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417Y1 - 약제(藥劑) 성분 방사용 매트 - Google Patents

약제(藥劑) 성분 방사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417Y1
KR200212417Y1 KR2020000021667U KR20000021667U KR200212417Y1 KR 200212417 Y1 KR200212417 Y1 KR 200212417Y1 KR 2020000021667 U KR2020000021667 U KR 2020000021667U KR 20000021667 U KR20000021667 U KR 20000021667U KR 200212417 Y1 KR200212417 Y1 KR 2002124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am
heating
ma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봉식
Original Assignee
문봉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봉식 filed Critical 문봉식
Priority to KR2020000021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4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4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417Y1/ko

Links

Landscapes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 내측으로 고온의 증기가 유입되는 가열판의 상부에 쑥 및 기타 약제(藥劑)를 내포한 패드를 적층시켜 매트를 구성하므로서, 찜질시 더운 열의 방출과 더불어 약제 성분이 방사됨에 따라 찜질 기능이 극대화되는 동시에 건강증진 및 질병치료 효과를 가져오도록 하는 약제성분 방사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증기 순환용의 실리콘 소재 히팅관(19)이 내측에 설치되는 열방출판(11)을 가지며, 상기 열방출판(11)의 상부로 약제 성분을 내포한 패드(16)가 접합되는 매트(10)와; 일측에 통기공(21a)이 천공된 격벽(21)에 의해, 하측에 위치하여 수용된 물을 가열하면서 증기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물가열실(23)과 상측의 증기실(22)로 분할되며, 상기 증기실(22)은 상기 히팅관(19)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는 하우징(20)과; 상기 격벽(21)의 상측에 상기 증기실(22)과 차단되게 설치되고, 그 저부에 제공되는 물방출관(30a)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물가열실(23)의 수면 높이에 따라 승하강되는 밸브체를 구비하며, 상기 히팅관(19)의 타측 단부와 연결되는 보충수 탱크(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약제(藥劑) 성분 방사용 매트{Mat be emitted medicine ingredient}
본 고안은 찜질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 내측으로 고온의 증기가 유입되는 가열판의 상부에 쑥 및 기타 약제(藥劑)를 내포한 패드를 적층시켜 매트를 구성하므로서, 찜질시 더운 열의 방출과 더불어 약제 성분이 방사됨에 따라 찜질 기능이 극대화되는 동시에 건강증진 및 질병치료 효과를 가져오도록 하는 약제성분 방사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도시화에 따른 인구집중 현상 및 급격한 산업화 등에 의해서, 각종 공해에 무방비로 노출된 채 복잡 다양한 생활을 영위하는 것이었으며, 이로 인해 과도한 스트레스 및 크고 작은 각종 질병에 시달리는 것이었다.
이같은 이유로, 어깨나 허리 등 신체의 일부분이 결리고 통증이 유발된다든지, 피로가 누적되어 신체에 활력이 없고 무기력감이 느껴지는 경우에 더운 열로서 경직된 근육을 이완시키는 동시에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통증해소 및 피로회복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하는 찜질용 매트가 제공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의 찜질용 매트는 대부분 전기 매트인 것이었다. 즉, 매트의 내부에 열선이 제공되며, 이같은 열선에 전기를 통전시켜 그 저항열로 찜질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같은 전기 매트는 열 방출체로 전기적인 열선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열의 방출과 함께 다량의 전자파가 발산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찜질중인 사용자는 유해한 전자파에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전기 매트는 단지 고온의 열 만을 방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통증의 완화 및 혈액순환의 촉진 등 어느 정도의 효능을 가져오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일시적인 효능에 불과한 것이지 근본적인 치유방법은 될 수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전자파와 같은 유해물질을 외부로 발산하지 않으며, 보다 근본적인 치유기능을 갖는 건강 보조매트의 제공이 요구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온의 증기를 순환시켜 매트 내부에 구비된 가열판을 가열시키며, 이같은 가열판의 상부에 쑥 및 그밖의 약제 성분이 내포된 패드를 접착시켜, 찜질과 동시에 건강증진 및 치료 기능을 갖는 약제 성분이 사용자의 신체로 발산되도록 구성하여 찜질의 효능이 극대화되도록 하는 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약제 성분 방사용 매트의 매트 구성을 나타낸 절개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약제 성분 방사용 매트의 