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925Y1 - 차단공간으로 동력을 부여하는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공간으로 동력을 부여하는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925Y1
KR200213925Y1 KR2020000024403U KR20000024403U KR200213925Y1 KR 200213925 Y1 KR200213925 Y1 KR 200213925Y1 KR 2020000024403 U KR2020000024403 U KR 2020000024403U KR 20000024403 U KR20000024403 U KR 20000024403U KR 200213925 Y1 KR200213925 Y1 KR 2002139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blocking
rotating
shaft
b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호
Original Assignee
노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호 filed Critical 노영호
Priority to KR20200000244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9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925Y1/ko

Links

Landscapes

  • 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자기력을 이용하여 차단부재 일측에서 타측으로 축의 연결 없이 동력을 전달시킬 수 있도록 한 차단공간으로 동력을 부여하는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축(11)을 갖는 동력발생수단(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차단부재(1)에 의해 격리되어 있는 차단공간(2)에 설치된 피동축(14)으로 부여되도록 하는 회전장치로서; 상기 동력발생수단(10)의 구동축(11)에 고정되고 소정의 넓은 면적과 크기를 갖는 제1회전부재(12)와; 상기 제1회전부재(12)의 앞면에 등간격으로 장착되고 차단부재(1)를 통과하는 자기력을 가지며 S,N극중 어느 하나의 자기극이 차단부재(1) 방향으로 방사되게 설치되는 제1자석부재(13)와; 상기 차단부재(1)를 사이에 두고 제1자석부재(13)와 대향된 위치에서 피동축(14)에 고정되며 제1회전부재(12)와 동일한 면적과 크기를 갖는 제2회전부재(15)와; 상기 제2회전부재(15) 앞면에 등간격으로 장착되고 차단부재(1)를 통과하는 자기력을 가지며 제1자석부재(13)에서 차단부재(13)로 미치는 자기극과 반대되는 자기극이 차단부재(1) 방향으로 방사되게 설치되는 제2자석부재(16)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자석부재(13)와 제2자석부재(16)는 상호 끌어 당기는 힘이 발생되도록 상호 반대되는 자기극이 대치되게 설치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차단공간으로 동력을 부여하는 회전장치{Rotation system for power supply}
본 고안은 차단된 공간으로 동력을 부여할 수 있게 하는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차단부재 일측에서 타측으로 동력을 전달시킬 수 있도록 한 동력부여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사회에서 동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동력이 발생되는 모터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모터 동력은 커플링과 같은 동력전달 매개체를 통하여 회전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통상적인 동력 전달 방식이다.
부언하면, 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동력은 동력수요장치와 반드시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동력이 전달될 수 있게 된다.
가령, 밀폐된 용기 내부에 임펠러축과 같은 회전부재가 있고, 그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용기 외부에 모터를 설치한 다음 그 모터와 임펠러축으을 연결시켜 모터 동력에 의해 임펠러축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 동력전달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모터축 또는 임펠러축이 용기를관통하여 연결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용기 밀폐가 요구되는 경우 시일 또는 패킹과 같은 밀폐부재를 이용하여 축이 관통하는 용기를밀폐시키도록 하면서도 축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시켜야 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해지고 원가상승이 초래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축의 회전 마찰에 의해 시일이나 패킹의 마모가 초래되어 교환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용기가 완전한 밀폐성을 유지하는 것에도 문제가 야기된다.
특히, 비교적 작은 크기나 부피를 갖는 장치이면서도 용기와 같이 분리된 공간에서 모터 회전력을 전달시키는데 있어서는 시일이나 패킹과 같은 밀폐부재를 사용하기에는 매우 부적합하다.
