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219Y1 - Personal portable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Personal portable water purif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219Y1
KR200213219Y1 KR2019980017298U KR19980017298U KR200213219Y1 KR 200213219 Y1 KR200213219 Y1 KR 200213219Y1 KR 2019980017298 U KR2019980017298 U KR 2019980017298U KR 19980017298 U KR19980017298 U KR 19980017298U KR 200213219 Y1 KR200213219 Y1 KR 2002132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ain body
water purifier
water
personal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29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06242U (en
Inventor
고석배
Original Assignee
고석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석배 filed Critical 고석배
Priority to KR20199800172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219Y1/en
Publication of KR200000062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24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2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219Y1/en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인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상단에는 입으로 빨 수 있는 피스(19)나 흡입기구(70)를 접속시킬 수 있는 접속부(16a)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는 물 유입용 접속구(12)가 형성된 통형 본체(10)와, 이 본체(10) 내부의 외측둘레에 설치되는 2차 필터(20)와, 이 2차 필터(20)의 내부에 설치되는 3차 필터(30)와, 본체(10)하단의 물 유입용 접속구(12)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에는 1차여과기능을 발휘하는 스트레이너(42)가 부착된 유연성 호스(40)와, 본체(10)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캡(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야영객이나 군인 등이 단독적으로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야외에서 하천등의 물을 마실때 하천수를 간편하게 정수처리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각종 수인성 전염병 등에 감염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 portable water purifier, the upper end of the mouth-washable piece 19 or the connecting portion 16a for connecting the suction mechanism 7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inlet 12 ) Is formed cylindrical body 10, the secondary filter 20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the tertiary filter 30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ary filter 2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12 for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and the flexible hose 40 with the strainer 42 which performs the primary filtration function at the other end, and detachable i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is possible. It consists of the upper cap 50 is coupled to, such as to carry various types of water-borne infectious diseases, so that campers or soldiers can easily carry and drink water while drinking water, such as rivers in the outdoors while carrying alone It is not to be.

Description

개인 휴대용 정수기Personal portable water purifier

본 고안은 개인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영객이나 군인 등이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야외에서 하천등의 물을 마실때 하천수를 간편하게 정수처리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각종 수인성 전염병 등에 감염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 portable water purifier, in particular, so that campers and soldiers can easily carry it while drinking water such as rivers while drinking water in the open air, so that drinking water can be easily treated to prevent various infectious diseases. .

휴대용 정수기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는 국내 특허공개 제83-8710호의 휴대용 정수장치, 동공개 제89-7779호 및 동공개 제90-17638호의 휴대용 정수기, 실용신안공개 제90-16738호 및 동공개 제94-24303호의 휴대용 정수기 등이 공지되어 있다.Conventional technologies related to portable water purifiers include portable water purifiers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83-8710,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89-7779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90-17638, an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0-16738 and Pupil Publication. Portable water purifiers of headings 94-24303 and the like are known.

상기한 특허공개 제83-8710호는 길이가 긴 관에 상부 유출구와 하부 유입구를 연결하는 내부도관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차례대로 다단계의 여과부를 넣어 사용자가 빨아서 정수된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이는 내부의 여과부를 교환하기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길이가 짧아 실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The above-mentioned Patent Publication No. 83-8710 forms an inner conduit connecting the upper outlet and the lower inlet to a long pipe, and puts a multi-stage filtration unit in turn so that the user can drink the purified water by drinking it. However, this was not only a problem that can not be replaced inside the filter unit, but also a short length there was a problem inconvenient use.

또, 동공개 제89-7779호는 피스톤 선단에 여과필터를 설치한 방식의 휴대용 정수기로서, 이는 실린더의 부피가 비교적 커서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동공개 제90-17638호는 플런저와 저장기를 구비한 것으로, 이 또한 부피가 커서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89-7779 is a portable water purifier having a filtration filter installed at the tip of a piston, which ha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carry due to the relatively large volume of the cylinder, and Publication No. 90-17638 discloses a plunger and a reservoir. In addition, it also had a problem that it is bulky and inconvenient to carry.

