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290Y1 -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290Y1
KR200215290Y1 KR2019980014848U KR19980014848U KR200215290Y1 KR 200215290 Y1 KR200215290 Y1 KR 200215290Y1 KR 2019980014848 U KR2019980014848 U KR 2019980014848U KR 19980014848 U KR19980014848 U KR 19980014848U KR 200215290 Y1 KR200215290 Y1 KR 2002152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
lens
longitudinal groove
butt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423U (ko
Inventor
페이-충 린
Original Assignee
페이-충 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이-충 린 filed Critical 페이-충 린
Priority to KR2019980014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29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4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4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2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290Y1/ko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 개의 외부 버트, 두 개의 내부 버트, 브리지 및 가동 테 조립체를 포함하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각 외부 버트는 가동 테 조립체가 삽입되는 길이방향의 홈이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스토퍼 판을 갖고 있다. 각 내부 버트는 가동 테 조립체가 삽입되는 길이방향의 홈을 갖고 있다. 외부 버트의 스토퍼판의 길이방향의 홈과 내부 버트의 길이방향의 홈에 의하여, 가동 테 조립체의 상부 또는 하부의 테가 렌즈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완전테형, 상반테형, 하반테형 및 무테형 중에서 안경을 바꿀 수 있다.

Description

안경
본 고안은 완전테형, 상반테형, 하반테형 혹은 무테형으로 변형할수 있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안경은 완전테형, 상반테형, 하반테형 및 무테형으로 나누어진다.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서 안경점에서는 완전테형, 상반테형, 하반테형 및 무테형의 다양한 안경을 준비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안경점은 다양한 안경을 갖춰야한다. 또한, 상기 다양한 형태의 안경은 자유로이 형태를 바꿀 수 없다. 예를 들면, 완전테형의 안경은 무테형으로 바꿀 수 없고 상반테형은 하반테형으로 바꿀 수 없다.소비자가 다양한 형태를 원할 경우에는 다른 형태의 테로된 여러 벌의 안경을 구입하여야 한다. 이것은 불가피하게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 버트(butt)의 스토퍼(stopper)판의 길이방향의 홈 및 내부 버트(butt)의 길이방향의 홈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테가 선택적으로 렌즈에 고정되는 안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안경은 완전테형, 상반테형, 하반테형 및 무테형중에 추가비용 없이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도록 변형가능하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안경점의 재고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상기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른 본 고안의 안경은 각각 안경다리와 추축으로 연결되는 배면을 가지는 두 개의 외부 버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외부버트는 렌즈의 외측에 고정되는 커플링부를 가지며, 상기 외부 버트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렌즈에 인접하는 상부 및 하부의 고정덴트에 형성되며, 두 개의 스토퍼 판은 각각 나사에 의해 두개의 고정덴트 상에 고정되며, 상기 나사는 서로 동심축에 있지 않으며, 상기 두 개의 스토퍼판은 렌즈의 측면상에 두 개의 길이방향의 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부 및 하부의 스토퍼판 각각은 상기 길이방향의 홈과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소켓을 더 가지며, 각각 렌즈의 내면에 고정되는 커플링부를 가지는 두 개의 내부 버트를 포함하여, 상기 내부 버트는 렌즈에 인접하는 측면상에 길이방향의 홈을 가지며, 상기 길이방향의 홈의 중간부는 상기 길이방향의 홈을 통하여 다른 측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관통구멍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상기 길이방향의 홈과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소켓을 가지며, 상기 내부 버트의 하단은 코 받침대(nose piece)와 연결되는 코 받침대 브라켓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개의 내부 버트사이에 위치하는 브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브리지의 양단은 각각 상기 내부 버트의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렌즈를 고정시키기 위해 내부 버트의 커플링부 위에 놓여 연결되고, 각각 상부테와 하부테를 가지는 두 개의 가동테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테의 말단은 각각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부 및 하부테의 내측의 돌출부는 내부 버트의 정지소켓에 꼭 맞아 들어가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 및 하부테의 외측의 상기 돌출부는 상부 및 하부 판의 정지소켓에 꼭맞아 들어가도록 되어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조립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분해도이다.
