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228Y1 - Water supply - Google Patents

Water supp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228Y1
KR200213228Y1 KR2019980023804U KR19980023804U KR200213228Y1 KR 200213228 Y1 KR200213228 Y1 KR 200213228Y1 KR 2019980023804 U KR2019980023804 U KR 2019980023804U KR 19980023804 U KR19980023804 U KR 19980023804U KR 200213228 Y1 KR200213228 Y1 KR 2002132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tand
flexible
wate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80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11384U (en
Inventor
김광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80023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228Y1/en
Publication of KR200000113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38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228Y1/en

Link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급수기의 위치이동이 자유롭고, 사용 시 토수 위치 및 방향의 설정이 자유로우며, 사용이 매우 편리한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device that is free to move the position of the water supply, free to set the water discharge position and direction when using, and very convenient to use.

본 고안의 급수장치는, 편평하고 넓은 형상의 받침과 이 받침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져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지고 몸체에 내부의 통로로 연결된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스탠드와, 상기 스탠드의 유입구와 메인 급수관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기다란 급수라인과, 상기 스탠드의 배출구에 가요성 관의 일단이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가요성 관의 타단에는 물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부재가 구비된 급수기와, 상기 스탠드의 몸체에 설치되어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밸브와, 상기 스탠드의 받침을 바닥 면에 고정하는 스탠드 고정장치로 구성되어 있다.The wat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flat, wide shape of the support and the body formed upright from the support and formed with a stand formed in the inlet and outlet connected to the internal passage in the body, the inlet and the main water pipe of the stand can be removable A water supply line having an elongated water supply line for connecting the water supply line, one end of the flexible pip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stand, and a discharge member for discharging water at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pipe, and installed on the body of the stand It consists of a valve for opening or closing the passage and a stand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support of the stand to the floor.

Description

급수장치Water supply

본 고안은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 이동이 자유롭고, 사용 시 토수 위치 및 방향의 설정이 자유로운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supply device that is free to move the position, the free water jet position and direction when used.

일반적으로 급수기, 예를 들면 세면장이나 싱크대에 설치되는 수도꼭지 등은 일정한 장소에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장소가 극히 제한되어 있으며, 사용할 때 토수 위치 및 방향설정이 자유롭지 못하다. 최근, 토수 위치 및 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하기 위해 가요성 관을 사용한 급수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역시 사용영역이 설치장소에 한정될 수밖에 없는 불편함은 해결할 수 없었다.In general, a water supply, for example, a faucet installed in a washbasin or a sink is fixed in a fixed place. Therefore, the place of use is extremely limited and the jetting position and direction are not free when used. Recently, a water supply using a flexible pipe is used to freely adjust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jetting water. However, the inconvenience that the use area is limited to the installation place could not be solved.

또한 메인 급수관으로부터 변형이 자유로운 유연한 기다란 호스로 연결된 샤워기의 경우, 호스 길이에 한하여 위치를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넓은 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샤워기를 벽에 걸어 사용할 때에는 토수 위치 및 방향설정이 자유롭지 못하고, 한 손으로 샤워기를 잡고 사용할 때에는 나머지 한 손밖에 사용할 수 없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hower connected by a flexible elongated hose which is free from deformation from the main water supply pipe, the shower can be moved freely in a wide area by allowing the position to be moved only for the length of the hose. However, when the shower head is used on the wall, the jetting position and direction cannot be freely set. When the shower head is used with one hand, only the other hand can be use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설치장소로부터 자유롭게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할 때 토수 위치 및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한 급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is to provide a water supply device that can be used to move freely from the installation place, the water discharge position and direction can be set freely when using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장치의 종단면도.Figure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장치의 흡착고정상태도.Figure 4 is a fixed state adsorption of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장치의 가요성 관을 나타낸 단면구조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exible pipe of th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장치의 관 접속 상태 예시도.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of the pipe connection state of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 : 급수장치 12 : 흡착판10: water supply device 12: adsorption plate

