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428Y1 - 화장실 냄새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화장실 냄새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428Y1
KR200211428Y1 KR2020000021967U KR20000021967U KR200211428Y1 KR 200211428 Y1 KR200211428 Y1 KR 200211428Y1 KR 2020000021967 U KR2020000021967 U KR 2020000021967U KR 20000021967 U KR20000021967 U KR 20000021967U KR 200211428 Y1 KR200211428 Y1 KR 2002114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odor
air
seat
sea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9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영주
Original Assignee
남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영주 filed Critical 남영주
Priority to KR20200000219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4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4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428Y1/ko

Links

Landscapes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실의 좌변기에 설치되어 사람이 용변을 볼 때 발생하는 냄새를 밖으로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장실에는 화장실의 환기를 위해서 통상적으로 창문이나 환기구 등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는 용변에 의한 냄새를 배출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냄새가 화장실에 퍼져서 용변중인 자에게도 전달된다. 또한, 기존에는 변기 자체(도자기 본체)에 구멍을 내고 뒷물통으로 냄새를 보내 제거하도록 한 것도 있으나 이는 기존의 변기를 모두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 및 많은 시공비가 예상되므로 본 고안에서는 좌변기의 시트커버에 다수개의 흡기공이 형성된 별도의 내측커버를 장착하여 이중구조로 하고, 이 이중구조의 시트커버에 냄새를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호스를 연결하고, 이 배출호스에는 냄새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기팬과 역류방지밸브와 냄새를 흡수하는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구성되는 화장실 냄새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을 화장실의 좌변기에 설치하고 용변을 보면서 상기 흡기팬을 구동시키면 좌변기 내의 공기만 상기 호스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되므로 화장실 내의 용변으로 인한 냄새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장실 냄새 배출장치{apparatus for exhausting smell of toilet}
본 고안은 화장실의 좌변기에 설치되어 용변에 의한 냄새를 밖으로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는 창문이나 환기구 등이 있어 화장실 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도록 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창문과 환기구는 사람이 용변을 보게 되어 나는 냄새를 밖으로 배출시키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화장실 내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빨아들여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종래의 환기구에 환기팬이 설치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화장실 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므로 화장실의 공간이 큰 경우에는 사람의 용변에 의한 냄새를 배출하는데 효과가 미비하고, 용변자 자신에게도 냄새가 전달되었다.
또한, 냄새가 빠질 때까지 오랜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팬을 돌려야 하므로 전력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도 변기 자체(도자기 본체)에 구멍을 내고 뒷물통으로 냄새를 보내는 것이 있었지만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기를 교체해야 하므로 비용이 증대되고 재시공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람이 용변을 봄으로써 발생하는 냄새를 화장실 공간으로 퍼지지 않게 하고 효과적으로 배출시키게 하며 기존의 설치된 변기를 교체함 없이 시트커버만 교체하도록 하여 저렴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냄새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좌변기의 시트커버의 내측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흡기공이 형성된 별도의 내측커버와, 이 내측커버가 설치된 시트커버와 연통되어 냄새를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호스와, 