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518Y1 - 수도관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수도관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518Y1
KR200216518Y1 KR2020000030186U KR20000030186U KR200216518Y1 KR 200216518 Y1 KR200216518 Y1 KR 200216518Y1 KR 2020000030186 U KR2020000030186 U KR 2020000030186U KR 20000030186 U KR20000030186 U KR 20000030186U KR 200216518 Y1 KR200216518 Y1 KR 200216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iece
synthetic resin
water pipe
resin water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춘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합성관
황춘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합성관, 황춘달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합성관
Priority to KR2020000030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5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518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재생 프라스틱을 합성수지 수도관의 원료로 사용하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하여 상기 합성수지 수도관을 기존의 콘크리트 수도관과 동일한 구조로 하되, 상기한 합성수지 수도관을 연결하는 구조를 달리하여 작업성의 향상은 물론 작업시간도 큰폭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재생 프라스틱을 원료로 하여 만들어진 합성수지 수도관의 몸체(101) 일단에 상기 몸체의 내경(D2′)보다 더 큰 내경(D2″)을 갖는 연결편이 일체로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101)에 일체 형성된 연결편(102)의 내경부에는 원주를 따라 적어도 한개 이상의 연결편 홈(103)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1)의 연결편(102) 반대쪽 끝부분 외경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편 홈(103)과 동일한 갯수의 몸체 홈(104)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01)에 형성된 몸체 홈(104)에는 몸체(101)의 외경보다 더 튀어나오도록 링형상을 갖는 패킹(105)이 끼워지고, 상기 패킹중 몸체 외경보다 튀어나온 부분은 연결편(102)쪽 면이 수직이고 그 반대쪽 면이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더 얇아지게 경사진 형태를 이루며, 상기 몸체(101)에 일체화된 연결편(102)의 내경부에는 박판의 링형상을 갖는 보조 패킹(106)이 끼워진 구조로 하여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01)의 연결편(102) 내경부로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01)의 연결편(102) 반대쪽 끝부분을 삽입할 때 상기 몸체 홈(104)에 끼워진 패킹(105)이 연결편 홈(103)에도 끼워짐에 따라 상기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과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이 연결되도록 함과 함께 그 연결부는 패킹(105) 및 보조 패킹(016)에 의해 실링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도관의 연결장치{coupling device of water pipe}
본 고안은 상수도 및 하수도용 관로로 사용되는 수도관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여러개의 수도관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도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관은 지하에 매설되어 상수 및 하수의 공급을 안내하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각종 생활오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통상 콘크리트를 원재료하여 만들어진 콘크리트 수도관(Hume pipe)이나 프라스틱을 원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합성수지 수도관(PVC pipe)으로 대별되고 있고, 실제 수도관을 지하에 매설시에는 수도관의 전체 길이가 너무 길므로 여러개의 수도관을 연결장치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연결장치를 갖는 콘크리트 수도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연결장치를 갖는 콘크리트 수도관을 나타낸 사용상태 종단면도로서, 일정한 길이(L)와 내경(D)을 갖도록 콘크리트로 성형된 몸체(1)의 일단에 상기 몸체(1)의 내경(D′)보다 더 큰 내경(D″)을 갖도록 연결편(2)이 일체화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의 콘크리트 수도관을 지하에 매설할 때에는 먼저 지면을 굴삭기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수도관이 매설될 깊이와 폭으로 일정길이를 파내어 요입부를 형성하는 작업을 선행하여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이후 상기 수도관이 매설될 요입부의 지면을 고른 다음 상기 요입부 내로 매설하고자 할 여러개의 콘크리트 수도관을 집어 넣고 각 콘크리트 수도관을 계속적으로 서로 연결하여야 하는데, 상기 각 콘크리트 수도관중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콘크리트 수도관을 연결장치에 의해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콘크리트 수도관중 하나의 콘크리트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의 일단 연결편(2)과 다른 하나의 콘크리트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의 연결편(2) 반대쪽 다른 일단을 서로 근접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나의 콘크리트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의 연결편(2) 내경부로 다른 하나의 콘크리트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의 연결편(2) 반대쪽 다른 일단부를 삽입한다.
