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009Y1 -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 - Google Patents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009Y1
KR200214009Y1 KR2020000026886U KR20000026886U KR200214009Y1 KR 200214009 Y1 KR200214009 Y1 KR 200214009Y1 KR 2020000026886 U KR2020000026886 U KR 2020000026886U KR 20000026886 U KR20000026886 U KR 20000026886U KR 200214009 Y1 KR200214009 Y1 KR 2002140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expander
compressor
heat exchange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류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보일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보일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보일콘
Priority to KR2020000026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0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0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009Y1/ko

Links

Landscapes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팽창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를 보조팽창기에 의해 저온저압으로 변화시킨 후 압축기로 바이패스시킴에 의해 압축기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실내기, 압축기, 실외기 및 팽창기로 이루어진 통상의 냉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460)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열교환용 증발회로(410)를 거쳐 상기 팽창기(420)로 유입되고, 상기 팽창기(420)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를 보조팽창기(430)에서 저온저압으로 변화시키며, 상기 보조팽창기(430)에서 배출된 냉매와 상기 실내기(440)에서 배출되어 팽창기(420)에서 열교환된 후의 냉매가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410)를 거쳐 압축기(450)로 유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Air-conditioning apparatus with low compression load}
본 고안은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팽창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를 보조팽창기에 의해 저온저압으로 변화시킨 후 압축기로 바이패스시킴에 의해 압축기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방장치는 실내기, 압축기, 실외기 및 팽창기로 이루어지는바, 이는 냉매의 상변화를 이용하여 실내에서 열을 빼앗아 실외에 방출하는 것이다.
즉, 저온저압이면서 대부분이 액체상태인 냉매가 실내기에 유입되어 증발하면서 실내에서 열을 빼앗고, 상기 실내기에서 배출된 냉매가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되며,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실외기에 유입되어 응축되면서 열을 실외에 방출하고, 상기 실외기에서 배출된 냉매가 팽창기에서 팽창된 후 실내기로 유입되는 사이클을 이룬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냉방장치의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는 과열증기의 상태인바, 이는 압축기의 내부 구성부품들을 열화시켜 수명을 저하시킴은 물론 압축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압축기의 부하를 감소시켜 그 압축기의 압축효율을 증대시키고 또한 압축기의 내부 구성부품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된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냉방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2는 도1의 열교환용 증발회로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냉방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4는 도3의 열교환용 증발회로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10, 410' : 증발회로
416, 416' : 바이패스배관
420, 420' : 팽창기
430, 430' : 보조팽창기
440, 440' : 실내기
450, 450' : 압축기
460, 460' : 실외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써 본 고안은, 실내기, 압축기, 실외기 및 팽창기로 이루어진 통상의 냉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열교환용 증발회로를 거쳐 상기 팽창기로 유입되고, 상기 팽창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를 보조팽창기에서 저온저압으로 변화시키며, 상기 보조팽창기에서 배출된 냉매와 상기 실내기에서 배출되어 팽창기에서 열교환된 후의 냉매가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를 거쳐 압축기로 유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본 냉방장치(400)는 통상의 팽창기(420), 그 팽창기(420)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받아 증발시키는 실내기(440), 그 실내기(440)로부터 배출된 냉매를 받아 압축시키는 압축기(450) 및, 그 압축기(45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받아 응축시키는 실외기(460)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460)와 팽창기(420) 사이에 열교환용 증발회로(410)가 배치되는바, 이 열교환용 증발회로(410)는 상기 실외기(460)에서 배출된 냉매를 받아 팽창기(420)로 배출하기 위한 제1냉매유입구(411)와 제1냉매배출구(414)를 형성한다.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410)의 제1냉매배출구(414)와 팽창기(420)를 연결하고 있는 배관(417)으로부터 바이패스배관(416)이 분지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410)로부터 배출된 냉매의 일부가 팽창기(420)로 유입되며 나머지가 바이패스배관(416)을 통해 보조팽창기(430)로 유입된다. 상기 보조팽창기(430)의 냉매는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410)의 제2냉매유입구(412)를 통해 증발회로(410)로 유입된다.
