노리쇠 뭉치 완충 스프링(20)과 장전 손잡이(30),노리쇠 뭉치(9),수동 방아쇠(84)가 함께 빠지고 노리쇠 뭉치 완충 스프링 탈선 방지 레일(66)을 공구를 이용 잡아당기어 빼면 빠지고 총기 분리 시 주의할 사항은 공이 치기(47)를 공이 걸이(48)에 걸고 안전장치(58)를 안전 모드(62)에 맞추고 분리해야만 총기 분리 시각 부품간의 결함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18(A)는 수동 방아쇠(84)와 방아쇠 분리 안전핀(87),안전핀 걸이(88)를 보인 부분 조립 도로 수동 방아쇠(84)는 테러 진압 대원의 개인 화기의 이상 발생 시나 무선조정 총을 어깨에서 분리하여 수동으로 전환하여 손으로 발사 할 수 있게 하는 버튼식 수동 방아쇠(84)로 방아쇠 쉬프트 레버(86)와 결합되어 있어 방아쇠를 손으로 누르면 솔래노이드 스위치식 방아쇠(49)와 같은 역할을 하므로 총기를 단발과 연발로 발사 할 수 있으며 이 수동 방아쇠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방아쇠 분리 핀(87)을 검지로 잡아당기면 안전핀이 방아쇠에서 분리되어 방아쇠(84)를 사용 할 수 있으며 (B)의 쉬프트 레버 입구(86)는 전기로 작동하는 방아쇠가 작동 할 때 쉬프트 레버(53)가 전, 후진을 수동 방아쇠 안에서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홈(86)이다.
도19(A) 본 총기에 사용되는 C형 탄창(71)으로 무선 조정 총의 좌우 회전각을 크게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며 본 고안이 응용된 소총에는 일자형 복합 탄창이 적용된다. 또한, 수동 발사 시에는 탄창(71)이 무선 총기의 손잡이 역할을 하여 테러 진압 대원이 목표물에 지향 사격을 할 수 있게 하는 탄창(71)이고 (B)는 탄창(71)을 절단한 온 단면도로서 탄창 안에 2개의 스프링(20)이 각각 독립적인 역할을 하는 목적으로 탄환 유도 가이드 2(90,91)개와 함께 작동한다. 탄환 유도 레일(89)의 작용은 C형으로 탄창(71)이 구부려져 있어 한 개의 스프링으로는 탄창(71)에 원하는 량의 탄환(68)을 넣지 못하여 탄환 가이드(90,91) 2개와 스프링2(20)개가 탄창의 구부려진 굴곡 부분의 탄환 걸림도 해결 할 수 있으며 1차 탄환 가이드(90)와 2차 탄환 가이드(91)는 각각 꺽임각이 300도 이상 꺾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20(A)는 탄창(71)과 탄창 탈, 부착 버튼(93)을 보인 부분 단면도로 총기 탈, 부착버튼(93)이 양쪽에 위치하고 버튼(93)과 탄창 결합부(79)의 방향이 탄창의 탄피 배출구(78)의 방향으로 위치하는 이유는 탄창(71)이 총기의 몸통에 탄창 결합부(79)와 맞물림이 일치가 되지 않으면 탈, 부착 버튼(93)이 작동을 하지 않고 탄창이 빠지게 하기 위해서이고 버튼(93)이 두 개가 위치하는 것은 수동 사격 시 탄창을 손으로 잡아야 하기 때문에 총기의 진동이 탄창으로 전달되기 때문이며 (B)의 탈, 부착 버튼(93)은 총기의 몸통 우측에 스프링(20)을 끼우고 고정핀(18)으로 고정한다.
도21(A)는 본 총기에 사용되는 소음기로 소음 제거구(98) ,총열 쪽으로 탄두(72)를 따라 나온 가스가 역류하여 가스 활대로 다시 들어가 노리쇠 후퇴를 돕는 역할을 하는 가스 활대 가스 흡입구(96),총을 발사 할 때 생기는 화염을 방지하는 화염 방지구(94)가 위치하며 총기 소음기 역할은 탄환이 발사 될 때 생기는 가스와 화염은 고온 고압이며 배출 속도도 거의 음속에 달할 정도이므로 대기에 바로 방출되면 급격히 팽창되어 굉장한 폭음을 내게 되는데 이 폭발음을 줄이지 않으면 테러 진압 대원의 고막 파손과 진압을 하지 못 하므로 진압 요원은 총기 부착 쪽에 무전기 이어폰 착용을 하며 이 폭발음을 막기 위하여 소음기 원통 내부에 칸막이를 한 후 소음기 총열 내부에 작은 구멍(97)을 두어 가스와 화염 이 이 구역을 지날 때 압력의 간섭, 음파의 간섭 등을 받게 하므로 소음기 밖으로 배출되는 소음은 거의 대기압과 같아져 소음을 줄 일수 있으며 소음기 안에는 강선이 설치되지 않으며 소음기 안에는 용적에 맞는 량의 유리 솜을 사용하며 화염은 소염기 앞쪽에 설치된 3칸의 화염 방지구(94)에서 소음기 안으로 들어온 화염이 제거되는 역할을 한다.
