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422Y1 - 액체용기 계량 표시창 - Google Patents

액체용기 계량 표시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422Y1
KR200213422Y1 KR2020000024861U KR20000024861U KR200213422Y1 KR 200213422 Y1 KR200213422 Y1 KR 200213422Y1 KR 2020000024861 U KR2020000024861 U KR 2020000024861U KR 20000024861 U KR20000024861 U KR 20000024861U KR 200213422 Y1 KR200213422 Y1 KR 200213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window
liquid container
liquid
scale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태만
Original Assignee
전태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태만 filed Critical 전태만
Priority to KR2020000024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4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422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량표시창을 액체용기 성형시 일체로 함께 성형하여 후작업을 생략함으로서 제작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액체용기 계량 표시창에 관한 것으로서, 개략 직육면체 형상의 바디(31) 상부 중앙에는 손잡이(32)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액체의 주입과 배출을 위한 출입구(33) 및 액체 배출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34)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31)의 각 면에는 충분한 강성유지와 변형방지를 위한 수단으로 형성하는 요철부(35,36); 상기 바디(31)의 전면부(37) 상부일측에는 충진된 액체의 양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38,39)를 가지는 계량표시창(40)이 구비되는 액체용기(30)에 있어서;
상기 계량표시창(40)을 투명한 재질로 눈금(38,39)을 가지는 표시창(42)과 상기 표시창(42)에서 연장되는 결합관(43)으로 구성하여 액체용기(30) 성형시 함께 성형하고;
상기 계량표시창(40)의 결합관(43)에는 성형시 액체용기(30)의 바디(31)와 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결합돌기(44,45)를 더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액체용기 계량 표시창{Expression window of meter for liquid receptacle}
본 고안은 액체용기 계량 표시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용기 내부에 충진된 액체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계량표시창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액체용기는 그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나 기름과 같은 액체를 수용시켜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액체용기가 종래에는 투명한 재질로 성형되었으나 충분한 강성이 없는 관계로 근자에 들면서는 강성유지와 사용중 야기될 수 있는 팽창 및 수축현상등에 충분하게 견딜 수 있도록 제조하기 때문에 내부를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액체용기의 내부를 확인할 수 없을 때에는 액체용기 내에 충진된 액체의 양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어, 판매등의 장소에서 사용될 경우 내용량이 일치하지 않아 말성의 소지가 다분하게 된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액체용기의 전면에 충진된 액체의 양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계량표시창이 구비하고 있으며, 종래의 대표적인 예를 도 1,2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액체용기(1)는, 개략 직육면체 형상의 바디(2)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2)의 상부 중앙에는 손잡이(3)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액체의 주입과 배출을 위한 출입구(4) 및 액체 배출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5)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2)의 각 면에는 충분한 강성유지와 변형방지를 위한 수단으로 다수개의 요철부(6,7)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바디(2)의 전면부(8) 상부일측에는 충진된 액체의 양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계량표시창(10)이 구비된다.
상기 계량표시창(10)은 액체용기(1) 성형시 바디(2)가 내측으로 함입되도록 한 함입부(11)에 고정너트(12)를 매몰시켜 형성하고, 상기 고정너트(12)에는 투시창(13)을 가지는 투시구(14)를 나사결합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계량표시창은 바디에 별도의 고정너트를 매몰한 후 액체용기가 완성된 후 투시구를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액체용기의 제작에 상당한 난점이 있음은 물론, 제작후 다시 조립과정을 거쳐야 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계량표시창을 액체용기 성형시 일체로 함께 성형하여 후작업을 생략함으로서 제작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계량표시창이 적용된 액체용기의 일부파절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액체용기의 A부위인 계량표시창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계량표시창이 적용된 액체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부위인 계량표시창의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액체용기
40; 계량표시창
42; 표시창
43; 결합관
44,45; 결합돌기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계량표시창이 적용된 액체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부위인 계량표시창의 확대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액체용기(30)는 개략 직육면체 형상의 바디(31)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31)의 상부 중앙에는 손잡이(32)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액체의 주입과 배출을 위한 출입구(33) 및 액체 배출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34)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31)의 각 면에는 충분한 강성유지와 변형방지를 위한 수단으로 다수개의 요철부(35,36)를 형성한다.
상기 바디(31)의 전면부(37) 상부일측에는 충진된 액체의 양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38,39)를 가지는 계량표시창(40)이 구비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계량표시창(40)을 투명한 재질로 눈금(38,39)을 가지는 표시창(42)과 상기 표시창(42)에서 연장되는 결합관(43)으로 구성하여 액체용기(30) 성형시 함께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량표시창(40)의 결합관(43)에는 성형시 액체용기(30)의 바디(31)와 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결합돌기(44,45)를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계량표시창(40)은 액체용기(30) 성형시 함께 성형하기 때문에 액체용기(30) 성형후 별도의 조립과정을 거쳐야 할 필요가 없어 액체용기(30)의 생산성에 기여할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계량표시창을 액체용기 성형시 일체로 함께 성형하여 후작업을 생략함으로서 제작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등 기대되는 효과가 많은 고안이다.

