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510Y1 - Multi-complex end-mill tool - Google Patents

Multi-complex end-mill to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510Y1
KR200211510Y1 KR2020000023765U KR20000023765U KR200211510Y1 KR 200211510 Y1 KR200211510 Y1 KR 200211510Y1 KR 2020000023765 U KR2020000023765 U KR 2020000023765U KR 20000023765 U KR20000023765 U KR 20000023765U KR 200211510 Y1 KR200211510 Y1 KR 200211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ghing
finishing
chamfer
cutting edge
d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76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호연
Original Assignee
강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호연 filed Critical 강호연
Priority to KR2020000023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51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510Y1/en

Links

Landscapes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재료를 뚫어 지게 하는 용도로 사용되어 지는 다기능 복합 엔드밀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공작기계의 홀더부에 합체되는 생크부(10)와;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composite end mill tool used for the purpose of drilling a material by a rotation force provided from the outside, the shank portion 10 is incorporated into the holder portion of the machine tool;

생크부(10)의 끝단에 형성되는 홈가공드릴(1)과;Grooving drill (1) formed at the end of the shank portion 10;

상기 홈가공드릴(1)의 절삭날(20)이 분리인선(21) 내측으로 날끝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성형되는 내측모떼기부(30)와;An inner chamfer portion 30 in which the cutting edge 20 of the groove drilling drill 1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blade tip center into the separating edge line 21;

상기 내측모떼기부(30)에 이어지게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피가공물의 캠곡선을 따라 거칠게 절삭토록 하는 황삭부(50)와;A roughing portion 50 which i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chamfer portion 30 so as to roughly cut along the cam curve of the workpiece;

상기 황삭부(50)보다 큰 소정의 직경으로 절삭날(20)이 연장되어 이 황삭부(50)에 의해 절삭된 측면을 다듬질하는 정삭부(60)와;A finishing part 60 which extends the cutting edge 20 to a predetermined diameter larger than the roughing part 50 to trim the side cut by the roughing part 50;

상기 정삭부(60)의 상단 외측으로 경사지게 절삭날(20)이 연장되어 정삭부(60)에 의한 정삭 가공과 동시 외측면과의 모서리에 모떼기가 성형토록 하는 외측모떼기부(40)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경통의 주위에 나선과 같은 형상으로 파여지는 캠홈(72)의 경우 1차 황삭가공에 필요한 황삭부(50)와 아울러 내측모떼기부(30)가 동시 가공되고, 다시 이어서 그 곡선을 따라 공작기계가 이동되며 물림 깊이를 깊게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정삭부(60)와 동시 외측모떼기부(40)에 의해 캠홈(72)의 내,외측 모떼기가 동시 성형될 수 있다.Cutting edge 20 is inclin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end of the finishing portion 60 is formed by the outer chamfer 40 to allow the chamfer to be formed in the corner with the outer surface at the same time as the finishing processing by the finishing portion 60. 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cam groove 72 which is dug around the barrel in the shape of a spiral, the roughing portion 50 necessary for the first roughing process and the inner chamfering portion 30 are simultaneously processed, and then the curve is subsequently drawn. As a result, the machine tool is moved and the inner and outer chamfers of the cam groove 72 can be simultaneously formed by the finishing unit 60 and the simultaneous outer chamfer 40 by deeply adjusting the bite depth.

따라서, 여러 툴의 교체에 따른 오차발생을 줄이고 작업 공정수를 줄여 제품의 정밀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켜 경제적으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Therefore, it is an economically very useful design 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errors due to the replacement of various tools and reducing the number of working processes to increase the precision and efficiency of the product.

Description

다기능 복합 엔드밀 공구{MULTI-COMPLEX END-MILL TOOL}Multifunctional compound end mill tool {MULTI-COMPLEX END-MILL TOOL}

본 고안은 다기능 복합 엔드밀 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카메라나 망원경의 렌즈 경통과 같이 고정밀성을 요하는 부품가공시 소정의 곡선라인을 따라 황삭과 정삭홀은 물론, 이 홀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발생되는 칩의 돌출부 다듬질등을 하나의 공구로 정밀하게 부품 가공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composite end mill tool, and more particularly, to roughing and finishing holes along a predetermined curved line when machining parts requiring high precision, such as a lens barrel of a camera or a telescope, It is designed to precisely machine parts with a single tool to trim the protrusions of chips generated on the outer surface.