이후 상기 콘크리트 수도관의 연결부인 연결편(2)과 몸체(1) 사이의 틈새를도 2와 같이 모래와 시멘트가 물에 의해 혼합되어 만들어진 몰타르(3)로서 때우면, 상기 연결부가 실링되면서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콘크리트 수도관이 연결 완료 되는데, 상기 콘크리트 수도관의 연결시 그 연결부를 몰타르(3)로서 때워주는 것은 콘크리트 수도관의 매설 완료 후 상수 및 하수가 상기 콘크리트 수도관의 안내를 받아 공급될 때 그 공급되는 물의 일부가 연결부를 통해 누수되거나 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콘크리트 수도관에 있어서는 수도관 자체의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운반 및 시공 과정에서 외부적인 힘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시공 과정에서 여러 콘크리트 수도관을 연결할 때 그 연결부의 실링을 위해 몰타르(3)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작업시간도 길어져 갈수록 콘크리트 수도관의 사용이 줄어들고 있는 실정에 있다.
도 3은 종래 연결장치를 갖는 합성수지 수도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 연결장치를 갖는 합성수지 수도관을 나타낸 사용상태 종단면도로서, 이러한 합성수지 수도관은 콘크리트 수도관과 달리 일정한 길이(L1)와 내경(D1)을 갖도록 합성수지로 성형된 몸체(11)로 만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각 합성수지 수도관의 연결은 연결밴드(12)와 상기 연결밴드를 조여주는 볼트(13) 및 너트(14)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의 실링은 신축성이 있는 실링부재(15)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1)의 두께는 콘크리트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의 두께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두께를 얇게 하더라도 재질인 프라스틱 자체의 특성으로 인해 강도면에서는 기존의 콘크리트 수도관에 비해 훨씬 더 강하므로 운반 및 시공 과정에서 외부적인 힘이 가하여 진다고 하더라도 상기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1)가 파손되거나 하는 일이 없고, 상기 몸체의 두께가 얇아진 만큼 원재료의 사용량도 줄어들므로 원재료의 구입에 따른 비용을 그만큼 줄일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그럼 여기서 여러개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연결밴드(12)와 볼트(13) 및 너트(14)에 의해 연결하여 주고 그 연결부를 실링부재(15)로서 실링하여 주는 일련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굴삭기에 의해 지면을 파서 형성한 요입부 내로 매설하고자 하는 여러개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집어 넣은 상태에서 상기 각 합성수지 수도관을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면 되는데, 이때에는 먼저 연결밴드(12)의 안쪽으로 신축성 재질로 된 실링부재(15)를 끼운 다음 상기 실링부재가 끼워진 연결밴드(12)를 서로 연결하여야 할 마주보는 두 합성수지 수도관의 몸체(11)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합성수지 수도관의 몸체(11)를 연결밴드(12)를 향해 밀어주면 어느 순간 두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1)는 서로 마주보는 연결밴드(12)쪽 끝단 부분이 실링부재(15)에 감싸여진 상태가 되면서 연결밴드(12) 내로 끼워지고,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합성수지 수도관의 몸체(11)가 연결밴드(12) 내로 끼워짐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그 마주보는 끝단이 서로 근접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연결밴드(12)를 볼트(13)와 너트(14)로서 조여주게 되면 상기 연결밴드(12)가 실링부재(15)의 전부분을 몸체(11) 쪽을 향해 가압시켜 주므로 결국 상기 실링부재(15)가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두 몸체(11)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켜 주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가 실링된 상태로 하여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합성수지 수도관은 도 4와 같이 연결 완료된다.
