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622Y1 - 송수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송수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622Y1
KR200213622Y1 KR2020000025057U KR20000025057U KR200213622Y1 KR 200213622 Y1 KR200213622 Y1 KR 200213622Y1 KR 2020000025057 U KR2020000025057 U KR 2020000025057U KR 20000025057 U KR20000025057 U KR 20000025057U KR 200213622 Y1 KR200213622 Y1 KR 200213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coupling
coupled
saddle block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0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호균
Original Assignee
왕호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호균 filed Critical 왕호균
Priority to KR2020000025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6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622Y1/ko

Links

Landscapes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메인송수관으로부터 서브송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 연결장치는 물이 공급되며 그 외주면에 유출공(51)이 형성된 메인송수관(50)과; 유출공(51)을 포함하여 메인송수관(50)의 일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메인송수관(50)에 안착되며, 유출공(51)과 연통하고 서브송수관(60)이 결합되는 연결보스(71)를 가지는 새들블럭(70)과; 새들블럭(70)에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부분이 메인송수관(50)의 타측부분에 탄성바이어스되는 클램프(90)를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연결장치는 와이어클램프(90)에 의해서 새들블럭(70)이 메인송수관의 외주면에 탄성바이어스되므로 그 연결작업이 간편하다.

Description

송수관 연결장치{Connection apparatus for water supply}
본 고안은 메인송수관으로부터 분기하여 서브송수관을 연결시키는 송수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메인송수관과 서브송수관을 클램핑시키는 새들블럭을 채용하여서 그 연결작업이 간편하고 누수가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된 송수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농작물의 물공급은 자연현상인 우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가뭄 또는 작물의 재배방법에 따라 일정한 경우에는 인위적으로 저수지 등으로부터 인수하여 농작물에 물을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물 공급을 위한 방법으로서는 보통 직경이 큰 메인송수관을 공통의 통로에 배치시키고, 이 메인송수관으로부터 분기하여 서브송수관을 연결하여서 공급하고자하는 위치로 물을 공급시킨다.
한편, 메인송수관과 서브송수관을 연결시키는 장치로서는 클램프가 사용되는 데, 이러한 클램프(30)의 일반적인 예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메인송수관(10)의 유출공(11)부분을 클램핑하는 상부클램프(31)와 하부클램프(35)로 이루어진다. 상부클램프(31)는 서브송수관(20)이 결합되고 유출공(11)과 연통되는 연결보스(32)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보스(32)의 외주연에는 예컨대, 비닐파이프와 같은 서브송수관(20)이 결합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환형의 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클램프(31)의 내주면에는 누수방지를 위한 패킹(34)이 결합되어져 있다.
이러한 상/하부클램프(31)(35)는 체결볼트(36)에 의해서 메인송수관(10)에 밀착되어 클램핑된다.
그런데, 이러한 송수관 연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클램프(30)가 상/하부클램프(31)(35)로 분리되어 이루어져 있고, 이들은 체결볼트(36)에 의해 체결고정되므로 서브송수관(20)의 연결작업이 번거롭고 그 구조가 복잡하다.
둘째, 상/하부클램프(31)(35)의 내주면과 메인송수관(10)의 외주연 사이의 슬립으로 유출공(11)과 연결보스(32)의 위치가 변경되어 누수염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메인송수관과 서브송수관의 연결구조가 간단하고 그 작업이 간편한 송수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누수가 효과적으로 방지된 송수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연결장치의 사시도,
도4a 및 도 4b는 본 고안 연결장치의 클램핑 작동도,
도 5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의 연결보스가 채용된 연결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연결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메인송수관 51...유출공
60...서브송수관 70...새들블럭
71...연결보스 72...결합리브
90...클램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 송수관 연결장치는 물이 공급되며 그 외주면에 유출공이 형성된 메인송수관과; 상기 메인송수관에 안착되고, 상기 유출공과 연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새들블럭과; 서브송수관이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새들블럭에 연결시키는 연결수단과; 상기 새들블럭에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부분이 메인송수관의 타측부분에 탄성바이어스되는 클램프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출공에 결합되도록 상기 새들블럭의 몸체로부터 결합리브가 연장형성되어 있고, 결합리브의 외주연에는 패킹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보스의 외주연에는 복수의 환형돌기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서브송수관이 결합되는 연결보스를 구비하여서, 이 연결보스를 상기 새들블럭에 나사결합시키도록 구성하였으며, 연결보스에는 각각 서브송수관이 결합되는 복수의 분기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새들블럭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결합부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너트체와, 