일반적으로 통상의 드릴은 원주형상의 환봉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공작기계의 홀더부에 합체되는 일정길이의 생크부와 이 생크부의 하측에 인접하여 하부로 연이어진 플루트가 나선형으로 파여져, 일정각도로 경사진 날끝각으로 주 절삭날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재료를 뚫어지게 하는 용도로 사용되어 지는 공구이다.In general, a conventional drill has a predetermined length of shank portion, which is joined to a holder portion of a machine tool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a cylindrical round bar, and a flut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adjacent to the lower side of the shank portion is spirally drill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It is a tool that is used for the purpose of drilling the material by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from the outside by forming the main cutting edge at the photographic end angle.

이러한 드릴은 고정부가 드릴머신의 홀더 또는 핸드드릴의 척들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어 일정한 회전력에 의해 하단의 정점이 가공물의 공작면에 위치한 상태로 회전되어 기준홈을 형성함과 함께 연이어 절삭홈의 회전마찰에 의해 설정된 칫수의 구멍을 형성하였다.The drill is coupled with the fixed part fixed to the holder of the drill machine or the chucks of the hand drill, rotated with a constant rotational force in the state where the lower end is located on the workpiece surface of the workpiece, thereby forming the reference groove, and subsequently the cutting groove. The hole of the dimension set by rotational friction was formed.

그리고 종래의 드릴 및 앤드밀 등은 동일구조를 갖추고 직경과 특성을 달리하는 여러 칫수의 공구들을 갖추고, 형성하고자 하는 구멍이나 모양에 맞는 칫수의 것을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였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rills and end mills are equipped with tools having the same structure and different dimensions and diameters, and have selected and used the ones suitable for the hole or shape to be formed.

즉, 종래의 드릴 및 앤드밀로 재료에 구멍이나 장공등을 가공할 경우에는 단일직경으로 일방향 가공을 하므로 구멍내의 절삭면이 거칠고, 구멍의 내, 외측면에 가공중 칩이 돌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machining a hole or a long hole in a conventional drill and end mill, one-way machining is performed with a single diameter, so that the cutting surface in the hole is rough, and the chip protrudes i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hole. .

또한, 상기와 같은 드릴내지 앤드밀로 뚫린 구멍의 측면 및 평면절삭을 할 경우에는 측, 평면 절삭이 가능한 황삭용 엔드밀을 사용하고 다시 정삭용 공구로 교체한 후 2차 절삭을 하였다.In addition, when the side and planar cutting of the hole drilled by the drill or end mill as described above was used for the side, plane cutting roughing end mill, and then replaced with a finishing tool, and the second cut.

이와같이 예로서 도 5에서 도시한 형상의 랜즈 경통과 같이 정밀성을 요구하는 부품의 홀이나 장공등을 가공할 때 1차 황삭용 공구로 성형 한 후 다시 정상용 공구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그 척에 고정할 때 물림 오차가 발생되어 정밀성이 크게 저하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machining holes or holes of parts requiring precision, such as the lens barrel of the shape shown in FIG. 5, the tool is fixed to the chuck in the process of forming a first roughing tool and then replacing it with a normal tool. When the bite error occurs, the precision is greatly reduced.

또한, 홀이나 장공을 형성한 후 내외측으로 중첩되는 타 부품간의 슬라이드 간섭을 방지하여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 지도록 하기 위해 홀의 내,외측 모서리부를 따라 모떼기를 가공하기도 하는데, 이때 또 다른 툴을 교체해야 하므로써 2차에 걸친 공구 교체시 발생되는 오차가 누적되어 전체 정밀성이 크게 저하되는 것이다.In addition, after forming holes or holes, chamfers are processed along the inner and outer edges of the hole to prevent slide interference between other parts overlapping inside and outside to ensure smooth operation. The error that occurs during the second round of tool change accumulates, greatly reducing the overall precision.

그리고, 공구 교체에 따른 작업 시간낭비로 생산성도 크게 저하되므로,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In addition, since productivity is greatly reduced due to waste of working time due to tool replacement, not only is it uneconomical but also a problem in that work efficiency is lowered.

