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300Y1 - 예열기를 갖춘 연동식 건조발효장치 - Google Patents

예열기를 갖춘 연동식 건조발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300Y1
KR200216300Y1 KR2020000026239U KR20000026239U KR200216300Y1 KR 200216300 Y1 KR200216300 Y1 KR 200216300Y1 KR 2020000026239 U KR2020000026239 U KR 2020000026239U KR 20000026239 U KR20000026239 U KR 20000026239U KR 200216300 Y1 KR200216300 Y1 KR 200216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heater
fermentation
drying
chamber
dry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2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욱
Original Assignee
민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욱 filed Critical 민병욱
Priority to KR20200000262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3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300Y1/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열기를 갖춘 연동식 건조발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조발효장치는 단일 형태의 건조발효실을 이용하여 그 내부에서 모든 건조발효과정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어 건조발효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고, 더우기, 밀폐순환형인 경우에도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온다습한 공기로 부터 냉각응축수를 배출시키고 나서 저온저습한 공기를 곧바로 건조발효실 내부로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작동과정에서 장시간이 소요되고 작동효율이 낮아지게 되며, 내용물을 가열하는데 소요되는 가열비용이 커져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예열실, 다수의 건조실 및 건조발효실을 각각 분리 구성하고 순차적으로 상호 연동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다수의 건조실은 냉각응축기와 발효건조실 사이에 예열기를 설치하여 냉각응축기를 거치면서 저온저습상태로 변화한 내부공기를 예열과정을 거쳐 고온저습상태로 변화시킨 다음 건조실로 공급시켜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고 내용물의 가열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여 건조 및 발효장치분야에 유용하게 활용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예열기를 갖춘 연동식 건조발효장치{ Closed Circulation Type Simultaneously Drying and/or Fermenting Apparatus having a Preheater}
본 고안은 연동식 건조발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열실, 복수개의 건조실 및 건조발효실을 분리 형성하고 이들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고온다습한 공기를 외부에서 냉각응축시켜 수분은 응축수 형태로 배출하고 남게되는 저온저습한 상태의 공기를 예열기를 활용하여 예열시킨 다음 다시 내부로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한 예열기를 갖춘 연동식 건조발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건조발효장치의 경우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발효기(1)가 단일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건조발효기(1) 내부의 내용물을 계속적으로 하부에서 외부가열원(5)에 의하여 가열하면서 교반시키고 건조발효기(1) 내부에 고온다습한 상태로 차게 되는 공기를 배출팬(2)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강제적으로 냉각응축기(3)를 거치도록 하여 냉각 응축시켜 수분은 드레인(4)을 경유, 응축수 형태로 외부로 배출시키고, 냉각응축기(3)를 거치면서 수분이 제거되고 온도가 낮아진 저온저습 상태의 공기는 다시 건조발효기(1) 내부로 복귀시키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건조발효기(1)는 대부분이 하부에 내용물이 위치하게 되고 교반기(6)에 의하여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내부의 고온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7)의 설치 위치와 수분이 제거되고 나서 저온 저습한 공기를 건조발효기(1)의 내부로 공급하게 되는 공급부(8)의 설치위치 역시 건조발효기(1)의 내부로서 상부에 서로 어느정도 이격된 상태로 설치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더우기, 배출부(7)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고온다습한 공기는 외부에 설치한 배출팬(2)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배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수분이 제거된 저온저습상태의 공기를 곧바로 건조발효기(1) 내부로 공급하게 되면 이론상으로는 배출공기와 공급공기가 상호간의 온도차가 크게 되고 