그러므로 용기나 또는 분리되고 차단된 공간에서 축의 연결됨이 없이 회전력을 전달 받을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차단된 공간으로 축의 연결 없이 회전력을 전달 받을 수 있는 회전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어느 물체이든 자기력이 통과될 수 있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차단된 공간으로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구동축을 갖는 동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차단부재에 의해 격리되어 있는 차단공간에 설치된 피동축으로 부여되도록 하는 회전장치로서;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구동축에 고정되고 소정의 넓은 면적을 갖는 제1회전부재와; 상기 제1회전부재의 앞면에 등간격으로 장착되고 차단부재를 통과하는 자기력을 가지며 S,N극중 어느 하나의 자기극이 차단부재 방향으로 방사되게 설치된 제1자석부재와; 상기 차단부재를 사이에 두고 제1자석부재와 대향된 위치에서 피동축에 고정되고 제1회전부재와 동일한 면적과 크기를 갖는 제2회전부재와; 상기 제2회전부재의 앞면에 등간격으로 장착되고 차단부재를 통과하는 자기력을 가지며 제1자석부재에서 차단부재로 미치는 자기극과 반대되는 자기극이 차단부재 방향으로 방사되게 설치된 제2자석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자석부재와 제2자석부재는 상호 끌어 당기는 힘이 발생되도록 상호 반대되는 자기극이 대치되게 설치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동력부여 회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고안에 의한 동력부여 회전장치의 작용을 보인 일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자석부재의 배치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일실시예를 보인 일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Y - Y'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단부재 2 : 차단공간
10 : 동력발생수단 11 : 구동축
12 : 제1회전부재 13 : 제1자석부재
14 : 피동축 15 : 제2회전부재
16 : 제2자석부재
본 고안 장치를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일측면도를 보인 것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회전장치는 구동축(11)을 갖는 동력발생수단(10)을 구비한다. 상기 동력발생수단(10)은 전기에너지에 의해서 회전동력이 발생되는 모터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반드시 모터만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있어서는 회전 동력을 얻을 수 있는 에어모터 등도 포함된다. 즉, 구동축(11)을 회전시킬 수 있는 모든 동력발생수단(10)을 의미하는 것이다.
구동축(11)에는 소정의 넓은 면적과 크기를 갖는 제1회전부재(12)가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므로 구동축(11)이 회전되면 제1회전부재(12)도 회전된다.
제1회전부재(12)는 회전되는 것이므로 원형 형태가 양호하다.
상기 회전부재(12)의 앞면에는 S,N극중 어느 하나의 자기극이 차단부재(1) 방향으로 방사되도록 제1자석부재(13)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자석부재(13)를 포함한 제1회전부재(12)는 제1자석부재(13)의 자기력이 차단부재(1)를 통과 할 수 있도록 그 차단부재(1)에 근접되게 설치된다.
차단부재(1)의 내측이 되는 차단공간(2)에는 피동축(1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피동축(14)은 동력을 전달 받기 위한 축이며, 증속기 또는 감속기(3)와 연결되게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지지부재(미도시됨) 등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단독으로도 설치될 수 있다.
피동축(14) 선단부에는 제2회전부재(15)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고, 그 제2회전부재(15)는 제1회전부재(12)와 동일한 크기와 면적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차단부재(1)를 사이에 두고 제1회전부재(12)와 제2회전부재(15)는 상호 대향된 위치에서 대치되게 설치된다.
제2회전부재(15)의 앞면에는 제1자석부재(13)에서 차단부재(1)로 미치는 자기극과 반대되는 자기극이 차단부재(1)방향으로 방사되도록 제2자석부재(16)가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그러므로 차단부재(1)를 가운데에 두고 제1자석부재(13)와 제2자석부재(16)는 상호 반대되는 자기극이 마주하도록 대치된 상태를 갖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자석부재(13)에서 자극이 대응하도록 한 것으로서, 예컨데 차단부재(1) 방향으로 S극의 자극(자기력)이 작용되도록 하면 제2자석부재(16)에서는 차단부재(1) 방향으로 N극의 자극(자기력)이 작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자석부재(13)와 제2자석부재(16)의 자기력은 차단부재(1)를 통과하게 되고 상호 다른 극끼리는 끌어당기는 힘이 발생하는 상태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동력발생수단(10)의 구동에 의해서 구동축(11)이 회전함에 따라 제1자석부재(13)가 회전된다.