또한, 하나의 구멍을 가공하기 위하여 수차례의 가공작업을 반복하므로, 가공오차가 발생되어 카메라 및 망원경, 복사기용 랜즈경통 등과 같은 각종 정밀기계에 사용되는 부품을 가공하기에 적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machining process is repeated several times to process a single hole, a machining error occurs, which is not suitable for machining parts used in various precision machines such as cameras, telescopes and copier lens barrels. will be.

본 고안의 목적은 구멍을 가공할 경우 절삭면의 황삭 및 정삭 다듬질 작업과 구멍의 내외측면의 모떼기 작업이 하나의 공구로 동시 가공이 가능하여, 각종 정밀기계에 사용되는 부품의 정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다기능 복합 엔드밀 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oughen and finish the cutting surface and to chamfer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hole simultaneously with one tool, greatly improving the precision of the parts used in various precision machine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compound end mill tool that can be used.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영점 설정용 포인트용 구멍도 하나의 공구로 셋팅할 수 있는 다기능 복합 엔드밀 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compound end mill tool that can also set the hole for the point for setting the zero point with one tool.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툴의 숫자 및 그 교체 작업과정을 단순화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가공되는 제품의 오차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복합 엔드밀 공구를 제공 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compound end mill tool that can simplify the number of tools and its replacement process,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work, and prevent the occurrence of errors in the processed products.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 정단면도.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c 는 본 고안의 단계별 가공 상태도.Figure 4a to 4c is a step by step machin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jor symbols in the drawings *

1 - 홈가공드릴 10 - 생크부1-Grooving drill 10-Shank

11 - 플루트 20 - 절삭날11-Flute 20-Cutting Edge

21 - 분리인선 22 - 선단 여유면21-Separation edge 22-Tip clearance

23 - 씨닝면 30 - 내측모떼기부23-thinning surface 30-inner chamfer

40 - 외측모떼기부 50 - 황삭부40-outer chamfer 50-roughing part

60 - 정삭부 70 - 가공물60-finishing part 70-workpiece

71 - 구멍 72 - 캠홈71-Hole 72-Camhome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공작기계의 홀더부에 합체되는 생크부(10)와;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nk portion 10 is incorporated into the holder portion of the machine tool;

플루트(11)가 몸체 측면으로 나선을 따라 파여져, 그 사이로 웨브 두께를 갖게 하고, 날끝면에 형성된 분리인선(21)으로 선단여유면(22)과 씨닝면(23)을 구분토록 하며, 상기 플루트(11)가 선단여유면(22)과 만나는 경계부에 형성되어 날끝중심을 통과하는 절삭날(20)이 구성되며, 상기 생크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홈가공드릴(1)과;The flute 11 is dug along the spiral to the side of the body to have a web thickness therebetween, and to separate the tip marginal surface 22 and the thinning surface 23 by the separating edge 21 formed on the blade end surface, the flute A grooved drill (1) formed at a boundary portion (11) that meets the leading edge surface (22) and passes through a blade tip center, and formed at an end of the shank portion;

상기 홈가공드릴(10)의 절삭날(20)이 분리인선(21) 내측으로 날끝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성형되는 내측모떼기부(30)와;An inner chamfer portion 30 in which the cutting edge 20 of the groove drilling drill 10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blade tip center in the separating edge line 21;

상기 내측모떼기부(30)로 부터 절삭날(20)이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피가공물의 캠곡선을 따라 거칠게 황삭토록 하는 황삭부(50)와;A roughing portion 50 formed from the inner chamfer portion 30 so that the cutting edge 20 extends in the axial direction so as to rough rough along the cam curve of the workpiece;

상기 황삭부(50)보다 큰 소정의 직경으로 절삭날(20)이 연장되어 이 황삭부(50)에 의해 절삭된 측면을 다듬질하는 정삭부(60)와;A finishing part 60 which extends the cutting edge 20 to a predetermined diameter larger than the roughing part 50 to trim the side cut by the roughing part 50;

상기 정삭부(60)의 상부 외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정삭부(60)에 의한 정삭 가공과 동시에 모서리에 모떼기 가공토록 하는 외측모떼기부(40)로 구비되어 달성된다.It is achieved by being provided with an outer chamfer portion 40 to be bent obliquely to the upper outer side of the finishing portion 60 and to finish the chamfering process at the same time as the finishing operation by the finishing portion 60.

