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049Y1 -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 - Google Patents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049Y1
KR200213049Y1 KR2020000022674U KR20000022674U KR200213049Y1 KR 200213049 Y1 KR200213049 Y1 KR 200213049Y1 KR 2020000022674 U KR2020000022674 U KR 2020000022674U KR 20000022674 U KR20000022674 U KR 20000022674U KR 200213049 Y1 KR200213049 Y1 KR 2002130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base
body plate
support
ch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래명
Original Assignee
이래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명 filed Critical 이래명
Priority to KR2020000022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0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0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049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최소의 면적을 통해 S.M.C 몸체판 또는 스테인레스 몸체판으로 제작된 물 탱크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 지지할 수 있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의 베이스 챤넬에 의해 S.M.C 몸체판 또는 스테인레스 몸체판으로 제작된 물 탱크의 전반적인 설치 작업 공정을 신속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관한 것으로,
특히, S.M.C 몸체판 또는 스테인레스 몸체판으로 제작된 물 탱크의 연결 지지를 이루는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에 있어서,
기초 콘크리트 패드(8) 상부에 일정의 유격을 형성토록 수개 설치되어, 물 탱크(2) 하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부 판넬(4) 중, 비교적 하중 감당 능력이 우수하게 접합된 연결 돌출부(6) 부위만 삽입 고정함과 동시에 소정의 면 지지를 이룰 수 있도록 일체의 사출물로 형성된 강화 플라스틱 재질의 베이스 챤넬(10)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BASE CHANNEL FOR WATER THANK}
본 고안은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소의 면적을 통해 S.M.C 몸체판 또는 스테인레스 몸체판으로 제작된 물 탱크의 하중 부하를 효과적으로 분산 지지할 수 있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의 베이스 챤넬에 의해 S.M.C 몸체판 또는 스테인레스 몸체판으로 제작된 물 탱크의 전반적인 설치 작업 공정을 신속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M.C 몸체판 또는 스테인레스 몸체판으로 제작된 물 탱크는 금형에 의해 유압 프레스로 가압 성형된 각 단위 판넬(저면, 측면, 천정)을 볼트 체 결 방식 또는 용접 방식을 적용하여 탱크 본체를 형성하고, 내,외부에는 보강재를 사용하여 본체를 지지하되, 접합부는 씰링재를 삽입하여 제작된 탱크를 말하는데, 갖추어야할 기본 기능에는 위생성과 수밀성 그리고 내구성 등이 있다.
이러한 S.M.C 몸체판 또는 스테인레스 몸체판으로 제작된 물 탱크는 식수를 저장하는 탱크이므로 그 위생에 상당한 주위를 요해 설치를 이루어야 한다. 그러므로 탱크의 설치는 통상적으로 지면으로 부터 일정 거리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를 이루게 된다. 이는 지면의 오염 물질이 탱크에 침투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인데, 이러한 설치를 위해 지금까지는 탱크의 시공을 이룰 위치에 일정 규격의 폭과 길이 및 높이를 동일하게 취하는 수개의 기초 콘크리트 패드를 타설한 후 시공을 이루었다.
그리고, 이러한 물 탱크의 설치는 통상적으로 발주자가 설치를 목적으로 시공한 기초 콘크리트 패드 상에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설치를 이룸에 있어서는 물 탱크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 패드가 접하는 부위에 필히 상호간의 간접 접촉을 도모하여 물 탱크의 하중 부하를 분산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프레임이 설치되게 된다.