또한, 실용신안공개 제90-16738호는 저수조와 케이스사이의 공간으로 컵을 끼웠다 뺐다 할 수 있는 컵을 구비한 특징을 갖고 있고, 동공개 제94-24303호의 휴대용 정수기는 흡입부, 펌핑수단, 정수수단 및 배출부로 구성된 것이나 이또한 부피가 커서 실제 사용과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0-16738 has a feature that the cup is inserted into and out of the space between the reservoir and the case, and the portable water purifier of Publication No. 94-24303 has a suction part, pumping means, It is composed of a water purifying means and a discharge part, but also has a problem in that the use of a large volume and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특히, 훈련이나 전투중인 군인 또는 야외에서 캠핑중인 야영자가 단독으로 휴대하고 다니면서 하천이나 강물 또는 기타 오염의 의심이 가는 물을 깨끗하게 정수처리하여 그 자리에서 즉시 마실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the main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arry out a suspicion of a river or river water or other pollution, especially when a soldier in training or combat or a camper in the open air carries alone. It is to provide a means to clean the fine water to drink immediately on the spot.

본 고안은 상기수단에 결합시켜 하천이나 강물 등에서 취사에 필요한 정도의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있는 수단을 추가로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above means to obtain the clean water of the degree required for cooking in rivers or rivers and the like.

본 고안은 또, 군인이나 야영객이 개별적으로 휴대하기 간편하고, 비상시 주변에서 쉽게 구득할 수 있는 각종 소재를 2차 필터 대용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개인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ersonal portable water purifier suitable for use as a secondary filter substitute for various materials that can be easily carried by soldiers or campers individually and easily obtained in an emergency environment.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단에는 입으로 빨거나 또는 흡입기구를 접속시킬 수 있는 접속부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는 물 유입용 접속구가 형성된 통형 본체와, 이 본체 내부의 외측둘레에 설치되는 2차 필터인 프리필터와, 이 프리필터의 내부에 설치되는 3차여과필터인 한외여과필터와, 상기 본체 하단의 물 유입용 접속구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에는 1차 필터인 스트레이너가 부착된 유연성 호스와, 상기 본체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개인 휴대용 정수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ubular body having a connection part detachably coupled to a mouth sucker or a suction device at the upper end thereof, and a water inlet for a water inlet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side of the body. One end is connected to a pre-filter, which is a secondary filter to be installed, an ultrafiltration filter, which is a tertiary filtration filter installed inside the pre-filter, and a strainer, which is a primary filter, on one end thereof and connected to a water inlet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It provides a flexible hose and a personal water purifier comprising an upper cap detachably coupled to the top of the body.

본 고안은 유연성 호스 선단에 부착된 스트레이너에서 1차로 이물질을 여과하고, 본체 내부의 프리필터에서 2차로 여과하며, 3차로 한외여과필터에서 최종적으로 여과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first in the strainer attached to the flexible hose tip, secondly in the pre-filter inside the main body, and finally filtered in the ultrafiltration filter in the third to drink.

본 고안에 있어서, 2차 필터인 프리필터는 부직포형태로 된 필터를 감아서 사용할 수도 있고, 관형 필터를 끼워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비상시에는 쉽게 구할 수 있는 가아제나 손수건 등을 사용하거나 내의 등을 찢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ilter as a secondary filter may be used by winding a nonwoven fabric filter, or may be used by inserting a tubular filter, or may be easily used in case of emergency by using a gauze, a handkerchief, etc. It may be.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물 유입용 접속구는 본체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로 제작하여 휴대시 접속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접속구측에도 분리가능한 보호용 캡을 구비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inlet connector is made of a structure that does not protrude out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to prevent damage to the connector when carrying, and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protective cap on the connector side.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바이오 세라믹 프라스틱(항균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악취, 세균번식을 예방한다.Preferably, the main body is made of bio-ceramic plastics (antibacterial plastic) to prevent odors and bacterial propagation.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호스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상부캡 내부에 수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해 유연성 호스를 권취시킬 수 있는 보빈형태의 호스감개를 더 구비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exible hose is to be stored in the upper cap for easy storage, and further comprises a bobbin-type hose reel to wind the flexible hose for this purpos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의 결합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A - A 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의 사용상태도,4 is a state of use of the portabl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휴대용 정수기의 분해사시도,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ater purifie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휴대용 정수기의 결합상태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state of the portable water purifier shown in FIG.