강제적인 대류현상이 크게 발생하여 계속적으로 내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응축기(3)를 경유하면서 응축수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결국 건조속도가 빨라질 수 있겠다는 예측이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실제로는 이와 같은 현상이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건조발효효율이 점차 낮아지게 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조발효기(1)가 단일의 형태로 되어 있어 단일의 건조발효기(1) 내부에서 내용물이 예열, 건조, 발효건조의 모든 과정을 한꺼번에 수행되어야 하므로, 각 과정마다 내부조건을 달리하여 작동을 시켜야만 하고, 이에 따라 최적의 작동조건을 단계마다 충족시켜야만 하는 작동상의 어려움과 이들 과정을 거치는데 맣은 시간이 소요되는 점,
둘째, 내용물의 온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내용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증발이 빨리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외부에서 건조발효기(1) 내부로 공급되는 저온저습한 공기가 교반혼합되는 내용물에 너무 빠르게 공급되어 내용물의 온도를 크게 낮추는 결과를 초래하고 수분의 증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온도이하로 낮추게 되어 증발효율을 오히려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는 점,
세째, 이와 같은 둘째 이유에 의하여 하부에서 내용물에 연속적으로 가열이 이루어지더라도 내용물로부터 수분의 증발을 저하시켜 증발되는 수분이 포함된 내부공기의 상승류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저하되는 점,
네째, 작동초기에는 관계없으나 상기 둘째이유에 의하여 건조발효기 내부 내용물의 증발효율이 낮아지면서 초기보다는 상대적으로 습도가 낮은 공기와 건조발효기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급되는 저온저습한 공기가 서로 만나게 되므로 내용물과 상호간 접하기도 전에 내용물의 상부 공간에 차 있던 고온다습한 공기와 일부만이 혼입되고 오히려 고온다습한 내부공기의 상승을 막아 외부로의 배출을 방해하는 차단막의 역할을 갖도록 하다는 점,
다섯째, 그리하여 외부로부터 내부로 공급되는 저온저습한 공기중 일부는 배출되는 고온다습한 공기의 일부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내부에 포함된 함수율이 낮아지고 응축수의 배출을 감소시키게 되는 점 등이 그러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하여 수분이 다량 함유된 유기성 폐기물을 내용물로하여 건조발효를 시키는 경우, 장시간이 소요되고 건조나 발효효율이 낮아지게 되며, 내용물을 가열하는데 소요되는 가열비용이 커져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건조발효실 내부에 내용물을 투입하기 전에 압착하거나 기타 다른 방법으로 수분을 어느정도 제거한 상태에서 내용물은 건조발효실 내부로 투입할 수도 있겠으나, 상기와 같이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배출되게 되는 폐수는 환경오염의 근원이 되므로 반드시 재처리를 해야만하는 2차적인 문제를 발생하게 되므로 실효성인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으로, 건조발효기를 단일 형태가 아닌 단계적인 작동조건에 알맞은 여러 작동실의 형태로 분리 형성하고 연동시키면서, 이들 내부의 내용물의 증발효과를 향상시키고 증발된 공온다습한 내부공기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면 자연적으로 냉각응축기를 거치면서 다량의 수분이 응축수 형태로 배출되고 결국 건조 발효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각종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발효시키는 장치에 활용이 가능하고, 특히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내용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단계적인 건조 및 발효를 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내용물의 가열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제반 목적들을 달성하고자 예열실, 건조실 및 발효건조실을 분리 형성하고, 이들 내부의 고온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냉각응축시켜 응축수를 배출시키고 수분을 제거한 다음, 다시 이들 예열실, 건조실 및 발효건조실 내부로 공급하되, 상기 건조실의 경우 외부로 배출된 고온다습한 공기로부터 응축수를 배출시켜 저온저습한 상태로 변화한 공기를 곧바로 건조실 내부로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예열기를 통하여 예열을 시켜 고온저습한 상태로 변화시킨 다음에 상기 건조실 내부로 공급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건조발효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기존의 밀폐순환형 건조발효장치의 일례를 보여주는 계통도,
도2는 본 고안인 건조발효장치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계통도,
도3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요부로서 예열기를 중심으로 나타낸 계통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한 여러 도면에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다음과 같이 본 고안의 공통적인 기술구성을 갖게 된다.
