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009Y1 - 다단계 접철식 선반카트 - Google Patents

다단계 접철식 선반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009Y1
KR200212009Y1 KR2019980017191U KR19980017191U KR200212009Y1 KR 200212009 Y1 KR200212009 Y1 KR 200212009Y1 KR 2019980017191 U KR2019980017191 U KR 2019980017191U KR 19980017191 U KR19980017191 U KR 19980017191U KR 200212009 Y1 KR200212009 Y1 KR 2002120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edestal
cart
locking piece
fron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1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155U (ko
Inventor
양영식
Original Assignee
양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영식 filed Critical 양영식
Priority to KR2019980017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009Y1/ko
Publication of KR200000061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1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0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009Y1/ko

Link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반을 위해 실려지는 물건이 자체의 중량에 의해 서로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많은 량을 적층시켜 편리하게 운반시켜 줄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필요시에 사용자가 걸터 않아 쉴수 있도록 한 핸드카트에 관한 것으로, 이는 양측으로 절곡된 지지대(11)의 하단 양측에 바퀴(12)가 구성되고, 전방측으로 일체로 하여 받침대(13)가 구성된 핸드카트에 있어서, 지지대(11)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힌지(14)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걸림편(15)을 구성하고, 상기 걸림편의 전방측으로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받침대(16)가 다단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단계 접철식 선반카트
본 고안은 다단계 접철식 선반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반과 진열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며 물건이 자체의 중량에 의해 서로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많은 량을 적층시켜 편리하게 운반시켜 줄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필요시에 사용자가 걸터 않아 쉴수 있도록 한 다단계 접철식 선반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핸드카트는 상단의 손잡이를 기점으로 양측을 향해 일체로 절곡시켜 양측 지지대의 하단에 각각 바퀴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의 하단 전방측으로 용접수단에 의해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핸드카트는 짐을 올려 놓을수 있는 받침대가 하단에만 갖추어져 있어 많은 짐을 실으면 짐의 무게에 의하여 중심력이 없어져 불안함은 물론, 적층된 짐이 서로 눌려 최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짐이 손상되는 등의 제반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즉, 많은 짐을 운반시켜 주기 위해서는 받침대에 짐이 적층되도록 올려주어야 하는데, 시장등과 같은 장소에서 운반되는 짐은 야채나 과일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어 상단에 까지 올려진 짐은 안정되지 않아 운반도중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짐을 최상단까지 실지 못하고 운반도중 짐이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만 운반시켜 주어야 하였으며, 중량체의 운반물일 경우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물건이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물건에 의해 눌려 손상되어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제반결함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물건을 받쳐주는 받침대를 다층으로 설치하여 많은 물건을 안정되면서도 눌리는 힘에 의해 물건이 손상되지 않은 상태에서 편리하게 운반시켜 줄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받침대를 이용하여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핸드카트를 이용하여 물건의 운반 외에 판매하고져 하는 옷 등을 진열시켜 준 상태에서 판매할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계단을 오르거나 내려갈 때 카트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운반시켜 줄수 있도록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내는 핸드카트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손잡이 11:지지대 12:바퀴
13,16,19:받침대 14:힌지 15,18:걸림편
20:걸이봉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의 핸드카트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로서, 상단부에 위치하는 손잡이(10)를 기점으로 양측을 향해 일체로 절곡시켜 지지대(11)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11)의 하단에 각각 바퀴(12)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 전방측으로 용접에 의해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13)로 구성된 핸드카트에 있어서, 상기의 지지대(11)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힌지(14)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걸림편(15)을 구성하고, 상기 걸림편의 전방측으로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받침대(16)를 구성하고 있으며, 지지대의 후방 하단측에 계단을 오르거나 내려갈 때 계단의 모서리측에 접지되어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삼각형상을 갖는 보조받침대(22)로 갖추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의 보조받침대(22) 하단부 양측에 바퀴를 결합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 하고, 상기 걸림편(15)은 지지편(11)이 삽입될수 있도록 절곡시켜 준 상태에서 힌지(14)를 중심으로 회동될수 있도록 전면 상단부 일부를 개방시켜 주는 것이고, 상기의 받침대 상면에는 사용자가 걸쳐 앉아 쉴때에는 받침판(17)으로 의자 역할을 할수있도록 형성하여 준다.
또한, 지지대(11)를 중심으로 상기의 받침대(16) 후방측으로 힌지(14)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걸림편(18)에 결합되어 판매하고자 하는 옷 등을 걸수 있도록 걸이봉(20)이 형성된 받침대(19)를 형성하여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걸림편(18)은 지지대의 전방을 향하도록 결합된 걸림편(15) 외면에 씌워지도록 하여 하나의 힌지(14)에 의해 지지대(11)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시켜 준다.
그리고, 지지대(11)에 고정된 하단의 받침대(13) 전방측 하단 양측에는 핸드카트가 수평되게 세워질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세워진 상태에서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식보조바퀴(21)를 형성하여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핸드카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나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받침대(13)만을 이용하여 물건을 운반시켜 주고져 할 경우 도 2 의 일점쇄선과 같이 지지대(11)의 중간지점에 위치하여 힌지(14)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받침대(16)(19)를 상부로 회동시켜 주게되면 상기의 힌지(14)를 중심으로 하여 걸림편(15)(18)을 회동시켜 주게되면 상기 걸림편의 전면 산단에 형성된 개방부에 위해 지지대(11)와 직각상태를 유지하므로서 각각의 받침대(16)(19)가 지지대(11)의 전, 후면에 접한 상태로 하여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선반카트는 종래와 같이 운반시켜 주고져 하는 짐이 적을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고, 운반하고져 하는 짐이 많거나, 또는 적은 량이라도 서로 적층시켜 주게되면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짐의 무게에 의해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짐이 눌려 손상될 우려가 있을 경우, 그리고 운반시켜 주고져 하는 짐의 분량이 각기 다르고 임의의 형상을 갖고 있어 서로 적층시켜 주기가 어려울 때에는 지지대(11)의 전방측에 위치하여 세워져 있는 받침대(16)를 펼쳐주게 되면 걸림편(15)이 지지대(11)에 견고하게 걸려있는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받침대(16)가 수평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운반하고져 하는 짐을 각각의 받침대(13)(16)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지지대(11)를 후방측으로 기울인 상태에서 밀거나 끌어주게되면 바퀴(12)의 회전으로 인하여 선반카트를 이동시켜 주므로서 물건의 손상을 주지 않은 상태에서 편리하게 운반시켜 줄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선반카트를 사용하여 짐을 운반도중 게단을 오르거나 내려갈 경우 지지대(11)를 후방측으로 뉘어주어 상기 지지대(11)의 후방 하단측에 위치하고 있는 보조받침대(22)가 계단의 모서리측에 접하도록한 상태에서 선반카트를 잡아 당기거나 내려주게 되면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는 계단의 각 모서리에 보조받침대(22)가 접한 상태에서 이동되므로서 계단을 편리하게 오르거나 내려갈수 있게되는 것이고, 이로인해 게단을 오르거나 내려갈 때 발생되는 진동이 전혀 없어 진동으로 인한 충격이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힘을 분산시켜 줄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시장등에는 편안하게 앉아서 쉴만한 적당한 장소가 없는데, 이때 받침대(16)에 걸터 앉아 편안하게 쉴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선반카트를 이용하여 옷과 같은 상품을 진열시킨 상태에서 판매하고져 할 경우에는 지지대(11)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세워져 있는 받침대(19)를 후방측으로 펼친후 상기 받침대(19)에 형성된 걸이봉(20)에 진열시켜 주고져 하는 상품을 걸어놓고 상품을 판매할수 있는 것이고, 이때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받침대(13)의 전방측 하단 양측에 회전식보조바퀴(21)가 갖추어져 있어 선반카트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도 편안하게 4바퀴를 이용하여 이동시켜 줄수 있으므로 진열된 상품이 흐트러지거나 떨어지는 일이 없는 상태로 하여 이동시켜 줄수 있어 판매 및 소비자가 진열된 상품을 용이하게 확인할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지지대의 중간지점에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운반시켜 주고져 하는 물건을 올려 줄수 있도록 하는 받침대를 갖추어주므로 인해 많은 물건을 안전하게 적층시킨 상태에서 운반할수 있게됨과 아울러, 과일등과 같이 손상되기 쉬운 물건이 서로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운반시켜 줄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받침대에 사용자가 걸터 않아 쉴수 있도록 되어있어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편리하게 휴식을 취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핸드카트를 이용하여 시장내에서 이동하면서 옷 등과 같은 물건을 판매하고져 할 경우 판매되는 상품을 진열시켜 준 상태에서 핸드카트를 밀거나 끌고 다닐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양측으로 절곡된 지지대(11)의 하단 양측에 바퀴(12)가 구성되고, 전방측으로 일체로 하여 받침대(13)가 구성된 핸드카트에 있어서, 지지대(11)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힌지(14)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걸림편(15)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편의 전방측으로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받침대(16)가 다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접철식 선반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대(11)를 중심으로 받침대(16) 후방측으로 힌지(14)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걸림편(18)에 결합되어 판매하고자 하는 옷 등을 걸수 있도록 걸이봉(20)이 형성된 받침대(1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계 접철식 선반카트.
KR2019980017191U 1998-09-10 1998-09-10 다단계 접철식 선반카트 KR2002120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191U KR200212009Y1 (ko) 1998-09-10 1998-09-10 다단계 접철식 선반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191U KR200212009Y1 (ko) 1998-09-10 1998-09-10 다단계 접철식 선반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155U KR20000006155U (ko) 2000-04-15
KR200212009Y1 true KR200212009Y1 (ko) 2001-02-01