이는 물 탱크를 구성하고 있는 S.M.C 몸체판 또는 스테인레스 몸체판이 생산성과 가공 성형성이 우수한 등의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 반면에, 하중에 대한 감당 능력이 취약한 내구성의 문제적인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초 프레임은 물 탱크의 용량 및 높이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 대략 저용량형과 대용량형으로 구분 제작하여 적용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저용량형의 제작은 통상적으로 'ㄱ'자형 철골이 주로 사용되고, 대용량형의 제작은 'ㄷ'자형 철골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3은 종래의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로 이용된 일예의 프레임 외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의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로 이용된 대용량 일예의 프레임 실사용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로서, 다수개의 'ㄷ'자형 철골로 이루어진 기초 프레임(1)을 수직 또는 수평으로 볼트 조립하여, 그물 모양의 사각 방사형으로 조립하되, 그 완성된 조립 형태가 물 탱크(2) 하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부 판넬(4) 간에 접합 형성시킨 플랜지부(6)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의 규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물 탱크의 베이스 챤넬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수반하게 되었다.
첫째, 물 탱크의 지지를 물 탱크 하부에 돌출되는 플랜지부만을 통해 일종의 선지지를 이룸에 따라 이에 따른 물 탱크 하부의 국부적인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중량 철골을 수작업을 통해 일일히 볼트를 이용하여 물 탱크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 전체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의 규격으로 조립 제작하게 되므로 이에 따른 제작 공정상의 지연과 불편한 문제 및 제작 원가를 대폭 상승시키게 되어 실수요자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를 수반하였고,
둘째, 물 탱크의 특성상 필연적으로 외측면에 발생되는 수분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입게 되어 부분적인 부식이 조기에 진행되어 베이스 챤넬 주변의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는 물론이고, 심지어는 물 탱크 내에 저장되어 있는 식수를 오염시키는 문제와, 베이스 챤넬 전체를 수시로 교체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를 수반하였으며,
셋째, 물 탱크 용량과 높이에 따른 하중 부하에 대응하기 위해 저용량형과 대용량형에 사용하는 자재를 별도로 구분 적용하여 제작하여야 하는 비능률적인 문제 요인 등을 수반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목적은
첫째, 국부적인 연결을 최적의 위치에서 면 접지를 통해 이루므로 상부에 안치되는 물 탱크에 전혀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인 지지를 이룰 수 있게 됨에 따라 이에 따른 불필요한 원자재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제작 원가를 대폭 절감시키게 되어 소비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를 제공하는데 있고,
둘째, 설치 제작을 신속,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셋째, 물 탱크의 특성상 필연적으로 외측면에 발생되는 수분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아 반영구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는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를 제공하는데 있고,
넷째, 물 탱크 용량과 높이에 따른 하중에 관계 없이 일괄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이룰 수 있는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S.M.C 몸체판 또는 스테인레스 몸체판으로 제작된 물 탱크의 연결 지지를 이루는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에 있어서,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제작되어 있되, 물 탱크의 하중 부하가 가장 많이 전달되는 물 탱크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의 기초 콘크리트 패드 상부에 일정의 유격을 형성토록 수개 설치되어 물 탱크 하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부 판넬 상호간의 접합을 이루고자 형성된 플랜지부를 삽입하여 면을 통해 지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베이스 챤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의 실사용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로 이용된 일예의 프레임 외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로 이용된 일예의 프레임 실사용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물 탱크 4 :하부 판넬
6 :플랜지부 8 :기초 콘크리트 패드
10 :베이스 챤넬 10a :모서리 베이스 챤넬
10b :전,후 베이스 챤넬 10c :좌,우 베이스 챤넬
10d :센터 베이스 챤넬 12 :접지 돌기
14 :삽입홈 16 :고무 패드
