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552Y1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552Y1
KR200211552Y1 KR2020000025514U KR20000025514U KR200211552Y1 KR 200211552 Y1 KR200211552 Y1 KR 200211552Y1 KR 2020000025514 U KR2020000025514 U KR 2020000025514U KR 20000025514 U KR20000025514 U KR 20000025514U KR 200211552 Y1 KR200211552 Y1 KR 200211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mask
wearer
harmful substances
nonwoven fabr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원
이기환
Original Assignee
이상원
이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원, 이기환 filed Critical 이상원
Priority to KR2020000025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5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552Y1/ko

Links

Landscapes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정의 두께와 영역을 갖는 각각의 제1,제2부직포와 제3,제4부직포를 일치시킨 후 그 끝단을 봉제하여 형성된 보호대와; 상기 보호대의 양측 모서리를 서로 연결시켜 사용자의 착용을 가능케 하는 한 쌍의 착용부재와; 상기 보호대의 테두리를 마감천을 이용하여 마감처리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에 삽입 및 탈리가 용이하도록 보호대 내측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삽입되어 작업공간에 형성된 악취 및 방진을 포함하는 유해 물질이 착용자의 체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여과부재와, 상기 마감천을 이용한 보호대 상단의 마감처리시 보호대와 마감천에 개재 된 상태로 봉제되며, 착용자 안면의 형상에 따라 변형 및 고정을 가능케 하여 유해물질이 보호대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과, 상기 여과부재가 수납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철심을 포함한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함으로써, 농약살포, 축사청소 및 분진작업등을 포함하는 작업시 그 외부로 부터 흡입되는 유해물질을 차단하여 사용자를 보호한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고안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흡에 의한 악취, 분진 및 세균등의 확산과 흡입을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두께와 영역을 갖는 보호대에 삽입한 탄소포의 탈리방지 및 사용자 얼굴과의 기밀을 유지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마스크는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갖는 보호대와; 상기 보호대의 양측 모서리를 서로 연결시켜 사용자의 착용을 가능케 하는 한 쌍의 착용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보호대는 스폰지, 면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보온, 보습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마스크를 착용하고, 농약살포, 축사청소 및 분진작업등을 포함하는 작업시 그 외부로 부터 흡입되는 유해물질에 대해서 흡착성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해 오히려, 착용자의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와 영역을 갖는 보호대에 삽입과 교체를 위한 탈리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수납공간을 형성케 하여 그 공간 내부로 탄소포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보호대의 내측 상부에 철심을 삽입하여 착용시 사용자의 얼굴과 보호대 사이에 기밀유지 및 상기 탄소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하는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고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낸 전체사시도이고,
도2a는 본고안에 따른 보호대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2b는 본고안에 따른 제3,제4부직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은 본고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따른 부호의 설명-
마스크 : 100 보호대 : 10
제1부직포 : 11 제2부직포 : 12
제3부직포 : 13 제4부직포 : 14
개구 : 15 착용부재 : 20
마감천 : 30 패드 : 40
여과부재 : 50 탄소포 : 51
절개부 : 60 재봉부 : 70
봉제선 : 71 수납부 : 80
철심 : 90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본 고안은 소정의 두께와 영역을 갖는 각각의 제1,제2부직포와 제3,제4부직포를 일치시킨 후 그 끝단을 봉제하여 형성된 보호대와; 상기 보호대의 양측 모서리를 서로 연결시켜 사용자의 착용을 가능케 하는 한 쌍의 착용부재와; 상기 보호대의 테두리를 마감천을 이용하여 마감처리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에 삽입 및 탈리가 용이하도록 보호대 내측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삽입되어 작업공간에 형성된 악취 및 방진을 포함하는 유해 물질이 착용자의 체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여과부재와, 상기 마감천을 이용한 보호대 상단의 마감처리시 보호대와 마감천에 개재 된 상태로 봉제되며, 착용자 안면의 형상에 따라 변형 및 고정을 가능케 하여 유해물질이 보호대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과, 상기 여과부재가 수납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철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여과부재는 소정두께와 영역을 갖고 있으며, 그 내부에 활성화된 숯을 수용하는 탄소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마스크(100)는 소정의 두께와 영역을 갖는 보호대(1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보호대(10)는 소정의 두께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상,하부에 봉제을 위한 절개부(60)를 포함하는 제1,제2,제3,제4부직포(11,12,13,1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제2부직포(11,12)는 일측부가 봉제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3,제4부직포(13,14)는 일측부 양쪽에 제3,제4부직포(13,14)의 내측을 향해 일정길이로 각각 트임(16)이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제4부직포(13,14)에 형성된 트임(16)과 트임 사이(이하 개구(15)라 칭함)를 봉제한 것을 포함한다.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제4부직포(13,14)는 봉제선(7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반전시킨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제2부직포(11,12) 상면에 반전시킨 상기 제3,제4부직포(13,14)를 일치되도록 개재한 후 사방 끝단부를 봉제한다.
