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474Y1 - 일회용 종이컵 - Google Patents
일회용 종이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6474Y1 KR200216474Y1 KR2020000026036U KR20000026036U KR200216474Y1 KR 200216474 Y1 KR200216474 Y1 KR 200216474Y1 KR 2020000026036 U KR2020000026036 U KR 2020000026036U KR 20000026036 U KR20000026036 U KR 20000026036U KR 200216474 Y1 KR200216474 Y1 KR 20021647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cup
- disposable paper
- disposable
- present
- hold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일회용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손으로 편안하게 잡을 수 있는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물흘림의 염려 없이 보다 편하고 안전하게 물을 마실 수 있는 일회용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회용 종이컵(1)에는 종이컵(1)의 측면부(3)와 저면부(4) 중 적어도 한 부분에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들어가는 오목한 파지부(5)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면부(3)의 파지부(5A)는 그 오목공간 안으로 사용자의 아래 입술이 자연스럽게 들어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5A)의 상부(U)가 사용자의 입안으로 들어가게 되는 높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부(3)의 파지부(5A)는 상기 종이컵(1)을 기울일 때에 물이 한꺼번에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애물이 되도록 상기 종이컵(1)의 내부 공간 안으로 돌출되어 있다.
Description
(기술분야)
본 고안은 일회용 종이컵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손으로 편하게 잡을 수 있는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물흘림의 염려 없이 보다 편하고 안전하게 물을 마실 수 있는 일회용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휴게실, 병원 등 각종 공공장소에는 냉온수기를 비치하여 방문자들에게 냉수와 온수를 제공하고 있는 바, 이런 공공장소의 방문자들은 컵을 소지하고 있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므로 공공장소의 냉온수기에는 컵도 함께 비치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공공장소의 컵은 여러 사람이 함께 쓰는 것은 위생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있음으로 한번만 사용하고 폐기하는 일회용 종이컵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런 일회용 종이컵은 위생상의 문제만 없다면 그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함으로 그 제작에 있어서 가장 고려되는 요소의 하나는 제작비용이다.
도4는 종래의 일반적인 일회용 종이컵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회용 종이컵(10)은 대략 합성수지 필름이 피복된 직사각형 형상의 얇은 종이(P)를 전후 대칭으로 접어서 상부의 입구(1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물이 새지 않도록 열융착으로 접합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입구(11)에는 물을 마시기 편리하도록 한쪽으로 경사진 유수부(12)를 형성한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 종이컵(10)은 비록 제작원가는 절감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상에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나타낸다.
종래 일회용 종이컵(10)의 가장 큰 문제점의 하나는 컵의 재질이 매우 얇은 종이(P)로 되어 있기 때문에 냉온수기로부터 물을 따르고 입 쪽으로 옮겨 마시는 과정에서 물을 흘리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즉, 종래의 일회용 종이컵(10)을 사용할 때에는 물의 하중에 의해 종이컵(10)이 찌그러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손으로 감싸면서 종이컵(10)을 파지하지만 단지 직사각형 형상으로 된 기존의 종이컵(10)에는 안전하게 파지할 만한 곳이 없기 때문에 물을 흘리거나 물을 흘리지 않더라도 불안한 자세로 물을 마시게 된다.
종래 일회용 종이컵(10)의 다른 문제점은 종이컵(10)의 입구(11)를 벌리기 어렵다는 것이다. 즉, 종래의 일회용 종이컵(10)은 여러 장의 종이컵(10)을 적층하여 눌려 놓은 것이기 때문에 두겹의 종이가 밀착되어 있어서 입구(11)를 벌리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종이컵(10)의 입구(11)를 열 때 두겹의 종이를 비비거나 손톱을 끼워 넣어 벌려야만 하였다.