즉, 예열실(10), 건조실(20,20), 발효건조실(30)은 순차적으로 인접되게 연동이 되도록 설치되고 별도의 외부열원에 의하여 각각 내용물의 가열이 이루어지고, 상기 예열실(10), 건조실(20,20) 및 발효건조실(30)의 내용물이 가열되면서 내용물로부터 발생되는 고온다습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어 각각의 냉각응축기(12,22,32)를 경유 냉각응축과정을 거치면서 응축수는 외부로 배출되고 남게되는 저온저습한 공기는 다시 상기 예열실(10), 건조실(20,20) 및 발효건조실(30)로 복귀시키는 순환과정을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지되, 냉각응축기(22)와 건조실(20,20) 사이로서 저온저습한 공기가 통과하게 되는 유통로(24,24)의 중간에 저온저습한 공기를 예열시키기 위한 예열기(40,40)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예열실(10)의 외부열원은 도시한 바와 같이 보일러(14)의 연도(16)에 설치한 열교환기(18)를 경유하는 열매체라인(11)를 이용하여 폐열을 재활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건조실(20,20)의 외부열원은 보일러(14)자체에 의한 열매체라인(13)을 이용하여 공급이 이루어지며, 발효건조실(30)의 외부열원은 건조실(20,20)의 냉각응축기(22,22)를 경유한 냉각수의 복귀라인(26,26)을 이용하여 폐열의 재활용에 의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별도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예열실(10)이나 발효건조실(30)에 활용되는 외부열원의 경우, 보일러(14)의 자체 열원을 활용할 수도 있고, 전기식 히터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상기 외부열원이 필요로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관계없다.
또한, 예열기(40,40)에 필요로 하는 열원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일러(14) 자체에 의한 열매체라인(13)으로서 건조실(20,20)을 가열하고 나서 복귀하는 복귀라인(15,15)이 이들 예열기(40,40)를 거치도록 하여 폐열을 재활용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경우에도 별도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보일러(14)나 기타의 외부열원을 활용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이와 같은 열원의 경우, 효율면에서 내부공기의 흐름방향을 중심으로 살펴볼때 예열기(40,40)에 있어서 내부공기의 유입부(42)엔 가열매체의 저온부(17)가 위치하고 내부공기의 배출부(44)엔 가열매체의 고온부(19)가 위치하도록 열원으로 공급되는 가열매체는 예열기(40,40)의 배출부(44)를 먼저 거쳐 유입부(42)를 통과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건조실(20,20)의 해당 냉각응축기(22,22)와 예열기(40,40)사이 통로에 급송팬(50)을 각각 설치하여 해당 냉각응축기(22,22)를 통과하는 저온저습한 공기를 예열기(40,40)로 강제적으로 급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면서 특히, 냉각응축기(22,22) 내부에서의 냉각응축과정과 예열기(40,40) 내부에서의 예열과정이 상호간 격리하는 역할도 수행하도록 하여 별개의 독립적인 작동으로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응축기(22)와 예열기(40)의 설치구성으로서, 바람직하기로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응축기(22)는 복수개의 열교환기 형태의 응축기유니트를 연결 구성하고, 급송팬(50)을 거쳐 예열기(40)를 연결 구성하되, 내부공기의 흐름방향을 중심으로 볼때 냉각응축기(22)의 냉각매체는 내부공기의 배출부(23)를 먼저 거치도록하고 예열기(40)의 가열매체는 내부공기의 배출부(44)를 먼저 거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이유는 냉각응축기(22)의 경우, 고온다습한 내부공기가 배출되는 배출부(44)에서 냉각응축효율이 커져서 응축수의 배출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예열기(40)의 경우 냉각응축기(22)를 거치면서 저온저습한 상태의 내부공기가 예열기(40)의 유입부(42)로서 가열매체의 저온부로부터 예열이 이루어진 후에 예열기(40)의 배출부(44)로서 가열매체의 고온부를 통과하도록 하여 예열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다음, 예열실(10), 건조실(20,20) 및 발효건조실(30)의 내부로 부터 발생되는 고온다습한 공기를 통과시켜 냉각 응축시키고 응축수는 드레인(60)을 통하여 배출시키고, 수분이 제거된 저온저습 상태의 내부공기를 예열기(40,40)를 거치거나 아니면 직접 다시 예열실(10), 건조실(20,20) 및 발효건조실(30)로 복귀시키는 중간에 설치되는 냉각응축기(12,22,22,32)는 냉각매체가 냉각매체탱크(62)에서 펌프(64)와 냉각탑(66)을 거쳐 내부공기의 배출부(23,23,23,23)로부터 유입부(25,25,25,25)에 이르도록 냉각매체의 내부통과가 이루어진 다음에 일부는 발효건조실(30)의 가열원으로 활용되고 나서 냉각매체탱크(62)로 복귀하거나 아니면 나머지는 직접 냉각매체탱크(62)로 복귀되도록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로서 70,72는 가열매체보충탱크, 74는 펌프, 76은 내용물의 투입구, 78은 내용물의 배출구, 80은 예열실(10), 건조실(20,20) 및 발효건조실(30) 인접 상호간에 내용물을 급송시키기 위한 급송기구, 82는 교반기를 각각 나타낸다.