증기발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매트 11: 열방출판 12: 증기유입구 13: 증기배출구 14,15: 단열재 16: 약제 패드 17: 부직포 18: 커버 19: 히팅관 20: 하우징 21: 격벽 21a: 통기공 22: 증기실 23: 물가열실 24: 증기주입관 25: 증기안정기 30: 보충수탱크 30a: 물방출관 31: 물유입관 32: 막이편 33: 레버 34: 부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증기 순환용의 실리콘 히팅관이 내측에 설치되는 열방출판을 가지며, 상기 열방출판의 상부로 약제 성분을 내포한 패드가 접합되는 매트와; 일측에 통기공이 천공된 격벽에 의해, 하측에 위치하여 수용된 물을 가열하면서 증기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물가열실과 상측의 증기실로 분할되며, 상기 증기실은 상기 히팅관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는 하우징과; 상기 격벽의 상측에 상기 증기실과 차단되게 설치되고, 그 저부에 제공되는 물방출관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물가열실의 수면 높이에 따라 승하강되는 밸브체를 구비하며, 상기 히팅관의 타측 단부와 연결되는 보충수 탱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격벽은, 상기 물가열실에서 발생된 고온의 증기가 상기 증기실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통기공은 상기 경사진 격벽의 상측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약제 성분 방사용 매트의 매트 구성을 나타낸 절개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약제 성분 방사용 매트의 증기발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의 증기에 의해 가열되는 열방출판(11)을 구비한 매트(10)와, 상기 매트(10)의 열방출판(11)으로 증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하우징(20) 및 보충수 탱크(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먼저, 상기 매트(10)는 상기 열방출판(11)을 포함하여 각기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판재를 여러겹으로 적층하여 구성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로부터 한 쌍의 단열재(14,15), 열방출판(11), 약제 성분을 내포한 패드(16) 및 부직포(17)를 순차적으로 적층하며, 이렇게 적층된 판재들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커버(18)를 구비하는 매트 구성을 설명하였다.
상기 열방출판(11)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한 박스형 구조이며, 이같은 열방출판(11)의 내측에는 고온의 증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실리콘 소재의 히팅관(19)이 일정 간격을 형성한 채 다수회 절곡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실리콘 히팅관(19)의 양측 단부는 상기 열방출판(11)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증기유입구(12) 및 증기배출구(13)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이같은 열방출판(11) 및 히팅관(19)으로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며, 일예로 굴곡성이 우수한 실리콘 소재나 박형의 동판재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같은 열방출판(11)의 하부에 단열재가 접합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각기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단열재(14,15)가 상기 열방출판(11)의 하부에 순차적으로 접합되는 구성을 설명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단열재의 두께 및 적층수등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단열재(14,15)는 상기 열방출판(11)에서 발산되는 열이 하부로 복사되어 손실되는 것을 최대한 줄이고자 하는 것으로, 상기 열방출판(11)의 열효율을 높이기 위한 용도이며, 그밖에도 고온의 열방출판(11)이 매트(10)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같은 단열재가 각기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한 쌍의 구성을 이루도록 하였으며, 상기 열방출판(11)과 직접 접촉되는 상측의 단열재(15)를 하측의 단열재(14)와 비교하여 내열성이 큰 재질로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열방출판(11)의 상부에는 약제 성분을 내포한 패드(16)가 접합되는 것으로, 상기 열방출판(11)의 내측으로 증기가 유입되어 열방출판(11)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그 열기가 상기 약제 패드(16)로 전달되는 것이며, 그에 따라 상기 약제 패드(16)가 가열되면서 인체에 유용한 약제 성분이 증기 형태로 방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방출되는 약제 성분의 증기를 쐬게 되므로서 약제의 유용한 성분이 체내로 스며들어 건강증진 및 치료 기능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약제 패드(16)의 상부에는 부직포(17)가 접합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적층되는 단열재(14,15), 가열판(11), 약제 패드(16) 및 부직포(17)를 감싸도록 커버(18)가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매트 구성은 하나의 실시형태인 것이며, 그밖에 상기 열방출판을 기준으로 적층되는 판재의 종류나 그 적층순서 등은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렇게 구성되는 매트(10)가 찜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열방출판(11)에 고온의 증기를 공급하는 장치가 제공되는 것이며, 이같은 장치는 크게 하우징(20)과 보충수 탱크(3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20)은 그 내부공간이 격벽(21)에 의해서 상측의 증기실(22)과 하측의 물가열실(23)로 분할되는 것이며, 상기 격벽(21)에는 두개의 공간을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통기공(21a)이 천공되는 것이다.