14 : 승강부재 16 : 크랭크축14 lifting member 16: crankshaft

18 : 가이드레일 20 : 스탠드18: guide rail 20: stand

22 : 받침 24 : 몸체22: Base 24: Body

24a : 통로 26 : 유입구24a: passage 26: inlet

28 : 배출구 30 : 급수라인28: outlet 30: water supply line

32,34,46 : 소켓 40 : 급수기32,34,46: socket 40: water supply

42 : 가요성관 44 : 토출부재42: flexible pipe 44: discharge member

48 : 밸브48: valve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편평하고 넓은 형상의 받침과,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at and wide shape support,

이 받침으로부터 연장되며, 내부에 형성된 통로와 상기 통로로의 유입구 및 통로로부터의 배출구가 마련된 몸체와,A body extending from the base and provided with a passage formed therein, an inlet to the passage and an outlet from the passage,

상기 유입구와 메인 급수관 사이에 연결되는 길다고 유연한 급수라인과,A long flexible water supply line connected between the inlet and the main water supply pipe,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며, 변형된 후에는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는 가요성 급수관과,A flexible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outlet and maintaining the deformed state after being deformed;

상기 가요성 급수관의 끝단에 설치되는 토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It is achieved by a water supply apparatus comprising a discharge member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lexible water supply pip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급수장치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급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구조도로서, 급수장치(10)는 받침(22)과 몸체(24)를 갖는 스탠드(20)를 구비하고 있다. 스탠드(20)의 받침(22)은 바닥에 놓을 수 있도록 편평하고 넓게 형성되고, 몸체(24)는 내부에 통로(24a)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받침(22)의 대략 중앙에 세워진다.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showing a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device 10 is provided with a stand 20 having a support 22 and the body 24. The base 22 of the stand 20 is formed flat and wide so as to be placed on the floor, and the body 24 is erected in the center of the base 22 in a tubular shape in which a passage 24a is formed.

몸체(24)의 측면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6)가 형성되고, 몸체(24)의 꼭대기에는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28)가 마련된다. 이 유입구(26)와 배출구(28)는 내부의 통로(24a)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An inlet 26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is formed at the side of the body 24, and an outlet 28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body 24. The inlet port 26 and the outlet port 28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an internal passage 24a.

스탠드(20)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이 잘 부식되지 않는 금속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22)은 세워놓을 때 쉽게 쓰러지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받침(22)과 몸체(24)를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받침(22)과 몸체(24)를 별개로 제작하여 조립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받침(22)은 금속으로 제작하고, 몸체(24)는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등 서로 다른 재질로 제작할 수도 있다.The stand 20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that does not corrode well, such as stainless steel. The support 22 is preferably not to fall or flow easily when standing up. Although the base 22 and the body 24 are illustrated as being integrally formed in the drawing, the base 22 and the body 24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assembled. In this case, the base 22 may be made of metal, and the body 24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such as made of synthetic resin.

스탠드(20)를 바닥 또는 벽에 고정하기 위하여 받침(22)은 고정장치를 구비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장치는 받침(22)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받침(22)의 밑바닥을 구성하는 흡착판(12)과, 이 흡착판(12)의 상면에 고정된 승강부재(14)와, 이 승강부재(14)를 상승 하강시키는 크랭크축(16)과, 승하강판의 승강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8)로 이루어진다.The base 22 is provided with a fixing device for fixing the stand 20 to the floor or the wall. As shown in Fig. 2 to 4, the fixing device is located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22, the adsorption plate 12 constituting the bottom of the support 22, and the lifting member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dsorption plate 12 14, a crankshaft 16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elevating member 14, and a guide rail 18 for guiding the elevating operation of the elevating plate.

