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524Y1 - 분리형 키보드 - Google Patents

분리형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524Y1
KR200212524Y1 KR2020000022303U KR20000022303U KR200212524Y1 KR 200212524 Y1 KR200212524 Y1 KR 200212524Y1 KR 2020000022303 U KR2020000022303 U KR 2020000022303U KR 20000022303 U KR20000022303 U KR 20000022303U KR 200212524 Y1 KR200212524 Y1 KR 200212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guide
board
wrist rest
wr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연
Original Assignee
허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연 filed Critical 허연
Priority to KR2020000022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5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524Y1/ko

Link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의 입력장치인 키보드를 선택적으로 양분되도록 함은 물론 손목이 지지됨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적인 특성에 맞추어 키보드 상에 배열된 입력키를 용이하게 압지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한 분리형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한글 자모에 대해 자음과 모음을 갖춘 입력키를 중심으로 회로적인 연결을 이루어 양분되는 제1키보드(11) 및 제2키보드(12)로 이루어진 키보드(10)와, 키보드(10)가 탑재되는 키보드판(20)을 갖추고, 상기 제1키보드(11) 및 제2키보드(12)가 키보드판(20)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여 양분이 가능한 수단으로 제1키보드(11) 및 제2키보드(12)에 안내관(13)을 연장성형함과 이 안내관(13)이 진입하도록 안내홈(23)을 형성한 안내부재(21)를 키보드판(20)에 형성된 구성과, 상기 키보드판(20)의 전면에 키보드(10)에 인접하는 손목받침대(22)를 갖추고, 이 손목받침대(22) 및 이 손목받침대(22)와 대향하는 키보드(10) 전면에 상호 형합하여 좌우 이동이 용이한 안내레일(14) 및 레일홈(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형 키보드{.}
본 고안은 컴퓨터의 입력장치인 키보드를 선택적으로 양분되도록 함은 물론 손목이 지지됨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적인 특성에 맞추어 키보드 상에 배열된 입력키를 용이하게 압지할 수 있는 분리형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양손의 손가락 압력에 의해 입력 및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여러개의 입력키를 갖춘 키보드를 사용하여 입력 및 출력 명령을 실행한다.
이러한 종래의 키보드는 일정한 틀 안에 컴퓨터 본체와 CPU, 메모리수단, 입출력수단을 터미널을 통해 연결한 것으로서, 고정된 형태에 따라 체형이 큰 사용자의 경우에는 양손을 모은 상태의 불편한 자세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키보드는 키보드가 놓이는 바닥면에 대해 일정한 높이를 갖는 것으로서, 키보드상에 입력키를 누르기 위하여 손목이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손목의 자세가 불편하여 쉽게 손목의 피로를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컴퓨터의 입력장치인 키보드를 선택적으로 양분되도록 함은 물론 손목이 지지됨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적인 특성에 맞추어 키보드 상에 배열된 입력키를 용이하게 압지할 수 있는 분리형 키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한글 자모에 대해 자음과 모음을 갖춘 입력키를 중심으로 회로적인 연결을 이루어 양분되는 제1키보드 및 제2키보드로 이루어진 키보드와, 키보드가 탑재되는 키보드판을 갖추고, 상기 제1키보드 및 제2키보드가 키보드판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여 양분이 가능한 단으로 제1키보드 및 제2키보드에 안내관을 연장 성형함과 이 안내관이 진입하도록 안내홈을 형성한 안내부재를 키보드판에 형성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키보드판의 전면에 키보드에 인접하는 손목받침대를 갖추고, 이 손목받침대 및 이 손목받침대와 대향하는 키보드 전면에 상호 형합하여 좌우 이동이 용이한 안내레일 및 레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키보드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키보드가 탑재되는 키보드판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의 키보드가 키보드판에 탑재된 상태의 평면도,
도4는 도3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A-A 선 및 B-B선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적용한 키보드가 키보드판에 분할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키보드 11 : 제1키보드
12 : 제2키보드 13 : 안내관
14 : 안내레일 20 : 키보드판
21 : 안내부재 22 : 손목받침대
23 : 안내홈 23 : 레일홈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부호 10은 본 고안에 의한 분리형 키보드 전체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키보드(10)는 도5에서와 같이 한글 자모에 대해 자음과 모음을 갖춘 입력키(30)를 중심으로 회로적인 연결을 이루어 양분되는 제1키보드(11) 및 제2키보드(1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키보드(11) 및 제2키보드(12)는 일정 틀 안에 입력키(30)들을 갖춘 것으로서, 상기 제1키보드(11) 및 제2키보드(12) 도 4에서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후면에 안내관(13)을 연장 성형한다. 이 안내관(13)에는 제1키보드(11) 및 제2키보드(12) 사에에 회로적인 연결을 이루는 케이블이 내장되나 본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 한다.
도2에서 부호 20은 키보드(10)가 탑재되는 키보드판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키보드판(20)은 도4에서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후면에 안내관(13)이 진입하여 좌우 이동이 자유로운 양단이 연통된 안내홈(23)을 형성한 안내부재(21)가 구비된다. 이 안내홈(23)은 일측이 절개된 열림부(25)를 형성하여 키보드판(20)의 안내관(13)이 진입하도록 한다.
아울러 도4에서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키보드판(20)의 전면에 키보드(10)에 인접하는 손목받침대(22)를 갖추고, 이 손목받침대(22) 및 이 손목받침대(22)와 대향하는 키보드(10) 전면에 상호 형합하여 좌우 이동이 용이한 안내레일(14) 및 양단이 연통된 레일홈(24)을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3에서와 같이 제1키보드(11) 및 제2키보드(12)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키보드판(20)에 탑재하여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도 5에서와 같이 제1키보드(11) 및 제2키보드(12)를 분리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즉, 키보드의 분리는 제1키보드(11)와 제2키보드(12) 중 어느 하나 또는 이 모두를 죄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 제1키보드(11) 및 제2키보드(12)의 안내관(13)과 안내레일(14)이 키보드판(20)의 안내부재(21)와 손목받침대(22)에 형성한 안내홈(23)과 레일홈(24)을 따라 유도되어 이동되어 사용자의 신체적인 특성에 맞는 키보드(10)의 폭간 조절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키보드의 폭간 조절이 자유로움은 물론 키보드와 유기적으로 연결된 손목받침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적인 특성에 따라 최적의 편안한 상태로 키보드를 조작하여 장시간 사용시에도 피로감이 덜함은 물론 작업능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한글 자모에 대해 자음과 모음을 갖춘 입력키를 중심으로 회로적인 연결을 이루어 양분되는 제1키보드(11) 및 제2키보드(12)로 이루어진 키보드(10)와, 키보드(10)가 탑재되는 키보드판(20)을 갖추고, 상기 제1키보드(11) 및 제2키보드(12)가 키보드판(20)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여 양분이 가능한 수단으로 제1키보드(11) 및 제2키보드(12)에 안내관(13)을 연장 성형함과 이 안내관(13)이 진입하도록 양단이 연통된 안내홈(23)을 형성한 안내부재(21)를 키보드판(20)에 형성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키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판(20)의 전면에 키보드910)에 인접하는 손목받침대(22)를 갖추고, 이 손목받침대(22) 및 이 손목받침대(22)와 대향하는 키보드(10) 전면에 상호 형합하여 좌우 이동이 용이한 안내레일(14) 및 양단이 연통된 레일홈(24)이 형성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키보드.
KR2020000022303U 2000-08-04 2000-08-04 분리형 키보드 KR200212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303U KR200212524Y1 (ko) 2000-08-04 2000-08-04 분리형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303U KR200212524Y1 (ko) 2000-08-04 2000-08-04 분리형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524Y1 true KR200212524Y1 (ko) 2001-02-15

