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211B1 - 기능성 마스크 - Google Patents

기능성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211B1
KR102326211B1 KR1020200001067A KR20200001067A KR102326211B1 KR 102326211 B1 KR102326211 B1 KR 102326211B1 KR 1020200001067 A KR1020200001067 A KR 1020200001067A KR 20200001067 A KR20200001067 A KR 20200001067A KR 102326211 B1 KR102326211 B1 KR 102326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casing
perforated
functional
dehumid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7847A (ko
Inventor
오병희
Original Assignee
오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희 filed Critical 오병희
Priority to KR1020200001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211B1/ko
Publication of KR20210087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3Means for influenc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reathing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9/00Cartridges with absorbing substances for respiratory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코와 입을 포함한 얼굴부위를 커버하는 마스크부가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부 일측편에 부착되어 제습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마스크부 내측면으로 통기공이 천공된 제습용 케이싱과, 마스크부 타측편에 부착되어 탈취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마스크부 내측면으로 통기공이 천공된 탈취용 케이싱이 구비된다.
상기의 제습용 케이싱과 탈취용 케이싱은 마스크부에 천공된 장착공으로 인입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인입부와 인입부 후단에 인입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된 케이싱 소켓과, 마스크부를 사이에 두고 인입부 선단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통기공이 천공된 캡부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통기공은 복수개 천공되고 통기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제습기능이나 탈취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기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의 마스크부는 내측면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접어 여닫을 수 있도록 테두리를 따라 잠금부재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제습제를 수용하기 위한 제습용 케이싱과 탈취제를 수용하기 위한 탈취용 케이싱이 마스크에 부착되어 입김에 의해 젖거나 입냄새가 배이더라도 제습기능과 탈취기능으로 쾌적하고 청결한 상태에서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다. 또 통기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제습기능과 탈취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제습제와 탈취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제습제와 탈취제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 저하시에는 이들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마스크를 세탁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크를 여닫을 수 있도록 잠금부재가 마련되어 제습이나 탈취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외부와 밀폐함으로써 제습 및 탈취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휴대시 마스크의 내측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마스크{FUNCTIONAL MASK}
본 발명은 기능성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습기능과 탈취기능으로 쾌적하고 청결한 상태에서 착용할 수 있는 기능성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코와 입을 가려 병균이나 먼지의 흡입을 막고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나오는 비말(飛沫)의 비산을 막기 위하여 착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미세먼지로 인한 기침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고자 미세먼지의 차단기능이 대폭 향상된 마스크가 다수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미세먼지의 차단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얼굴 안면과 마스크의 밀착력을 높여야 하는데, 이 경우 호흡이 어렵고 입김에 의해 마스크 내면이 젖는 등 착용감이 떨어지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1821호(2012. 9. 17. 