이하, 본 고안인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인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의 실사용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기초 콘크리트 패드(8) 상부에 일정의 유격을 형성토록 수개 설치되어, 물 탱크(2) 하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부 판넬(4) 중, 비교적 하중 감당 능력이 우수하게 접합된 플랜지부(6) 부위만 삽입 고정함과 동시에 소정의 면 지지를 이룰 수 있도록 일체의 사출물로 형성된 강화 플라스틱 재질의 베이스 챤넬(1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챤넬(10)는 양측 기초 콘크리트 패드(8)의 상부 전후에 설치되어, 물 탱크(2) 하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부 판넬(4) 상호간의 접합을 이루고자 형성된 플랜지부(6)가 'ㄱ'자 형상으로 접하게 되는 부위 내측을 삽입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접지 돌기(12)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 베이스 챤넬(10a)과,
양측 기초 콘크리트 패드(8)의 상부 중앙과, 중앙 기초 콘크리트 패드(8)의 상부 전후에 설치되어 S.M.C 물 탱크(2) 하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부 판넬(4) 상호간의 접합을 이루고자 형성된 플랜지부(6)가 'ㅗ'자 형상으로 접하게 되는 부위 내측을 삽입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접지 돌기(12)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후 베이스 챤넬(10b) 및 좌,우 베이스 챤넬(10c)과,
중앙 기초 콘크리트 패드(8)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물 탱크(2) 하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부 판넬(4) 상호간의 접합을 이루고자 형성된 플랜지부(6)가 '+'자 형상으로 접하게 되는 부위를 삽입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접지 돌기(12)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센터 베이스 챤넬(10d)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든 베이스 챤넬(10)의 접지 돌기(12) 상부와 삽입홈(14) 부위에는 연결 설치되는 S.M.C 물 탱크(2)의 하부에 비교적 하중 감당 능력이 우수하게 접합된 플랜지부(6)를 완충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삽입시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고무 패드(16)가 부착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은 상부에 위치되는 물 탱크(2)의 형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제작된 것으로, 이것을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종래와 비교하여 작용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에는 S.M.C 몸체판 또는 스테인레스 몸체판으로 제작된 물 탱크(2)의 지지를 앵글 또는 'ㄷ'자형 철골로 제작되어진 기초 프레임(1)을 통해 물 탱크(2)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6) 하단 전체와 접지를 이루어 지지를 이루는 반면, 본 고안은 물 탱크(2)의 지지를 물 탱크(2)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6) 중 비교적 하중 감당 능력이 우수하게 접합된 플랜지부(6) 부위만 고무 패드(16)를 부착한 베이스 챤넬(10)를 통해 일종의 '면' 지지를 이루므로써, 종래에 비해 지지 위치의 대폭적인 축소를 이루면서도 전체적인 하중 분산 능력은 결코 뒤지지 않는 작용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종래에는 기초 프레임(1)의 상부에 단순히 물 탱크(2)가 놓여져 있는 상태의 설치를 취하고 있는 반면, 본 고안은 삽입홈(14) 내에 고무 패드(16)가 부착되어 있는 접지 돌기(12)를 구비한 베이스 챤넬(10)를 통해 물 탱크(2)의 플랜지부(6)를 삽입 고정하고 있으므로써, 종래에 비해 지지 위치의 대폭적인 축소를 이루면서도 물 탱크(2)의 연결 고정은 더욱 견고히 이룰 수 있는 작용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작용을 하게 되는 베이스 챤넬(10)의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일체의 사출물로 형성되어 있어, 물 탱크(2)의 특성상 필연적으로 외측면에 발생시키는 수분에 아무런 영향을 입지 않아 반영구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최소의 면적을 통해 물 탱크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 지지할 수 있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의 베이스 챤넬에 의해, 국부적인 연결을 최적의 위치에서 면 접지를 이루므로 상부에 안치되는 물 탱크에 전혀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인 지지를 이룰 수 있게 됨에 따라 제작 원가를 대폭 절감시키게 되어 실수요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음은 물론이고, 설치 제작을 신속,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였고, 또한 물 탱크의 특성상 필연적으로 외측면에 발생되는 수분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아 반영구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하였으며, 물 탱크 용량과 높이에 따른 하중에 관계 없이 일괄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효과 등이 있다.