제1자석부재(13)가 회전하면 차단부재(1)에 의해 차단되어 있어도 반대 자기극끼리 상호 끌어 당기는 힘에 의해서 제2자석부재(16)가 회전되는 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제2자석부재(16)를 가진 제2회전부재(15)가 회전되고 회전력을 얻게 된다.
그러므로 제2회전부재(15)와 연결된 피동축(14)으로 회전력이 부여되어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제1 및 제2회전부재(12)(15)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자석부재(13)(16)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배치에 있어서 제1 및 제2회전부재(12)(15)에서 제1 및 제2자석부재(13)(16)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양호하다. 그것은 회전방향과 동일한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게 되면 정지후 다시 회전을 시작할 때 어느 위치에서든 자기력이 서로 일치하여 서로 끌어 당기는 상태를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 및 제2자석부재(13)(16)의 모양은 원형이나 사다리꼴 모양등 어느 모양이든 관계 없이 적용시킬 수 있으며, 상호 끌어 당기는 자기력에 의한 회전력의 전달은 제1 및 제2회전부재(12)(15)의 크기에 비례하는 제1 및 제2자석부재(13)(16)의 크기와 자력의 세기, 자석의 극수 및 자극의 조합과 그 배치방법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을 적용시킨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 준다.
이 적용 실시예는 페어글라스창의 차양장치에 본 고안의 회전장치를 적용시킨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페어글라스창은 건물의 소음 차단 및 단열 효과를 얻기 위하여 2중 유리창(20)(20')의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2중 유리창(20)(20')의 공간부(21)에는 유연한 재질의 차양부재(22)가 내장되며, 이 차양부재(22)는 차양축(23)에 권취되고 필요에 따라 풀림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차양 기능을 갖기 위하여 차양축(23)의 정,역회전이 요구된다.
그러나 2중 유리창(20)(20')의 공간부(21)는 협소하고 밀봉수단에 의해서 밀폐된 구조를 갖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차양축(23)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모터를 공간부(21) 내부에 내장시키기는 난이하다.
또한, 차양축(23)과 모터축을 직결시켜 구동하는 경우 공간부(21)가 밀봉되지 못하여 2중창의 단열 효율이 저하되게 되거나 또는 단열 기능을 전혀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야기 될 수 있다.
물론, 축 연결부위에 시일이나 패킹과 같은 밀폐수단을 이용하여 밀폐시킬 수 있으나 회전되는 축의 마찰에 의해 밀폐수단이 마모되기 때문에 사실상 2중창의 완벽한 밀봉이 완벽하지 못하게 되어 단열 효과를 가질 수 없다.
이 경우 본 고안의 회전 장치가 이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간부(21)와 외부를 차단하는 차단부재(1) 외측에 동력발생수단(10)인 모터를 설치하고 그 구동축(11)에 제1자석부재(13)를 가진 제1회전부재(12)가 설치되게 한다.
또한, 공간부(21) 상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차양축(23) 일측에는 제2자석부재(16)를 가진 제2회전부재(15)가 설치된다.