이때, 상기 제3,제4부직포(13,14)의 개구(15) 부분은 상기 제1,제2부직포(11,12)와 봉제하지 않는다.
또한, 제1,제2,제3,제4부직포(11,12,13,14)에 형성된 절개부(60) 끝단을 한쪽으로 말아 봉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한 과정을 거쳐서 보호대(10)의 형상이 완성되며, 상기 보호대(10) 내측 상부에 형성된 삽입 및 교체를 위한 탈리가 용이한 개구(15)를 갖는 수납부(8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납부(8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두께와 폭을 갖는 여과부재(5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여과부재(50)로는 탄소포(51)가 쓰이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탄소포(51)는 내부에 형성된 패드(40)에 활성화된 숯이 부착되어 있으며, 탄소포(51) 일측면의 일정구간에 걸쳐 패드(40)를 개제하고, 그 타구간으로 재제된 패드(40)의 상면을 덮어서 그 끝단을 봉제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보호대(10) 사방 끝단부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각각의 마감천(30)으로 감싸 봉제한다.
이때, 소정의 두께와 폭으로 가요성을 갖고 있으며, 상기 보호대(10) 상부를 마감천(30)으로 봉제하여 마감처리 한 재봉부(70)의 내부에 삽입되는 철심(90)을 포함한다.
또한, 상,하부의 봉제처리시, 그 양측 끝단부에 탄성을 갖는 착용부재(20)를 덧 붙이고 봉제처리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농약살포, 축사청소 및 분진작업등을 포함하는 작업시 마스크(100) 그 양측에 형성된 착용부재(20)를 이용하여 착용하며, 그 상태에서의 작업 도중 사용자가 흡입하게 되는 농약, 기체화된 것을 포함하는 분진 및 악취를 상기한 보호대(10)에 삽입된 탄소포(51)를 통한 흡착작용으로 정화시킨다.
이때, 상기 탄소포(51)는 보호대(10)에 형성된 수납부(80)에 삽입되며, 상기 보호대(10) 상부를 마감처리하는 마감천(30)과의 사이에 삽입 형성된 철심(90)은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변형과 고정이 가능하므로 착용자의 안면부에 상기 마스크(100)를 밀착시켜 상기 탄소포(51)의 이탈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마스크(100) 외부에서 착용자의 흡입기관으로 흡입되는 유해물질들은 반드시 여과부재(50)를 거쳐 착용자가 흡입하게 한다.
한편, 상기한 흡착작용은 상기 탄소포(51)에 수용된 활성화 과정을 거친 숯에 의해 이루어 진다.
상기한 바와같은, 숯은 재료 물질을 섭씨 600~900도의 온도에서 일차적으로 탄화시키는 과정에서 작은 구멍들이 생기게 되며, 숯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 작은 구멍들이 많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다시 섭씨 600~900의 온도에서 같은 공정을 한 번 더 거치게 하는데, 이 과정을 활성화라고 한다.
상기한, 숯 1g을 아주 곱게 부수면 모든 입자의 총 표면적 약 1,200㎡되며, 이 넓이는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땅을 재는 단위인 평으로 환산하면 1g의 숯은 약 400평 즉, 땅 두마지기나 되는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넓은 표면적이 모든 종류의 물질과 결합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며, 숯이 가지고 있는 이 작은 구멍은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다.
따라서, 숯이 활성화될 때 형성되는 내표면(internal surface)의 화학적 특성은 미세공을 액체상태로 채울 수 있는 어떤 분자기 있으면 끌어당긴다는 것이다. 이것이 곧 숯이 가지는 흡착력이다.