그리하여, 본 고안인 건조발효장치에 의하면, 예열실(10)의 내부에 내용물을 넣고 외부열원에 의하여 예열실실(10)을 예열하면서 내용물을 교반혼합하고 내용물로부터 발생되는 고온다습한 공기는 송풍기(50)에 의하여 냉각응축기(12)를 거치도록 하고 냉각응축된 응축수는 드레인(6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냉각응축기(12)를 거치면서 수분이 제거된 저온저습한 공기는 다시 예열실(10)로 복귀시키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며, 내용물이 소정의 예열온도에 이르게 되면, 내용물을 급송기구(80)에 의하여 인접한 건조실(20)로 급송시키고, 다시 예열실(10)엔 예열을 시키고자 하는 새로운 내용물을 다시 넣고 전술한 바와 같은 예열과정을 수행하며,건조실(20) 내부로 공급된 내용물은 교반기(82)로 교반혼합하고 건조실(20)의 내부온도가 내용물 속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하여 내부공기가 고온다습한 상태에 이르게 되는 소정온도 이상이 되면 내부의 고온다습한 공기를 송풍기(50)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냉각응축기(22)로 급송하고, 냉각응축기(22)를 거치면서 고온다습한 공기는 냉각 응축되어 응축수는 드레인(6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내부에 남게되는 저온저습한 공기는 급송팬(50)을 거쳐 예열기(40)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며, 예열기(40)에 도달한 저온저습한 공기는 예열이 이루어져 고온저습한 상태로 변화가 되게 되며, 이와 같이 고온저습한 상태로 변화된 공기는 다시 건조실(20)의 내부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1차로 건조처리된 내용물은 다시 인접한 2차 건조실(20)로 급송기구(80)에 의하여 급송이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 예열실(10)의 예열처리된 내용물은 인접 건조실(20)로 급송이 이루어지며 예열실(10)엔 또 다시 새로운 내용물을 투입하고 예열실(10)은 전술한 예열처리, 건조실(20)엔 1차적인 건조처리, 다시 인접한 2차 건조실(20)에서는 전술한 1차적인 건조처리과정에서보다는 내용물에 수분함량이 적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1차적인 건조처리과정과 마찬가지로 2차적인 건조처리가 연속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2차적인 건조처리가 이루어진 내용물은 2차 건조실(20)과 인접한 발효건조실(30) 내부로 급송기구(80)에 의하여 다시 급송이 이루어지고 발효건조실(30) 내부에서도 내용물은 외부열원에 의하여 가열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교반혼합이 이루어지고 내용물로부터 발생되는 고온건조한 공기는 송풍기(50)에 의하여 냉각응축기(32)로 급송이 이루어지고 냉각응축기(32)를 경유하면서 수분이 제거된 저온저습한 상태의 공기는 발효건조실(30)로 복귀하고 냉각응축기(32)를 거치면서 발생된 응축수는 드레인(6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발효건조실(30)내부에서 발효 및 건조처리가 완료된 내용물은 배출구(78)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발효건조실(30)의 내용물을 가열하는데 사용되는 열원으로서 건조실(20,20)의 냉각응축기(22,22)를 통과하고 복귀되는 냉각매체의 폐열을 재활용하게 되는데 이는 인접한 건조실(20) 내부의 내용물이 급송기구(80)에 의하여 발효건조실(30)로 급송되는 경우 내용물의 온도가 고온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발효건조처리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발효건조처리과정에서 요구되는 내용물의 온도가 건조실(20) 내부에서 요구되는 내용물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냉각응축기(22,22)로부터 복귀하는 온도가 상승된 냉각매체의 열원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예열실(10), 복수개의 건조실(20,20), 그리고 발효건조실(30) 내부에서의 각 처리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나, 내용물이 예열실(10)로부터 건조실(20,20)을 경유하면서 수분이 제거되어 내용물의 량이 크게 감소하게 되고, 건조실(20,20)에서의 건조처리시간보다 상대적으로 발효건조실(30)에서의 발효건조처리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건조실(20,20)에서 