따라서, 유선 또는 무선스위치를 이용하여 모터인 동력발생수단(10)를 구동시키면 차단부재(1)에 의해 막혀 있어도 차양축(23)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차양부재(22)를 권취시키거나 풀림되도록 할 수 있게 조작 가능하면서도 공간부(21)의 밀봉된 상태를 그대로 보존할 수 있게 되므로 단열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본 고안 장치를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은 차단된 공간으로 축의 연결 없이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는 회전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구동축(11)을 갖는 동력발생수단(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차단부재(1)에 의해 격리되어 있는 차단공간(2)에 설치된 피동축(14)으로 부여되도록 하는 회전장치로서;
    상기 동력발생수단(10)의 구동축(11)에 고정되고 소정의 넓은 면적과 크기를 갖는 제1회전부재(12)와;
    상기 제1회전부재(12)의 앞면에 등간격으로 장착되고 차단부재(1)를 통과하는 자기력을 가지며 S,N극중 어느 하나의 자기극이 차단부재(1) 방향으로 방사되게 설치되는 제1자석부재(13)와;
    상기 차단부재(1)를 사이에 두고 제1자석부재(13)와 대향된 위치에서 피동축(14)에 고정되며 제1회전부재(12)와 대응되는 면적과 크기를 갖는 제2회전부재(15)와;
    상기 제2회전부재(15) 앞면에 등간격으로 장착되고 차단부재(1)를 통과하는 자기력을 가지며 제1자석부재(13)에서 차단부재(13)로 미치는 자기극과 반대되는 자기극이 차단부재(1) 방향으로 방사되게 설치되는 제2자석부재(16)를 포함하며;
    상기 제1자석부재(13)와 제2자석부재(16)는 상호 끌어 당기는 힘이 발생되도록 상호 반대되는 자기극이 대치되게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공간으로 동력을 부여하는 회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재(12)의 제1자석부재(13)와 제2회전부재(15)의 제2자석부재(16)는 제1 및 제2회전부재(12)(15)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원주방향으로 등간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공간으로 동력을 부여하는 회전장치.
KR2020000024403U 2000-08-28 2000-08-28 차단공간으로 동력을 부여하는 회전장치 KR2002139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403U KR200213925Y1 (ko) 2000-08-28 2000-08-28 차단공간으로 동력을 부여하는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403U KR200213925Y1 (ko) 2000-08-28 2000-08-28 차단공간으로 동력을 부여하는 회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541A Division KR20010065963A (ko) 1999-12-30 1999-12-30 차단공간으로 동력을 부여하는 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925Y1 true KR200213925Y1 (ko) 2001-02-15

Family

ID=73087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403U KR200213925Y1 (ko) 2000-08-28 2000-08-28 차단공간으로 동력을 부여하는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9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548B1 (ko) * 2001-08-22 2010-06-21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광섬유 모재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4548B1 (ko) * 2001-08-22 2010-06-21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광섬유 모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0505B1 (en) Direct drive inside-out brushless roller motor
JPH09509993A (ja) 2枚の窓ガラスの間の密封チャンバー内のベネチャンブラインドを対面した磁気連結によって操作するための装置
DE60027574D1 (de) Axialer türantrieb
BR9809502A (pt) Máquina de esmerilhar.
CN201286043Y (zh) 带磁齿轮完全静密封复合电机
EP1818068A3 (en) Centrifugal fluid pump assembly
KR200213925Y1 (ko) 차단공간으로 동력을 부여하는 회전장치
DE60006689D1 (de) Kreiselpumpe mit magnetischem antrieb
EP3553924A1 (en) Direct current motor having one-way bearings
AU2003293273A1 (en) Device for feeding a gaseous and/or liquid medium to a rotating pressurised system
JP2003090187A (ja) 複層ガラスユニット内のシャッタのための作動組立体
WO1999065134A1 (en) Direct drive inside-out brushless roller motor
KR20010065963A (ko) 차단공간으로 동력을 부여하는 회전장치
US5714811A (en) Rotor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for a brushless motor
RU2001117406A (ru) Осевой вентилятор с реверсированием направления потока
KR20060048696A (ko) 스크린용 작동 디바이스와 이를 구비한 창유리
CN2679417Y (zh) 感应式异式高温磁力耦合传动器
CN209105010U (zh) 免调整磁力联轴器
EP1086522A1 (en) Direct drive inside-out brushless roller motor
IT1247634B (it) Sistema di azionamento per pompa idraulica a tenuta rotante
KR100656387B1 (ko) 스크린 구동 장치
US4932838A (en) Fluid apparatus
CN213521703U (zh) 一种密封磁浮电机及具有该密封磁浮电机的工艺品水灯
JPH05231082A (ja) 電動ロールスクリーン
CN109629175A (zh) 一种复合式多动力驱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