도21(B)는 총열과 가스 활대를 보인 외형 도로 총기의 강선은 총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소총 제작 시에는 6조,7조 강선을 사용하고 본 총기의 강선은 4조 우선을 채택하고 탄환(68)의 화약 량도 작게 하여 최대한의 충격 발생을 억제하며 이 총기는 근접사격을 주로 하지만 소총 제작 시에는 소음기가 없어지고 도32(A)의 소총 소염기(141)가 장착된다. 본 총기의 가스 활대(64)는 절반이 분리되는 볼트, 너트식 가스 활대로 양쪽에는 반대 방향으로 돌려지는 볼트 산이 가공되어 소음기 분리시 사용된다.
도22(A)는 본 총기에 사용되는 냉각판(99)으로 단발, 연발 사격 시 발생되는 총열(77), 가스활대(64)열, 소음기(95) 열을 냉각하는 판으로 공냉식이며 주로 총기 회전시 발생되는 공기와 이동 중에 발생되는 공기가 냉각판(99)에 파진 냉각구(100)로 공기 흐름이 유도되어 총기가 냉각되며 진압 대원의 목과 머리, 귀부분의 화상을 막을 수 있으며 진압 대원은 진압 시 헬멧을 착용하고 또한, 냉각판(99) 분리 시에는 도23(A)의 냉각판 고정 구멍(44)에 볼트로 고정된 냉각판(99) 볼트를 풀고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빠진다.
도22(B)는 본 총기에 사용되는 소음기(95) 외형 도로 도21(A)의 소음기(95)와 같으며 총기에서 소음기를 분리하는 방법은 1단계로 냉각판(99)을 분리하고 가스 활대(64)를 특수 연장을 사용 좌측으로 돌리면 총기 쪽으로 가스 활대(64)가 장착 위치보다 들어가게 되면 가스 활대를 반으로 분리하기 위해 가스 활대(64) 양쪽을 각각의 공구로 잡고 반대로 돌리면 반으로 분리가 된다. 2단계로 소음기(95)를 손으로 잡고 좌측으로 돌리면 총열(77)과 소음기(95)가 분리되며 조립은 역순으로 하면 된다.
도23(A)는 총기 몸통(46)의 1차 충격 흡수 장치 위치의 부분 외형 도로 사격 시 생기는 어깨 부착대(145)와의 총기와의 충격을 1차 흡수하는 장치(102)로 주로 총기가 후퇴 할 때의 충격을 맡아서 하며 1차 충격 흡수 장치의 부속품은 (B)의 1차 충격 흡수 장치 덮개(103), 1차충격 흡수 장치 덮개 고정 핀(18), 1차 충격 흡수 장치 스프링 고정 구멍으로 1차 충격 흡수 장치에는 2개의 스프링이 고정 홈에 끼워지고 덮개(103)가 씌워지고 이것을 고정 핀(18)으로 총기의 몸통에 고정한다.
도24(A)는 2차 충격 흡수 장치를 보인 외형 도로 3차 충격 장치를 부착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2차 충격 흡수 장치(106)는 총기 사격 시에 발생되는 총기 의 상, 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총기의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 고무(107)가 부착되어 있다.
도24(B)는 3차 충격 흡수 장치로 2차 충격 흡수(106) 장치에 연결되어 사격 시 발생되는 뇌리쇠 뭉치(9)의 후퇴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로 총기 몸통 덮개(83) 중간 부분에 부착되고 3차 충격 흡수 장치 소형 완충기(109)는 스프링(20)과 유압유가 밀봉되는 방식으로 2개의 완충기(109)가 3차 충격 흡수 장치 결합구(110)와 결합이 되면 ㅈ 자의 구조로 결합이 되고 이 결합은 2차 충격 흡수 장치 후미와 다시 결합된다.