공개)는 항균, 방진, 방한 겸용의 김서림이 방지되는 복합 기능 위생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는 안면의 코와 입을 덮는 안면커버와 귀나 머리에 걸어 고정하는 귀걸이로 구성되어 외부의 먼지, 황사 등의 이물질과 바이러스가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가운 외기를 차단하여 보온을 하기 위한 복합 기능 위생 마스크에 있어서, 안면 커버는 펄프 지료로서 점성이 높고 결속성이 좋은 닥펄프에 레이온, 신선도 유지 및 항균효과, 탈취효과, 습기제거효과가 탁월한 원적외선 방사물질로서 황토와 옥분, 흑운모의 천연광물질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초지하여 피막이 매끄럽고 단단하게 형성되어 형태적으로 안정된 미세한 기공조직의 다공성과 선택적으로 습기를 차단하는 내수성, 공기나 가스를 통과시키는 통기성, 뜨겁거나 차가운 공기를 차단하는 단열성, 원적외선 방사 온열효과, 항균성, 탈취성, 건조성, 쿠션성과 인장력이 한데 어우러져 숨쉬는 기능성 시트를 외피와 내피 2겹으로 적층하여 안정된 강도의 형태성과 쿠션성, 다중 필터링 기능, 틈새 없는 밀착의 보온성과 민감한 피부에도 부작용 없는 착용감, 자외선(UV) 차단성, 호흡에 부담 없게끔 공기는 투과하되 물은 투과하지 않는 미세한 다공질의 기공(숨구멍)으로 안과 밖의 공기 순환 통기성, 땀과 수분을 잘 흡수하고 발산하여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사계절 항온항습효과, 입김이나 콧김이 상향되지 않고 마스크 안쪽에서 분산되는 김서림 방지 기능, 땀이나 입김 등으로 인해 젖었을 경우에도 금방 건조되는 속건성, 기능성 시트의 표리 양면에서 분진이나 황사, 바이러스 등을 차단 및 포집하는 다공성 섬유질 구조에 더하여 함침된 기능성 물질로 세균이 서식하지 못하게 하여 세균의 감염을 예방하는 항균, 탈취효과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복합 상승 효과를 구현하게끔 형성하고, 복수 개 기능성 시트가 포개져서 형성된 상기 안면커버에는 귀에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귀걸이를 구비하여 형성되는 복합 기능 위생 마스크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종래의 복합 기능 위생 마스크는 안면커버를 구성하는 기능성 시트에 의해 속건성, 향균, 탈취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마스크가 오염되어 세탁할 경우에는 속건성, 향균, 탈취 등의 기능 저하로 재사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복합 기능 위생 마스크는 안면커버를 구성하는 기능성 시트의 속성에 따라 속건성, 향균, 탈취 등의 기능이 모두 발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입김에 의해 마스크의 내면이 젖은 상태에서 주머니에 넣고 다니거나 그대로 방치할 경우에는 마스크의 내면이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마스크 내측면이 입김에 의해 젖거나 입냄새가 배일 경우 제습기능과 탈취기능으로 쾌적하고 청결한 상태에서 착용할 수 있는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제습기능과 탈취기능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제습기능과 탈취기능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습기능을 수행하는 제습제와 탈취기능을 수행하는 탈취제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 저하시에는 이들을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마스크를 여닫을 수 있도록 하여 제습이나 탈취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밀폐함으로써 제습이나 탈취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마스크의 내측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코와 입을 포함한 얼굴부위를 커버하는 마스크부와, 마스크부에 부착되어 제습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마스크부 내측면으로 통기공이 천공된 제습용 케이싱이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에 있어서, 제습용 케이싱은 마스크부에 천공된 장착공으로 인입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인입부와 인입부 후단에 인입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된 케이싱 소켓과, 마스크부를 사이에 두고 인입부 선단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통기공이 천공된 캡부로 이루어지며, 마스크부는 내측면이 안쪽에 위치하게 접어 제습용 케이싱에 의해 내부공간이 제습되도록 밀폐하기 위해 테두리를 따라 잠금부재가 구비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코와 입을 포함한 얼굴부위를 커버하는 마스크부와, 마스크부에 부착되어 탈취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마스크부 내측면으로 통기공이 천공된 탈취용 케이싱이가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에 있어서, 탈취용 케이싱은 마스크부에 천공된 장착공으로 인입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인입부와 인입부 후단에 인입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된 케이싱 소켓으로 이루어지고, 마스크부를 사이에 두고 인입부 선단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통기공이 천공된 캡부로 이루어지며, 마스크부는 내측면이 안쪽에 위치하게 접어 탈취용 케이싱에 의해 내부공간이 탈취되도록 밀폐하기 위해 테두리를 따라 잠금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코와 입을 포함한 얼굴부위를 커버하는 마스크부와, 마스크부 일측편에 부착되어 제습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마스크부 내측면으로 통기공이 천공된 제습용 케이싱과, 마스크부 타측편에 부착되어 탈취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마스크부 내측면으로 통기공이 천공된 탈취용 케이싱이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에 있어서, 제습용 케이싱은 마스크부에 천공된 장착공으로 인입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인입부와 인입부 후단에 인입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된 케이싱 소켓과, 마스크부를 사이에 두고 인입부 선단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통기공이 천공된 캡부로 이루어지며, 탈취용 케이싱은 마스크부에 천공된 장착공으로 인입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인입부와 인입부 후단에 인입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된 케이싱 소켓으로 이루어지고, 마스크부를 사이에 두고 인입부 선단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통기공이 천공된 캡부로 이루어지며, 마스크부는 내측면이 안쪽에 위치하게 접어 제습용 케이싱에 의해 내부공간이 제습되고, 탈취용 케이싱에 의해 내부공간이 탈취되도록 밀폐하기 위해 테두리를 따라 잠금부재가 구비된다.