따라서, 렌즈 경통과 같은 피가공의 캠홈(72)의 내외측에 돌출되는 칩은 상기 내측모떼기부(30)와 외측모떼기부(40)에 의하여 다듬질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chip which protrudes in and out of the cam groove 72 of the workpiece such as the lens barrel is trimmed by the inner chamfer 30 and the outer chamfer 40.

또한, 캠홈(72)의 단부에 보다 큰 직경으로 뚫어진 캠구멍(71)을 통해 공구가 가공시 진입 또는 분리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캠홈(72)를 따라 내측모떼기부(30)로부터 이어진 황삭부(50)에 의하여 황삭과 내측 모서리의 모떼기가 동시 이루어 지고, 다시 더 깊이 진입된 후 캠곡선을 따라 진행되는 공구에 의해 황삭부(50)보다 소정의 직경으로 크게 확장된 정삭부(60)에 의하여 다듬질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ool is to be able to enter or remove during machining through the cam hole 71 drilled in a larger diameter at the end of the cam groove 72, the roughing portion (continued from the inner chamfer 30 along the cam groove 72) 50) the roughing and the chamfer of the inner edge is made at the same time, and after entering the deeper again to the finishing part 60 extended to a predetermined diameter larger than the roughing part 50 by the tool proceeding along the cam curve It is finished by.

이때, 정삭부(60) 가공과 아울러 외측모떼기부(40)에 의하여 동시 외측 모서리의 모떼기 다듬질이 가공되므로, 공구의 교체가 필요없어 척 물림시 발생되는 오차를 줄이고 불필요한 공구수를 줄여 그 생산성과 정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the finishing part 60 is processed and the outer chamfer 40 is processed by the outer chamfer 40 at the same time, it is not necessary to replace the tool, thereby reducing the error generated when the chuck is bitten and reducing the number of unnecessary tools,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And the precision can be greatly improved.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공구 끝단부에서 본 상태의 평면도이다.Figure 2 is a partial cutaway front 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state seen from the tool en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의 공구를 이용한 단계별 가공 상태도를 확대하여 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5는 본 고안의 공구가 카메라 렌즈의 경통가공을 위해 적용되는 사용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Figures 4a to 4c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p-by-step machining state using the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se state that the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or the barrel processing of the camera lens.

본 고안에서 공작기계의 홀더부에 합체되는 생크부(10)의 단부에 형성되는 홈가공드릴(1)의 플루트(11)의 사이로 형성되는 웨브두께(B)는 전체 홈가공드릴(1) 직경의 30 ∼ 40%를 차지토록 하여, 전체 홈가공드릴(1) 직경에 비하여 보다 두꺼운 웨브두께(B)에 의하여 만곡강성을 증대시키므로서, 구멍(71)의 가공정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b thickness B formed between the flutes 11 of the grooving drill 1 formed at the end of the shank part 10 incorporated into the holder part of the machine tool is the diameter of the grooving drill 1. 30% to 40% of the ratio increases the bending stiffness by the thicker web thickness (B) compared to the overall grooving drill (1) diameter, thereby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processing accuracy of the hole (71).

이러한 웨브두께(B)의 증대로 인한, 정밀도의 향상은 공작기계의 홀더부로부터 날끝까지의 거리와 살두께의 비에 따라 그 단부에서 휨현상이 발생되는 비율이 상이하여 지므로 동일한 길이에 그 살두께, 즉 웨브두께(B)를 보다 두껍게하여 가공시 만곡되는 경우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The increase in accuracy due to the increase in the web thickness B results in a difference in the rate at which bending occurs at the ends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holder portion of the machine tool to the tip of the blade and the thickness of the flesh. That is, the web thickness (B) to be thicker to prevent the case of bending during processing.