도25(A)는 2차 충격 흡수 장치(106)와 좌, 우 회전 기어(111) 장치가 결합되고 상, 하 회전 모터(122)가 결합된 좌측 면도로 2차 충격 흡수 장치가 사격 중이거나 진압대원이 뛸 때 발생되는 진동으로 총이 상하로 움직 일수 있는데 이런 총기 움직임이 발생되면 기어 스토퍼(112)가 작동되어 총기를 상하로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 (B)의 기어 스토퍼(112)는 기어(111) 대비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한 개씩 설치가 된다.
도26(A)는 기어 스토퍼(112)는 정상적으로 모터가 회전 할 때는 작동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규정치 이상의 압력이 스토퍼 기어(120)에 전달이 되면 스토퍼 기어는 스토퍼 기어 가이드(113)와 함께 기어 가이드 레일(117)을 따고 내려가면서 스토퍼 기어 정지 턱(116)에 걸리면서 기어가 정지되는 원리로 2차 충격 흡수 장치(106)의 기어를 고정시켜 달리면서도 사격을 할 수 있게 되고 규정 이상의 압력이 없어지면 정상적으로 작동이 된다. 또한, 스토퍼(112)가 채워지는 상황에서 상, 하 모터(122)가 작동되면 자동으로 스토퍼(112)가 해제되고 (B)의 스토퍼 고정부(118)는 도29(A)의 좌우 회전 기어 장치에 부착된다.
도27(A)는 본 총기에 사용되는 상, 하 회전용 모터(122)로 도29(A) 좌, 우회전 기어장치(130)에 볼트로 고정되어 지휘 통제 소에서 조정하는 대로 모터(122)가 회전하며 총기를 상하 90도 이상 움직 일수 있게 한다.
도27(B)는 상,하 좌, 우 회전 모터를 분리한 모습으로 모터 앞 부분은 링 기어(124)가 내장되고 중간에는 기어 고정판(129)이 있으며 모터에 부착된 주 기어(126)와 중간에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125) 와 선 기어(123)가 있어 모터에 적은 전압의 힘으로도 총기를 움직 일수 있어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으나 평상시 회전 속도는 늘이나 조정 손잡이(159)의 움직임이 빨라지면 모터 회전수도 빨라진다.
도28(A)는 본 총기에 사용되는 좌, 우 회전 모터(127)로 도30의 1차 연결부(136)에 측면에 부착되어 총기를 좌우 360도 회전시킬 수 있으나 진압 대원의 몸에 방해를 주지 않는 각으로 조정하는 사람이 현장을 살피면서 움직인다.
도28(B)는 소총형 구동 모터(128)로 상, 하 좌, 우 같은 모델로 사용되며 볼트 고정구(44)가 4개가 있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도29(A)(B)는 좌, 우 회전 기어 장치(130)와 1차 충격 흡수 장치 고정핀(134),총기 고정핀(133) 부속품을 보인 부분 조립 도와 온 단면도로 좌, 우 회전 기어(111)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총기가 부착되는 곳이며 부착된 총기를 좌, 우 회전 시킬 수 있게 하는 기어가(111) 있으며 도30(A) 1차연결부(136)와 결합되고 화상 발신기에 투입되는 전기선도 기어 장치의 중심부(128)로 들어간다.
도30(A)(B)는 총기의 어깨 부착대(145)와 총기 부착이 시작되는 연결부(136)로서 도29(A)와 결합되는 한편, 좌, 우 회전 모터(127)를 부착 할 수 있으며 총기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4차 충격 흡수 장치가 결합되는 1차 연결부(136)의 외형 도와 온 단면도로 4차 충격 흡수 고무(138)를 잡아 주는 볼트(137)3개가 결합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B)의 볼투 구멍(44)은 유선으로 가공되어 진압 대원이 뛰거나 벽 등에 총기가 접촉 시 좌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유선 처리된다.
도31(A)는 어깨 부착대(145)와 연결되는 1차 연결부(136) 평면도로서 좌, 우 회전 기어 장치(130)와 결합되는 구멍(135)이 있다. (B)의 4차 충격 흡수 고무(138)는 고정 볼트(137),고정 너트(139),너트 고정 핀(140)으로 결합되며 이 볼트는 1차 연결부(136)에서 삽입되고 1차 연결부(136)와 어깨 부착대(145) 상단에 고무(138)가 들어가고 이 고무 중앙으로 볼트(137)가 들어가면 어깨 부착대에서 너트(139)로 고정시키고 너트 고정핀(140)을 채워 너트가 충격으로 인해 풀리는 것을 막았다.