건조처리된 내용물을 수차례 제공받아 발효건조실(30) 내부에서의 내용물의 발효건조처리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건조발효장치에 따르면, 단일 형태가 아닌 단계적인 작동조건에 알맞은 여러 작동실의 형태로서 예열실(10), 건조실(20,20)및 발효건조실 (30) 형태로 분리 형성하고 연동시키면서, 이들 내부의 내용물의 증발효과를 향상시키고 증발된 공온다습한 내부공기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면 자연적으로 냉각응축기(22,22)를 거치면서 저온저습한 상태로 변화가 되는 내부공기를 곧바로 건조실(20,20) 내부로 공급하는 것이아니라, 예열기(40,40)를 거치면서 고온저습한 상태로 변화시킨 다음에 건조실(20,20) 내부로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하여, 건조실(20,20) 내부로 공급되는 고온저습 상태의 공기는 이미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고온다습한 공기와 상대적으로 온도차가 크지 않고 습도만이 차이가 있는 상태로 공급이 이루어지므로 내용물에 직접적으로 그 영향이 미치더라도 내용물의 온도를 낮추지 아니하고 단순히 습도차이에 의하여 내용물로부터 수분을 보다 빠르게 효과적으로 증발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더우기, 건조실(20,20) 내부의 고온다습한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내용물로부터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지 아니하고 오히려 상승시켜 증발되는 수분이 포함된 고온다습한 내부공기의 상승류의 세기를 저하시키지도 아니하고, 건조실(20,20) 내부의 고온다습한 공기가 내부로 공급되는 고온저습한 공기와 서로 만나게 되더라도 일부는 상호간 습도차에 의한 혼합현상이 이루어지더라도 대부분은 내용물과 상호간 접하면서 증발된 수분의 수수가 이루어진 다음에 고온다습한 상태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되므로, 건조실(20,20) 내부에서의 증발효과나 냉각응축기(22,22)에서의 냉각응축효율이 크게 상승되게 되며, 예열실(10)이나 발효건조실(30) 내부의 내용물을 보일러(14)의 연돌(16)에서 발생되는 폐열이나 건조실(20,20)의 냉각응축기(22,22)를 거치고 복귀하는 냉각매체의 폐열을 이용하도록 구성하고, 예열기(40,40)의 가열원도 일단 건조실(20,20)의 가열원이 사용되고 나서 복귀과정에서 남는 폐열을 재활용하는 측면에서도 내용물의 가열에 소요되는 비용을 낮추고 경제적으로 활용이 가능하여 건조 발효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예열실(10), 건조실(20,20), 발효건조실(30)은 순차적으로 인접되게 연동이 되도록 설치되고 별도의 외부열원에 의하여 각각 내용물의 가열이 이루어지고, 상기 예열실(10), 건조실(20,20) 및 발효건조실(30)의 내용물이 가열되면서 내용물로부터 발생되는 고온다습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어 각각의 냉각응축기(12,22,32)를 경유 냉각응축과정을 거치면서 응축수는 외부로 배출되고 남게되는 저온저습한 공기는 다시 상기 예열실(10), 건조실(20,20) 및 발효건조실(30)로 복귀시키는 순환과정을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지되, 냉각응축기(22)와 건조실(20,20) 사이로서 저온저습한 공기가 통과하게 되는 유통로(24,24)의 중간에 저온저습한 공기를 예열시키기 위한 예열기(40,40)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열기를 갖춘 연동식 건조발효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예열실(10)의 외부열원은 보일러(14)의 연도(16)에 설치한 열교환기(18)를 경유하는 열매체라인(11)를 이용하도록 이루어지고, 건조실(20,20)의 외부열원은 보일러(14) 자체에 의한 열매체라인(13)을 이용하여 공급이 이루어지며, 발효건조실(30)의 외부열원은 건조실(20,20)의 냉각응축기(22,22)를 경유한 냉각수의 복귀라인(26,26)을 이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열기를 갖춘 연동식 건조발효장치.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예열기(40,40)에 필요로 하는 열원은 보일러(14) 자체에 의한 열매체라인(13)으로서 건조실(20,20)을 가열하고 나서 복귀하는 복귀라인(15,15)이 상기 예열기(40,40)를 거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열기를 갖춘 연동식 건조발효장치.