또한, 상기 홈가공드릴(1)의 홈에 따라서 앞부분에 좁은 날을 밴드모양으로 만들고, 이외의 부분은 가공된 구멍(71)내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깎아내어 랜드클리어런스(d)를 형성하므로서, 홈가공드릴(1)의 원주부분과 뚫린 구멍(71)간에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하며 상기 구멍(71)의 절삭면으로 안내하여 홈가공드릴(1)을 직선으로 진행시키게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groove of the grooved drill (1) to make a narrow blade in the shape of a band in the front portion, the other portions are cut off so as not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processed hole 71 to form a land clearance (d), The friction between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drill 1 and the drilled hole 71 is prevented from occurring and guided to the cutting surface of the hole 71 to advance the grooved drill 1 in a straight line.

본 고안이 종래의 드릴과 상이한 가장 중요한 특징은 도 1 ∼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황삭부(50)와 정삭부(60)의 양측에 각각 내측모떼기부(30)와, 외측모떼기부(40)를 연이어 형성함과 아울러 그 끝단에는 홈가공드릴(1)을 구비함으로써 공구의 교체 없이도 동시 복합 가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most important featur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drill is the inner chamfering portion 30 and the outer chamfering portion 40 on both sides of the roughing portion 50 and the finishing portion 60 as shown in Figs. ) And subsequently forming a grooved drill (1) at the end to enable simultaneous compound processing without replacing the tool.

즉, 캠홈(72)을 따라 가공할 때 공작기계에 셋팅된 라인을 따라 본 고안의 공구가 1차로 상기 황삭부(50)가 이동되면서 도 4b에서와 같이 황삭가공과 아울러 가공물(70)의 내경과 갬홈(72)의 직각 경계부는 내측모떼기부(30)에 의해 동시 가공된다.That is, when machining along the cam groove 72, as the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moved along the line set in the machine tool, the roughing section 50, as shown in Figure 4b and roughing as well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workpiece 70 The rectangular boundary portions of the and grooves 72 are simultaneously machined by the inner chamfer 30.

그리고, 이 황삭부(50)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된 정삭부(60)가 공작기계의 셋팅 신호에 의해 좀더 진입되는 방법으로 동일 캠홈(72)을 따라 이동되면서 황삭된 후 다시 정삭가공과 아울러 외측모떼기부(40)에 의해 외측 모서리부를 모떼기 가공하는 것이다.Then, the roughing part 60 having a diameter slightly larger than the roughing part 50 is moved along the same cam groove 72 in a manner that is more entered by the setting signal of the machine tool, and then roughed again and finished with the finishing process. The chamfer 40 is to chamfer the outer edge portion.

한편, 상기 내측모떼기부(30)와 외측모떼기부(40)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사이각(β)은 대략 90 ∼ 100°를 유지하는 바, 통상적인 다듬질 연삭기구의 날끝각이 90°가 일반적이므로, 본 고안의 사이각(β)도 90°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angle (β) formed by bending the inner chamfer 30 and the outer chamfer 40 is maintained at approximately 90 ~ 100 °, since the blade tip angle of a conventional finishing grinding mechanism is generally 90 °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angle (beta) of this invention also have 90 degrees.

그리고, 도 4a 내지 4c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4a는 홈가공드릴(1)에 의하여 가공물(70)의 구멍을 뚫는 위치에 0점 작업을 하는 상태이고, 도 4b는 황삭부에 의하여 측면에 가공되는 상태와 내측모떼기부에 의하여 내측면에 돌출된 칩이 모떼기 되는 상태이며, 도 4c는 정삭부로 상기 황삭부에 의하여 가공된 캠홈(72)을 다듬질하고, 외측모떼기부로 외측면에 돌출되는 칩을 제거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And, 4a to 4c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state in which the 0 point work in the position to drill the hole of the workpiece 70 by the grooving drill 1, Figure 4b is the side by the roughing portion 4C is a state in which the protruded chip on the inner surface by the inner chamfering portion and the chamfered, Figure 4c is a finishing portion to trim the cam groove 72 processed by the roughing portion, the outer chamfering on the outer surface The removal of protruding chips is shown.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로서, 본 고안인 다기능 복합 엔드밀 공구를 캠곡선이동하여 카메라의 렌즈경통을 가공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the processing of the lens barrel of the camera by cam-moving 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end mill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홈가공드릴(1)에 의하여 랜즈경통에 필요한 가공물의 기준점에 해당되는 위치로 일정 깊이로만 홈가공드릴(1)이 진입되므로써 0점위치를 성형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4A, the groove drilling drill 1 enter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point of the workpiece required for the lens barrel by the groove drilling drill 1, thereby forming a zero point position.