도 7은 본 고안 휴대용 정수기의 다른 사용상태도,7 is another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portable water purifier,

도 8은 상기 일 실시예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0 : 본체 20 : 2차 필터10: main body 20: secondary filter

30 : 3차 필터 40 : 유연성 호스30: 3rd filter 40: flexible hose

50 : 상부캡 60 : 호스감개50: upper cap 60: hose reel

70 : 흡입기구 80 : 용기70: suction device 80: container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정수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와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 A 선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의한 개인 휴대용 정수기는 대체로 통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10)와, 이 본체(10)내부에 설치되는 2차 필터(20)와, 이 2차 필터(20)의 내부에 설치되는 3차 필터(30)와, 상기 본체(10)하단에 접속되는 유연성 호스(40)및 상기 본체(10)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캡(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and 2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2, the personal portabl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generally A main body 10 having a shape, a secondary filter 20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a tertiary filter 30 provided inside the secondary filter 20, and the main body 10. It comprises a flexible hose 4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and the upper cap 5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상기 본체(10)는 그 내측에 상부로 개방된 내부공간(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내부공간(11)의 하단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유입용 접속구(12)가 형성되어 외부로 연통되어 있으며, 이 물 유입용 접속구(12)의 외측 둘레에는 하부 캡(14)이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결합부(15)가 형성되어 있다.The main body 10 has an inner space 11 that is open to the inside of the upper portion is formed, the water inlet 1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space 11, as shown in FIG. Is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ter inlet 12 is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15 is formed with a female screw so that the lower cap 14 is screwed.

상기 물 유입용 접속구(12)는 본체(10)의 하단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하여 휴대시 부러지는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물질의 접촉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 캡(14)이 씌워진다.The water inlet 12 is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 to prevent breakage, such as broken when carrying and at the same time lower cap to prevent contamination by contact of foreign matters (14) is covered.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단 외측 둘레에는 본체 캡(16)이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17)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10)의 외측 상부에는 휴대의 편의를 위해 혁대 등에 찰 수 있는 클립(18)이 장착되어 있다.In addition, a male screw portion 17 is form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 to which the main body cap 16 is screwed. (18) is mounted.

상기 본체 캡(16)의 중앙부에는 암나사구멍 형태의 접속부(16a)가 형성되어 있어 여기에 물을 빨기 위한 피스(19)또는 후술하는 흡입기구가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본체 캡(16)의 상부 둘레에는 상부캡(60)이 결합되는 수나사부(16b)가 형성되고, 본체 캡(16)의 하부 내측에는 본체(10)와의 결합을 위한 암나사부(16c)가 형성되어 있다.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ody cap 16 is formed with a female threaded hole connecting portion 16a, in which a piece 19 for sucking water or a suction mechanism to be described later are detachably screwed together, A male screw portion 16b to which the upper cap 60 is coupled is formed at the upper circumference, and a female screw portion 16c for coupling to the body 10 is formed at the lower inner side of the body cap 16.

상기 본체(10)와 본체 캡(16)은 항균물통과 같은 소재인 항균 플라스틱(바이오 폴리프로필렌수지)를 사용하여 제작하므로써 각종 균의 번식을 막아주므로써 정수기의 위생성을 향상과 악취를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main body 10 and the main body cap 16 are manufactured using antibacterial plastic (bio polypropylene resin), which is a material such as an antibacterial bucket, thereby preventing the growth of various germs, thereby improving hygiene of the water purifier and removing odors. Make sure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10)의 내부공간(11)에 삽입설치되는 2차 필터(20)는 일종의 프리필터로서 외벽 둘레에 무수히 많은 통수공(23)이 천공된 내부가 빈 관형상의 지지체(22)와, 이 지지체(22)외측에 설치되는 필터소재(24)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 필터소재(24)는 일종의 부직포 형태로 5㎛ 내지 10㎛의 크기를 갖는 미세물질을 걸러줄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ary filter 20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1 of the main body 10 is a kind of pre-filter, and a hollow tubular shape in which a myriad of water passages 23 are punched around the outer wall. It consists of a support 22 and a filter material 24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 22, the filter material 24 is a kind of non-woven fabric can filter the fine material having a size of 5㎛ to 10㎛ Use what you have.

또한, 상기 필터소재(24)는 교체할 것이 없는 경우에는 가아제 또는 손수건등을 잘라서 지지체(22)외측에 감아서 사용할 수도 있다.When the filter material 24 is not replaced, the filter material 24 may be cut and used outside of the support 22 by cutting off a gauze or a handkerchief.

상기 2차 필터(20)의 지지체(22)상부에는 3차 필터(30)가 삽입설치되는데, 이 3차 필터(30)는 1,2차로 걸러진 물을 최종적으로 여과하는 곳으로, 0.01㎛내지 0.02㎛의 크기를 갖는 미세물질 및 수중의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등 미세균까지 걸러 내에 1급수정도가 되도록 정수시킬 수 있는 한외여과필터를 사용한다.A tertiary filter 30 is inserted and installed on the support 22 of the secondary filter 20. The tertiary filter 30 is a place for finally filtering the filtered water in the first and second order, and is 0.01 μm to An ultrafiltration filter that can filter the fine material having a size of 0.02 μm and the fine bacteria such as bacteria or viruses in the water to be purified to a level of 1st grade in water is used.