흡착판(12)은 유연성 있고, 기밀 또는 수밀 유지성능이 좋은 원형 고무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판(12)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후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벽(13)을 갖는다. 이 벽(13)에 의해 포켓이 형성된다. 포켓에는 승강부재(14)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승강부재(14)에는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돌출한 넓적한 돌기(15)를 구비하며, 이 돌기(15)에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장방형구멍(14a)이 형성된다.The suction plate 12 is preferably made of a circular rubber plate that is flexible and has good airtight or watertight holding performance. The suction plate 12 has a wall 13 which protru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n extends radially inward. Pockets are formed by this wall 13. The elevating member 14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pocket. The elevating member 14 has a wide projection 15 projec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center portion, and the projection 15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hole 14a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 장방형구멍(14a)으로는 크랭크축(16)의 크랭크 굴곡부(16a)가 삽입되어 위치된다. 크랭크축(16)의 양단은 받침(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한 쪽의 끝단부에는 조작레버(16b)가 연장되어 크랭크축(16)의 회전조작이 가능하다.The crank bent portion 16a of the crankshaft 16 is inserted into this rectangular hole 14a. Both ends of the crankshaft 16 are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22, and an operation lever 16b extends at one end thereof, and rotational operation of the crankshaft 16 is possible.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크랭크축(16)이 회전하여 승강부재(14)는 흡착판(12)이 바닥과 밀착하는 해제위치로부터 승강부재(14)가 상승하여 흡착판(12)이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흡착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8)은 받침(22)에 형성되며, 가이드레일(18)에는 돌기(15)가 삽입되어 승강부재(14)가 흡착위치 또는 해제위치로 상승, 하강할 때 이를 안내한다.As can be seen from Fig. 4, the crankshaft 16 is rotated so that the lifting member 14 is lifted from the release position where the suction plate 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and the lifting plate 14 is lifted from the bottom. It can move to spaced adsorption position. The guide rail 18 is formed on the support 22, and the guide rail 18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15 to guide the lifting member 14 when the lifting member 14 moves up or down to the suction position or the release position.

다시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급수장치(10)는 상기 스탠드(20)의 몸체(24)에 형성된 유입구(26)를 씽크대, 세면대 또는 샤워기의 급수관 등과 같은 메인 급수관(도시하지 않음)에 연결하는 급수라인(30)을 구비한다. 급수라인(30)은 메인 급수관으로부터 일정 영역 내에서 자유롭게 스탠드(2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길이로 길게 형성하고, 자유롭게 변형 가능한 튜브 또는 유연관으로 한다.Referring back to Figures 1 and 2, the water supply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water supply pipe (not shown) such as a sink, a sink or a water supply pipe of the shower (26) formed in the body 24 of the stand 20 Water supply line 30 to be connected thereto. The water supply line 30 is formed to have a length that can move the stand 20 freely in a predetermined region from the main water supply pipe, and is a tube or a flexible pipe that can be freely deformed.

급수라인(30)은 양 끝단에 도6을 참조하여 뒤에 상세히 설명할 접속용 소켓(32,34)을 구비하고 있다. 소켓(32)으로 급수라인(30)은 유입구(26)와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급수라인(30)의 다른 끝단에 설치된 소켓(34)을 통하여 메인 급수관과 접속하게 된다. 그러면, 메인 급수관으로부터 스탠드(20)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급수라인(30)은 길이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용도에 따라 알맞은 길이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The water supply line 30 is provided at both ends with connection sockets 32 and 34 to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The water supply line 30 is connected to the inlet 26 by the socket 32. Similarly, the main water supply pipe is connected through the socket 34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water supply line 30. Then,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main water supply pipe to the stand 20. The water supply line 30 is to be made in various ways to make it possible to select the appropriate length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계속해서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급수장치(10)는, 스탠드(20)의 배출구(28)에 연결되는 급수기(40)를 구비하고 있다. 급수기(40)는 자유롭게 변경 가능한 가요성 급수관(42)과, 이 가요성관(42)의 일 끝단에 구비된 토출부재(44)로 이루어진다. 가요성관(42)의 타단에는 소켓(46)이 설치되어 스탠드(20)의 배출구(28)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1 and 2, the water supply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supply 40 connected to an outlet 28 of the stand 20. The water feeder 40 is composed of a flexible water supply pipe 42 that can be freely changed, and a discharge member 44 provided at one end of the flexible pipe 42.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pipe 42 is provided with a socket 46 so as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utlet 28 of the stand 20.

