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639Y1 -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 - Google Patents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639Y1
KR200216639Y1 KR2020000022638U KR20000022638U KR200216639Y1 KR 200216639 Y1 KR200216639 Y1 KR 200216639Y1 KR 2020000022638 U KR2020000022638 U KR 2020000022638U KR 20000022638 U KR20000022638 U KR 20000022638U KR 200216639 Y1 KR200216639 Y1 KR 200216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ipe
pipes
inclined cross
pipe assembly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근
Original Assignee
이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근 filed Critical 이창근
Priority to KR2020000022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6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639Y1/ko

Link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바깥쪽 모서리는 부드럽게 처리되고 안쪽 모서리는 거의 직각으로 처리된 기역자 파이프 접합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접합체는 직각 모서리를 갖는 특정 물체를 감싸면서 그 물체를 장식 또는 보호하거나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사람이나 다른 물체가 상기 바깥쪽 모서리에 부딪히는 경우 상처 또는 손상을 받지 않도록 고안된 것이다. 상기 파이프 접합체는, 각각 45°이하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진 끝단부를 포함하는 2 개의 금속파이프를 접합하여 제조된다.

Description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 {Rectangular Metal Pipe Couplar}
본 고안은 기역(ㄱ)자 파이프 접합체, 특히,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바깥쪽 모서리는 완만하게 처리되고 안쪽 모서리는 거의 직각으로 처리된 기역자 파이프 접합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역자 파이프 접합체는, 주로 직각 모서리를 갖는 특정 물체를 감싸면서 그 물체를 장식 또는 보호하거나, 또는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종래에 이와 같이 기역자로 꺽인 금속파이프 접합체는, 직선의 금속파이프를 단순히 직각으로 구부려 형성하거나, 또는 직선 파이프를 45°각도로 절단한 후, 이들 45°각도로 잘린 두 개의 파이프 단편을 서로 직각으로 맞댄 후 이를 용접하여 제작한 것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전자의 방법에 따라 제작되는 기역자 금속파이프의 경우,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금속파이프의 두께로 인하여, 구부려지는 파이프 안쪽 부분의 각도가 90°에 가깝게, 즉 직각으로 처리되지 않고 둥글게 처리되었던 반면, 후자의 방법에 따라 제작되는 기역자 금속파이프의 경우에는, 안쪽 모서리가 거의 90°각도로 처리될 수 있는 반면 바깥쪽 모서리 또한 거의 90°각도로 처리되어, 바깥쪽 모서리가 뾰족하게 처리되어 여기에 사람이나 물체가 부딪히는 경우 상처 또는 손상을 받을 염려가 있었다.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후자의 금속파이프의 제조시에는, 날카로운 바깥쪽 모서리를 줄 등으로 갈아서 둥글게 처리하여 제작할 수 있었으나, 이 경우 둥글게 갈아낼 수 있는 범위는 금속파이프의 두께에 해당하는 부분 만큼으로 제한되어,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하는 과정에서 파이프에 구멍이 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충분히 완만한 모서리를 제작하기가 어려웠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라서는, 거의 직각인 내부 모서리와 완만하게 처리된 외부 모서리를 갖는 기역자의 금속파이프 접합체를 제조하는 것이 어려웠으며, 이는 또한 파이프를 구성하는 금속 재질의 두께에 의존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는, 안쪽 모서리는 직각으로 처리되고 바깥쪽 모서리는 완만하게 처리된 기역자의 금속파이프 접합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특히, 파이프를 구성하는 금속 재질의 두께에 무관하게, 직각인 내부 모서리와 완만한 외부 모서리를 가지는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 기술에 따라 제작한 기역자 금속파이프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제작한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4a는 각각 45°이하의 a 및 b 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 단면을 가지는 두 개의 파이프를 그들 경사 단면 중 짧은쪽 끝단(1)을 접촉시켜 두 파이프 사이의 각(c)이 직각이 되도록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서 나타낸 두 파이프의 바깥쪽의 뾰족한 끝단 부분을 구부려 그들 끝단부가 서로 맞닿게 하여 연결한 상태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장식 및 지지 효과를 갖도록, 직각 모서리를 갖는 의자 주위로 본 고안에 따르는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를 포함하는 금속파이프 프레임을 설치한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로서, 특히 원 안이 본 고안에 따른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뾰족한 끝단 2: 짧은쪽 끝단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적어도 한 끝단이 45°이하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 단면을 포함한 적어도 일부가 직선인 금속파이프를 두 개 이상 마련하고,
상기 금속파이프 중 두 개를 각각의 상기 경사 단면 중 뾰족한 끝단을 그들 각각의 파이프 내경의 중심 쪽으로 구부려, 파이프 사이의 각이 거의 직각이 되도록 두 파이프의 경사 단면의 뾰족한 끝단 및 짧은쪽 끝단들을 각각 서로 접촉시킨 후,
상기 접촉된 양 끝단 사이의 경사 단면의 벌어진 틈을 용접에 의하여 연결하므로써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직선 금속파이프를 대략 45°의 각도로 잘라 서로 직각으로 맞붙여 용접하는 것이 아니라, 45°이하의 각도, 바람직하게 각각 40°내지 42°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 단면을 가지는 두 개의 파이프를 서로 맞붙여 제조되는 것이다.