상기 3차 필터(30)는 가늘고 긴 중공사막형의 필터소재(32)가 상단의 플랜지체(34)내부에 끼워져 필터소재(32)의 외부로부터 필터소재(32)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걸려져 플랜지체(34)의 중간 상부로 여과처리된 물이 배출된다.The tertiary filter 30 is caught while the narrow and long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material 32 is inserted into the flange 34 of the upper end and flows into the filter material 32 from the outside of the filter material 32. The filter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middle upper portion of the flange 34.

상기 3차 필터(30)의 플랜지체(34)와 본체캡(16)사이에는 누수방지를 위한 패킹링(36)이 끼워진다.A packing ring 36 for preventing leakage is inserted between the flange 34 and the body cap 16 of the tertiary filter 30.

상부캡(50)은 본체캡(16)의 수나사부(16b)에 나사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유연성 호스(40)가 감겨진 보빈형태의 호스감개(60)가 삽입된다.The upper cap 50 is screwed to the male screw portion 16b of the body cap 16, and a bobbin-shaped hose reel 60 in which a flexible hose 40 is wound is inserted therein.

상기 호스감개(60)는 그 내측에 상기 피스(19)가 끼워질 수 있는 관통구멍(62)이 형성되어 있고, 유연성 호스(40)가 감겨지는 외벽(64)둘레에는 유연성 호스(40)선단에 끼워진 스트레이너(42)가 끼워지는 홈 또는 구멍(66)이 형성되어 있으며, 호스감개(60)의 상,하단에는 유연성 호스(40)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유동방지판(68)이 상부캡(50)의 내부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The hose reel 60 has a through hole 62 into which the piece 19 can be fitted, and a flexible hose 40 is formed around the outer wall 64 on which the flexible hose 40 is wound. Grooves or holes 66 are formed in which the strainers 42 fitted in the grooves are formed,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ose reel 60 have a flow preventing plate 68 for restricting the flow of the flexible hose 40. It is formed smaller than the internal diameter of 50.

상기 본체 캡(16)의 외측 둘레 및 상부 캡(50)의 외측 둘레에는 열고 닫기가 편리하도록 미끄럼방지부(52)및(16d)가 형성되어 있다.Non-slip portions 52 and 16d are form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cap 16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cap 50 to facilitate opening and closing.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개인 휴대용 정수기는 상부캡(50)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부캡(50)내에 수용되어 있던 유연성 호스(40)를 빼내어 그 일단을 본체(10)하단의 물 유입용 접속구(12)에 연결시키고, 타단을 강물이나 하천의 수중으로 담근 상태에서 본체(10)상부에 결합된 피스(19)에 입을 대고 빨면 되는 것으로, 유연성 호스(40)선단의 스트레이너(42)는 비교적 큰 부유물질을 걸러주어 프리필터인 2차 필터(20)를 보호하며 2차필터의 사용횟수를 연장시키게 되는 것이다.Figure 4 shows the use state of the embodiment, the personal portable water purifier of the present embodiment with the upper cap 50 in a state of removing the flexible hose 40 accommodated in the upper cap 50, one end of the main body (10) It is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12 for the lower end, the other end is soaked in the mouth of the water (19)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in the state of immersing the water in the river or river, flexible hose (40) At the front end, the strainer 42 filters relatively large suspended substances, thereby protecting the secondary filter 20 which is a prefilter and extending the number of times the secondary filter is used.

유연성 호스(40)를 통해 본체(10)내부로 유입된 물은 2차 필터(20)를 통과하면서 5㎛ 내지 10㎛의 크기를 갖는 미세물질이 걸러지게 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3차 필터(30)의 수명과 정수효과를 극대화시키게 되는 것이다.Wate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flexible hose 40 is to filter the fine material having a size of 5㎛ to 10㎛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ary filter 20, thereby tertiary filter 30 ) Life and water purification effect will be maximized.