토출부재(44)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토출부재(44)는 통상 필요에 따라 샤워형 또는 직수형으로 전환할 수 있는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관(42)으로는 도 5의 (a) 또는 도 5의 (b)에 도시된 형태의 것을 사용하여, 상기 토출부재(44)로부터의 토수 위치 및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discharge member 44 can use a conventional thing. As for the discharge member 44, it is preferable to use the thing of the form which can be switched to a shower type or a direct type normally as needed. As the flexible pipe 42, the water discharge position from the discharge member 44 can be freely set using the one shown in FIG. 5A or FIG. 5B.

도 5의 (a)를 참조하면, 유연한 플라스틱 수지 또는 고무로 이루어진 내측 튜브(50)와, 상기 튜브(50)를 감싸는 제1탄성부재(52)와, 제1탄성부재(52)와 접촉하는 제2탄성부재(54)를 구비한다. 제1탄성부재(52)는 단면이 원형으로 상기 튜브(50)를 나선상으로 감아 놓은 형태이다. 제2탄성부재(54)는 단면이 사다리꼴이지만 삼각형일 수도 있다. 제2탄성부재(54)의 경사면(56)과 제1탄성부재(52)가 접촉한다. 제2탄성부재(54) 또한 나선상으로 감아 놓은 형태이다. 제1탄성부재(52)와 제2탄성부재(54)는 스프링용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5A, the inner tube 50 made of flexible plastic resin or rubber, the first elastic member 52 surrounding the tube 50,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5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econd elastic member 54 is provided. The first elastic member 52 is a shape in which the tube 50 is wound in a spiral shape in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second elastic member 54 is trapezoidal in cross section but may be triangular. The inclined surface 56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54 and the first elastic member 52 contact each other. The second elastic member 54 is also wound in a spiral shape. Preferably, the first elastic member 52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54 are made of spring stainless steel.

도 5의 (b)는 다른 형태의 가요성 관을 나타낸 것으로, 앞의 가요성 관과 같이, 내부에 가요성 튜브(58)를 갖는다. 가요성 튜브(58)의 외측에는 외피를 이루는 원형 고리 모양의 외측 링(60)이 둘러싸고 있다. 외측링(60)의 단면은 뉘여 놓은 "S"자형이다. 외측링(60)의 일단부는 관의 안쪽으로 개방된 걸림부(62)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단부는 관의 바깥쪽으로 개방된 걸림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62,64)는 인접하는 외측링(66,68)의 걸림부(70,72)와 각각 결합된다. 외측링(60)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링(60)의 이음새에 방수처리를 하는 경우 내부의 가요성 튜브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FIG. 5B shows another type of flexible tube, which has a flexible tube 58 inside, like the flexible tube above. The outer side of the flexible tube 58 is surrounded by a circular annular outer ring 60 which forms an outer shell. The cross section of the outer ring 60 is a lying "S" shape. One end of the outer ring 60 is formed with a locking portion 62 that is open to the inside of the tube,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locking portion 64 that is open to the outside of the tube. The locking portions 62 and 64 are coupled to the locking portions 70 and 72 of the adjacent outer rings 66 and 68, respectively. The outer ring 60 is preferably made of stainless steel. When waterproofing the seams of the outer ring 60, the inner flexible tube may not be provided.

이러한 가요성 관들은 당업자에게 "자바라관"이라는 명칭으로 알려져 있다. 도5에 도시한 가요성 관들은 모두 외력을 가함으로써 관을 구부리거나 펴는 등, 변형이 가능하고, 변형시킨 후 외력을 제거해도 변형된 상태를 유지한다.Such flexible tubes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under the name "Javabler tubes". All of the flexible tubes shown in FIG. 5 can be deformed, such as bending or unfolding the tube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and remain deformed even after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다시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급수장치(10)는, 스탠드(20)의 몸체(24)에는 내부의 통로(24a)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밸브(48)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48)로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밸브는 몸체(24)의 통로(24a)를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좋고, 밸브(48)의 레버(48a)는 외부로 노출시켜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도시된 밸브와는 다른 버튼식 또는 레버식의 밸브로 사용할 수도 있다.Referring back to Figures 1 and 2, the water supply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24 of the stand 20 is provided with a valve 48 for selectively opening or closing the internal passage (24a) It is desirable to. As the valve 48, a normal one can be used. The valve may be one capable of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24a of the body 24, and the lever 48a of the valve 48 is preferably exposed to the outside to facilitate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valve shown, it can be used as a valve of a button or lever type.