상기 보조팽창기(430)는 통상적인 팽창기와 그 구조가 유사하며, 이는 보조팽창기(430)로부터 배출된 냉매의 압력이 팽창기(420)로부터 배출된 냉매의 압력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태임을 의미하고, 따라서 열교환용 증발회로(410)의 제1냉매유입구(411)로 유입되는 고온고압의 냉매와 제2냉매유입구(412) 및 제3냉매유입구(413)를 통해 유입되는 저온저압 및 중온저압의 냉매가 서로 열교환됨으로써 제1냉매배출구(414)를 통해 소정온도로 낮아진 고압의 냉매가 배출되고 제2냉매배출구(415)를 통해 소정온도를 갖는 저압의 냉매가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410)의 구조는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바, 본 고안에서는 도2에 그 일례를 도시한다. 이는 중공부(410b)를 갖는 하우징(410a)을 마련하고, 그 하우징(410a)의 일측과 타측에 제1냉매유입구(411)와 제1냉매배출구(414)를 형성하여 이들 각각에 배관(411a)(417)을 매개로 실외기(460)와 팽창기(420)를 연결하며, 이러한 제1냉매유입구(411)와 제1냉매배출구(414)는 코일형 배관(419)으로 연결되고, 그 하우징(410a)의 제1냉매유입구(411)측에 제2냉매배출구(415)를, 또한 제1냉매배출구(413)측에 제2냉매유입구(412)와 제3냉매유입구(413)를 형성하여 이들 각각에 배관(415a)(412a)(413a)을 매개로 압축기(450), 보조팽창기(430) 및 실내기(440)를 연결한 구조를 갖는다. 즉, 제2냉매유입구(413)와 제3냉매유입구(414)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서로 혼합되어 제2냉매배출구(415)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팽창기(420)는 주배관(417)을 통해 유입된 냉매를 저온저압의 상태로 팽창시켜 실내기(440)로 유입되게 하고, 또한 그 팽창기(420)에는 또다른 냉매유입구(421)와 냉매배출구(422)를 형성하여 그 냉매유입구(421)를 통해 실내기(440)에서 배출된 냉매의 전부가 유입되어 냉매배출구(422)를 통해 배출되게 하며, 이는 상기 팽창기(420)에서 열교환이 일어남을 의미한다. 상기 팽창기(420)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팽창기(430)에서 배출되어 증발회로(410)의 제2냉매유입구(412)를 통해 유입된 냉매와 상기 팽창기(420)의 냉매배출구(422)에서 배출되어 증발회로(410)의 제3냉매유입구(413)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그 증발회로(410)에서 제1냉매유입구(411)를 통해 유입된 냉매와 열교환된 후 제2냉매배출구(414)를 통해 배출되어 압축기(450)로 유입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냉방장치(400)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한 냉매의 상태, 즉 각 구성요소에 대한 유입 및 배출측 냉매의 온도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실외기(460)에서 25℃로 배출된 냉매가 증발회로(410)를 통과하면서 5℃로 냉각되어 팽창기(420)로 유입되고, 그 팽창기(420)를 거치면서 -15℃의 저온저압의 상태로 실내기(440)로 유입되며, 그 실내기(440)를 거치면서 10℃로 승온된다. 또한, 증발회로(410)에서 배출된 5℃의 냉매중 일부가 바이패스배관(416)을 통해 보조팽창기(430)로 유입되고 그 보조팽창기(430)에서 -15℃의 저온저압의 상태로 증발회로(410)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실내기(440)에서 배출된 10℃의 냉매가 팽창기(420)를 거치면서 15℃로 승온된다. 상기 팽창기(420)를 통해 유입된 15℃의 냉매와 상기 보조팽창기(430)에서 유입된 -15℃의 냉매가 혼합되고 증발회로(410)를 거치면서 소정온도, 예컨대 7℃-10℃의 냉매가 되어 압축기(450)로 유입되게 한다. 따라서, 압축기(450)가 종래에 비하여 저온 상태인 냉매를 압축시키므로 그 압축기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열화에 의한 수명저하방지 및 압축효율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로서, 본 냉방장치(400')는 그 구성이 도1의 냉방장치(400)와 대략 유사하며, 다만 열교환용 증발회로(410')가 냉매 경로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증발회로(410A)(410B)로 이루어지고, 팽창기(420')가 냉매 경로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팽창기(420A)(420B)로 이루어지며, 압축기(450')가 2단 압축기(450A)(450B)로 이루어지고, 또한 보조팽창기(430')가 냉매 경로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보조팽창기(430A)(430B)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는 실외기(460')에 인접한 증발회로(410A)에 제1냉매유입구(411')와 제2냉매배출구(415')를 형성하고, 팽창기(420')에 인접한 증발회로(410B)에 제2냉매유입구(412')와 제3냉매유입구(413') 및 제1냉매배출구(414')를 형성하며, 상기 제1냉매배출구(414')에서 배출된 냉매의 일부가 바이패스배관(415')를 통해 보조팽창기(430')로 유입되고, 또한 실내기(440')에서 배출된 냉매의 전부가 팽창기(420)를 거쳐 제3냉매유입구(413')를 통해 증발회로(410')로 유입되어 상기 보조팽창기(430')에서 배출되어 제2냉매유입구(412')를 통해 증발회로(410')로 유입된 냉매와 함께 제2냉매배출구(415')로 배출되게 한다. 또한, 압축기(450A')에는 상기 제2냉매배출구(415')에서 배출된 냉매가 유입되어 상기 압축기(450A') 및 그 압축기(450A')에 2단으로 연결된 압축기(450B')를 거쳐 실외기(460')로 배출되게 한다.