2차 필터(20)를 통과한 물은 다시 중공사막(中空絲膜)형태의 3차필터(30)를 통과하면서 0.01㎛ 내지 0.02㎛의 크기를 갖는 미세물질 및 수중의 미세균까지 걸러지게 되는 것이며, 3차 필터(30)를 통과한 물은 피스(19)를 통해 인체의 입으로 들어가게 된다.Wa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ary filter 20 is again filtered through the third filter 30 of the hollow fiber membrane (mid-air) form to the fine material having a size of 0.01 ㎛ to 0.02 ㎛ and the fine bacteria in the water Water passing through the tertiary filter 30 enters the mouth of the human body through the piece 19.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의 상단에 피스톤방식의 흡입기구(70)를 결합시켜 취사에 필요한 물이나 별도의 저장용기에 정수된 물을 보관하려 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thereof, in this embodiment by coupling the intake mechanism 70 of the piston metho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 It is intended to be used when cooking water or cooking water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container.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흡입기구(70)는 실린더(71)와, 이 실린더(71)내부에 설치된 피스톤(72)및 이 피스톤(72)을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로드(73)와 핸들(74)을 포함하며, 실린더(71)의 하단에는 상기 첫번째 실시예의 피스(19)대신 사용하는 어댑터(75)가 결합되어 본체캡(16)중앙의 접속구(16a)에 접속되고, 실린더(71)하단에는 2개의 첵밸브(76)(77)가 설치되어 정수되어 흡입된 물을 배출구(78)측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 배출구(78)에는 배출호스(79)의 일단이 연결되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펠 등의 용기(80)에 정수된 물을 채울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the suction mechanism 7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ylinder 71, a piston 72 installed inside the cylinder 71, and a rod 73 and a handle 74 for reciprocating the piston 72. 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71 is coupled to the adapter 75 used in place of the piece 19 of the first embodiment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16a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cap 16, and 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71. There are two check valves (76) and (77) are installed to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78 side, one end of the discharge hose (79)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78) As shown in FIG. 7, purified water may be filled in a container 80 such as Coppell.

도 8은 본 고안의 또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내부에 설치되는 2차 필터(20)의 필터체(24)는 부직포가 아닌 다공성의 관체로 제작하여 쉽게 교체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필터체(24)는 무수히 많은 통수공(23)이 천공된 지지체(22)의 외측에 끼워지고 지지체(22)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마개(25)에 의해 지지된다.8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lter body 24 of the secondary filter 20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 is easily manufactured by making a porous tube rather than a nonwoven fabric. In order to be replaceable, the filter body 24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plug 25 in which a myriad of water holes 23 are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perforated support 22 and detachably screw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22. Supported b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훈련이나 전투중인 군인 또는 야외에서 캠핑중인 야영자가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하천이나 강물 또는 기타 오염의 의심이 가는 물을 깨끗하게 정수처리하여 그 자리에서 즉시 마실 수 있고, 정수기 본체에 유연성 호스를 연결하여 사용하므로 편안한 자세에서 물을 마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연성 호스는 호스감개에 감긴 상태에서 상부캡 내부에 보관되므로 휴대하기가 편리하며, 입을 대는 피스대신 피스톤 방식의 휴대용 흡입기구를 쉽게 결합시켜 하천이나 강물 등에서 취사 또는 예비보관에 필요한 정도의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있고, 비상시에는 주변에서 쉽게 구득할 수 있는 가아제나 손수건 등의 각종 소재를 2차 필터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본체는 항균플라스틱으로 제작되므로 위생성이 향상되어 야영객이나 군인 등의 필수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용성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arried by a soldier in training or combat or a camper in the open air, and cleans streams, rivers, or other waters suspected of contamination, and drinks them on the spot immediately. As the flexible hose is connected, you can drink water in a comfortable position, and the flexible hose is stored inside the upper cap while being wound around the hose reel, so it is convenient to carry and uses a piston type portable suction device instead of the mouth piece. It can be easily combined to obtain clean water as needed for cooking or preservation in rivers or rivers.In case of emergency, various materials such as gauze and handkerchief that can be easily obtained from the surroundings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secondary filters. Made of antibacterial plastic, hygiene is improved It has the practicality that can be used as a commodity, such as campers or soldiers.