이같은 증기실(22)과 물가열실(23)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물가열실(23)에는 그 내부로 적정량의 물이 채워지는 것이며, 이러한 물을 가열하여 그로부터 고온의 증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같이 물을 가열하는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는 방식을 설명하였으나, 그밖에 기름이나 가스 등을 연소시켜 가열하는 방식도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증기실(22)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통기공(21a)에 의해 상기 물가열실(23)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물가열실(23)에서 발생된 증기가 상기 통기공(21a)을 통해 상기 증기실(2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격벽(21)을 그 통기공(21a)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하므로서, 상기 물가열실(23)에서 발생된 고온의 증기가 상기 증기실(22)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이같은 증기실(22)의 일측에는 증기주입관(24)이 구비되어 앞에서 설명한 열방출판(11)의 증기유입구(12)와 연결되는 것이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물가열실(23)에서 생성되어 상기 증기실(22)로 유입되어진 고온의 증기가 상기 증기주입관(24)을 통해 유도되어 상기 열방출판(11)의 히팅관(19)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증기실(22)에는 증기안정기(25)가 설치되는 것이며, 이러한 증기안정기(25)에 의해 상기 증기실(22) 내부의 증기압이 소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격벽(21)의 상부로 보충수 탱크(30)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같은 보충수 탱크(30)는 상기 증기실(22)의 내부에 증기실(22)과 차단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미려한 외관을 유지하는데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을 최소화하는데에 바람직하다. 하지만 유지 보수 등의 기능성을 감안하여 증기실(22)의 상측에 노출되는 구조로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그 일측에는 상술한 열방출판(11)의 증기배출구(13)와 연결되는 물유입관(31)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열방출판(11)으로 유입된 고온의 증기는 실리콘 히팅관(19)을 따라 순환되는 과정에서 열을 빼앗기게 되고, 이에 따라 냉각되면서 액화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생성된 물이 상기 물유입관(31)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보충수 탱크(30)로 유입되는 것이다. 즉 상기 보충수 탱크(30) 내부에는 항상 물이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보충수 탱크(30)의 저부에는 위에서 설명한 물가열실(23)과 통하는 물방출관(30a)이 제공되는 것이며, 이같은 물방출관(30a)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밸브체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밸브체는, 그 일측이 상기 물방출관(30a)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물방출관(30a)을 차단하는 위치 및 개방하는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는 막이편(32)과, 상기 막이편(32)에 일단을 고정하고 있는 레버(33)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물가열실(23)의 수면 높이에 따라 승하강되는 부레(34)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물가열실(23)의 내부에 적정량의 물이 채워져 있는 경우에는 상기 막이편(32)에 의해 상기 물방출관(30a)이 차단되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물가열실(23)의 물이 기화되면서 다량의 증기를 발생시키게 되면 물가열실(23) 내부의 수량은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부레(34)가 하강되면서 상기 막이편(32)이 하향 회동되어 상기 물방출관(30a)이 개방되게 되고, 이렇게 개방된 물방출관(30a)을 통해 상기 보충수 탱크(30) 내부의 물이 상기 물가열실(23)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약제 성분 방사용 매트에 의하여, 찜질시 더운 열 뿐만아니라 건강증진 및 치료 기능을 갖는 약제 성분이 증기 형태로 방출됨에 따라, 사용자는 이같은 신체에 유용한 성분을 흡수하게 되어 찜질의 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다.

