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613Y1 - 빛을 이용한 유체의 소독장치 - Google Patents

빛을 이용한 유체의 소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613Y1
KR200214613Y1 KR2020000000581U KR20000000581U KR200214613Y1 KR 200214613 Y1 KR200214613 Y1 KR 200214613Y1 KR 2020000000581 U KR2020000000581 U KR 2020000000581U KR 20000000581 U KR20000000581 U KR 20000000581U KR 200214613 Y1 KR200214613 Y1 KR 200214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unlight
fluid
convex lenses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경
Original Assignee
김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경 filed Critical 김진경
Priority to KR2020000000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6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613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최근 수돗물의 바이러스나 에어콘의 레조넬라균, 다이옥신 같은 해로운 유기물질이 유체에 섞여 인체에 들어오는 것이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본 고안은 빛을 렌즈로 모아 물이나 공기 같은 유체를 소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햇빛의 세기가 충분히 강할 때는 햇빛을 볼록렌즈로 모아 유체를 소독하며, 햇빛의 세기가 약할 때는 자외선등이나 할로겐등 등의 인공빛을 볼록렌즈로 모아 유체를 소독한다.
본 고안은 햇빛의 광도에 따라 햇빛을 이용할 것인지 아니면 인공빛을 이용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광도감지기와 전자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햇빛을 충분히 이용하기 위하여 광방향감지기에 의해 강한 빛이 비치는 방향으로 '햇빛에 의한 소독장치'를 향하도록 제어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빛을 이용한 유체의 소독장치{A sterilizing apparatus for the fluids with the lights.}
최근 수돗물의 바이러스나 에어콘의 레조넬라균, 다이옥신 같은 해로운 유기물질이 유체에 섞여 인체에 들어오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빛에 의한 유체의 소독은 알게 모르게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특히 근년에는 자외선을 소독장치로 많이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자외선 소독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며, 또 자외선에 유체가 노출되는 시간, 자외선 양, 자외선의 살균력에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본인은 빛을 모아 초점 식으로 조사한 뒤 초점 부위를 유체가 흐르는 미세한 관이 지나도록 함으로써 단순한 빛의 양이 아닌, 빛의 ( 또는 자외선의) 시간당 흡수선량(흡수선량률)이 증가하도록 하는 장치를, 1998년 특허출원 제 31526 호에 출원한 바가 있다. 이 특허에서는 햇빛도 포함되지만 주로 레이저나 자외선, 백열등, 등의 빛에 의한 유체의 소독을 대상으로 삼았다.
본 고안에서는 낮 시간동안 태양 빛을 유체가 흐르는 관에 초점식으로 모아 유체의 소독을 달성하고,태양 에너지를 이용하기 어려운 경우에 한하여 자외선등이나 할로겐등 등의 인공빛을 유체가 흐르는 관에 초점식으로 모아 유체를 소독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에너지 절약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유체의 소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 1도는 본 고안의 개략도이다.
제 2도는 본 고안의 전체 불럭도이다.
제 3도는 광방향 감지기의 실시예이다.
제 4도는 햇빛에 의한 소독부의 실시예이다.
제 5도는 인공빛을 이용한 소독장치의 실시예이다.
제 6도는 햇빛에 의한 소독장치의 단면도이다.
제 7도는 인공빛을 이용한 소독장치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기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자제어부 20: 햇빛을 이용한 소독부 26: 유체가 흐르는관
36: 유체가 흐르는 관 30: 인공빛을 이용한 소독부 40: 광도 감지부
50: 광방향 감지부