상기 체결너트체에 수용되며 내주연에 나사돌기가 형성된 송수관결합체와, 상기 나사결합부와 송수관결합체 사이에 마련되는 패킹체를 구비하여서, 상기 송수관결합체에 상기 서브송수관의 외주연에 나사탭을 형성하면서 억지결합되고, 체결너트체의 체결로 패킹 및 서브송수관의 결합이 유지되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그 외주연에 록킹돌기와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결합보스가 상기 새들블럭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결합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외주면에 상기 록킹돌기가 록킹위치와 록킹해제위치에 놓이도록 록킹턱을 가지는 록킹홈이 형성된 회전록킹체와, 상기 회전록킹체에 수용되는 환형의 패킹과, 일단이 상기 회전록킹체와 패킹에 결합되며 타단에 상기 서브송수관이 결합되는 연결보스를 구비하여 구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연결장치는 클램프에 의해서 새들블럭이 메인송수관의 외주면에 탄성바이어스되므로 그 연결작업이 간편하다. 또한, 유출공에 결합되는 결합리브에 의해서 새들블럭의 결합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가 가능하며, 패킹과 더불어 누수방지에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 송수관 연결장치는 물이 공급되며 그 외주면에 유출공(51)이 형성된 메인송수관(50)과; 상기 유출공(51)을 포함하여 메인송수관(50)의 일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메인송수관(50)에 안착되며, 유출공(51)과 연통하는 관통공(73)이 형성된 새들블럭(70)과; 서브송수관(60)이 상기 관통공(73)과 연통되도록 상기 새들블럭(70)에 연결시키는 연결수단과; 상기 새들블럭(70)에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부분이 메인송수관(50)의 타측부분에 탄성바이어스되는 클램프(90)를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클램프(9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상의 와이어 클램프로 이루어지고, 그 곡률반경이 메인송수관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새들블럭(70)을 클램핑할때에는 탄성변형되면서 클램프(90)의 곡률반경이 확장되어지고, 메인송수관(50)의 외주면에 탄성바이어스되어 새들블럭(70)을 클램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출공(51)에 결합되도록 새들블럭(50)의 몸체로부터 결합리브(72)가 연장형성되어 있고, 결합리브(72)의 외주연에는 패킹(80)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새들블럭(70)과 메인송수관(50) 사이의 슬립현상이 결합리브(72)에 의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패킹(80)은 결합리브(72)와 유출공(51) 사이의 누수를 방지시킨다.
상기 서브송수관(60)을 상기 새들블럭(70)에 연결시키는 연결수단은 서브송수관(60)이 결합되는 연결보스(71)를 구비하여서, 이 연결보스(71)는 상기 새들블럭(60)에 나사결합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연결보스(71)의 외주연에는 복수의 환형돌기(71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비닐관 같은 서브송수관(60)이 결합된 후 그 이탈을 방지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보스(71)에는 각각 서브송수관이 결합되는 복수의 분기관(75)(76)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연결보스(71)로부터 복수의 서브송수관(60)을 연결시킴이 가능해지므로 간단하게 관수지역을 넓힐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들블럭(100)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부(101)가 형성되고, 이 나사결합부(101)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너트체(110)와, 체결너트체(110)에 수용되며 내주연에 나사돌기(141)가 형성된 송수관결합체(140)와, 상기 나사결합부(101)와 송수관결합체(140) 사이에 마련되는 패킹체(120)를 구비하여서, 상기 송수관결합체(140)에 상기 서브송수관(60)의 외주연에 나사탭을 형성하면서 억지결합되고, 체결너트체(110)의 체결로 패킹 및 서브송수관(60)의 결합이 유지되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에서 패킹체(120)는 패킹결합체(130)에 결합된 상태로 체결너트체(110)에 수용된다. 또한, 새들블럭(100)의 하단부에는 메인송수관(50)과의 패킹을 위한 패킹체(10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연에 록킹돌기(202)와 메인송수관(50)의 유출공(51)과 연통되는 결합보스(201)가 새들블럭(200)에 연장형성되고, 새들블럭(200)에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부분이 메인송수관(50)의 타측부분에 탄성바이어스되는 클램프(90)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보스(20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외주면에 상기 록킹돌기(202)가 록킹위치와 록킹해제위치에 놓이도록 록킹턱(212)을 가지는 록킹홈(211)이 형성된 회전록킹체(210)와, 이 회전록킹체(210)에 수용되는 환형의 패킹(230)과, 일단이 상기 회전록킹체(210)와 패킹(230)에 결합되며 타단에 상기 서브송수관(60)이 결합되는 연결보스(220)(221)를 구비하여 구성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록킹체(210)의 손잡이(213)를 잡고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경사진 록킹턱(212)이 록킹돌기(202)에 의해서 탄성변형되게 되고, 이에 따라 록킹돌기(202)가 록킹해제위치에서 록킹위치로 위치되어 록킹되게 된다. 이때 패킹(230)은 서브송수관(60)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실링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연결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종래 연결장치는 상/하부클램프가 체결볼트에 의해서 클램핑되는 구조를 가졌던 것과는 달리, 본 고안 연결장치는 와이어클램프(90)에 의해서 새들블럭(70)이 메인송수관의 외주면에 탄성바이어스되므로 그 연결작업이 간편하다.
둘째, 유출공(51)에 결합되는 결합리브(72)에 의해서 새들블럭의 결합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가 가능하며, 패킹과 더불어 누수방지에 효과적이다.
세째, 간단한 구조로 하나의 연결보스로부터 복수의 서브송수관을 통해 넓은 지역의 관수가 가능해진다.