Claims (6)

상단에는 입으로 빨 수 있는 피스(19)또는 흡입기구(70)를 접속시킬 수 있는 접속부(16a)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는 물 유입용 접속구(12)가 형성된 통형 본체(10)와;A tubular body 10 having a mouth 19 suckable piece 19 or a connecting portion 16a capable of connecting the suction mechanism 70 detachably coupled thereto and having a water inlet 12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상기 본체(10) 내부의 외측둘레에 설치되는 2차 필터(20)와;A secondary filter 20 install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상기 2차 필터(20)의 내부에 설치되는 3차 필터(30)와;A tertiary filter 30 installed inside the secondary filter 20; 상기 본체(10)하단의 물 유입용 접속구(12)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에는 1차여과기능을 발휘하는 스트레이너(42)가 부착된 유연성 호스(40)와;A flexible hose 4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water inlet 12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0 and a strainer 42 having a primary filtration function at the other end thereof; 상기 본체(10)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캡(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개인 휴대용 정수기.Personal water purifier comprising an upper cap (50) detachably coupled to the top of the main body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유입용 접속구(12)는 본체(10)의 하단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고, 그 외측 둘레에 암나사가 형성된 결합부(15)가 형성되어 여기에 하부 캡(14)이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정수기.The water inlet 12 is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 the coupling portion 15 is formed with a female threa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cap 14 Personal portabl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및/또는 상부캡(50)은 항균플라스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개인 휴대용 정수기.The personal portabl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10) and / or the upper cap (50) are made of antibacterial plastic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성 호스(40)는 보빈형태의 호스감개(60)에 감겨져 상부캡(50)내부에 수장됨을 특징으로하는 개인 휴대용 정수기.The personal portabl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exible hose (40) is wound around a bobbin-shaped hose reel (60) and stored inside the upper cap (5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필터(20)는 외벽 둘레에 무수히 많은 통수공(23)이 천공된 내부가 빈 관형상의 지지체(22)와, 이 지지체(22)외측에 설치되는 필터소재(24)로 이루어지되, 이 필터소재(24)는 5㎛내지 10㎛의 크기를 갖는 미세물질을 걸러줄 수 있는 프리필터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개인 휴대용 정수기.2. The filter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ary filter (20) is provided with a hollow tubular support (22) in which numerous through holes (23) are drilled around the outer wall, and a filter material provided outside the support (22). (24), wherein the filter material (24) is a personal portabl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filter to filter out the fine material having a size of 5㎛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차 필터(30)는 0.01㎛내지 0.02㎛의 크기를 갖는 미세물질 및 수중의 미세균까지 걸러낼 수 있는 한외여과필터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개인 휴대용 정수기.The personal portable water purifier of claim 1, wherein the tertiary filter (30) is an ultrafiltration filter capable of filtering out fine substances having a size of 0.01 µm to 0.02 µm and microorganisms in water.
KR2019980017298U 1998-09-11 1998-09-11 Personal portable water purifier KR20021321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298U KR200213219Y1 (en) 1998-09-11 1998-09-11 Personal portable wate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298U KR200213219Y1 (en) 1998-09-11 1998-09-11 Personal portable water pur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242U KR20000006242U (en) 2000-04-15
KR200213219Y1 true KR200213219Y1 (en) 2001-02-15

Family

ID=69520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298U KR200213219Y1 (en) 1998-09-11 1998-09-11 Personal portable water purif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219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208B1 (en) * 2007-02-22 2008-07-17 장 제임스 Portable water filtr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242U (en)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8273B2 (en) Multi-stage portable water purifier
US5277805A (en) Rechargeable water filter
US8216462B2 (en) Portable drinking water purification device
US5895573A (en) Ultrafiltration device for domestic/drinking water purification
US200502797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filtered liquid
US9873627B1 (en) Multi-stage portable water purifier with cleanable and replaceable insert cartridges
CN214344674U (en) Filter element with water storage function
CN207581578U (en) The outer drinking water water purifying cup of household portable
KR200213219Y1 (en) Personal portable water purifier
KR100336990B1 (en) A portable water purifier
CN201873587U (en) Portable water purifying device
WO1993018837A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JP2003071436A (en) Water purifier
JPH10211954A (en) Water treatment cartridge, structure of combining cartridge with drink bottle, and water treatment method employing the cartridge
KR200168473Y1 (en) A portable water purifier
CN207451754U (en) Filter element device and cold water drinking container
JP2000225391A (en) Portable water purifier
KR200273299Y1 (en) Water purifying device
CN2573474Y (en) Domestic composite filler element water purifier
KR100490758B1 (en) Portable automatic water purifier
JPH07313972A (en) Portable water purifier and usage of the same
JPH04126799U (en) water purifier
KR200317263Y1 (en) Filter cartridge for device of clean water
JPH01262983A (en) Water purifying device
KR100320148B1 (en) Portale wate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