이 배출호스에 장착되어 냄새를 빨아들이기 위한 흡기팬과, 상기 흡기팬으로 인해 배출되는 공기를 통과하게 하지만 외부에서의 공기는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역류방지밸브와, 냄새를 흡수하여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냄새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좌변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시트커버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역류방지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역류방지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좌변기 2 : 시트커버
3 : 내측커버 3a : 흡기공
4 : L자관 5 : 배출호스
6 : 흡기팬 7 : 역류방지밸브
8: 필터 71 : 볼
72 : 밸브판 72a : 홀
73 : 수평판 73a : 연통홀
이하 본 고안의 화장실 냄새 배출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1은 본 고안의 냄새 배출장치가 설치된 좌변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시트커버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냄새 배출장치는 사람이 용변을 보는 즉시 냄새를 밖으로 배출하도록 좌변기(1)의 시트커버(2) 뒷면 즉, 사용자가 앉을 때 엉덩이에 닿는 면의 뒷면에 다수개의 흡기공(3a)이 형성된 별도의 내측커버(3)를 장착하여 이중구조의 시트커버를 구비하고, 이와같이 내측커버(3)가 장착된 시트커버(2)의 힌지결합부에 L자관(4)을 설치하고, 이 L자관(4)에는 냄새를 환기구 등으로 보내기 위한 배출호스(5)를 길게 장착하여 상기 배출호스(5)로부터 나오는 공기를 환기구에 바로 보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내측커버(3)는 시트커버(2)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지거나 다른 별도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어도 무방한데, 본 고안에서는 시트커버(2)에 단턱(2a)을 형성하고 이 단턱(2a)에 내측커버(3)를 억지끼움으로 끼워넣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내측커버(3)에는 다수개의 흡기공(3a)이 형성됨과 아울러 시트커버(2)의 뒷면에 부착되어 변기통에 시트커버(2)가 잘 지지되도록 하는 고무판(9)이 관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내측커버(3)를 끼운다 하더라도 상기 고무판(9)이 내측커버(3)의 밖으로 노출되고 변기통 상면에 닿아 사용자가 시트커버(2)에 앉아 용변을 볼때 시트커버(2)를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출호스(5)에는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를 빨아들이도록 하는 흡기팬(6)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흡기팬(6)으로 빨아들인 공기를 통과시키면서도 반대방향으로 공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기팬(6)은 스위치를 누르면 작동하도록 구성되며, 통상적인 건전지를 사용하거나 전선에 연결되어 플러그를 콘센트에 꼽음으로써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하여 수요자의 화장실 구조에 따라 사용토록 하며, 이와 같은 구성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밸브(7)를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여 냄새를 흡수하고 제거하도록 호스(5)에 필터(8)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필터(8)는 직포 또는 제오라이트 등으로 구성되며, 화장실내 환기구의 유무에 따라 호스(5)를 환기구에 연결시켜 밖으로 배출시키지 못하는 경우 화장실 내 냄새를 최소화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역류방지밸브(7)를 도4 및 도5에 도시하였는 바,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역류방지밸브(7)의 내부구조는 중앙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홀(72a)이 형성된 깔때기 모양의 밸브판(72)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연통홀(73a)이 다수개가 형성되는 수평판(7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판(72)과 수평판(73) 사이에는 볼(71)이 삽입된다.
상기 밸브판(72)의 홀(72a)은 상기 볼(71)이 빠지지 않도록 볼(7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판(73)의 중앙에도 상기 볼(71)보다 작은 직경의 홀(7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좌변기(1)에 앉은 후 용변을 볼 때 상기 흡기팬(6)의 스위치를 눌러 팬을 돌리면 상기 배출호스(5)의 공기를 빨아들이게 되고 이 배출호스(5)와 L자관(4)으로 연결된 시트커버(2) 내부의 공기도 빨아들이게 된다.
따라서, 내측커버(3)의 흡기공(3a)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데, 상기 흡기공(3a)은 변기통을 향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변기(1)의 변기통 내부의 공기가 상기 흡기공(3a)을 통해 내측커버(3)로 빨아올려지는 것이다.