Claims (1)

  1. 개략 직육면체 형상의 바디(31) 상부 중앙에는 손잡이(32)가 구비되고 일측에는 액체의 주입과 배출을 위한 출입구(33) 및 액체 배출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34)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31)의 각 면에는 충분한 강성유지와 변형방지를 위한 수단으로 형성하는 요철부(35,36);
    상기 바디(31)의 전면부(37) 상부일측에는 충진된 액체의 양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38,39)를 가지는 계량표시창(40)이 구비되는 액체용기(30)에 있어서;
    상기 계량표시창(40)을 투명한 재질로 눈금(38,39)을 가지는 표시창(42)과 상기 표시창(42)에서 연장되는 결합관(43)으로 구성하여 액체용기(30) 성형시 함께 성형하고;
    상기 계량표시창(40)의 결합관(43)에는 성형시 액체용기(30)의 바디(31)와 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결합돌기(44,45)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계량 표시창.
KR2020000024861U 2000-09-01 2000-09-01 액체용기 계량 표시창 KR200213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861U KR200213422Y1 (ko) 2000-09-01 2000-09-01 액체용기 계량 표시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861U KR200213422Y1 (ko) 2000-09-01 2000-09-01 액체용기 계량 표시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422Y1 true KR200213422Y1 (ko) 2001-02-15

Family

ID=73079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861U KR200213422Y1 (ko) 2000-09-01 2000-09-01 액체용기 계량 표시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4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590A (ko) * 2009-08-20 2011-02-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도어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590A (ko) * 2009-08-20 2011-02-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도어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KR101579982B1 (ko) 2009-08-20 2015-1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도어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20010650D0 (no) Nivåmåler for måling av væskemengde i tank
ES2068936T3 (es) Envase para material de relleno fluido con costura circundante.
US3505870A (en) Pressurized container with content indicator
KR200213422Y1 (ko) 액체용기 계량 표시창
ITMI20010343A1 (it) Contenitore a paletta per liquidi
JP4662270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ITUD20030054U1 (it) Imbuto con indicatore per mostrare il livello dell'acqua
US7258004B2 (en) Volume indicator having angled gradient openings
ITTO20000463A1 (it) Dispensatore di agenti di lavaggio per una macchina di lavaggio domestica, in particolare una lavastoviglie.
US2667074A (en) Haemocytometer pipette
US1972220A (en) Hydrometer float
KR101621793B1 (ko) 수위 측정용 오일감지기 어셈블리 제조방법
JP5035667B2 (ja) 計量キャップ
US4562935A (en) Inside protector for bottom wall portion of underground tank beneath fill tube
GB2074729A (en) Liquid level
CN211954134U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测量用具
CN209639646U (zh) 一种高度测量辅助治具
KR20230126358A (ko) 수도계량기 방수구조
JPH0118524Y2 (ko)
KR970003112Y1 (ko) 계량용 용기
JPS5847380Y2 (ja) 液体洗剤等の計量器
KR0136532Y1 (ko) 브레이크 오일량 테스터
CN105928315B (zh) 一种感温盒、冰箱和冷柜
KR890007148Y1 (ko) 살충제 분사기용 분사뚜껑
KR200267834Y1 (ko) 저유량 레벨 측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