상기의 제습용 케이싱은 마스크부에 천공된 장착공으로 인입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인입부와 인입부 후단에 인입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된 케이싱 소켓과, 마스크부를 사이에 두고 인입부 선단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통기공이 천공된 캡부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통기공은 복수개 천공되고 통기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제습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기가 구비된다.
상기의 탈취용 케이싱은 마스크부에 천공된 장착공으로 인입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인입부와 인입부 후단에 인입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된 케이싱 소켓과, 마스크부를 사이에 두고 인입부 선단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통기공이 천공된 캡부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통기공은 복수개 천공되고 통기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탈취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기가 구비된다.
상기의 마스크부는 내측면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접어 여닫을 수 있도록 테두리를 따라 잠금부재가 구비된다.
상기의 잠금부재는 지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잠금부재는 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잠금부재는 스냅 단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잠금부재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잠금부재는 일측 테두리를 따라 돌기부가 형성되고, 타측 테두리를 따라 돌기부에 대응하여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코와 입을 포함한 얼굴부위를 커버하는 마스크부가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부는 내측면이 안쪽에 위치하게 접고 제습제나 탈취제를 넣어 내부공간이 제습이나 탈취되도록 밀폐하기 위해 테두리를 따라 잠금부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습제를 수용하기 위한 제습용 케이싱과 탈취제를 수용하기 위한 탈취용 케이싱이 마스크에 부착되어 입김에 의해 젖거나 입냄새가 배이더라도 제습기능과 탈취기능으로 쾌적하고 청결한 상태에서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통기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제습기능과 탈취기능을 제어함으로써 제습제와 탈취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습제와 탈취제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 저하시에는 이들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마스크를 세탁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를 여닫을 수 있도록 잠금부재가 마련되어 제습이나 탈취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외부와 밀폐함으로써 제습 및 탈취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휴대시 마스크의 내측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를 보인 기능성 마스크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를 보인 기능성 마스크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를 보인 기능성 마스크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의 제습용 케이싱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의 탈취용 케이싱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제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를 보인 기능성 마스크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마스크의 잠금부재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를 보인 기능성 마스크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환형 마스크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는 코와 입을 포함한 얼굴부위를 커버하는 마스크부(10)가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부(10)에 부착되어 제습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21)이 마련되고, 마스크부(10) 내측면으로 통기공(22)이 천공된 제습용 케이싱(20)이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마스크부(10)는 코와 입을 가려 병균이나 먼지의 흡입을 막고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나오는 비말(飛沫)의 비산을 막기 위한 부분으로, 양측에 귀에 걸기 위한 끈(11)이나 밴드가 마련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마스크부(10)는 코와 입을 포함한 얼굴부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입체 형상으로 성형되는데, 착용시 테두리 부분이 안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 부직포, 실리콘, 우레탄, (인조)가죽 등 부드러운 재질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병균이나 황사, (미세)먼지 등의 입자성 유해물질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한 필터 기능이 구비되고, 착용 목적이나 오염여부에 따라 KF80, KF94, KF99 등급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습용 케이싱(20)은 마스크 착용시 호흡으로 인하여 마스크부(10) 내측면에 생성된 입김 등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마스크부(10)에 부착되어 제습제(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21)이 마련되고, 마스크부(10) 내측면(얼굴 쪽)으로 통기공(22)이 천공된다.
