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850Y1 -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850Y1
KR200213850Y1 KR2019970042557U KR19970042557U KR200213850Y1 KR 200213850 Y1 KR200213850 Y1 KR 200213850Y1 KR 2019970042557 U KR2019970042557 U KR 2019970042557U KR 19970042557 U KR19970042557 U KR 19970042557U KR 200213850 Y1 KR200213850 Y1 KR 2002138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lide structure
cushion
hinge shaft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25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889U (ko
Inventor
김영운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25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850Y1/ko
Publication of KR199900298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8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8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8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작동레버의 조작에 따라 스톱퍼와 반대작용을 하면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별도의 스톱퍼를 갖춤으로써, 쿠션이 급격하게 움직이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또한 미세한 동작에도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기 힌지축에 양측에서 탄성지지를 받아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별도의 스톱퍼를 구비하고, 이 스톱퍼가 작동레버을 들어 올리게 되면 쿠션을 트랙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축에 스톱퍼와 반대로 작용되는 별도의 스톱퍼를 구비함으로써, 트랙을 따라 움직이는 쿠션이 급격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쿠션과 시트 백으로 구분되어 있다.
특히, 상기 시트 백은 쿠션에 리클라이너를 매개로 쿠션에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쿠션은 차체에 고정된 트랙에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트랙은 쿠션의 프레임에 고정된 상부 트랙과 이 상부 트랙을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차체에 고정된 하부 트랙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트랙에는 쿠션의 위치를 고정시켜주기 위한 스톱퍼를 포함하는 작동레버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트랙에는 이 스톱퍼가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걸림구멍이 형성된 고정브라켓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는 상기 작동레버를 위로 올리게 되면 스톱퍼가 걸림구멍으로부터 빠져나게 되어 쿠션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쿠션을 체형에 맞도록 조절한 다음 상기 작동레버를 놓게 되면 다시 스톱퍼가 다른 걸림구멍에 끼워지면서 쿠션을 고정시켜주게 된다.
그러나, 기존 시트의 슬라이드 구조는 작동레버를 잡아 걸림을 해제하는 것과 동시에 발로 차체를 밀게 되어 쿠션이 급격하게 움직이게 되어, 쿠션의 위치를 여러번에 걸쳐 체형에 맞도록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작동레버의 조작에 따라 스톱퍼와 반대작용을 하면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별도의 스톱퍼를 갖춤으로써, 쿠션이 급격하게 움직이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또한 미세한 동작에도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기 힌지축에 양측에서 탄성지지를 받아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별도의 스톱퍼를 구비하고, 이 스톱퍼가 작동레버을 들어 올리게 되면 쿠션을 트랙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의 슬라이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 트랙 11 : 작동레버
12 : 제 1스톱퍼 13 : 힌지축
14 : 제 2스톱퍼 15 : 연장부
16 : 공간부 17 : 스프링
18 : 로드 20 : 하부 트랙
21 : 고정브라켓 22 : 고정구멍
23 : 걸림부 23 : 와이어
본 고안은 2개의 상부 트랙(10)에 구성된 제 1스톱퍼(12)를 동시에 작동시켜주는 작동레버(11)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작동레버(11)의 힌지축(13)에는 양측에서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동시에 슬라이드가능하도록 제 2스톱퍼(14)가 갖추어지되, 상기 제 2스톱퍼(14)는 제 1스톱퍼(12)와 상호 반대작용으로 하부 트랙(20)의 고정브라켓(21)에 형성된 고정구멍(22)에 선택적으로 끼움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 2스톱퍼(14)는 힌지축(13)의 끝단을 연장하여 이루어진 연장부(15)에 양측으로 탄성지지를 받아 그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스톱퍼(14)는 내부에 일정한 직경을 갖는 공간부(16)가 관통형성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측에는 확장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축(13)과 이 확장관 구간 사이에 스프링(17)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의 슬라이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면부호 10은 상부 트랙을, 20은 하부 트랙을 각각 나타낸다.