상기 증발회로(410')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4에 도시하였는바, 이는 중공형 하우징(410A')을 갖는 하나의 증발회로(410A)와, 중공형 하우징(410B')을 갖는 다른 하나의 증발회로(410B)가 연결배관(410C)을 매개로 연결되고, 이렇게 연결된 증발회로(410')의 일측에 형성된 제1냉매유입구(411')에 배관(411a')을 매개로 실외기(460')가 연결되고 타측에 형성된 제1냉매배출구(414')에 배관(417)을 매개로 팽창기(420')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냉매유입구(411')가 형성된 증발회로(410A)의 하우징(410A')에 제2냉매배출구(415')가 형성되어 배관(425a')을 매개로 압축기(450')가 연결되고 상기 제1냉매배출구(414')가 형성된 증발회로(410B)의 하우징(410B')에 제2냉매유입구(412')와 제3냉매유입구(413')가 형성되어 배관(412a')(413a')을 매개로 보조팽창기(430')와 실내기(44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냉매유입구(411')와 제1냉매배출구(414')는 각 하우징(410A')(410B')의 내부에 배치된 코일형 배관(419A)(419B)과 그 코일형 배관(419A)(419B)을 연결하도록 상기 연결배관(410C)의 내부에 배치된 연결관(41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제2냉매유입구(412')로 유입된 냉매와 제3냉매유입구(413')로 유입된 냉매가 혼합된 상태로 증발회로(410')에서 열교환된 후에 제2냉매배출구(415')를 통해 압축기(450')로 유입되게 하면 된다.
물론,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냉방장치(400')의 경우, 복수개로 된 증발회로(410'), 팽창기(420'), 보조팽창기(430') 및 2단으로 구성된 압축기(450')에 의해 냉매에 대한 열교환, 팽창 및 압축용량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냉방장치(400')의 용량증가가 가능하게 할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에 의하면,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를 저하시킴에 의해 그 압축기의 압축부하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실내기, 압축기, 실외기 및 팽창기로 이루어진 통상의 냉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460)로부터 배출된 냉매가 열교환용 증발회로(410)를 거쳐 상기 팽창기(420)로 유입되고, 상기 팽창기(420)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를 보조팽창기(430)에서 저온저압으로 변화시키며, 상기 보조팽창기(430)에서 배출된 냉매와 상기 실내기(440)에서 배출되어 팽창기(420)에서 열교환된 후의 냉매가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410)를 거쳐 압축기(450)로 유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용 증발회로가 다수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가 다수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가 2단 압축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
KR2020000026886U 2000-09-25 2000-09-25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 KR2002140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886U KR200214009Y1 (ko) 2000-09-25 2000-09-25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886U KR200214009Y1 (ko) 2000-09-25 2000-09-25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009Y1 true KR200214009Y1 (ko) 2001-02-15

Family

ID=73089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886U KR200214009Y1 (ko) 2000-09-25 2000-09-25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0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8234B2 (en) Method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a vapor compression system by evaporator heating
US6658888B2 (en) Method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a vapor compression system by compressor cooling
US6460371B2 (en) Multistage compression refrigerating machine for supplying refrigerant from subcooler to cool rotating machine and lubricating oil
US7320228B2 (en) Refrigerant cycle apparatus
US20100058781A1 (en) Refrigerant system with economizer, intercooler and multi-stage compressor
US7225635B2 (en) Refrigerant cycle apparatus
EP2223021A1 (en) Refrig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refrigerating
KR100471442B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 제어방법
AU2003281797B2 (en) Refrigeration equipment
JP6253370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20180093570A (ko) 공기조화기
JP2004325023A (ja) 冷凍装置
KR200214009Y1 (ko)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
JP4352327B2 (ja) エジェクタサイクル
KR200214005Y1 (ko)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US20060123841A1 (en) Air conditioner
KR200214007Y1 (ko)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
KR200214006Y1 (ko)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
JP2615496B2 (ja) 2段圧縮冷凍サイクル
JP2018132223A (ja) 冷凍装置
KR200214008Y1 (ko)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
KR200214003Y1 (ko)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KR200214002Y1 (ko)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KR20020024497A (ko) 저 압축부하형 냉방장치
KR100422336B1 (ko) 저 압축부하형 난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