접속용 소켓(32,34,46)은 여러 형태가 있지만, 예로서 스탠드(20)의 유입구(26)와 접속한 구조를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급수라인(30)의 끝단에는 직경이 큰 플랜지부(32a)가 있고, 이 플랜지부(32a)에 원통 형상의 소켓(32)이 걸려 유지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소켓(32)의 내면에는 나사부(32b)가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부(32b)를 스탠드(20)의 유입구(26)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26a)와 나사 결합함으로써 접속된다.Although the sockets 32, 34, 46 for connection have various forms, the structure connected with the inlet 26 of the stand 20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At the end of the water supply line 30, there is a flange portion 32a having a large diameter, and a cylindrical socket 32 is held on the flange portion 32a and is rotatably installed. Moreover, the thread part 32b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socket 32, and this thread part 32b is connected by screwing with the thread part 26a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inlet port 26 of the stand 20. As shown in FIG.

유입구(26)와 플랜지부(32a)의 사이에는 패킹 또는 밀봉링(32c)을 개재시킴으로써 이들 사이의 밀봉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소켓(34,46)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접속용 소켓(32,34,46)은, 상기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다른 형태의 소켓 또는 접속구로 접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가요성 급수관(40)과 몸체(24)를 연결하는 소켓 또는 접속구는 몸체(24) 주위를 가요성 급수관(40)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maintain the sealing therebetween by interposing a packing or sealing ring 32c between the inlet 26 and the flange portion 32a. This structure is also applicable to the sockets 34 and 46. The sockets 32, 34 and 46 for connec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forms, but can be connected to various other forms of sockets or connector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n the other hand, the socket or connecting port connecting the flexible water supply pipe 40 and the body 24 is preferably configured to allow the flexible water supply pipe 40 to rotate freely around the body 24.

이와 같이 구성된 급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라인(30)은 일측 소켓(32)을 스탠드(20)의 유입구(26)에 접속하고, 타측의 소켓(34)을 세면기, 씽크대 또는 샤워기의 메인 급수관(도시하지 않음)에 접속하게 되면, 메인 급수관으로부터 급수장치(10)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메인 급수관에 설치된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급수를 공급 및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1 and 2, the water supply line 30 connects one socket 32 to the inlet 26 of the stand 20, and connects the other socket 34 to the basin, sink or shower main. When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not shown),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main water supply pipe to the water supply device 10. At this tim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supply and cut off the water supply using a valve (not shown) installed in the main water supply pipe.

스탠드(20)의 유입구(26)로 유입된 물은 배출구(28)로 나가 급수기(40)의 급수관(42)과 토출부재(44)를 통해 토출된다. 급수기(40)의 가요성 급수관(42)을 변형시키게 되면 토수 위치 및 방향이 자유롭게 설정되므로 사용이 더욱 편리하게 된다.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26 of the stand 20 exits the outlet 28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42 and the discharge member 44 of the water supply 40. When the flexible water supply pipe 42 of the water supply 40 is deformed, the water discharge position and direction are set freely, which makes the use more convenient.

또한 스탠드(20)와 메인 급수관을 연결하는 급수라인(30)에 의해서는 급수라인(30)의 길이에 한하여 스탠드(20)를 자유롭게 이동시켜 넓은 영역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스탠드(20)가 메인 급수관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어도 몸체(24)에 구비된 밸브(48)를 이용하면, 메인 급수관의 밸브를 조작하지 않아도 급수를 공급 및 차단할 수 있어 편리하다.In addition, by the water supply line 30 connecting the stand 20 and the main water supply pipe, it is possible to freely move the stand 20 only to the length of the water supply line 30 and to use it in a wide area. Even when the stand 20 is located far from the main water supply pipe, the valve 48 provided in the body 24 can be used to conveniently supply and shut off the water supply without operating the valve of the main water supply pipe.