Claims (3)

  1. S.M.C 몸체판 또는 스테인레스 몸체판으로 제작된 물 탱크의 연결 지지를 이루는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에 있어서,
    기초 콘크리트 패드(8) 상부에 일정의 유격을 형성토록 수개 설치되어, S.M.C 몸체판 또는 스테인레스 몸체판으로 제작된 물 탱크(2) 하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부 판넬(4) 중, 비교적 하중 감당 능력이 우수하게 접합된 플랜지부(6) 부위만 삽입 고정함과 동시에 소정의 면 지지를 이룰 수 있도록 일체의 사출물로 형성된 강화 플라스틱 재질의 베이스 챤넬(1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챤넬(10)는 양측 기초 콘크리트 패드(8)의 상부 전후에 설치되어, 물 탱크(2) 하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부 판넬(4) 상호간의 접합을 이루고자 형성된 플랜지부(6)가 'ㄱ'자 형상으로 접하게 되는 부위 내측을 삽입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접지 돌기(12)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 베이스 챤넬(10a)과,
    양측 기초 콘크리트 패드(8)의 상부 중앙과, 중앙 기초 콘크리트 패드(8)의 상부 전후에 설치되어 물 탱크(2) 하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부 판넬(4) 상호간의 접합을 이루고자 형성된 플랜지부(6)가 'ㅗ'자 형상으로 접하게 되는 부위 내측을 삽입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접지 돌기(12)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전,후 바닥 기초 부재(10b) 및 좌,우 베이스 챤넬(10c)과,
    중앙 기초 콘크리트 패드(8)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물 탱크(2) 하부를 형성하고 있는 하부 판넬(4) 상호간의 접합을 이루고자 형성된 플랜지부(6)가 '+'자 형상으로 접하게 되는 부위를 삽입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접지 돌기(12)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센터 베이스 챤넬(10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베이스 챤넬(10)의 접지 돌기(12) 상부와 삽입홈(14) 부위에는 연결 설치되는 물 탱크(2)의 하부에 비교적 하중 감당 능력이 우수하게 접합된 플렌지부(6)를 완충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삽입시 고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고무 패드(16)가 부착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
KR2020000022674U 2000-08-09 2000-08-09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 KR2002130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674U KR200213049Y1 (ko) 2000-08-09 2000-08-09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674U KR200213049Y1 (ko) 2000-08-09 2000-08-09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049Y1 true KR200213049Y1 (ko) 2001-02-15

Family

ID=7305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674U KR200213049Y1 (ko) 2000-08-09 2000-08-09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0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9630B2 (en) Cover element
KR200213049Y1 (ko) 물 탱크용 베이스 챤넬
CN200969500Y (zh) 改进的电缆桥架槽盒
CN218347004U (zh) 一种预制舱拼装结构
JPS61207702A (ja) 伸縮継手を通じて架橋するアセンブリ
CN218091200U (zh) 一种成套增强水箅盖
CN109327989B (zh) 控制箱及机器人
CN213768241U (zh) 用于车辆的电池包以及车辆
CN210351072U (zh) 一种边框及光伏系统
KR200213050Y1 (ko) 물 탱크용 기초 패드
CN218199851U (zh) 一种密封效果好的收纳箱
CN220687805U (zh) 一种封端式螺纹卡接螺母
CN209938510U (zh) 一种汽车保险杠支架和安装组件
CN211849860U (zh) 一种防沉降钢筋砼检查井用井座结构
CN219604995U (zh) 一种装配式水池
JPH10174985A (ja) 浄化槽
CN210706839U (zh) 一种一体式双侧支撑水槽滑脚
CN211420763U (zh) 一种公路工程排水槽装置
CN209868932U (zh) 一种预制构件防漏浆通用模具
CN219886949U (zh) 橡胶止水带安装工具
CN218911619U (zh) 内托架内置一体的钢塑复合水箱板
CN215859291U (zh) 一种预制砼集成式浴室间结构
CN220035199U (zh) 一种防渗钢结构墩身钢模
CN217353347U (zh) 一种装配卫浴地面底盒安装件
CN213509748U (zh) 一种装配整体式卫生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