Claims (3)

  1. 증기 순환용의 실리콘 소재 히팅관이 내측에 설치되는 열방출판을 가지며, 상기 열방출판의 상부로 약제 성분을 내포한 패드가 접합되는 매트와;
    일측에 통기공이 천공된 격벽에 의해, 하측에 위치하여 수용된 물을 가열하면서 증기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물가열실과 상측의 증기실로 분할되며, 상기 증기실은 상기 히팅관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는 하우징과;
    상기 격벽의 상측에 상기 증기실과 차단되게 설치되고, 그 저부에 제공되는 물방출관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물가열실의 수면 높이에 따라 승하강되는 밸브체를 구비하며, 상기 히팅관의 타측 단부와 연결되는 보충수 탱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藥劑) 성분 방사용 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물가열실에서 발생된 고온의 증기가 상기 증기실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통기공은 상기 경사진 격벽의 상측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성분 방사용 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일측이 상기 물방출관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면서 상기 물방출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막이편과, 상기 막이편에 일단을 고정한 레버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물가열실의 수면 높이에 따라 승하강되는 부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성분 방사용 매트.
KR2020000021667U 2000-07-28 2000-07-28 약제(藥劑) 성분 방사용 매트 KR2002124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667U KR200212417Y1 (ko) 2000-07-28 2000-07-28 약제(藥劑) 성분 방사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667U KR200212417Y1 (ko) 2000-07-28 2000-07-28 약제(藥劑) 성분 방사용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417Y1 true KR200212417Y1 (ko) 2001-02-15

Family

ID=7308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667U KR200212417Y1 (ko) 2000-07-28 2000-07-28 약제(藥劑) 성분 방사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4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6633A (en) Therapeutic, portable bed provided with a water heating system
US20070145041A1 (en) Electromagnetically-shielded air heating systems and methods
KR101514646B1 (ko) 족욕 겸용 좌욕기
KR0172673B1 (ko) 사우나실용 방향발생 및 가습장치와 이를 구비한 사우나목욕장치
KR200212417Y1 (ko) 약제(藥劑) 성분 방사용 매트
KR20090122719A (ko) 환자용 인큐베이터
WO2010037294A1 (zh) 医疗保健枕
KR101119245B1 (ko) 뜸기구
KR100336423B1 (ko) 쑥뜸찜기 조합체
KR200349944Y1 (ko) 하반신전용 사우나
CN101773351A (zh) 一种保健颈枕改良结构
KR100397108B1 (ko) 전자파 해가 없는 찜질용구
KR200410243Y1 (ko) 면상발열체를 구비한 가습기
KR20010003901A (ko) 초음파 게르마늄 한방 훈증기
CN216536111U (zh) 一种足浴盆
WO2023035914A1 (zh) 具有散热器的氢气产生装置
KR200204444Y1 (ko) 전자파 해가 없는 찜질용구
KR200235514Y1 (ko) 건강침대
CN213723465U (zh) 一种足蒸器的磁吸保温顶盖
KR100290449B1 (ko) 전기옥매트
KR100312024B1 (ko) 옥찜질방
KR960006853Y1 (ko) 사우나 부스용 한약제 찜통
CN216417751U (zh) 一种药灸理疗舱
KR200370088Y1 (ko) 증기 방식의 좌욕기
CN215504260U (zh) 一种熏蒸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