Claims (8)

  1. 물이 공급되며 그 외주면에 유출공이 형성된 메인송수관과;
    상기 메인송수관에 안착되고, 상기 유출공과 연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새들블럭과;
    서브송수관이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새들블럭에 연결시키는 연결수단과;
    상기 새들블럭에 그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부분이 메인송수관의 타측부분에 탄성바이어스되는 클램프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에 결합되도록 상기 새들블럭의 몸체로부터 결합리브가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서브송수관이 결합되는 연결보스를 구비하여서, 이 연결보스를 상기 새들블럭에 나사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 연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리브의 외주연에 패킹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 연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스의 외주연에 복수의 환형돌기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 연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스는 각각 서브송수관이 결합되는 복수의 분기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 연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새들블럭의 상단부에 나사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결합부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너트체와,
    상기 체결너트체에 수용되며 내주연에 나사돌기가 형성된 송수관결합체와,
    상기 나사결합부와 송수관결합체 사이에 마련되는 패킹체를 구비하여서,
    상기 송수관결합체에 상기 서브송수관의 외주연에 나사탭을 형성하면서 억지결합되고, 체결너트체의 체결로 패킹 및 서브송수관의 결합이 유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 연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그 외주연에 록킹돌기와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결합보스가 상기 새들블럭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결합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외주면에 상기 록킹돌기가 록킹위치와 록킹해제위치에 놓이도록 록킹턱을 가지는 록킹홈이 형성된 회전록킹체와,
    상기 회전록킹체에 수용되는 환형의 패킹과,
    일단이 상기 회전록킹체와 패킹에 결합되며 타단에 상기 서브송수관이 결합되는 연결보스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관 연결장치.
KR2020000025057U 2000-09-04 2000-09-04 송수관 연결장치 KR2002136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057U KR200213622Y1 (ko) 2000-09-04 2000-09-04 송수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057U KR200213622Y1 (ko) 2000-09-04 2000-09-04 송수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622Y1 true KR200213622Y1 (ko) 2001-02-15

Family

ID=7308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057U KR200213622Y1 (ko) 2000-09-04 2000-09-04 송수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6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6764B1 (en) Adjustable water-guiding rod for a cleaning brush
US9714504B2 (en) Bathtub drain and overflow kit
US6488318B1 (en) Piping joint and integrated valve with it
US6318763B1 (en) High-pressure fluid hose connector
US5160175A (en) Quick pipe coupling with inflatable seal and pin retainer
US5028077A (en) Adaptor for connecting a hose to a faucet
US7721754B2 (en) Tapping tee assembly with cap assembly
KR200213622Y1 (ko) 송수관 연결장치
GB2109507A (en) A tap
EP0580195B1 (en) Adapter for connecting a hose to a tap
KR100754864B1 (ko) 기밀용 패킹수단 및 이를 구비한 뉴틸리티식 pe 수도관의관로 연결장치
US20030080563A1 (en) Irrigation valve
KR940011859B1 (ko) 분기 파이프 이음새
KR100864053B1 (ko) 기밀용 패킹수단을 구비하는 뉴틸리티식 이중벽관용 관로 연결장치
KR200150035Y1 (ko) 농업용 밸브
KR200220906Y1 (ko) 연질비닐계 용수관의 분기 접속구
KR100864054B1 (ko) 기밀용 패킹수단을 구비하는 뉴틸리티식 차수벽관용 관로 연결장치
KR100864060B1 (ko) 기밀용 패킹수단을 구비하는 뉴틸리티식 솔리드관용 관로 연결장치
KR200302196Y1 (ko)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
KR20190060277A (ko) 분수호스를 간편하게 삽설하기 위한 분수호스 밸브
KR900006391Y1 (ko) 상수도의 분수전 체결장치
JPS6336228Y2 (ko)
KR200302531Y1 (ko) 농업용수 공급용 분기구
KR200285533Y1 (ko) 배관용 분기관 연결 피팅
JP4398811B2 (ja) 道路用消雪の配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