따라서 마스크 착용시 마스크부(10)와 얼굴 안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공기가 통기공(22)을 통해 제습용 케이싱(20) 내로 유입되고, 제습제(1)에 의해 제습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습제(1)는 실리카겔 등이 부직포에 포장된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마스크 착용으로 호흡시 발생한 입김 등 수분이 제습제(1)에 의해 제습이 이루어져 쾌적하고 청결한 상태에서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는 코와 입을 포함한 얼굴부위를 커버하는 마스크부(10)가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부(10)에 부착되어 탈취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31)이 마련되고, 마스크부(10) 내측면으로 통기공(32)이 천공된 탈취용 케이싱(30)이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마스크부(10)는 코와 입을 가려 병균이나 먼지의 흡입을 막고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나오는 비말(飛沫)의 비산을 막기 위한 부분으로, 양측에 귀에 걸기 위한 끈(11)이나 밴드가 마련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마스크부(10)는 코와 입을 포함한 얼굴부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입체 형상으로 성형되는데, 착용시 테두리 부분이 안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 부직포, 실리콘, 우레탄, (인조)가죽 등 부드러운 재질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병균이나 황사, (미세)먼지 등의 입자성 유해물질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한 필터 기능이 구비되고, 착용 목적이나 오염여부에 따라 KF80, KF94, KF99 등급으로 제조될 수 있다.
탈취용 케이싱(30)은 마스크 착용시 호흡으로 인한 입냄새 등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마스크부(10)에 부착되어 탈취제(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31)이 마련되고, 마스크부(10) 내측면(얼굴 쪽)으로 통기공(32)이 천공된다.
따라서 마스크 착용시 마스크부(10)와 얼굴 안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공기가 통기공(32)을 통해 탈취용 케이싱(30) 내로 유입되고, 탈취제(2)에 의해 탈취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탈취제(2)는 냄새 성분을 화학적으로 변화시키거나 흡착·흡수 등에 의하여 후각적으로 냄새를 느끼지 못하도록 하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천연물질인 경우에는 숯 등이 부직포에 포장된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입냄새 등이 탈취제(2)에 의해 탈취되어 쾌적하고 청결한 상태에서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는 코와 입을 포함한 얼굴부위를 커버하는 마스크부가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부(10) 일측편에 부착되어 제습제(1)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21)이 마련되고, 마스크부(10) 내측면으로 통기공(22)이 천공된 제습용 케이싱(20)과, 마스크부(10) 타측편에 부착되어 탈취제(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마스크부(10) 내측면으로 통기공(32)이 천공된 탈취용 케이싱(30)이 구비된다.
상기의 제 3 실시예는 전술한 제 1 및 제 2의 구성이 결합된 것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따라서 마스크부(10)에 제습용 케이싱(20)과 탈취용 케이싱(30)이 각각 부착되어 제습기능과 탈취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작용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의 제습용 케이싱(20)은 마스크부(10)에 천공된 장착공(12)으로 인입되고 내측에 수용공간(21)이 마련된 인입부(23)와 인입부(23) 후단에 인입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24)가 형성된 케이싱 소켓(20A)과, 마스크부(10)를 사이에 두고 인입부(23) 선단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통기공(22)이 천공된 캡부(20B)로 이루어진다.