그리고, 도 4b의 과정은 본 고안의 툴을 척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회전과 아울러 설정된 캠곡선을 따라 이동될 때 가공물(70)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로 설정된 황삭부(50)에 의해 캠곡선(72)이 가공됨과 아울러, 그 황삭부(50)의 깊이보다 짧은 위치에 경사지게 형성된 내측모떼기부(30)가 피 가공물(70)의 내측 경계모서리를 모떼기 가공하는 것이다.And, the process of Figure 4b is the cam curve (by the roughing portion 50 is set to the same height as the thickness of the workpiece 70 when the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and moved along the set cam curve in the state fixed by the chuck) While the 72 is processed, the inner chamfer portion 30 formed to be inclined at a position shorter than the depth of the roughing portion 50 chamfers the inner boundary edge of the workpiece 70.

따라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캠곡선으로 이동하면서, 카메라, 무인 카메라, 쌍안경, 복사기 등의 렌즈경통에 쓰이는 정밀한 제품들을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 5,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cess precise products used in lens barrels such as cameras, unmanned cameras, binoculars, and copiers while moving in a cam curve.

한편, 상기 홈가공드릴(1)의 절삭날(20)의 날끝각, 즉 인선각(α)은 90 ~ 118°로 형성되며, 가공물(70)의 재질에 따라서 적당한 인선각(α)을 가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blade tip angle, that is, the cutting edge angle (α) of the cutting edge 20 of the grooved drill 1 is formed to 90 ~ 118 °,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workpiece 70 to have a suitable cutting edge angle (α). do.

일반적으로 인선각(α)은 118°를 표준으로 하고 있으며, 가공물(70)의 재질이 단단한 것을 가공할 경우에는 상기 인선각(α)을 크게 형성하고, 재질이 연한것을 가공할 경우에는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general, the cutting edge angle α is set to 118 ° as a standard, and when the material of the workpiece 70 is hard, the cutting edge angle α is large, and when the material is soft, the cutting edge angle α is small. It is desirable to.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카메라, 무인 카메라, 쌍안경, 복사기 등의 렌즈경통에 쓰이는 정밀한 제품들을 가공할 때 필요한 0점 위치는 홈가공드릴(1)로 소정의 깊이로 얇게 파는것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zero point required when processing the precision products used in the lens barrel, such as cameras, unmanned cameras, binoculars, copiers, etc. is formed by digging thinly to a predetermined depth with the grooving drill (1). Can be.

또, 경통의 주위에 나선과 같은 형상으로 파여지는 캠홈(72)의 경우 1차 황삭가공에 필요한 황삭부(50)와 아울러 내측모떼기부(30)가 동시 가공되고, 다시 이어서 그 곡선을 따라 공작기계가 이동되며 물림 깊이를 깊게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정삭부(60)와 동시 외측모떼기부(40)에 의해 캠홈(72)의 내,외측 모떼기가 동시 성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am groove 72 which is dug into a spiral shape around the barrel, the roughing portion 50 necessary for the first roughing process and the inner chamfering portion 30 are simultaneously processed, and then work is performed along the curve. By moving the machine and deeply adjusting the bite depth, the inner and outer chamfers of the cam groove 72 may be simultaneously formed by the finishing unit 60 and the simultaneous outer chamfer 40.

따라서, 여러 툴의 교체에 따른 오차발생을 줄이고 작업 공정수를 줄여 제품의 정밀성과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켜 경제적으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Therefore, it is an economically very useful design 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errors due to the replacement of various tools and reducing the number of working processes to increase the precision and efficiency of the product.