도3은 도1의 Ⅲ-Ⅲ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Ⅳ-Ⅳ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5는 도1의 Ⅴ-Ⅴ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6은 도1의 Ⅵ-Ⅵ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상반테형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8은 본 고안의 하반테형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9는 본 고안의 무테형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 버트 2 : 내부 버트
3 : 브리지 4 : 가동 테 조립체
5 : 렌즈 11, 21 : 커플링부
13 : 고정 덴트 15, 16 : 스토퍼 판
17 : 나사 22 : 홈
23 : 관통구멍 24 : 정지소켓
27 : 코 받침대 41 : 상부 테
42 : 하부 테 43 : 돌출부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서 도9를 참조한다.
렌즈(5)의 외측에 고정된 커플링부(11)를 각각 갖는 두 개의 외부 버트(1)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버트(1)의 후면은 안경다리(12)에 추축으로 연결되고, 외부 버트(1)의 상단부는 렌즈(5)에 인접하는 상부의 고정 덴트(dent)(13)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의 고정 덴트(13)는 렌즈(5)에 인접하는 개방 상부면과 개방 측면을 가지며, 외부 버트(1)의 하단부는 렌즈(5)에 인접한 하부의 고정 덴트(14)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의 고정 덴트(14)는 상부의 고정 덴트(13)보다 길이가 더 길고, 상기 하부의 고정 덴트(14)는 렌즈(5)에 인접한 개방 상부면과 개방 측면을 가지며, 상부 스토퍼 판(15)은 나사(17)에 의해 상부의 고정 덴트(13)에 고정되며, 하부 스토퍼 판(16)은 또 다른 나사(17)에 의하여 하부의 고정 덴트(14)에 고정되고, 상기 두 개의 나사(17)는 동심축에 있지 않으며, 상부 및 하부 스토퍼판(15, 16)은 렌즈에 인접한 측면상에 두 개의 길이방향의 홈(151, 16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스토퍼판(15, 16)은 각각 외부 버트(1)의 단부 근처에 두 개의 정지소켓(152, 162)을 부가하여 가지며 상기 길이방향의 홈(151, 161)과 통하고, 렌즈(5)의 내측에 고정된 커플링부(21)를 각각 갖는 두 개의 내부 버트(2)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버트(2)는 렌즈(5)에 인접하여 하향 연장하는 길이방향의 홈(22)을 가지며, 길이방향의 홈(22)의 중간부는 길이방향의 홈(22)을 관통하여 타 측면으로 관통하는 확장된 관통구멍(23)을 가지며, 관통구멍(23)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각각 길이방향의 홈(22)과 통하는 두 개의 정지소켓(24)을 갖고 있고, 상기 내부 버트(2)의 하단은 코 받침대(27)에 연결되는 코 받침대 브라켓(26)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개의 내부 버트(2)사이에 위치하는 약간 휘어진 브리지(3)을 포함하고, 렌즈(5)의 고정을 위해 상기 브리지(3)의 두 단부는 각각 내부 버트(2)의 관통구멍(23)을 통과하여 렌즈(5)의 전면에서 내부 버트(2)의 커플링부(21)상에 놓여 연결되며, 상부테(41)와 하부테(42)를 각각 가지는 두 개의 가동 테 조립체(4)를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테(41, 42)는 약간 굽어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부 및 하부 테(41, 42)는 유연한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 및 하부 테(41, 42)의 각 단부에는 돌출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 테(41, 42)의 내면의 돌출부(43)는 내부 버트(2)의 정지소켓(24)에 맞아 들어가게 되어있다. 상부 및 하부 테(41, 42)의 외측의 돌출부(43)는 상부 및 하부의 스토퍼 판(15,16)의 정지소켓(152, 162)에 맞아 들어가게 되어있다.
도1 및 도7에서 도9를 참조한다. 소비자가 안경을 착용하고자 할 때, 소비자는 처음 완전테(도1에 도시), 상반테(도7에 도시), 하반테(도8에 도시) 혹은 무테(도9에 도시)를 선택할 수 있다. 소비자가 무테를 선택했을 경우에 외부 버트(1) 및 내부 버트(2)만을 렌즈(5)에 고정한다. 내부 버트(2)의 고정전에 브리지(3)는 관통구멍(23)을 관통하여 커르링부(21)로 고정된다. 따라서, 무테안경이 형성된다. 그러나, 가동 테 조립체(4)는 무테안경과 함께 소비자가 구입한다. 그러므로, 소비자는 원하는 패턴으로 원래의 무테안경에서 가동 테 조립체를 조립할 수 있다. 도7에 예시된 상반테 안경으로 소비자는 두 개의 상부 스토퍼 판(15) 및 두 개의 내부 버트(2)를 풀어서 각각 상부 테(41)의 두 개의 단부를 길이방향의 홈(151, 22)으로 각각 삽입시킨다. 그러면, 렌즈(5)의 상부 가장자리에 꼭 맞게 부착된 상부 테(41)의 길이로써 돌출부(43)는 정지소켓(152, 24)에 각각 맞물리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서, 소비자는 다양한 형태의 안경을 구입하지 않고도 안경의 패턴을 바꿀 수 있다. 또한, 안경점은 다양한 형태의 안경을 비축해 두지 않아도 된다.