또한 통기공(22)은 복수개 천공되고 통기공(2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제습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기(25)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장착공(12)을 통해 케이싱 소켓(20A)의 인입부(23)가 마스크부(10) 내측으로 인입되고 캡부(20B)가 인입부(23)에 체결됨으로써 제습용 케이싱(20)은 마스크부(10)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즉, 케이싱 소켓(20B)의 스토퍼(24)가 장착공(12)보다 크게 제작되어 인입이 제한되고, 캡부(20B) 역시 그 외경이 장착공(12)보다 크게 제작되어 캡부(20B)가 케이싱 소켓(20B)의 인입부(23) 선단에 체결시 상호 마스크부(10)를 압착함으로써 제습용 케이싱(20)이 마스크부(10)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여기서, 케이싱 소켓(20A)의 인입부(23) 선단 외주면상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캡부(20B)의 내측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케이싱 소켓(20A)의 인입부(23)가 캡부(20B) 내측으로 압입되어 상호 억지끼움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습기능 저하시에는 캡부(20B)를 탈거하여 제습제(1)를 교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기공(22)이 복수개 천공되고 통기공(2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기(25)가 마련되는데, 개폐되는 통기공(22)에 따라 제습용 케이싱(20)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어 제습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캡부(20B)에는 방사상으로 통기공(22)이 천공되고, 통기공(22)을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개폐기(25)가 마련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개폐기(25)를 회전시켜 통기공(22)을 모두 막거나 일부 개방할 수 있고, 모두 개방함으로써 제습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의 탈취용 케이싱(30)은 마스크부(10)에 천공된 장착공(13)으로 인입되고 내측에 수용공간(31)이 마련된 인입부(33)와 인입부(33) 후단에 인입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34)가 형성된 케이싱 소켓(30A)과, 마스크부(10)를 사이에 두고 인입부(33) 선단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통기공(32)이 천공된 캡부(30B)로 이루어진다.
또한 통기공(32)은 복수개 천공되고 통기공(3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탈취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기(35)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장착공(13)을 통해 케이싱 소켓(30)의 인입부(33)가 마스크부(10) 내측으로 인입되고 캡부(30B)가 인입부(33)에 체결됨으로써 탈취용 케이싱(30)은 마스크부(10)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즉, 케이싱 소켓(30A)의 스토퍼(34)가 장착공(13)보다 크게 제작되어 인입이 제한되고, 캡부(30B) 역시 그 외경이 장착공(13)보다 크게 제작되어 캡부(30B)가 케이싱 소켓(30A)의 인입부(33) 선단에 체결시 상호 마스크부(10)를 압착함으로써 탈취용 케이싱(30)이 마스크부(10)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여기서, 케이싱 소켓(30A)의 인입부(33) 선단 외주면상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캡부(30B)의 내측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케이싱 소켓(30A)의 인입부(33)가 캡부(30B) 내측으로 압입되어 상호 억지끼움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취기능 저하시에는 캡부(30B)를 탈거하여 탈취제(2)를 교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기공(32)이 복수개 천공되고 통기공(3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기(35)가 마련되는데, 개폐되는 통기공(32)에 따라 탈취용 케이싱(30) 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어 탈취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캡부(30B)에는 방사상으로 통기공(32)이 천공되고, 통기공(32)을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개폐기(35)가 마련된다.
따라서 착용자는 개폐기(35)를 회전시켜 통기공(32)을 모두 막거나 일부 개방할 수 있고, 모두 개방함으로써 탈취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로, 전술한 도면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의 마스크부(10)는 내측면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접어 여닫을 수 있도록 테두리를 따라 잠금부재(40)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은 마스크부(10)의 내측면을 외부와 격리하기 위한 구성으로, 잠금부재(40)가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어 내측면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마스크부(10)를 접은 상태에서 여닫을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마스크부의 내측면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마스크부(10)를 접고 잠금부재(40)로 닫을 경우 마스크부(10)의 내측면이 외부와 격리되어 밀폐된 내부공간이 제습용 케이싱(20)에 의해 제습이 이루어지고, 탈취용 케이싱(30)에 의해 탈취가 이루어져 신속한 제습 및 탈취가 가능하게 된다.
즉, 착용자가 마스크를 벗은 상태에서 개폐기(25, 35)를 조작하여 통기공(22, 32)을 개방함에 따라 제습기능과 탈취기능이 활성화되고, 마스크부(10)를 접어(화살표 참조) 잠금부재(40)로 닫게 되면 마스크부(10)의 내측면이 외부와 격리되어 밀폐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잠금부재(40)는 지퍼(40a)로 구현된다.
