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133Y1 - 수난 구조용 목걸이 - Google Patents

수난 구조용 목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133Y1
KR200212133Y1 KR20000025785U KR20000025785U KR200212133Y1 KR 200212133 Y1 KR200212133 Y1 KR 200212133Y1 KR 20000025785 U KR20000025785 U KR 20000025785U KR 20000025785 U KR20000025785 U KR 20000025785U KR 200212133 Y1 KR200212133 Y1 KR 200212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lace
guide pipe
tube
compressed gas
rubber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00025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창
Original Assignee
김병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창 filed Critical 김병창
Priority to KR20000025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 B63C9/1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 B63C9/15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63C9/19Arrangements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7Inflation devices comprising manual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 B63C2009/13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ttachable to the user's head or neck, e.g. like a cap or col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난구조용 목걸이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평상시에는 소리발생 가능한 목걸이로 착용하고 있다가 위급한 상황발생시 목걸이를 당겨서 목걸이 내부에 장착된 고무튜브에 압축가스가 주입되어 인명구조용 장비로서 사용할 수 있는 목걸이로서,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한 물감지센서와 연결된 음원IC와, 팽창한 압축가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파이프와, 상기 안내파이프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부에 절개라인을 형성한 압축가스통과, 상기 절개라인의 안쪽에 형성되며 목걸이 줄이 연결되는 연결고리와, 상기 안내파이프의 양쪽으로 연결 설치된 튜브와, 관통공으로 들어와서 안내파이프를 통과하여 연결고리에 연결된 목걸이 줄과, 상기 튜브가 팽창하면 그 힘으로 열리게 되는 덮개가 설치되며, 안내파이프와 튜브가 연결되는 부위는 한쪽방향으로만 유체를 통과시키는 실링구가 설치되며, 가스의 외부누출을 막는 고무패킹이 안내파이프내에 설치되며, 고무패킹의 상부에는 일정장력을 감당하는 고정편이 목걸이 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난 구조용 목걸이 {A necklace for disaster by water}
본 고안은 수난 구조용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상시에는 소리발생 가능한 목걸이로 착용하고 있다가 위급한 상황발생시 목걸이를 당겨서 목걸이 내부에 장착된 고무튜브에 압축가스가 주입되어 인명구조용 장비로서 사용할 수 있는 목걸이에 관한 것이다.
바다나 강 또는 호수등에 물놀이를 갈 경우 뜻하지 않은 수난을 당할 수 있으며, 노약자나 특히 어린아이들의 물놀이 안전사고가 해마다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대한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나 이렇다할 안전용구가 없는 형편이다.
이러한 물놀이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하여 규모가 큰 피서지들에서는 안전요원들이 배치되어 있거나 튜브나 구명조끼등을 빌릴 수 있는 것이 고작이며, 다른 특별한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요원들이 감시할 수 있는 범위에는 한계가 있으며, 튜브나 구명조끼등은 착용이 불편하고 부피가 커서 그 사용을 기피하는 실정이다. 특히 계곡이나 인파가 적은 곳에는 이러한 안전요원이나 구명장비또한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이런곳에서의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고있으나 특별한 대책이 없는 형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몇가지의 구조용 용구가 개발된바 있으나 이 또한 작동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실제사용시 불편한 점이 많이있다. 