그리고 받침(22)에 구비된 스탠드 고정장치에 의하면, 스탠드(20)를 세면장의 타일과 같은 바닥 면, 특히 물기가 있는 바닥에 용이하게 고정 및 고정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2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흡착판(12)을 바닥과 밀착시킨 상태에서 조작레버(16b)를 조작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축(16)을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크랭크 굴곡부(16a)가 해제위치(가상선 위치)에서 흡착위치(실선위치)로 회전되므로 승강부재(14)가 상승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흡착판(12)이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이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and fixing device provided in the base 22, the stand 20 can be easily fixed and fixed to a floor surface such as a tile of a washroom, in particular, a wet floor.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crankshaft 16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operating lever 16b in a state in which the stand 20 is pressed downward and the suction plate 1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as shown in FIG. 2. When rotated clockwise by a predetermined angle, since the crank bent portion (16a) is rotated from the release position (virtual line position) to the adsorption position (solid line position), the lifting member 14 is raised, which causes the suction plate 12 It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to form a space between them.

이때, 흡착판(12)은 유연한 고무재질로 되어 있는 것이므로 가장자리부는 바닥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한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므로 내부는 진공상태가 된다. 이로써 외부와의 공기압 차이로 스탠드(20)는 바닥 에 흡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adsorption plate 12 is made of a flexible rubber material, the edge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to maintain airtightness, and since the space is formed therein, the interior becomes a vacuum state. As a result, the stand 20 may be firmly fixed in a state of being adsorbed on the floor due to a difference in air pressure from the outside.

반대로, 스탠드(20)를 고정상태에서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작레버(16b)를 반대로 조작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 굴곡부(16a)가 흡착위치(실선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해제위치(가상선으로 도시한 상태)로 전환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14)가 하강하게 된다. 승강부재(14)의 하강으로 흡착판(12)의 중앙부가 바닥과 가깝게 되면, 진공상태가 해제되므로 스탠드(20)를 바닥으로부터 들어올려 다른 장소로 옮길 수 있다.On the contrary, in the case where the stand 20 is to be released from the fixed state, when the operation lever 16b is operated in reverse, as shown in FIG. 4, the crank bent portion 16a is counterclockwise at the suction position (solid line state). It turns to the release position (state shown by a phantom line) by rotating in the direction, so that the lifting member 14 is lowered as shown in FIG. When the center portion of the suction plate 12 is close to the floor by the lowering of the elevating member 14, the vacuum state is released, and thus the stand 20 may be lifted from the floor and moved to another place.

이상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정장치가 없이, 스탠드의 무게로만 급수장치가 지지되게도 할 수 있다. 또한, 급수라인(30)도 가요성 급수관(42)과 같이, 도5에 도시한 자바라관을 사용할 수도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embodiments, the water supply may be supported only by the weight of the stand without the fixing device. In addition, similar to the flexible water supply pipe 42, the water supply line 30 can also use the bellows pipe shown in FIG.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몸체(24)에 있는 배출구(2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몸체 내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한 별도의 관을 삽입된다. 이 별도의 관과 몸체 사이에는 밀봉링에 의해 밀봉된다. 별도의 관을 통하여 물이 공급된다. 관을 상하로 이동시킨 후 고정수단으로 고정하여 높이를 조절한다. 그러면, 급수기(40) 전체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가요성 급수관(42)을 변형시켜 최적의 사용상태로 조절한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it may be a configuration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outlet 28 in the body (24). Specifically, a separate tube capable of vertical movement is inserted into the body. The separate tube and the body are sealed by a sealing ring. Water is supplied through a separate tube. Move the pipe up and down and fix it with fixing means to adjust the height. Then,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entire water supply 40 is made, and then the flexible water supply pipe 42 is deformed and adjusted to an optimum use state.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급수장치에 의하면, 급수기를 세면기, 씽크대 또는 샤워기의 급수관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서 자유롭게 위치를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급수기의 토수 위치 및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스탠드를 물을 사용하는 장소의 바닥 또는 벽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쓰러지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can be freely mov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ter supply pipe of the wash basin, the sink or the shower, and the water discharg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water supply can be freely set. This is very convenient and in particular it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r floating by firmly fixing the stand to the floor or wall of the place where water is used.