따라서 합성수지 수도관이 지하에 매설된 상태에서 상수 및 하수의 공급을 안내하는 관로로 사용할 때 상기 합성수지 수도관 내의 물이 연결부를 통해 외부로 누수되는 일이 없게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합성수지 수도관의 연결은 몸체(11)를 성형할 때 원재료인 프라스틱 원료가 재생용이 아닌 새로운 원료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원료 절감을 위해 상기 합성수지 수도관의 몸체(11) 두께를 콘트리트 수관의 몸체(1) 두께 만큼 필요 이상으로 두껍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합성수지 수도관의 연결장치를 콘크리트 수도관의 연결장치와 같은 구조로 하지 못하였고, 이에 따라 상기한 합성수지 수도관을 연결하는 연결장치가 매우 복잡하게 구성될 수 밖에 없었다.
즉, 두개의 서로 마주보는 합성수지 수도관을 연결할 때는 상기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1)를 실링부재(15)가 감싸도록 한 다음 연결밴드(12)를 볼트(13)와 너트(14)로서 일일이 조여야 만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합성수지 수도관이 실링부재(15)에 의해 실링된 상태로 연결되므로 기존 콘크리트 수도관이 안고 있는 작업성 저하의 문제점과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고, 또한 구성요소가 기존 콘트리트 수도관의 연결시 보다 더 많아지므로 수도관의 연결에 따른 비용이 과다 지출되는 새로운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재생 프라스틱을 합성수지 수도관의 원료로 사용하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하여 상기 합성수지 수도관을 기존의 콘크리트 수도관과 동일한 구조로 하되, 상기한 합성수지 수도관을 연결하는 구조를 달리하여 작업성의 향상은 물론 작업시간도 큰폭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연결장치를 갖는 콘크리트 수도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연결장치를 갖는 콘크리트 수도관을 나타낸 사용상태 종단면도
도 3은 종래 연결장치를 갖는 합성수지 수도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종래 연결장치를 갖는 합성수지 수도관을 나타낸 사용상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연결장치를 갖는 합성수지 수도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연결장치를 갖는 합성수지 수도관을 나타낸 사용상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몸체 102. 연결편
103. 연결편 홈 104. 몸체 홈
105. 패킹 106. 보조 패킹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형태에 따르면, 재생 프라스틱을 원료로 하여 만들어진 합성수지 수도관의 몸체 일단에 상기 몸체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연결편이 일체로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일체 형성된 연결편의 내경부에는 원주를 따라 적어도 한개 이상의 연결편 홈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연결편 반대쪽 끝부분 외경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편 홈과 동일한 갯수의 몸체 홈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 형성된 몸체 홈에는 몸체의 외경보다 더 튀어나오도록 링형상을 갖는 패킹이 끼워지고, 상기 패킹중 몸체 외경보다 튀어나온 부분은 연결편쪽 면이 수직이고 그 반대쪽 면이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더 얇아지게 경사진 형태를 이루며, 상기 몸체에 일체화된 연결편의 내경부에는 박판의 링형상을 갖는 보조 패킹이 끼워진 구조로 하여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의 연결편 내경부로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의 연결편 반대쪽 끝부분을 삽입할 때 상기 몸체 홈에 끼워진 패킹이 연결편 홈에도 끼워짐에 따라 상기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과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이 연결되도록 함과 함께 그 연결부는 패킹 및 보조 패킹에 의해 실링되도록 한 수도관의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5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 연결장치를 갖는 합성수지 수도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연결장치를 갖는 합성수지 수도관을 나타낸 사용상태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재생 프라스틱을 원료로 하여 일정한 길이(L2)와 내경(D2′)을 갖도록 만들어진 합성수지 수도관의 몸체(101) 일단에 상기 몸체의 내경(D2′)보다 더 큰 내경(D2″)을 갖는 연결편(10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01)에 일체 형성된 연결편(102)의 내경부에는 원주를 따라 적어도 한개 이상의 연결편 홈(103)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01)의 연결편(102) 반대쪽 끝부분 외경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편 홈(103)과 동일한 갯수의 몸체 홈(104)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01)에 