그 일 예로서 손목시계식 수난 구조용 부구(실용신안등록 20-0184284)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고안은 손목시계형으로 그 부피를 줄이고 착용이 간편하게 한 것은 사실이지만 공기탱크에 연결된 스핀들 볼밸브를 돌려야만 압축공기가 고무튜브의 내부로 유입되어 튜브가 부풀어 오르게 되므로 실제로 물에 빠지거나 하는 위급한 상황에서는 작은 스핀들 볼밸브를 찾아서 돌리기는 매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등의 경우는 평상시의 경우라 할 지라도 이러한 조작을 하기란 쉽지 않으므로 실재로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긴급시에는 더더욱 상기 조작을 기대할 수 없는 것이므로 실재상황에는 별다른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고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난구조용 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착용이 간단하면서도 조작이 용이하여 실재상황 발생시에 확실한 구조효과를 얻을 수 있는 수난구조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물놀이시 위험에 노출되어있는 어린아이들의 안전을 강조하여 평상시에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재미있는 목걸이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수난 발생시에는 간편하게 부구로 작동시킬 수 있는 수난구조용 목걸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 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목걸이줄의 연결 상태도
도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의 목걸이줄의 연결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목걸이줄 2: 고무튜브
3: 압축 가스통 4: 음원IC
5: 안내파이프 6: 고무패킹
8: 물 감지센서 연결선 9: 물 감지센서
10: 작동 선택버튼 11: 연결고리
12: 실링구 13 : 고정편
14: 덮개 15: 매듭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내부 구성을 보여준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각종의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음원IC(4)을 내부에 설치하며, 중앙부를 통과하는 안내파이프(5)를 설치하며, 상기 안내파이프의 하단에는 압축가스통(3)을 설치하며, 상기 압축가스통(3)의 상부에는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인장력이 작용하면 절개되도록 절개라인(12)을 형성하여 안내파이프(5)의 하단 안쪽으로 절개라인(12)이 위치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절개라인(12) 안쪽으로 연결고리(11)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고리에 목걸이 줄(1)이 연결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안내파이프(5)의 양쪽에는 튜브(2)를 각각 연결설치하여 안내파이프(5)를 통과한 가스가 유입될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튜브(2)와 안내파이프의 연결부에는 일단 유입된 가스가 다시 배출되지 않도록 한쪽방향으로만 유체를 이동시키는 통상의 실링구(12)를 설치할 수 있다.
연결고리(11)에 연결된 목걸이 줄(1)은 안내파이프(5)를 통과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며, 이때 외부와 안내파이프(5)와의 밀폐를 위해서 고무패킹(6)을 안내파이프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패킹을 통과한 목걸이 줄(1)은 관통공(31)을 통하여 외부로 통과하게 된다. 상기 관통공(31)과 고무패킹(6)사이에 위치하는 목걸이 줄(1)에는 상기 관통공(31)보다 직경이 더 큰 고정편(13)을 도5와 같이 고정 설치하되 상기 고정편은 탄력을 가진 고무등의 부재로 형성하며 관통공(31)과 고무패킹(6)사이의 거리보다 고정편과 고무패킹사의의 목걸이 줄(1)의 길이가 더 길도록 여유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편(13)은 외부의 일정 인장력에는 관통공(31)을 통과할 수 없으므로 안내파이프(5)내부의 목걸이 줄은 인장력을 받지 않으나 일정한 인장력 이상에서는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관통공(31)을 통과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된다. 따라서 일정 인장력 이상의 힘을 가하여 줄을 당기게 되면 안내파이프(5)의 목걸이 줄은 인장력을 받게되어 하부의 압축가스통(3)의 연결고리(11)를 당겨주게 되어 절개라인(12)이 절개되며, 압축가스가 방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고정편(13) 대신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목걸이 줄(1)에 매듭(15)을 형성하여 고정편(13)과 같은 역활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매듭은 관통공(31)의 지름보다 커야하며, 일정 이상의 인장력에서만 관통공(31)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음원IC(4)는 물감지센서 연결선(8)으로 도2및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에 노출된 물감지센서(9)에 연결되며, 물감지센서(9)가 물에 잠기게 되면 통전되어 음원IC가 작동하여 각종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음원IC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외부에 통상의 작동선택버튼(10)을 설치하고 작동선택버튼 연결선(7)을 통하여 음원IC(4)에 연결되도록 하여 소리발생을 선택적으로 정지시키거나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여러가지 모양의 목걸이 형상으로 그 외형을 형상하는 것이 가능하나 본 고안에서는 그 외형을 맹꽁이 형상으로 하였으며 음원IC의 발생소리 또한 맹꽁이 울음소리로 입력하여 아이들이 재미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아이들의 사용을 유도하였다. 특히 물감지센서(9)를 설치하여 목걸이가 물속에 잠기게 되면 상기 음원IC가 작동하여 맹꽁이 소리가 나도록하고 물에서 나오면 작동이 정지되어 소리가 멎게 되므로 아이들이 재미있게 물놀이를 할 수 있게되어 장난감으로서의 기능도 갖게한다.