따라서, 상기 탄소포(15)에 수용된 숯이 착용자의 호흡에 의해 흡착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패드(40)는 사용 중 습기나 성능이 저하됨을 착용자가 감지하면 햇볕에 건조하며, 상기 마스크(100)는 깨끗한 물에 씻어 건조시켜 재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마스크(100)는 대기중의 분진이나 차량의 배기가스등 대기오염이 갈수록 높아감에 따라, 실 생활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호흡기 질환자나, 이에 민감한 사람들의 외출시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수납부(80)에 활성화된 탄소포(51)를 포함하는 여과부재(50)를 삽입하고, 상기 재봉부(70)의 내부에 변형과 고정이 가능한 철심(90)을 삽입함으로써, 착용자의 안면부에 상기 마스크(100)를 밀착시켜 상기 여과부재(50)의 이탈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마스크(100)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 유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반드시 여과부재(50)에서 여과되도록 한후 여과된 공기를 착용자가 흡입하게 함으로써, 건강에 유해한 물질들로 부터 착용자를 보호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소정의 두께와 영역을 갖는 각각의 제1,제2부직포와 제3,제4부직포를 일치시킨 후 그 끝단을 봉제하여 형성된 보호대(10)와; 상기 보호대(10)의 양측 모서리를 서로 연결시켜 사용자의 착용을 가능케 하는 한 쌍의 착용부재(20)와; 상기 보호대(10)의 테두리를 마감천(30)을 이용하여 마감처리한 마스크(100)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10)에 삽입 및 탈리가 용이하도록 보호대(10) 내측 상부에 형성된 개구(15)를 갖는 수납부(80)와,
    상기 수납부(80)에 삽입되어 작업공간에 형성된 악취 및 방진을 포함하는 유해 물질이 착용자의 체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여과부재(50)와,
    상기 마감천(30)을 이용한 보호대(10) 상단의 마감처리시 보호대(10)와 마감천(30)에 개재된 상태로 봉제되며, 착용자 안면의 형상에 따라 변형 및 고정을 가능케 하여 유해물질이 보호대(1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과, 상기 여과부재(50)가 수납부(8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철심(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50)는 소정두께와 영역을 갖고 있으며, 그 내부에 활성화된 숯을 수용하는 탄소포(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2020000025514U 2000-09-07 2000-09-07 마스크 KR200211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514U KR200211552Y1 (ko) 2000-09-07 2000-09-07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514U KR200211552Y1 (ko) 2000-09-07 2000-09-07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552Y1 true KR200211552Y1 (ko) 2001-01-15

Family

ID=7305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514U KR200211552Y1 (ko) 2000-09-07 2000-09-07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5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2998A1 (en) * 2006-09-15 2008-03-20 Bong Kwan Jo Mugwort aroma mask
KR20150041088A (ko) * 2012-08-10 2015-04-1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리필 안면부 여과식 호흡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2998A1 (en) * 2006-09-15 2008-03-20 Bong Kwan Jo Mugwort aroma mask
KR20150041088A (ko) * 2012-08-10 2015-04-1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리필 안면부 여과식 호흡기
KR102083557B1 (ko) 2012-08-10 2020-03-0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리필 안면부 여과식 호흡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448B1 (ko) 코 마스크
KR101821595B1 (ko) 공기 정화 기능을 구비하는 마스크
KR101739568B1 (ko) 코마스크에 배기밸브를 구비한 미세먼지 제거 호흡기
KR20020086504A (ko) 헤드밴드 장착부를 갖는 여과 안면 마스크
CA2337434A1 (en) Face mask that has a filtered exhalation valve
KR20070042720A (ko) 방진마스크
KR20070012866A (ko) 기능성 마스크의 구성방법
WO2005107878A1 (en) Functional mask
KR200211552Y1 (ko) 마스크
CN212325496U (zh) 口罩
KR102326211B1 (ko) 기능성 마스크
KR200352519Y1 (ko) 마스크용 필터 구조
KR200187062Y1 (ko) 흡습/방진/방취 기능이 구비된 마스크
KR200304097Y1 (ko) 공기청정 마스크
KR20200138981A (ko) 필터 교체형 마스크
KR200329005Y1 (ko) 활성탄을 이용한 결합식 방진 마스크
KR101476916B1 (ko) 코 마스크
KR100374386B1 (ko) 1회용방진마스크
KR200179958Y1 (ko) 안면 마스크
KR200187059Y1 (ko) 방진마스크용 방진필터
KR200358199Y1 (ko) 기능성 마스크
CN214547377U (zh) 一种旋转式的口罩
KR200195337Y1 (ko) 사각형 방진 마스크
KR200334765Y1 (ko) 여과기를 가지는 방독면
KR20110102269A (ko)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