Claims (2)

공작기계의 홀더부에 합체되는 생크부(10)와;A shank portion 10 incorporated into the holder portion of the machine tool; 생크부(10)의 끝단에 형성되는 홈가공드릴(1)과;Grooving drill (1) formed at the end of the shank portion 10; 상기 홈가공드릴(1)의 절삭날(20)이 분리인선(21) 내측으로 날끝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성형되는 내측모떼기부(30)와;An inner chamfer portion 30 in which the cutting edge 20 of the groove drilling drill 1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blade tip center into the separating edge line 21; 상기 내측모떼기부(30)에 이어지게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피가공물의 캠곡선을 따라 거칠게 절삭토록 하는 황삭부(50)와;A roughing portion 50 which i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chamfer portion 30 so as to roughly cut along the cam curve of the workpiece; 상기 황삭부(50)보다 큰 소정의 직경으로 절삭날(20)이 연장되어 이 황삭부(50)에 의해 절삭된 측면을 다듬질하는 정삭부(60)와;A finishing part 60 which extends the cutting edge 20 to a predetermined diameter larger than the roughing part 50 to trim the side cut by the roughing part 50; 상기 정삭부(60)의 상단 외측으로 경사지게 절삭날(20)이 연장되어 정삭부(60)에 의한 정삭 가공과 동시 외측면과의 모서리에 모떼기가 성형토록 하는 외측모떼기부(4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 엔드밀 공구.Cutting edges 20 are inclin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end of the finishing portion 60 is formed by the outer chamfer 40 to allow the chamfer to be formed in the corner with the outer surface at the same time as the finishing processing by the finishing portion 60 Multifunctional compound end mill tool,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모떼기부(30)와 외측모떼기부(40)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사이각(β)이 90 ∼ 10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복합엔드밀.The multifunctional composite end mil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ngle? Formed between the inner chamfer portion 30 and the outer chamfer portion 40 is bent at 90 to 100 degrees.
KR2020000023765U 2000-08-22 2000-08-22 Multi-complex end-mill tool KR20021151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765U KR200211510Y1 (en) 2000-08-22 2000-08-22 Multi-complex end-mill to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765U KR200211510Y1 (en) 2000-08-22 2000-08-22 Multi-complex end-mill too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605A Division KR20020015484A (en) 2000-08-22 2000-08-22 Multi-complex end-mill to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510Y1 true KR200211510Y1 (en) 2001-01-15

Family

ID=7308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765U KR200211510Y1 (en) 2000-08-22 2000-08-22 Multi-complex end-mill to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510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584A (en) * 2001-04-02 2002-10-12 강호연 End mill for machining involute groove
KR101630823B1 (en) 2015-09-09 2016-06-15 마팔에이치티티주식회사 Drill for forming hole
KR102417214B1 (en) 2022-04-28 2022-07-06 한국에어로(주) A cutting tool for making screw rotors of air compressor air end
KR102462868B1 (en) * 2022-06-23 2022-11-03 양병호 Tool assemblies for machin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584A (en) * 2001-04-02 2002-10-12 강호연 End mill for machining involute groove
KR101630823B1 (en) 2015-09-09 2016-06-15 마팔에이치티티주식회사 Drill for forming hole
KR102417214B1 (en) 2022-04-28 2022-07-06 한국에어로(주) A cutting tool for making screw rotors of air compressor air end
KR102462868B1 (en) * 2022-06-23 2022-11-03 양병호 Tool assemblies for machi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3396B1 (en) Tap
US7695221B2 (en) Solid drill bit for machine tools
EP1476267B1 (en) Cutting tool and holder
US8403604B2 (en) Rotatable multi-operation tool for chip removing machining, and a basic body therefor
JP2856404B2 (en) Cutting insert
KR970006959B1 (en) Burnishing drill
US9643263B2 (en) Milling and boring tool
US20150158095A1 (en) Shank drill
US20130058734A1 (en) Combined drill and reamer tool
JPS6111729B2 (en)
RU2661684C2 (en) Deep hole drill
JP2005528988A (en) Milling cutter with wiper round part
KR20110109831A (en) Reamer
EP1611983B1 (en) High-speed processing tap
KR970006957B1 (en) High speed burnishing drill
KR200211510Y1 (en) Multi-complex end-mill tool
KR20020015484A (en) Multi-complex end-mill tool
US20210078087A1 (en) Milling tool
JP4941356B2 (en) Drilling tool
IL264757B (en) End mill with independent rake surfaces
US20210086274A1 (en) End milling cutt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2537134Y2 (en) Drilling tool
KR20120023466A (en) Complex end-mill
KR101822517B1 (en) Step drill bit
US20170203465A1 (en) Router b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