상기 음원IC에는 작동선택버튼(10)을 설치하여 소리발생기능을 해제시킬수도 있으며 복귀시킬수도 있게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덮개(14)는 한쪽방향으로만 열리도록 설치하거나 또는 양쪽방향으로 열리도록 설치할 수 있다. 도2에서는 양쪽으로 열리도록 설치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평상시에는 목걸이를 착용하고 다니며, 물놀이를 할 때 물에 들어가면 소리가 나고 물 밖으로 나오면 소리가 멎게되는 재미있는 장난감 및 악세사리로 사용한다. 이때는 관통공(31)의 하부에 위치한 목걸이 줄(1)의 고정편(13)이 목걸이의 무게및 아이들이 장난으로 잡아당길때의 인장력을 대항하게 되어 안내파이프(5) 내에 위치한 목걸이 줄에는 인장력이 전해지지 않게되어 연결고리(11)가 당겨지지 않으므로 압축가스통(3)의 가스가 방출되지 않게된다.
그러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게 되어 목걸이를 세게 잡아당기게 되면 상대적으로 목걸이 줄(1)에 강한 인장력이 발생하게 되어 고정편(13)은 탄성변형되어 관통공(31)을 통과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며, 이렇게 되면 목걸이 줄은 압축가스통(3)의 연결고리(11)를 당기게 되므로 절개라인(12)이 절개되며 절개구가 형성되게 되어 이곳을 통하여 압축가스가 급격하게 안내파이프(5)로 방출되게 된다. 안내파이프(5)의 상부는 고무패킹(6)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방출된 압축가스는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안내파이프(5)에 연결된 양쪽 튜브(2)로 유입하게 되며, 튜브(2)는 급격히 팽창하게 되어 그 팽창력으로 덮개(14)를 열고 외부로 팽창되어 나가서 부구로서의 역활을 수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고무패킹(6)에 의하여 튜브의 가스는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 되므로 팽창한 튜브는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되며, 또한 안내파이프(5)와 튜브(2)의 연결부에 실링구(12)를 설치하여 만약의 누출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악세서리 또는 아이들의 재미있는 장난감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수난발생시에는 구조용 부구로서 기능하게되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목걸이로 구성하여 착용이 매우 간편하며, 특히 물속에 들어가면 맹꽁이 등의 소리가 발생하여 아이들이 매우 재미있게 장난감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물놀이등에 갔을 경우 그 착용을 쉽게 유도할 수 있으며, 특히 긴급 상황시에는 목걸이 자체를 잡아당기기만 하면 되므로 부구로서의 작동이 매우 손쉽게 이루어 지게 되며, 아이들이나 노인들의 경우에도 손쉽게 튜브팽창을 시킬 수 있으므로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소리를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소리발생을 원하지 않을 경우는 단순한 구조용 목걸이로만 사용할 수도 있으며, 소리가 발생하도록 하여 사용할 수 도 있으므로 단조롭지 않아서 아이들이 오래동안 착용해도 싫증을 내지 않으므로 그만큼 안전사고의 발생률이 적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그 착용이 간편하고 호기심을 유발하여 강이나 바다 또는 호수등 물놀이 가능한 곳에서 남녀노소 구별없이 많은 사람의 착용을 유도하여 안심하고 물을 접할 수 있도록 하며, 일반 수영장에서도 만일의 사태를 대비하여 착용할 수 있으며, 부모는 미쳐 주의를 다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아이들의 귀중한 생명을 수난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으므로 가정에서 꼭 필요한 보호용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한 물감지센서(9)와,
    상기 물감지센서(9)와 연결된 음원IC(4)와,
    팽창한 압축가스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파이프(5)와,
    상기 안내파이프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부에 절개라인(12)을 형성한 압축가스통(3)과,
    상기 절개라인(12)의 안쪽에 형성되며 목걸이 줄(1)이 연결되는 연결고리(11)와,