최근 수돗물의 바이러스나 에어콘의 레조넬라균, 다이옥신 같은 해로운 유기물질이 유체에 섞여 인체에 들어오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고안은 빛을 렌즈로 모아 물이나 공기 같은 유체를 소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햇빛의 세기가 충분히 강할 때는 햇빛을 볼록렌즈로 모아 유체를 소독하며, 햇빛의 세기가 약할 때는 자외선등이나 할로겐등 등의 인공빛을 볼록렌즈로 모아 유체를 소독한다.
본 고안은 햇빛의 광도에 따라 햇빛을 이용할 것인지 아니면 인공빛을 이용할 것이지를 선택하는 광도감지기와 전자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햇빛을 충분히 이용하기 위하여 광방향감지기에 의해 강한 빛이 비치는 방향으로 '햇빛에 의한 소독장치'를 향하도록 제어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제 1도는 본 고안의 개략도이다.
본 고안은 광도감지부(40)에 비친 햇빛 광도 세기에 따라 햇빛에 의한 소독장치(20)나 인공빛을 이용한 소독장치(30) 둘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작동하며, 햇빛에 의한 소독장치(20)에 의해 소독할 경우에는 광방향감지부(50)에서 햇빛이 가장 강한 방향의 센서를 전자제어부(10)에 알려 모터1(11)과 모터2(12)가 작동하여 햇빛에 의한 소독장치(20) 전체가 그 방향으로 향하게 움직인다.
제 2도는 본 고안의 전체 불럭도이다. 전자제어부(10)는 광센서들(주로 51에서 54 ) 사이의 광 감지도를 비교하는 비교기 회로들과 이를 판별하고 인터럽트로 연결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도는 광방향 감지기의 실시예이다. A(51), B(52), C(53), D(54), E(55)의 다섯 개의 광센서가 좁고 긴 실린더형 관의 안쪽에 넣어져 반구에 제 3도처럼 배치됨으로써 각각의 광센서들은 특정한 방향의 빛에 대해서만 보다 민감하게 반응을 하여 저항이 작아지고 흐르는 전류가 커지게 된다.
제 4도는 햇빛에 의한 소독부의 실시예이다. 광방향감지부(50)에서 햇빛이 가장 강한 방향의 센서를 전자제어부(10)에 알려 모터1(11)과 모터2(12)가 작동하여 햇빛에 의한 소독장치(20) 전체가 그 방향으로 향하게 움직인다. 모터1(11)이 움직일 때는 돌쩌귀(21)과 돌쩌귀(24)가 움직이는 축이 된다. 모터2(12)이 움직일 때는 돌쩌귀(22)와 돌쩌귀(23)이 움직이는 축이 된다.
제 5도는 인공빛을 이용한 소독장치의 실시예이다. 자외선등(33)을 예시하였다.
기존의 자외선등 소독장치는 자외선등의 빛을 유체에 비추거나, 유체가 자외선등을 감싸고 흘러감으로써 소독 효과를 얻는데 그쳤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제 5도처럼 자외선등 표면을 구슬 모양의 볼록렌즈들이 감싸도록 처리되어 만들어지며, 그 볼록렌즈들의 자외선등 반대편 표면을 따라 유체가 흐르는 가늘고 좁은 관을 설치함으로써 ( 자외선등이나 렌즈의 모양에 따라 약간 납짝한 주머니 형태가 될 수도 있음), 자외선이 단순히 양적으로 비치는 것이 아니라, 관의 부위에 사실상 초점 식으로 모아짐으로써, 자외선의 단순한 양이 아니라 시간당 흡수선량률에 따라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이나 유기물질에 대한 분해가 이루어지게 된다.
제 6도는 햇빛에 의한 소독장치의 단면도이다.햇빛을 받은 렌즈(25)들은 유체가 흐르는 관(26) 안에 초점을 맺게 되며, 이러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광방향감지부의 센서 작동에 따라 전자제어부(10)에서 모터1(11)과 모터2(12)로 조절한다.
역시 비치는 햇빛을 따라 구슬 모양의 볼록렌즈들이 늘어서고, 이 볼록렌즈들의 햇빛에 대한 반대편 표면을 따라 유체가 흐르는 가늘고 좁은 관을 설치함으로써 ( 렌즈의 모양에 따라 약간 납짝한 주머니 형태가 될 수도 있음) 햇빛의 단순한 양이 아니라, 관 내부에 사실상 초점 식으로 모아진 햇빛의 시간당 흡수선량률에 따라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이나 유기물질에 대한 분해가 이루어지게 된다.
제 7도는 인공빛을 이용한 소독장치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자외선등(33)을 예시하였다. 본 고안의 유체가 흐르는 관(26)이나, 유체가 흐르는 관(36)은 이상적으로는 이 장치에서 햇빛을 모으는데 사용하는 구슬 모양의 렌즈(25)나, 이 장치에서 인공빛을 모으는데 사용하는 구슬 모양의 렌즈(35)와 마찬가지로 재질이 석영유리로 이루어짐으로써 빛이나 특히 자외선이 잘 투과되고 난반사가 일어나지 않는다. 빛이 사실상 초점 식으로 모아져 조사되는 곳은 가늘고 좁은 투명관 내부가 된다. 그러나 햇빛의 조사 조건이나 인공빛 발생기 등의 형태에 따라, 렌즈를 따라 약간 퍼진 관주머니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최근 수돗물의 바이러스나 에어콘의 레조넬라균, 다이옥신 같은 해로운 유기물질이 유체에 섞여 인체에 들어오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고안은 빛을 렌즈로 모아 물이나 공기 같은 유체를 소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햇빛의 세기가 충분히 강할 때는 햇빛을 구슬 모양의 볼록렌즈들로 모아 유체를 소독하며, 햇빛의 세기가 약할 때는 자외선등이나 할로겐등 등의 인공 빛을 구슬 모양의 볼록렌즈들로 모아 유체를 소독하므로써 소독하는데 드는 에너지를 최소화 하면서도 바이러스나 세균을 죽이고 유해 유기물을 분해시킬 수 있다.