따라서, 사람이 용변을 보는 동안 계속하여 변기 내 공기를 빨아올리게 되므로 용변으로 인한 냄새가 화장실 내부에 퍼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출호스(5)에 유입된 공기는 흡기팬(6)을 통과한 후 역류방지밸브(7)에 도달하게 되는데, 상기 역류방지밸브(7) 내에서의 볼(71)은 상기 흡기팬(6)의 공기를 빨아올리는 압력에 의해 역류방지밸브(7) 내에서 떠있게 되어 하부에 형성된 밸브판(72)의 홀(72a)를 막지 않으므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홀(72a)을 통해 공기가 유입된 후 계속적으로 상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상기 수평판(73)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73a)(73b)을 통과하게 되고 상기 배출호스(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호스(5)는 그 끝단이 화장실 내에 설치된 환기구나 창문 등에 놓이도록 설치되는 것이므로 상기 배출호스(5)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환기구나 창문을 통해 밖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혹은 화장실의 구조에 따라 환기구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필터(8)를 배출호스(5)에 설치하였으므로 이 필터(8)가 냄새를 흡수하여 제거한 후 냄새가 제거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용변을 다 보고난뒤 흡기팬(6)을 정지시키면 상기 역류방지밸브(7)의 볼(71)이 중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내려와 밸브판(72)의 홀(72a)을 막게 되므로 상기 배출호스(5)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역방향으로 유입되어 화장실 변기 쪽으로 배출호스(5) 내 잔류하는 냄새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변기통 내부의 공기만을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며 화장실 밖에서의 공기는 유입시키지 않음으로써 본 고안에서 의도하는 바를 성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화장실 냄새 배출장치는 간단한 구성을 가지며, 용변으로 인한 화장실 냄새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화장실을 이용하고 난 후 다음 사용자가 들어와도 불쾌하지 않도록 하고, 항상 화장실을 청결하고 쾌적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좌변기(1)의 시트커버(2)를 이중으로 구성하고, 이 이중구조의 시트커버(2) 하면에 다수개의 흡기공(3a)을 형성하고, 이 시트커버(2)와 연통되어 상기 흡기공(3a)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키는 배출호스(5)를 설치하고, 이 배출호스(5)에는 상기 흡기공(3a)으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이도록 구동하는 흡기팬(6)과 상기 흡기팬(6)에 인해 빨아들이는 공기는 통과시키지만 역방향으로는 공기를 통과시키지 않는 역류방지밸브(7)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냄새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커버(2)를 이중구조로 구성하기 위해 시트커버(2)의 하면에 다수개의 흡기공(3a)이 형성된 내측커버(3)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냄새 배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밸브(7)는 그 내부에 볼(71)이 삽입되며, 중앙으로 하향경사지고 그 중앙부에는 홀(72a)이 형성된 깔때기 모양의 밸브판(72)이 하부에 형성되며, 상부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연통홀(73a)이 다수개가 형성되는 수평판(73)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홀(72a)은 상기 볼(71)이 빠지지 않도록 볼(7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냄새 배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밸브(7)를 통과한 공기를 여과하여 냄새를 흡수하고 제거하도록 상기 배출호스(5)에 필터(8)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 냄새 배출장치.
KR2020000021967U 2000-08-01 2000-08-01 화장실 냄새 배출장치 KR2002114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967U KR200211428Y1 (ko) 2000-08-01 2000-08-01 화장실 냄새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967U KR200211428Y1 (ko) 2000-08-01 2000-08-01 화장실 냄새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428Y1 true KR200211428Y1 (ko) 2001-01-15

Family

ID=73079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967U KR200211428Y1 (ko) 2000-08-01 2000-08-01 화장실 냄새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4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6874A (ko) * 2003-03-22 2004-10-13 서정은 화장실 냄새 제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6874A (ko) * 2003-03-22 2004-10-13 서정은 화장실 냄새 제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34415A (en) Automatic ventilating system for sanitary toilets
KR101058923B1 (ko) 좌변기용 탈취 장치
US20080301865A1 (en) Toilet ventil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KR102130169B1 (ko) 양변기 냄새제거장치
KR200401803Y1 (ko) 좌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20130133454A (ko) 탈취기능이 구비된 변기
KR200492905Y1 (ko) 착탈식 냄새흡입부재가 구성되는 악취 제거 변기
US20070289053A1 (en) Toilet odor removal system
US7376982B1 (en) Toilet bowl venting apparatus
KR200211428Y1 (ko) 화장실 냄새 배출장치
KR20100133675A (ko) 좌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KR20090043779A (ko) 악취제거 및 건조공기 공급이 용이한 양변기용 비데
KR200254690Y1 (ko) 화장실 냄새 배출장치
KR20040037290A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20070011220A (ko) 양변기용 악취 제거장치
JP2010520958A (ja) トイレの改良
CA2347273C (en) System for directly venting odour air from toilet bowl
GB2196355A (en) Extractor for water closets
KR200447310Y1 (ko)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KR20040020232A (ko) 좌변기의 냄새 소멸장치
KR200286778Y1 (ko) 시트를 겸하는 좌변기용 악취제거장치
KR200220437Y1 (ko) 수세식 좌변기의 냄새배출장치
KR200220460Y1 (ko) 좌변기용 환기장치
KR200217576Y1 (ko) 좌변기의 악취 제거장치
KR200345819Y1 (ko) 악취제거설비를 갖는 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