    상기 안내파이프(5)의 양쪽으로 연결 설치된 튜브(2)와,
    관통공(31)으로 들어와서 안내파이프(5)를 통과하여 연결고리(11)에 연결된 목걸이 줄과,
    상기 튜브(2)가 팽창하면 그 힘으로 열리게 되는 덮개(1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난구조용 목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안내파이프(5)와 튜브(2)가 연결되는 부위는 한쪽방향으로만 유체를 통과시키는 실링구(12)가 설치되며, 가스의 외부누출을 막는 고무패킹(6)이 안내파이프(5)내에 설치되며, 고무패킹(6)의 상부에는 일정장력을 감당하는 고정편(13)이 목걸이 줄(1)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난구조용 목걸이.
  3. 제2항에 있어서; 고정편(13) 대신에 목걸이 줄(1)에 매듭(1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난구조용 목걸이.
  4. 제1항에 있어서; 덮개는 양쪽으로 열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난구조용 목걸이.
  5. 제1항에 있어서; 음원IC(4)에는 소리발생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작동선택버튼(10)을 연결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난구조용 목걸이.
KR20000025785U 2000-09-09 2000-09-09 수난 구조용 목걸이 KR200212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25785U KR200212133Y1 (ko) 2000-09-09 2000-09-09 수난 구조용 목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25785U KR200212133Y1 (ko) 2000-09-09 2000-09-09 수난 구조용 목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133Y1 true KR200212133Y1 (ko) 2001-02-15

Family

ID=42154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25785U KR200212133Y1 (ko) 2000-09-09 2000-09-09 수난 구조용 목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1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1343A2 (ko) * 2008-04-20 2009-10-29 Lee Kwang Jin 구명 기능을 갖는 목걸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1343A2 (ko) * 2008-04-20 2009-10-29 Lee Kwang Jin 구명 기능을 갖는 목걸이 장치
WO2009131343A3 (ko) * 2008-04-20 2010-02-11 Lee Kwang Jin 구명 기능을 갖는 목걸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19122A (ja) 膨張式救命水着
JP2013116738A (ja) スキューバダイビングのための安全装置
EP1196324B1 (en) Hands free signal device
JP2006232109A (ja) 水中溺れ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US7292423B2 (en) Acoustic/underwater signaling device
US4950107A (en) Audible alarm device for divers
KR200212133Y1 (ko) 수난 구조용 목걸이
JP2022036920A (ja) 警報吹鳴器
JP6446620B1 (ja) 溺水感知器
CN205022831U (zh) 便捷式自动充气防溺手环
CN208938308U (zh) 一种救生手环
US6786784B2 (en) Child's safety swimwear
KR20140041657A (ko) 튜브형 구명 장신구
WO1994021513A1 (en) Life-savingfloat
CN203264075U (zh) 一种多功能微型自救器
JP6446623B1 (ja) 溺水感知器
JP2008234302A (ja) 水難防止方法および水難防止装置
WO2020039953A1 (ja) 溺水感知器
KR101914490B1 (ko) 구조용 튜브
CN205813775U (zh) 一种潜水用危险预警手环
CN205751155U (zh) 水中报警手环内的气体生成装置
JP6850931B1 (ja) 溺水感知器
KR200265815Y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구명 수영복
KR200487762Y1 (ko) 다이빙용 부표
JP6446622B1 (ja) 溺水感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