Claims (3)

  1. 햇빛에 의한 소독부와 인공빛에 의한 소독부를 선택하는 전자제어부와, 햇빛의 세기를 전기신호의 차이로 바꾸는 광도감지부와, 햇빛의 방향에 따라 흐르는 전류가 큰 광센서가 달리 선택되는 광방향 감지부와, 햇빛을 이용하는 소독부와 인공빛을 이용하는 소독부를 가진, 빛을 구슬형 볼록렌즈들로 모으고, 구슬형 볼록렌즈들의 빛이 비치는 반대편 면을 감싸다가 지나는 투명한 좁은 관에, 모은 빛을 비추어 통과하는 유체를 소독하는 장치.
  2. 제 1항에서, 빛을 구슬형 볼록렌즈들로 모으고, 구슬형 볼록렌즈들의 빛이 비치는 반대편 면을 감싸다가 지나는 투명한 좁은 관에, 모은 빛을 비추어 통과하는 유체를 소독하는 장치.
  3. 제 1항에서, 광센서를 좁고 긴 실린더형 관 안쪽에 넣어, 반구형 구조물의 반구 표면에 수직으로 규칙적으로 배열하여, 흐르는 전류가 큰 광센서가 빛의 방향에 따라 달리 선택되는 광방향 감지장치
KR2020000000581U 2000-01-10 2000-01-10 빛을 이용한 유체의 소독장치 KR200214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581U KR200214613Y1 (ko) 2000-01-10 2000-01-10 빛을 이용한 유체의 소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0581U KR200214613Y1 (ko) 2000-01-10 2000-01-10 빛을 이용한 유체의 소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613Y1 true KR200214613Y1 (ko) 2001-02-15

Family

ID=7305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581U KR200214613Y1 (ko) 2000-01-10 2000-01-10 빛을 이용한 유체의 소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6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093B1 (ko) 2011-02-10 2012-11-12 이동훈 광에너지 집중을 위한 렌즈를 구비한 자외선 살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093B1 (ko) 2011-02-10 2012-11-12 이동훈 광에너지 집중을 위한 렌즈를 구비한 자외선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79860C (en) Hand-held ultraviolet water purification system
JP6374403B2 (ja) 発光ダイオードから放射された光による液体消毒方法及び装置
US10442704B2 (en) Ultraviolet fluid disinfection system with feedback sensor
JP2022501122A (ja) 光照射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殺菌装置
US62648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ntaminating fluids using ultraviolet radiation
US6909101B2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CN101583856B (zh) 光辐射传感器系统
CN202284156U (zh) 紫外线消毒装置
EP3988125A1 (en) Sterilization apparatus using uv light source harmless to human body
WO1998032700A9 (en) Hand-held ultraviolet water purification system
KR200214613Y1 (ko) 빛을 이용한 유체의 소독장치
JP2000128292A (ja) 飲料水ディスペンサ
CN106238427A (zh) 一种极紫外光学元件表面污染清洗装置及方法
JP2018099652A (ja) 紫外線照射装置
CN213884338U (zh) 一种智能手持式紫外线消毒灯
CN212504106U (zh) 杀菌装置、燃气热水器及用水设备
WO2001044766A2 (en) Optical radiation sensor system
WO2011103269A1 (en) Radiation delivery systems for fluid and vessel decontamination
CN211926021U (zh) 一种新风系统消毒管道
RU2233243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жидкостей с помощью ультрафиолетового излучения
KR20230018924A (ko) 정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0204120A (zh) 一种基于物理方法的火力发电厂反渗透系统杀菌装置
Nikam Developing an experimental setup for Thunder Bay waste pollution control plant (WPCP) to evaluate UV lamp performance
WO2001030703A1 (en) Improvements in water generating devices
KR20050003945A (ko) 수평식 자외선 살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