형성된 몸체 홈(104)에는 몸체(101)의 외경보다 더 튀어나오도록 링형상을 갖는 패킹(105)이 끼워지고, 상기 패킹중 몸체(101) 외경보다 튀어나온 부분은 연결편(102)쪽 면이 수직이고 그 반대쪽 면이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더 얇아지게 경사진 형태를 이루며, 상기 몸체(101)에 일체화된 연결편(102)의 내경부에는 박판의 링형상을 갖는 보조 패킹(106)이 끼워진 구조로 하여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01)의 연결편(102) 내경부로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01)의 연결편(102) 반대쪽 끝부분을 삽입할 때 상기 몸체 홈(104)에 끼워진 패킹(105)이 연결편 홈(103)에도 끼워짐에 따라 상기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과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이 연결되도록 함과 함께 그 연결부는 패킹(105) 및 보조 패킹(106)에 의해 실링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연결장치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연결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로 마주보고 있는 합성수지 수도관중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01)의 일측에 일체화된 연결편(102)의 내경부로 박판의 링형상을 갖는 보조 패킹(106)을 일단 끼운 다음 상기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01)의 연결편(102) 내경부로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01)의 연결편(102) 반대쪽인 다른 일측을 삽입하면, 상기 몸체(101)에 일체 형성된 연결편(102)의 내경부에는 원주를 따라 적어도 한개 이상의 연결편 홈(10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01)의 연결편(102) 반대쪽 끝부분인 다른 일측 외경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편 홈(103)과 동일한 갯수의 몸체 홈(10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01)에 형성된 몸체 홈(104)에는 몸체(101)의 외경보다 더 튀어나오도록 링형상을 갖는 패킹(105)이 끼워져 있음을 감안할 때, 어느 순간 상기 패킹이 휘어지면서 몸체(101)에 형성된 몸체 홈(104)과 연결편(102)에 형성된 연결편 홈(103)이 서로 마주보게 근접되고, 상기 몸체 홈(104)과 연결편 홈(103)이 서로 마주보면서 근접되면 상기 패킹(105)중 몸체(101)의 외경보다 튀어나온 상태에서 휘어져 있던 부분이 대부분 복원되면서 연결편 홈(103) 내로 끼워져 들어가고, 이에 따라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합성수지 수도관이 패킹(105)에 의해 연결 완료되므로 필요 이상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다시 분리되거나 하는 일은 없다.
상기에서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01)의 연결편(102) 내경부로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01)의 연결편(102) 반대쪽 끝부분인 다른 일측을 삽입할 때 상기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01)의 몸체 홈(104)에 끼워져 있던 패킹(105)이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01)의 연결편(102)에 간섭 되지만 상기 패킹(105)중 몸체(101) 외경보다 튀어나온 부분은 연결편(102)쪽 면이 수직이고 그 반대쪽 면이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더 얇아지게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경사진 면에 의해 패킹(105) 또한 탄력적으로 원활히 휘어짐에 따라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01)의 연결편(102) 내경부로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01)의 연결편(102) 반대쪽 끝부분인 다른 일측이 비교적 원활히 삽입됨은 물론 상기 서로 마주보는 두 합성수지 수도관이 연결 완료된 상태에서는 연결편(102)의 내경부로 삽입되어 있던 몸체(101)의 다른 일측부가 다시 쉽게 분리되지 않음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01)의 연결편(102) 내경부로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01)의 연결편(102) 반대쪽 끝부분인 다른 일측이 삽입되어 서로 마주보는 두 합성수지 수도관이 연결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결부가 패킹(105)에 의해 실링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상기 연결부의 실링은 패킹과는 별도로 연결편(102)의 내경부에 끼워진 박판상의 링형태로 된 보조 패킹(106)에 의해서도 유지되므로 결국 연결부의 실링이 완벽해 지게 되고, 이에 따라 수도관의 시공후 상기 수도관의 안내를 받아 상수 및 하수가 공급되더라도 그 공급되는 물이 연결부의 틈새를 통해 누수되는 현상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서로 마주보는 두 합성수지 수도관을 연결할 때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01)의 연결편(102) 