예컨대, 일측 테두리와 타측 테두리를 따라 이가 형성되어 지퍼 슬라이드에 의해 이가 맞물려 마스크부(10)를 여닫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잠금부재(40)는 벨크로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일측 테두리와 타측 테두리를 따라 암수의 벨크로가 각각 마련되어 이들의 결합에 의해 마스크부(10)를 여닫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잠금부재(40)는 스냅 단추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일측 테두리와 타측 테두리에 소정 간격으로 암수 스냅 단추를 부착하고 이들의 결합에 의해 마스크부(10)를 여닫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잠금부재(40)는 자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일측 테두리와 타측 테두리에 자석을 띠 형태로 부착하고, 바람직하게는 띠 형태의 고무자석을 부착하고 이들의 자성에 의해 마스크부(10)를 여닫을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잠금부재(40)는 일측 테두리를 따라 돌기부가 형성되고, 타측 테두리를 따라 돌기부에 대응하여 체결홈이 형성된다.
즉, 마스크부(10)를 접어 돌기부가 체결홈에 맞닿은 상태에서 압박하면 이들의 억지끼움에 의해 마스크부를 여닫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지퍼팩의 구성으로부터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 예는 코와 입을 포함한 얼굴부위를 커버하는 마스크부(10)가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부(10)는 내측면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접어 여닫을 수 있도록 잠금부재(40)가 구비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마스크부(10)의 내측면이 안쪽에 위치하도록 마스크부(10)를 접고 잠금부재(40)로 닫을 경우 마스크부(10)의 내측면이 외부와 격리되어 밀폐되는데, 이때 내부공간에 제습제(1)나 탈취제(2)를 넣어둘 경우에는 제습이 이루어지고, 탈취가 이루어져 신속한 제습 및 탈취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마스크를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더라도 마스크부(10)가 닫힌 상태에서는 내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잠금부재(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퍼, 벨크로, 스냅 단추, 자석, 돌기부 및 체결홈 등으로 양호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제습제
2 : 탈취제
10: 마스크부
12, 13: 장착공
20: 제습용 케이싱
20A: 케이싱 소켓
20B: 캡부
21: 수용공간
22: 통기공
23: 인입부
24: 스토퍼
25: 개폐기
30: 탈취용 케이싱
30A: 케이싱 소켓
30B: 캡부
31: 수용공간
32: 통기공
33: 인입부
34: 스토퍼
35: 개폐기
40: 잠금부재
40a: 지퍼

Claims (14)

  1. 코와 입을 포함한 얼굴부위를 커버하는 마스크부와, 상기 마스크부에 부착되어 제습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마스크부 내측면으로 통기공이 천공된 제습용 케이싱이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제습용 케이싱은 상기 마스크부에 천공된 장착공으로 인입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 후단에 인입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된 케이싱 소켓과, 상기 마스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입부 선단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통기공이 천공된 캡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스크부는 내측면이 안쪽에 위치하게 접어 상기 제습용 케이싱에 의해 내부공간이 제습되도록 밀폐하기 위해 테두리를 따라 잠금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2. 코와 입을 포함한 얼굴부위를 커버하는 마스크부와, 상기 마스크부에 부착되어 탈취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마스크부 내측면으로 통기공이 천공된 탈취용 케이싱이가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탈취용 케이싱은 상기 마스크부에 천공된 장착공으로 인입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 후단에 인입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된 케이싱 소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스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입부 선단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통기공이 천공된 캡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스크부는 내측면이 안쪽에 위치하게 접어 상기 탈취용 케이싱에 의해 내부공간이 탈취되도록 밀폐하기 위해 테두리를 따라 잠금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3. 코와 입을 포함한 얼굴부위를 커버하는 마스크부와, 상기 마스크부 일측편에 부착되어 제습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마스크부 내측면으로 통기공이 천공된 제습용 케이싱과, 상기 마스크부 타측편에 부착되어 탈취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마스크부 내측면으로 통기공이 천공된 탈취용 케이싱이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제습용 케이싱은 상기 마스크부에 천공된 장착공으로 인입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 후단에 인입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된 케이싱 소켓과, 상기 마스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입부 선단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통기공이 천공된 캡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탈취용 케이싱은 상기 마스크부에 천공된 장착공으로 인입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인입부와 상기 인입부 후단에 인입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된 케이싱 소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마스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인입부 선단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통기공이 천공된 캡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스크부는 내측면이 안쪽에 위치하게 접어 상기 제습용 케이싱에 의해 내부공간이 제습되고, 상기 탈취용 케이싱에 의해 내부공간이 탈취되도록 밀폐하기 위해 테두리를 따라 잠금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4. 삭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은 복수개 천공되고 상기 통기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제습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지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11. 삭제
  12.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13.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일측 테두리를 따라 돌기부가 형성되고, 타측 테두리를 따라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여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14. 코와 입을 포함한 얼굴부위를 커버하는 마스크부가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부는 내측면이 안쪽에 위치하게 접고 제습제나 탈취제를 넣어 내부공간이 제습이나 탈취되도록 밀폐하기 위해 테두리를 따라 잠금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마스크.