Family

ID=69520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191U KR200212009Y1 (ko) 1998-09-10 1998-09-10 다단계 접철식 선반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0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155U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3223B2 (en) Convertible stocking cart
US6641147B2 (en) Modified shopping cart with large item carrier
US3746358A (en) Hand cart for stacking goods in interlocking relationship
US5435582A (en) Shopping cart
US4487134A (en) Portable worktable
US5265893A (en) Grocery cart shelf
US4652003A (en) Carrying cart equipped with service rack and stepladder
US6454282B2 (en) Cart for folding tables
US6308842B1 (en) Retail display system for a desk chairmat with handles and hang tabs
US3527360A (en) Nestable multiple-use vehicle
US6981596B2 (en) Rug display system
KR102153108B1 (ko) 접이식 운반카트
JPH0725868U (ja) プレパック型陳列台
US6145794A (en) Support platform for mobile display stand
US4657295A (en) Collapsible grocery bag carrier
KR200212009Y1 (ko) 다단계 접철식 선반카트
FR2550074A1 (fr) Perfectionnements aux dispositifs pour le transport des marchandises acquises dans les magasins a libre-service
JP3680205B2 (ja) 店舗用台車
US5495960A (en) Multi-tier storage apparatus
US20120286485A1 (en) Cart for large area objects
US2865545A (en) Tray carrier
JP2951934B2 (ja) 陳列作業台車
WO2002036409A2 (en) Multi-purpose trolley
TWI716653B (zh) 後傾式折疊桌、椅收納車
TWM562797U (zh) 後傾式收納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