종래 일회용 종이컵(10)의 또 다른 문제점은 물을 마시기 위해 종이컵을 기울일 때 부주의로 조금만 과도하게 종이컵을 기울이면 입구(11)를 통해 물이 쏟아져 내려 얼굴이나 옷을 적시는 일이 흔히 발생한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 종이컵이 지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을 따라 마실 때 파지하기가 용이하고 물흘림의 염려가 없는 일회용 종이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물흘림의 염려가 없는 것과 아울러 입구를 벌리기 쉬운 일회용 종이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일회용 종이컵의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일회용 종이컵의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일회용 종이컵의 사용상태도,
도4는 종래의 일반적인 일회용 종이컵의 개략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일회용 종이컵
2: 입구
3: 측면부
4: 저면부
5: 파지부
6: 단차
7: 유수부
본 고안에 따라, 상단에 입구가 형성되도록 얇은 종이를 두겹으로 접합하여 형성한 일회용 종이컵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회용 종이컵은 그 측면부와 저면부 중 적어도 한 부분에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들어가는 오목한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부의 파지부는 종이컵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물을 마시기 위해 종이컵을 기울일 때에 물이 한꺼번에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하나의 장애물로서도 작용한다.
또한 상기 측면부의 파지부를 그 오목공간 안으로 사용자의 아래 입술이 자연스럽게 들어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의 상부가 사용자의 입안으로 들어가게 되는 높이에 형성하면, 물을 마실 때 쏟아지는 물이 모두 입안으로 들어가게 됨으로 물흘림이 더욱 방지된다.
상기 입구에는 입구를 벌리기 용이하도록 한쪽 종이가 다른 쪽 종이 보다 높거나 낮은 단차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일회용 종이컵의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일회용 종이컵의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일회용 종이컵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종이컵(1)은 전술한 종래의 통상적인 일회용 종이컵과 마찬가지로 상단에 입구(2)가 형성되도록 얇은 종이(P)를 두겹으로 접합하여 형성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종이컵(1)의 측면부(3) 및/또는 저면부(4)에는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들어가서 파지할 수 있는 오목한 파지부(5)가 형성되어 있다. 도1은 측면부(3)에 파지부(5A)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2는 저면부(4)에 파지부(5B)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3은 측면부(3)와 저면부(4) 모두에 파지부(5A, 5B)가 형성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측면부(3)의 파지부(5A)는 측면부(3)의 상측, 앞서 종래기술에 관련하여 설명한 유수부(7)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수부(7)가 있는 쪽 측면부(3)의 상측에 오목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손가락(T)이 들어가 파지된다.
저면부(4)의 파지부(5B)는 저면부(4)의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끼손가락(L: 또는 약지손가락)이 들어가 파지된다. 유수부(7)가 형성되어 있어서 종이컵(1)의 전후가 구분되는 경우 본 파지부(5B)는 저면부 중앙으로부터 유수부(7)의 반대쪽으로 약간 치우친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파지를 보다 자연스럽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종이컵(1)에는 측면부(3) 및/또는 저면부(4)에 파지부(5)가 형성되어 있어서 물을 따라 마실 때 그 파지가 매우 편리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되고 자연스런 자세로 물을 마실 수 있으며, 따라서 물흘림 현상이 현격하게 줄어든다.
상기 측면부(3)에 형성된 파지부(5A)는, 엄지손가락(T)에 의해 파지되는 기능뿐만 아니라, 오목한 만큼 종이컵(1)의 내부공간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물을 마시기 위해 종이컵(1)을 기울일 때에 물이 한꺼번에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애물로서도 작용한다. 따라서 본 파지부(5A)의 존재로 인하여 물흘림 현상은 더욱 감소된다.