도32(A)는 본 고안이 적용된 소총에 장착되는 소염기(141)로 가스 배출구(142)가 좌우 측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32(B)는 본 총기를 어깨 부착대(145)와 분리하기 위한 분리핀(143)으로 도29(A)의 분리 핀 고정 구멍(132)에 삽입되어 일단 유사시는 테러 진압 대원이 검지로 분리핀(143)을 잡아 당겨 총기와 어깨 부착대(145)를 분리시킬 수 있으며 분리핀 걸이(144)는 이동시에 발생되는 핀의 소음을 없애기 위해 핀은 걸이에 항상 부착시킨다.
도33은 어깨 부착대(145) 외형 도이며 어깨 부착대의 역할은 총기를 진압 대원의 어깨에 부착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어깨 부착대(145)는 양쪽으로 벌려 착용 할 수 있으며 4차 충격 흡수 장치 볼트 구멍(44) 3개가 가공되며 또한, 주 전원 통과 구멍(146)이 중앙에 위치한다.
도34는 어깨 부착대(145)의 금속 부분만을 도시한 외형 도로 어깨 부착대 충격 흡수 고무 밀착구(149)와 멜빵 부착구(148)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35는 어깨 부착대(145)의 충격 흡수 고무(147)로 4차 충격 흡수 장치 너트(139)를 감추는 기능과 함께 충격을 흡수하는 구멍(44)이기도 하며 구멍이 3개 있고 중앙에는 배터리(162) 주 전원 선이 통과하는 구멍(150)이 있으며 충격 흡수 고무(147)는 접착제를 이용해 부착한다.
도36(A)는 본 원리가 적용된 소총용 삼각 받침대(151)로 중앙에는 총기의 무게를 최대한 지지 할 수 있는 무게추(152)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삼각대에는 볼트 고정과 심을 박을 수 있도록 구멍(44)이 있다.
도36(B)는 보안을 요구하는 경비 구역에 총기를 설치하기 위한 벽면 부착대(154)로 벽면에 볼트로 고정하면 되고 이 고정대(154)에 총기를 부착하여 사용하면 된다.
도37(A)(B)는 본 총기를 작동하는 원리 도로 총기를 장착한 테러 진압 대원이 배터리(162) 잭(165)을 연결하면 화상 발신기(1)에서 테러 진압 현장의 화상을 지휘 통제 차량(157)으로 보내면 지휘 통제 차량에 설치된 모니터(158)를 통해 현장 상황을 살피면서 사격 상황이 발생되면 지휘소 에 설치된 도37(B)의 총기 조정 손잡이(159)를 움직이면 이 신호는 다시 화상 발신기 안테나(2)로 수신되어 통제 소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사격 시에는 조정 손잡이(159) 안전장치(160)를 잡아당기고 발사버튼(161)을 누르면 테러 진압 대원의 어깨에 장착된 총기가 발사된다. 또한 ,조정 손잡이(159)는 안전 장치(160)를 누르지 않으면 발사 버튼(161)이 작동이 되지 않는다.
도38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총기에 모든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62)로 충전식이며 이 배터리로 공급되는 전원(163,164)은 화상 발신기(1) 작동, 상, 하, 좌, 우 회전 모터 (122,127)작동, 솔래노이드 스위치식 방아쇠(49)를 작동 할 수 있게 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62) 이다.
도39(A)는 어깨 부착용 무선 총을 테러 진압 대원에 부착하는 방법 도로 어깨 부착대(145) 멜빵 부착 홈(148)에 멜빵이 끼워져 가슴부터 배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으로 멜빵이 몸을 감싸며 멜빵은 탄력이 있는 재질로 길이 조정이 가능하며 분리 시는 탈, 부착 장치(168)를 이용 분리하고 배터리(162)는 멜빵에 부착한다.
도39(B)는 본 총기의 작동 원리 일부가 적용된 총기로 테러범이 차량 요구 시 차량에 향수 분사기로 위장하여 장착되는 소형 총기로 화상 발신기(174),발신기 안테나(175)가 보이고 총열은 위장 필름으로 가려져 외부에서는 보이지 안고 향수 분사구(170)는 소량의 향수 냄새가 나며 탄창은 도넛 모양으로 15발 장착이 되며 방아쇠는 솔래노이드 스위치식 방아쇠가 아닌 모터식 방아쇠로 좌우 270도 회전 상하40도를 움직일 수 있으며 사용되는 전원은 차량에서 공급받으며 탄환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화상 발신기(1)가 총기와 결합되어 화상을 발신하고 그 화상을 이용 총기를 조정하고 발사 할 수 있도록 하므로 써 , 이 총기의 화상 발신기(1)와 무선 조정 모터(122,127)가 사용된 작동 원리를 이용 어깨 부착대에 총기를 제외한 화상 발신기, 무선 조정 모터와 추가 부속품만을 장착하여 군인과 경찰, 민간 경비 업체, 금융 기관의 경비에 쓰일 수 있으며 컴퓨터와 연결하여 한 명의 모니터 감시 요원이 여러 명의 화상을 관리할 수 있고 화상 내용을 저장할 수 있어 해외로 수출 시에는 국익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음.