본 고안은 상기 상부 트랙(10)에 갖추어진 작동레버(11)의 힌지축(13) 끝단을 연장하여, 여기에 상기 작동레버(11)에 구비된 제 1스톱퍼(12)와 반대로 작동되도록 제 2스톱퍼(14)를 구비하여, 상기 제 2스톱퍼(14)가 하부트랙(20)의 고정브라켓(21)으로부터 제 1스톱퍼(12)이 분리됨에 따라 반대로 치합된 상태로 탄성지지를 받아 슬라이드 가능하게 함으로써, 쿠션이 급격하게 움직이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 힌지축(13)은, 기존 시트의 슬라이드 구조로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부재로 이루어져서 상부 트랙(10)의 안쪽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제 1스톱퍼(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 1스톱퍼(12)는 쿠션의 양측에 각각 갖추어진 각 상부 트랙(10)에 구비된 2개가 서로 와이어(24)로 연결되어, 상기 작동레버(11)의 조작에 따라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트랙(2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구멍(22)이 형성된 고정브라켓(20)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브라켓(21)에는 항상 탄성지지를 받는 상기 제 1스톱퍼(12)가 선택된 고정구멍(22)에 끼워져서 쿠션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설치된 힌지축(13)의 끝단을 연장하여 연장부(15)를 구성하고, 이 연장부(15)에 힌지축(13)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 2스톱퍼(14)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 2스톱퍼(14)는 내부에 힌지축(13)이 끼워져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공간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간부(16)의 양측단부는 보다 넓게 확장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제 2스톱퍼(14)는 그 외주면에 제 1스톱퍼(12)와 같이 고정구멍(22)에 선택적으로 끼움가능한 걸림부(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의 확장간 구간에 각각 스프링(17)이 끼워진 상태로 연장부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 2스톱퍼(14)는 상기 2개의 힌지축(13)에 서로 대칭인 형태로 설치되며, 이때 상기 각 스톱퍼(14)는 와이어(18)와 교차되는 형태로 설치된 로드(18)의 양단에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이루어진 제 2스톱퍼(14)는 작동레버(11)를 올려 제 1스톱퍼(12)가 고정구멍(22)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면 반대로 어느 하나의 고정구멍(22)에 걸린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쿠션을 전후로 움직이게 되면 어느 한쪽의 스프링(17)을 가압하면서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작동레버(11)를 놓게 되면 제 1스톱퍼(12)가 고정구멍(22)에 끼워짐과 동시에 제 2스톱퍼(14)는 끼워졌던 고정구멍(22)으로부터 이탈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압된 어느 하나의 스프링(17)에 의하여 연장부의 중심 위치로 되돌아 가게 된다.
이때, 상기 2개의 상부 트랙(10)에 구비된 2개의 제 2스톱퍼(14)는 로드(18)를 매개로 동시에 작동하게 되는데, 이 로드(18)는 상기 와이어(24)와 교차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스톱퍼(14)는 제 1스톱퍼(12)와 반대로 작용하면서 고정구멍(22)에 끼워져서 힌지축(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쿠션이 급격하게 움직이는 것을 막아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작동레버에 의하여 제 1스톱퍼를 작동시켜주는 힌지축의 끝단을 연장하여 연장부를 형성하고, 이 연장부에 양측으로 탄성지지를 받는 제 2스톱퍼를 구성하여, 상기 제 2스톱퍼가 작동레버의 조작으로 쿠션의 고정이 풀린 상태에서 쿠션을 고정시켜주면서 힌지축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함으로써, 쿠션의 위치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미세한 조절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2개의 상부 트랙(10)에 구성된 제 1스톱퍼(12)를 동시에 작동시켜주는 작동레버(11)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각 작동레버(11)의 힌지축(13)에는 양측에서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동시에 슬라이드가능하도록 제 2스톱퍼(14)가 갖추어지되,
    상기 제 2스톱퍼(14)는 제 1스톱퍼(12)와 상호 반대작용으로 하부 트랙(20)의 고정브라켓(21)에 형성된 고정구멍(22)에 선택적으로 끼움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스톱퍼(14)는 힌지축(13)의 끝단을 연장하여 이루어진 연장부(15)에 양측으로 탄성지지를 받아 그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스톱퍼(14)는 내부에 일정한 직경을 갖는 공간부(16)가 관통형성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측에는 확장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축(13)과 이 확장관 구간 사이에 스프링(17)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구조.
KR2019970042557U 1997-12-29 1997-12-29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구조 KR2002138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557U KR200213850Y1 (ko) 1997-12-29 1997-12-29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557U KR200213850Y1 (ko) 1997-12-29 1997-12-29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889U KR19990029889U (ko) 1999-07-26
KR200213850Y1 true KR200213850Y1 (ko) 2001-03-02

Family

ID=5389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2557U KR200213850Y1 (ko) 1997-12-29 1997-12-29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8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889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2264B2 (ja) 自動車シート用調整装置、特に高さ調整装置
JP2892984B2 (ja) 自動車シート用レール対
EP1251417A1 (en) Adjustable pedal assembly
US20060230867A1 (en) Actuating mechanism for a parking brake
US6763741B2 (en) Adjustable foot-lever assembly
US4762015A (en) Tiltable vehicle steering column assembly
KR200213850Y1 (ko) 자동차용 시트의 슬라이드 구조
EP1174301A2 (en) A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for an automobile
EP1280034B1 (en)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pedal
EP3950473B1 (en) Windshield device for saddle-ride type vehicle
US6164154A (en) Adjustable pedal with cable assembly
KR0153648B1 (ko) 자동차용 어린이시트
WO2002074575A1 (en) A support arrangement for a vehicle seat
KR0184287B1 (ko) 나사난 막대와 속이빈 피봇 너트를 가진 기계적 위치설정 잭
KR100535881B1 (ko) 차량의 스티어링칼럼 틸팅장치
GB2168421A (en) Unlocking mechanism in a seat for vehicles
KR200177908Y1 (ko) 자동차 틸트 조향휠의 각도 조절장치
JPH0519229Y2 (ko)
JP3773666B2 (ja) 操作レバーの衝撃エネルギー吸収装置
JP4593167B2 (ja) リバースミスシフト防止構造
JPS62283047A (ja) パ−キングブレ−キのブレ−キ操作機構
KR20040028194A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페달
KR19990029823U (ko) 자동차의 시트 높이 조절장치
KR20030054494A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장치
KR19980050894U (ko) 스티어링 휠 높이 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