또한, 측면부(3)의 파지부(5A)는 엄지손가락(T)에 의해 파지하기 좋은 위치라면 그 형성 높이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파지부(5A)의 오목공간 안으로 사용자의 아래 입술이 자연스럽게 들어가도록 한 상태에서 파지부(5A)의 상부(U: 도1에 표시된 원 내부의 부분)가 사용자의 입안으로 들어가게 되는 높이에 형성하는 것이 물을 마실 때 상기 상부(U)가 입안으로 완전히 들어가 물흘림 현상이 더욱 더 줄게 되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회용 종이컵(1)의 입구(2)에는 입구(2)를 벌리기 용이하도록 한쪽 종이(P)가 다른 쪽 종이 보다 높거나 낮은 단차(6)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단차(6)를 본 고안의 종이컵(1)에 추가로 적용할 경우 종이컵(1)의 입구(2)를 열 때 두겹의 종이(P)를 비비거나 손톱을 끼워 넣어 벌리지 않아도 됨으로 종이컵(1)을 사용하기가 더욱 편리해진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일회용 종이컵(1)은 종래의 종이컵을 제작하는 재료를 그대로 사용하여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절단하고 열융착으로 접합함으로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파지부(5)가 형성된 일회용 종이컵(1)에 의하면, 물을 따라 마실 때 종이컵(1)을 파지하기가 매우 편리하여 물흘림의 염려 없이 물을 마실 수 있으며, 입구(2)에 형성된 단차(6)를 이용하면 비비거나 손톱을 끼워 넣지 않고도 용이하게 입구를 벌릴 수 있다.
Claims (3)
- 상단에 입구(2)가 형성되도록 얇은 종이(P)를 두겹으로 접합하여 형성한 일회용 종이컵(1)에 있어서, 상기 종이컵(1)의 측면부(3)와 저면부(4) 중 적어도 한 부분에 손가락이 자연스럽게 들어가는 오목한 파지부(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컵.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3)의 파지부(5A)는 그 오목공간 안으로 사용자의 아래 입술이 자연스럽게 들어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5A)의 상부(U)가 사용자의 입안으로 들어가게 되는 높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부(3)의 파지부(5A)는 상기 종이컵(1)을 기울일 때에 물이 한꺼번에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애물이 되도록 상기 종이컵(1)의 내부 공간 안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컵.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2)에는 한쪽 종이(P)가 다른 쪽 종이 보다 높거나 낮은 단차(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컵.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6036U KR200216474Y1 (ko) | 2000-09-16 | 2000-09-16 | 일회용 종이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6036U KR200216474Y1 (ko) | 2000-09-16 | 2000-09-16 | 일회용 종이컵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16474Y1 true KR200216474Y1 (ko) | 2001-03-15 |
Family
ID=73088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6036U KR200216474Y1 (ko) | 2000-09-16 | 2000-09-16 | 일회용 종이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6474Y1 (ko) |
-
2000
- 2000-09-16 KR KR2020000026036U patent/KR20021647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08644A (en) | Drinking cup | |
US4744597A (en) | Food and beverage tray | |
US5323910A (en) | Party plate | |
USD406006S (en) | Lid for a container | |
US7152754B2 (en) | Tab plate | |
US5238161A (en) | Device for holding a glass | |
US6648169B1 (en) | User friendly beverage can | |
KR200216474Y1 (ko) | 일회용 종이컵 | |
JP7144123B2 (ja) | 容器および蓋体 | |
JP2004537481A (ja) | 排出台が形成された三角四面体の包装容器 | |
JP3816285B2 (ja) | 可撓性ボトル容器 | |
WO2019056787A1 (zh) | 一种一体杯子 | |
CN218142688U (zh) | 基于集成盖和折叠盖结构的纸杯 | |
KR930003771Y1 (ko) | 일회용 종이컵 겸용 커피믹스 티백 | |
KR200415585Y1 (ko) | 경사진 컬링부를 갖는 종이컵 | |
AU2002100290B4 (en) | Carton pouring cradle | |
KR900001576Y1 (ko) | 일회용 종이컵 | |
JP3197493U (ja) | マグカップ | |
KR200288299Y1 (ko) | 포장재 겸용 상하 접이식 원형 일회용 컵 | |
KR20220037931A (ko) | 무빨대식 간편 음료컵 | |
KR200366347Y1 (ko) | 봉투형 종이컵 | |
JPS5940901Y2 (ja) | ドリツパ− | |
TWM648820U (zh) | 環保飲料提袋 | |
JP3032858U (ja) | コップ | |
KR930007468Y1 (ko) | 1회용 도시락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