Claims (1)

  1. 화상을 발신하고 모터 회전각 수신, 솔래노이드 스위치(49)식 방아쇠를 작동하게 하는 화상 발신기(1)가 총기와 결합되어 무선 조정 총을 작동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어깨 부착형 무선 조정 총에 있어서, 상기 어깨 부착형 무선 조정 총에는 화상 발신기(1)에서 보내 온 화상을 통제 소나 통제 차량에서 설치된 모니터(158)를 보며 무선 총기 조정 손잡이(159)를 조정하면 이 신호는 다시 총기에 부착된 화상 발신기 안테나(2)로 보내지고 화상 발신기 안에 설치된 모터 제어 센서를 작동하여 모터(122,127)에 조정 손잡이가 움직이는 각 만큼 모터도 움직이며 조정 손잡이에 부착된 총기 발사 버튼(161)을 누르면 이 신호도 화상 발신기에 수신(2)되고 다시 솔래노이드 스위치식 방아쇠(49)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무선으로 총기를 발사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 부착용 무선 조정 총
KR2020000027568U 2000-10-02 2000-10-02 어깨 부착용 무선 조정 총 KR200216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568U KR200216860Y1 (ko) 2000-10-02 2000-10-02 어깨 부착용 무선 조정 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568U KR200216860Y1 (ko) 2000-10-02 2000-10-02 어깨 부착용 무선 조정 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860Y1 true KR200216860Y1 (ko) 2001-03-15

Family

ID=73089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568U KR200216860Y1 (ko) 2000-10-02 2000-10-02 어깨 부착용 무선 조정 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8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194B1 (ko) * 2009-07-06 2012-02-22 주식회사 아이디폰 저격수의 사격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44526A (ko) * 2021-04-20 2022-10-27 성광하이테크(주) 유도가열 방식을 이용하여 연속 발사가 용이한 에어소프트 게임용 에어소프트 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194B1 (ko) * 2009-07-06 2012-02-22 주식회사 아이디폰 저격수의 사격 통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44526A (ko) * 2021-04-20 2022-10-27 성광하이테크(주) 유도가열 방식을 이용하여 연속 발사가 용이한 에어소프트 게임용 에어소프트 건
KR102464619B1 (ko) 2021-04-20 2022-11-09 성광하이테크(주) 유도가열 방식을 이용하여 연속 발사가 용이한 에어소프트 게임용 에어소프트 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9911A (en) Grenade launcher attachment for infantry weapon
US8701325B1 (en) Duplex weapon system
US10359259B2 (en) Gun frame and gun with additional features
US9618298B2 (en) Methods and devices relating to firearms
US200502412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ed magazine capacity for a firearm
US8091264B2 (en) Firearm with underarm gun stock
US20030106545A1 (en) Non-lethal handgun
US7802509B2 (en) Tactical utility pole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70163164A1 (en) Holster for carrying or wearing smallarms
US20110072956A1 (en) Tactical Utility Pole and Door Mount System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5479736A (en) Augmented service pistol and ammunition weapons system
US9989335B2 (en) Device with multiple selectable less-lethal options
US20070151551A1 (en) Non-lethal hand pistol
CN109737808B (zh) 一种电击防暴枪
RU2571837C2 (ru) Двухсредовое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снайперское оружие и патроны для стрельбы из оружия кущенко в.а.
KR200216860Y1 (ko) 어깨 부착용 무선 조정 총
CN107514933B (zh) 一种无人机手榴弹投弹装置
RU2717112C1 (ru) Огнестрельное оружие с ходом ствола вперед
ES2257659T3 (es) Metodo y dispositivo para el lanzamiento de proyectiles de vuelo libre.
RU2211428C1 (ru) Хорошо сбалансированный пистолет /варианты/
RU273301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водной стрельбы из стрелкового оружия
CN203964788U (zh) 投掷式缉捕网
US10234222B2 (en) Single 40 mm projectile launcher
CN212058482U (zh) 绳索远程抓捕装置
RU2802095C1 (ru) Оружейная платфор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