KR1020200001067A 2020-01-03 2020-01-03 기능성 마스크 KR102326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067A KR102326211B1 (ko) 2020-01-03 2020-01-03 기능성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067A KR102326211B1 (ko) 2020-01-03 2020-01-03 기능성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847A KR20210087847A (ko) 2021-07-13
KR102326211B1 true KR102326211B1 (ko) 2021-11-12

Family

ID=76858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067A KR102326211B1 (ko) 2020-01-03 2020-01-03 기능성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2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040A (ko) 2021-11-17 2023-05-24 정근식 기능성 코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41424A1 (en) * 2022-01-28 2023-08-03 Moldex-Metric, Inc. Dual mode respir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249Y1 (ko) * 2006-06-30 2006-09-12 김영수 휴대용 건강 마스크
WO2017063140A1 (en) * 2015-10-13 2017-04-2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ehumidifier for dust mask
KR101968591B1 (ko) * 2017-10-26 2019-04-15 최정일 고성능 공기정화 마스크
KR102028044B1 (ko) * 2018-06-01 2019-10-02 김필립 호흡용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527A (ko) * 2018-05-23 2019-12-0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호흡밸브가 구비된 오존 마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249Y1 (ko) * 2006-06-30 2006-09-12 김영수 휴대용 건강 마스크
WO2017063140A1 (en) * 2015-10-13 2017-04-2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ehumidifier for dust mask
KR101968591B1 (ko) * 2017-10-26 2019-04-15 최정일 고성능 공기정화 마스크
KR102028044B1 (ko) * 2018-06-01 2019-10-02 김필립 호흡용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040A (ko) 2021-11-17 2023-05-24 정근식 기능성 코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847A (ko) 202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6211B1 (ko) 기능성 마스크
KR20190032897A (ko) 친환경 전통한지 마스크
KR20070042720A (ko) 방진마스크
KR20080083751A (ko) 방진마스크
KR101840108B1 (ko)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KR101224786B1 (ko) 피톤치드가 발산되는 항균 마스크
KR20070117880A (ko) 마스크
JP2009247735A (ja) 防塵マスク
CN210384625U (zh) 呼吸过滤器及防护口罩
KR20170085188A (ko) [마스크팩 기능을 가지는 마스크]
CN101558912A (zh) 防尘口罩
KR200482747Y1 (ko) 다중 필터링 마스크
TWM468328U (zh) 複合式多功能口鼻罩
KR200304097Y1 (ko) 공기청정 마스크
JP3150869U (ja) マスク用衛生フィルタ
KR101964732B1 (ko) 방진마스크
KR200426249Y1 (ko) 휴대용 건강 마스크
US20080006268A1 (en) Helmet Having A Filter
KR20070025501A (ko) 소취 및 항균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20090005015U (ko) 살균 기능을 갖는 마스크
KR200179958Y1 (ko) 안면 마스크
KR20040062697A (ko) 마스크
KR20160109208A (ko) 김서림 방지 마스크
CN213074540U (zh) 一种高效过滤的抗菌防护口罩
KR102130647B1 (ko) 다목적 응급 두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