Claims (3)

  1. 각각 안경다리와 추축으로 연결되는 배면을 가지는 두 개의 외부 버트(butt)를 포함하고, 각각의 외부버트는 렌즈의 외측에 고정되는 커플링(coupling)부를 가지며, 상기 외부 버트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렌즈에 인접하는 상부 및 하부의 고정덴트(dent)에 형성되며, 두 개의 스토퍼 판(stopper plate)은 각각 나사에 의해 두개의 고정덴트 상에 고정되며, 상기 나사는 서로 동심축에 있지 않으며, 상기 두 개의 스토퍼판은 렌즈의 측면상에 두 개의 길이방향의 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부 및 하부의 스토퍼판 각각은 상기 길이방향의 홈과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소켓을 더 가지며;
    렌즈의 내면에 고정되는 커플링부를 각각 가지는 두 개의 내부 버트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버트는 렌즈에 인접하는 측면상에 길이방향의 홈을 가지며, 상기 길이방향의 홈의 중간부는 상기 길이방향의 홈을 통하여 다른 측면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관통구멍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상기 길이방향의 홈과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소켓을 가지며, 상기 내부 버트의 하단은 코 받침대(nose piece)와 연결되는 코 받침대 브라켓(bracket)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개의 내부 버트 사이에 위치하는 브리지(bridge)를 포함하며, 상기 브리지의 양단은 각각 상기 내부 버트의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렌즈를 고정시키기 위해 내부 버트의 커플링부 위에 놓여 연결되고;
    각각 상부테와 하부테를 가지는 두 개의 가동 테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테의 각 단부는 각각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및 하부테의 내측의 돌출부는 내부 버트의 정지소켓에 꼭 맞아 들어가도록 되어 있으며, 상부 및 하부테의 외측의 상기 돌출부는 상부 및 하부 판의 정지소켓에 꼭맞아 들어가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테는 유연한 금속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안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버트의 관통구멍은 상기 내부 버트의 길이방향의 홈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안경.
KR2019980014848U 1998-08-06 1998-08-06 안경 KR2002152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848U KR200215290Y1 (ko) 1998-08-06 1998-08-06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848U KR200215290Y1 (ko) 1998-08-06 1998-08-06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423U KR20000004423U (ko) 2000-03-06
KR200215290Y1 true KR200215290Y1 (ko) 2001-09-25

Family

ID=69520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848U KR200215290Y1 (ko) 1998-08-06 1998-08-06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2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423U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0867A (en) Double-hinged adjustable eyeglasses
US5585870A (en) Rimless spectacles with its lenses supported and clipped at three points
KR950033558A (ko) 안경용 스프링 힌지
CA1267308A (en) Modular eyeglasses
KR200215290Y1 (ko) 안경
US5926249A (en) Pair of glasses
ATE217712T1 (de) Randlose brille
US2627783A (en) Ophthalmic mounting
US5997137A (en) Modular eyewear assembly
US7086734B2 (en) Position-adjustable lens and nose-pad assembly
JP3071524U (ja) 鼻当てパッド
US2512011A (en) Ophthalmic mounting
US2596572A (en) Two-color spectacle bridge
JPH0345512U (ko)
KR200407816Y1 (ko) 안경과 선셰이드클립어셈블리
EP0716331A1 (en) Improved eyeglass frame
KR200451257Y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소비자 맞춤형안경프레임
JPH0894978A (ja) 眼鏡用サイドジョイント
JP3040986B1 (ja) 眼鏡レンズ止着機構
US3060802A (en) Ophthalmic mounting
US20030123023A1 (en) Linking device for connecting secondary lens to spectacles
KR200278783Y1 (ko) 안경테의 결합구조
KR200250423Y1 (ko) 무테안경용 연결구
KR100398674B1 (ko) 안경 다리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CA2137939A1 (en) Eyeglass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