Family

ID=73057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303U KR200212524Y1 (ko) 2000-08-04 2000-08-04 분리형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5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835A (ko) * 2018-11-20 2020-05-2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펀칭기를 탈착할 수 있는 분리형 키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835A (ko) * 2018-11-20 2020-05-2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펀칭기를 탈착할 수 있는 분리형 키보드
KR102149330B1 (ko) * 2018-11-20 2020-08-2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펀칭기를 탈착할 수 있는 분리형 키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03640A1 (en) Low-travel illuminated key mechanism
US7511700B2 (en) Device and technique for assigning different inputs to keys on a keypad
US8373663B2 (en) Small form-factor keypad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US7623118B2 (en) Actuation mechanism for use with keyboards on mobile computing devices
WO2006132746A3 (en) Ergonomic keyboard apparatus
KR200212524Y1 (ko) 분리형 키보드
KR100573767B1 (ko) 키보드
EP2287706A2 (en) Small form-factor keypad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KR200228940Y1 (ko) 모음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기기
JP4038806B2 (ja) キーボード装置
CN101135933A (zh) 具有鼠标的键盘
KR200234560Y1 (ko) 컴퓨터용 키보드
KR200305465Y1 (ko) 한글 입력 장치의 스위치
CN206388136U (zh) 一种新型的键盘装饰件
KR200200645Y1 (ko) 키보드용 손목받침대
KR200215090Y1 (ko) 컴퓨터용 키보드
KR200204460Y1 (ko) 분리사용이 가능한 키보드
KR100355574B1 (ko) 마우스를 동시에 사용 가능한 한손 키보드
CN2214020Y (zh) 键盘指法快速练习器
JP2001022501A (ja) 日本語入力キーボード
KR880002659Y1 (ko) 장신구
KR101158913B1 (ko) 키조작회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5882Y1 (ko) 문자가 돌출된 키를 가지는 컴퓨터용 키보드
KR200211667Y1 (ko) 인체공학 키보드
KR200169750Y1 (ko) 컴퓨터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