연결하고자 하는 두 파이프 끝단의 경사 단면의 각도가 모두 45°이하인 경우에는, 이들 경사 단면을 그대로 서로 접촉시키면 두 파이프 사이의 각도는 90°보다 커진다. 그러므로, 두 파이프 사이의 각도를 90°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두 파이프의 경사 단면 중 뾰족한 끝단들을 각각 그들 파이프 내경의 중심 쪽으로 구부린 후, 이들 두 파이프의 구부러진 뾰족한 끝단들과 경사 단면의 짧은쪽 끝단들을 각각 서로 접촉시킨 후, 접촉된 양 끝단 사이의 경사 단면의 벌어진 틈을 용접함으로써 두 개의 파이프를 완전히 연결할 수 있다. 이로써, 본 고안은 안쪽 모서리는 직각으로 처리되고 바깥쪽 모서리는 완만하게 처리된 기역자의 금속파이프 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접합될 두 파이프의 단면은 각각 40°내지 42°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며, 두 파이프의 경사 단면 중 적어도 하나는 41°의 경사각을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두 파이프의 경사 단면의 각도가 모두 41°인 경우이다. 그러나, 경사 단면의 각도는 반드시 상기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접합될 파이프의 두 경사 단면이 동일한 경사각을 가져도 좋고, 두 개의 파이프가 각각 상이한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 단면을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서, 접합될 두 파이프 경사 단면의 뾰족한 끝단들은 망치 등으로 두드리거나 또는 제작하는 과정에서 처음부터, 금형에 의해 파이프 내경의 중심쪽으로 약간 구부러진 형태로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제작될 수 있는 기역자의 금속파이프 접합체는 강(鋼), 동(銅),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및 이들의 합금 등, 종래 금속파이프로서 사용될 수 있는 어떠한 재질의 것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 및 본 고안에 따라 제조되는 금속파이프 접합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 기술에 따라 제작한 기역자 금속파이프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은, 특히 직선 파이프를 단순히 구부려 제작한 기역자 금속파이프의 길이 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으로부터, 단순히 파이프를 구부려 기역자의 금속파이프를 제작하는 경우, 파이프의 두께로 인하여 안쪽 부분의 각을 직각으로 형성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2 는, 직선의 금속파이프를 약 45°의 각도로 절단한 후 서로 직각으로 맞붙혀 용접하여 연결한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금속파이프 접합체는, 바깥쪽 모서리가 뾰족하게 처리됨을 알 수 있고, 뾰족한 바깥쪽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하기 위하여 모서리를 줄 등으로 가는 것은, 파이프의 두께에 의하여 제한됨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제작한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라 제조된 금속파이프 접합체는 안쪽은 거의 직각을 유지하면서, 바깥쪽 모서리는 적절히 완만하게 처리됨을 알 수 있다.
도 4a는 각각 45°이하의 a 및 b 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 단면을 가지는 두 개의 파이프를 그들 경사 단면 중 짧은쪽 끝단(1)을 맞대어 두 파이프 사이의 각(c)이 직각이 되도록 배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서 연결되지 않은 두 파이프의 바깥쪽의 뾰족한 끝단(2) 부분을 구부려 그들 끝단부가 서로 맞닿도록 하여 연결한 상태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각 a 및 b 는 각각 45°이하의 각이며, 바람직하게는 40°내지 42°사이의 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두 41°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 a 및 b 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 단면을 한 끝단에 포함하는 두 개의 금속파이프는, 그들 경사 단면 중 짧은쪽 끝단(1)을 서로 접촉시켜 파이프 사이의 각(c)을 직각으로 배치시키면, 두 파이프 경사 단면의 뾰족한 끝단(2) 부분들은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파이프를 직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파이프의 각 경사 단면 중 뾰족한 끝단을 경사 단면의 짧은쪽 끝단(1) 쪽, 즉 파이프 내경의 중심 쪽으로 각각 구부린 후, 이들 두 파이프의 구부러진 뾰족한 끝단(2)들과 짧은쪽 끝단(1)들을 각각 서로 접촉시키고, 접촉된 양 끝단 사이의 경사 단면의 틈을 용접에 의하여 연결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바깥쪽 모서리는 완만하게 처리되고 안쪽 모서리는 직각으로 처리된 본 고안에 따른 기역자의 금속파이프 접합체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기역자의 금속파이프 접합체를 포함하는 금속 프레임을 장착한 의자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상기 도면 중 원 안에 나타낸 것은 본 고안에 따른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역자의 금속파이프 접합체는, 직각 모서리를 갖는 가구 등의 장식 및 지지 효과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의 용도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내부의 직각 모서리와, 외부의 완만하게 처리된 모서리가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고안에 따른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는, 안쪽 모서리는 직각을 유지하여 그것이 감싸는 물체의 직각 모서리와 충분히 밀착되고, 바깥쪽 모서리는 완만하게 처리되어 사람이나 물체가 그 곳에 부딪히는 경우 큰 상처나 손상을 피할 수 있으며, 또한 외관적으로도 미려하다.