내경부로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01)의 연결편(102) 반대쪽 끝부분인 다른 일측이 삽입되도록 밀어 넣어 주기만 하면 두 합성수지 수도관의 연결은 물론 그 연결부의 완벽한 실링이 이루어 지므로 작업성의 향상은 물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시공에 따른 공사비용이 큰 폭으로 절감되는 등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재생 프라스틱을 원료로 하여 만들어진 합성수지 수도관의 몸체(101) 일단에 상기 몸체의 내경(D2′)보다 더 큰 내경(D2″)을 갖는 연결편(102)이 일체로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101)에 일체 형성된 연결편(102)의 내경부에는 원주를 따라 적어도 한개 이상의 연결편 홈(103)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1)의 연결편(102) 반대쪽 끝부분인 다른 일측 외경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편 홈(103)과 동일한 갯수의 몸체 홈(104)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01)에 형성된 몸체 홈(104)에는 몸체(101)의 외경보다 더 튀어나오도록 링형상을 갖는 패킹(105)이 끼워지고, 상기 패킹중 몸체 외경보다 튀어나온 부분은 연결편(102)쪽 면이 수직이고 그 반대쪽 면이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더 얇아지게 경사진 형태를 이루며, 상기 몸체(101)에 일체화된 연결편(102)의 내경부에는 박판의 링형상을 갖는 보조 패킹(106)이 끼워진 구조로 하여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01)의 연결편(102) 내경부로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을 이루는 몸체(101)의 연결편(102) 반대쪽 끝부분을 삽입할 때 상기 몸체 홈(104)에 끼워진 패킹(105)이 연결편 홈(103)에도 끼워짐에 따라 상기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과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합성수지 수도관이 연결되도록 함과 함께 그 연결부는 패킹(105) 및 보조 패킹(016)에 의해 실링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의 연결장치.
KR2020000030186U 2000-10-28 2000-10-28 수도관의 연결장치 KR2002165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186U KR200216518Y1 (ko) 2000-10-28 2000-10-28 수도관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186U KR200216518Y1 (ko) 2000-10-28 2000-10-28 수도관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518Y1 true KR200216518Y1 (ko) 2001-03-15

Family

ID=7305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186U KR200216518Y1 (ko) 2000-10-28 2000-10-28 수도관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5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6064B2 (en) Block unit for repairing flow passage facilities and method of repairing flow passage facilities
US4856561A (en) Seal construction for bell and spigot pipe
KR880001021Y1 (ko) 콘크리트제 관로설치용 아치형 암거
GB2218166A (en) Jacking pipe seals
EP0302061B1 (en) Pipe for relining underground pipelines
KR200216518Y1 (ko) 수도관의 연결장치
US2698193A (en) Pipe section
US20060186662A1 (en) Cast-in-place gasket for pipe joints
AU2003221369C1 (en) Block unit for repairing flow passage facilities and method of repairing flow passage facilities
US3224797A (en) Internal joint band for double bell concrete pipe
KR930001321Y1 (ko) 배수관 연결 조인트
KR20020091617A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연결부 접합장치
KR100836512B1 (ko) 관로의 보수재, 보수 구조 및 그 보수 방법
KR0120993Y1 (ko) 콘크리트관 접속링
CA2094864C (en) Lining of sewers and the like
KR200157905Y1 (ko) 나선관 및 그 연결구조
JP2546396Y2 (ja) マンホールの管接合部構造
KR100393554B1 (ko) 다중관
WO1990013768A1 (en) A pressure pipeline having its parts interconnected with socket-and-spigot joints and use of a ribbed pipe
KR200231021Y1 (ko) 합성수지 라이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맨홀
KR102203393B1 (ko) 파이프 연결구
KR970009366B1 (ko) 분리형조립식배수관및그시공방법
JP2002089191A (ja) トンネル用セグメント
KR200295874Y1 (ko) 앵커플레이트
JPS611681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