Claims (4)

편평하고 넓은 형상의 받침과,With flat and wide support, 이 받침으로부터 연장되며, 내부에 형성된 통로와 상기 통로로의 유입구 및 통로로부터의 배출구가 마련된 몸체와,A body extending from the base and provided with a passage formed therein, an inlet to the passage and an outlet from the passage, 상기 유입구와 메인 급수관 사이에 연결되는 길다고 유연한 급수라인과,A long flexible water supply line connected between the inlet and the main water supply pipe,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며, 변형된 후에는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는 가요성 급수관과,A flexible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outlet and maintaining the deformed state after being deformed; 상기 가요성 급수관의 끝단에 설치되는 토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And a discharge member installed at an end of the flexible water supply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The water supply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valve installed at the body to open or close the passag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은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The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upport has a fixing device for fixing to the flo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받침의 밑바닥을 구성하는 흡착판(12)과, 이 흡착판(12)의 중앙부 상면에 고정된 승강부재(14)와, 상기 승강부재(14)를 상승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장치.4.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xing device comprises: an adsorption plate (12) constituting the bottom of the base, an elevating member (14)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adsorption plate (12), and A water supply device comprising a means.
KR2019980023804U 1998-12-01 1998-12-01 Water supply KR20021322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804U KR200213228Y1 (en) 1998-12-01 1998-12-01 Water supp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804U KR200213228Y1 (en) 1998-12-01 1998-12-01 Water supp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384U KR20000011384U (en) 2000-07-05
KR200213228Y1 true KR200213228Y1 (en) 2001-02-15

Family

ID=69504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804U KR200213228Y1 (en) 1998-12-01 1998-12-01 Water supp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228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248A (en) * 2002-07-03 2002-08-07 홍채형 Variable Fixed Fauc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248A (en) * 2002-07-03 2002-08-07 홍채형 Variable Fixed Fauc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384U (en)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66952C (en) Adjustable fill valve assembly
US7188376B2 (en) Flexible sleeve for connection to a plumbing fixture
US5621924A (en) Vacuum tank construction for a vacuum toilet assembly
ES2387138T3 (en) Wastewater outlet unit
US4338964A (en) Side inlet ballcock having flow and structural improvements
CN210022563U (en) Water spraying device and water pool
CN106480960B (en) Flange for toilet seat structure
KR100257555B1 (en) Reinforced diaphragm for flush valves
ES2659878T3 (en) Drain valve for a floor drain gutter and a floor drain gutter with such a drain valve
KR200213228Y1 (en) Water supply
US6199581B1 (en) Toilet tank fill valve with adjustable standpipe
KR101618122B1 (en) Tube vessel
ES2957310T3 (en) Drain device for shower tray or bathtub
JP4120547B2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wall drainage toilet and drainpipe
US6135143A (en) Air valve for an inflatable article
KR200395486Y1 (en) Variable connecting unit for a toilet stool
KR200240390Y1 (en) Urinal capable of controlling height for men
KR102210116B1 (en) washbowl faucet
SU1293289A1 (en) Closure and outlet device for flush tank
CN213086945U (en) Automatic water valve of shower seat in bathroom
CN214302101U (en) Open-close type floor drain
KR100463974B1 (en) Apparatus for economizing water of a shower instrument
KR200234054Y1 (en) Device for valve water saving
JPH11117359A (en) Shower hose attaching construction
KR20220095687A (en) Rotary type discharging direction changing apparatus for water t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