본 고안에 따른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는 또한, 파이프의 두께에 거의 의존하지 않으면서, 용이한 방법에 의하여 내부 모서리는 직각을 유지하고 외부 모서리는 완만하게 처리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고안의 금속파이프 접합체는, 직각 모서리를 가지는 의자나 침대와 같은 가구의 외관에 장착되어 장식 효과 또는 그들 가구를 지지하는 효과를 가지도록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난간 등의 모서리에도 안전한 구조로서 채택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당업자는 본 고안의 취지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본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고안을 용이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적어도 한 끝단이 45°이하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 단면을 포함한 적어도 일부가 직선인 금속파이프를 두 개 이상 마련하고,
    상기 금속파이프 중 두 개를 각각의 상기 경사 단면 중 뾰족한 끝단(2)을 그들 각각의 파이프 내경의 중심 쪽으로 구부려, 파이프 사이의 각이 거의 직각이 되도록 두 파이프의 경사 단면의 뾰족한 끝단(2) 및 짧은쪽 끝단(1)들을 각각 서로 접촉시킨 후,
    상기 접촉된 양 끝단 사이의 경사 단면의 벌어진 틈을 용접에 의하여 연결하므로써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바깥쪽 모서리는 완만하게 처리되고 안쪽 모서리는 거의 직각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파이프의 경사 단면의 각각의 경사각은 40°내지 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파이프의 경사 단면의 경사각 중 적어도 하나는 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
  5. 제 1 항에 있어서, 강(鋼), 동(銅),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
KR2020000022638U 2000-08-09 2000-08-09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 KR200216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638U KR200216639Y1 (ko) 2000-08-09 2000-08-09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638U KR200216639Y1 (ko) 2000-08-09 2000-08-09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639Y1 true KR200216639Y1 (ko) 2001-03-15

Family

ID=73057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638U KR200216639Y1 (ko) 2000-08-09 2000-08-09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6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1092A1 (en) Seamless bend tube, weld joint with seamless straight tube, and method of producing them
KR970705452A (ko) 내부 증진된 용접 튜브 제조 방법 및 장치(Manufacture of internally enhanced welding tubing)
KR200216639Y1 (ko) 기역자 금속파이프 접합체
JPH07503411A (ja) 管状部品の製造方法
RU2003132554A (ru) Тройник для подсоединения переходного патрубка к магистральному трубопроводу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го тройника
SE8803344D0 (sv)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t rippen versehenen wermetauscherrohres
KR910005174Y1 (ko) 배관용 보온재 커버의 몰딩부재
JP4004451B2 (ja) 2ピースフルデザインホイール
JP3336925B2 (ja) 管端厚肉鋼管の製造方法
JP3605716B2 (ja) 螺旋波形管エルボとその製造方法
JP2868750B1 (ja) 分岐管の接続構造
JPH0439510Y2 (ko)
JP2001041365A (ja) スタブエン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125590A (ja) 配管接続方法
CA2356750A1 (en) Method for joining spiral wound pipes
JP2010120066A (ja) 管端フランジの成形方法
WO2001070426A3 (de) Verwendung von rohren aus titanzink nach en 988 und biege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ohrbögen
JP3111645U (ja) ホース継手の締付構造体
JPS5927652B2 (ja) ねじなしカップリングの加工方法
WO2018036366A1 (zh) 一种复合管的接口结构及管组件
KR19990080807A (ko) 접속부에 조인트 홈을 갖는 엘보우의 제조방법
JP2514560B2 (ja) 曲尺の製造方法
RU2223688C1 (ru) Каркас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JP2002283057A (ja) 焼結材溶接継手とそれを用いる溶接方法
JPH0857534A (ja) 異なる熱膨張率を持つ異種金属多重管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