  4. 청구항1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예열기(40,40)가 내부공기의 유입부(42)엔 가열매체의 저온부(17)가 위치하고 내부공기의 배출부(44)엔 가열매체의 고온부(19)가 위치하도록 열원으로 공급되는 가열매체는 예열기(40,40)의 배출부(44)를 먼저 거쳐 유입부(42)를 통과하게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열기를 갖춘 연동식 건조발효장치.
  5. 청구항1에 있어서,
    건조실(20,20)의 해당 냉각응축기(22,22)와 예열기(40,40)사이 통로에 급송팬(50,50)을 각각 설치하여 해당 냉각응축기(22,22)를 통과하는 저온저습한 공기를 예열기(40,40)로 강제적으로 급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면서 냉각응축기(22,22) 내부에서의 냉각응축과정과 예열기(40,40) 내부에서의 예열과정이 상호간 격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 별개의 독립적인 작동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열기를 갖춘 연동식 건조발효장치.
KR2020000026239U 2000-09-19 2000-09-19 예열기를 갖춘 연동식 건조발효장치 KR200216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239U KR200216300Y1 (ko) 2000-09-19 2000-09-19 예열기를 갖춘 연동식 건조발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239U KR200216300Y1 (ko) 2000-09-19 2000-09-19 예열기를 갖춘 연동식 건조발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300Y1 true KR200216300Y1 (ko) 2001-03-15

Family

ID=7308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239U KR200216300Y1 (ko) 2000-09-19 2000-09-19 예열기를 갖춘 연동식 건조발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3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0722B1 (ko) 고속발효건조장치
US10247476B2 (en) Food waste dryer utilizing waste heat
US8486231B2 (en) Pryolytic energy recovery system
CN102992575A (zh) 蒸汽热循环污泥干化的方法及系统
KR102162511B1 (ko) 음식 폐기물 처리시설의 연료절감 및 생산성 향상 시스템
KR101261822B1 (ko) 다공판 배플을 이용한 기액분리장치
WO2013144438A1 (en) Flue gas heat recovery method and system
US3425477A (en) Method for heat recovery in evaporating and burning spent liquor
KR200216300Y1 (ko) 예열기를 갖춘 연동식 건조발효장치
KR101051093B1 (ko) 상압에서 유중증발기술을 이용한 고함수 유기성 슬러지 건조장치
KR100759795B1 (ko) 음식물 쓰레기 진공 건조 처리 시스템
KR20020005917A (ko) 다단식 스크류 건조기
KR200216299Y1 (ko) 예열기를 갖춘 밀폐순환형 건조발효장치
CN216347662U (zh) 一种循环热效率高的物料干化装置
US11885563B2 (en) Method and system of thermo-vacuum drying and processing
KR102396157B1 (ko) 유기물 슬러지 처리 시스템
CN212741112U (zh) 一种两段法热量回用污泥干燥装置
CN209989240U (zh) 一种污泥干燥系统
KR101839447B1 (ko) 슬러지 건조 열처리장치
KR20030072873A (ko) 유기성폐기물 건조시스템
CN111762989A (zh) 污泥干燥热解系统和方法
CN206504335U (zh) 一体化可燃固体废弃物干燥热解釜
JPS63256199A (ja) 汚泥の脱水乾燥処理方法
CN113371975B (zh) 一种污泥热干化系统及方法
KR20030072872A (ko) 유기성폐기물 건조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