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300Y1 - 급속 동결시스템의 메쉬벨트 적층장치 - Google Patents

급속 동결시스템의 메쉬벨트 적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300Y1
KR200211300Y1 KR2019980017420U KR19980017420U KR200211300Y1 KR 200211300 Y1 KR200211300 Y1 KR 200211300Y1 KR 2019980017420 U KR2019980017420 U KR 2019980017420U KR 19980017420 U KR19980017420 U KR 19980017420U KR 200211300 Y1 KR200211300 Y1 KR 200211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belt
drum
fixed
wag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4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792U (ko
Inventor
최성출
Original Assignee
최성출
주식회사용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출, 주식회사용성산업 filed Critical 최성출
Priority to KR20199800174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300Y1/ko
Publication of KR199800687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7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300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급속 동결시스템의 메쉬벨트 적층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회전형 냉동고의 본체 내부에 설치된 회전부에서 그 회전 작동과 동시에 궤도를 따라 순환 이동하는 메쉬벨트를 상호간 용이하게 연속 적층시켜 상기 메쉬벨트상에 적재 이송되는 식품등의 피가공물에 대한 다량,연속동결작업을 가능하게 한 것을 그 특징으로한다.

Description

급속 동결시스템의 메쉬벨트 적층장치
본 고안은 급속 동결시스템의 메쉬벨트 적층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회전형 냉동고의 본체 내부에 설치된 회전부에서 그 회전 작동과 동시에 궤도를 따라 순환 이동하는 메쉬벨트를 상호간 용이하게 연속 적층시켜 상기 메쉬벨트상에 적재 이송되는 식품등의 피가공물에 대한 다량,연속동결작업을 가능하게 한 급속 동결 시스템의 메쉬벨트 적층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공식품의 동결을 위한 일반적 동결 시스템은 식품의 제조라인 종단부측에 설비되는 터널형 냉동고와 회전형 냉동고로 대별할수 있다.
전자인 터널형 냉동고는 대규모 식품가공라인을 갖춘영업장에 설비되어 다량의 가공식품을 냉각 또는 동결시킬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이는 냉동고의 내부면적이 넓고 크기 때문에 효과적인 냉각을 위한 냉풍의 발생 및 소모율이 높아 제품에 대한 냉동 효율이 저하되고, 특히 설치에 따른 점유면적이 많아 운용상의 제한적 요소가 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상대적으로 점유면적이 작고 냉기(냉풍)를 제한된 공간안에 가두어 피 동결물을 체류이동 시키면서 동결하는 후자인 회전형 냉동고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기의 회전형 냉동고의 일반적인 기술을 살펴보면 단열재로 되어 일정면적을 갖는 함체형의 냉동고 본체 내부 일측에 냉풍발생기가 설치되고, 그 중앙부위에는 상기 본체의 일측 입구부로 부터 타측의 출구부로 연속하여 순환 이동되는 메쉬벨트가 냉동고의 내부에서 일정 시간동안 체류이동 하면서 그 상부에 재치된채 이송되는 피 동결물을 설정된 온도로 급속 동결시킬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장치부가 설치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의 회전장치부는 본체의 내부에 원통형 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드럼의 외측부에는 상기 드럼과 일정 유격거리를 갖는 다수의 지지형강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그 상부에 횡으로 고정된 지지형강이 상기 드럼 상부의 축수부를 지지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단을 이르는 다수의 가이드봉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횡으로 용착된 다수의 고정봉이 드럼의 축수부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형강의 각 내면에 고정된채 상기 가이드봉의 각 끝단이 드럼의 외면부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또한 각 단을 이루는 가이드봉과 가이드봉 사이에는 메쉬벨트의 처짐방지와 가이드 역할을 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와이어가 일정 거리를 유지한채 각각 용착되어 하부에서 부터 상부를 향해 연결된 한조의 나선을 형성하고 있어 복잡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는 각각의 고정봉에 용착된 상기의 가이드봉과 나선을 이루고 있는 가이드 와이어가 순환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메쉬벨트를 드럼의 외면에 상승하는 나선형태가 되도록, 즉 점차 상승하여 드럼의 외면에 감겨지는 상태가 되도록 상승, 안내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가이드봉의 고정되는 높이가 각각 상이한 상태로 용착 고정 될수밖에 없고 또한 드럼의 외면에 메쉬 벨트의 내측면이 당접되어 감아지는 상태로 상승, 이동하기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의 설치 또한 복잡하고 정밀하게 구성하여야만 한다.
이는 결국, 제작 공정의 정밀도 및 고도의 숙련을 요하여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다하며 인건비 및 자재구입비용의 상승과 전반적인 제작기술이 복잡해지게 되는 문제가 불가피 하여 그 제작에 따른 생산성 및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의 메쉬벨트가 안내되는 단과 단 사이, 즉 가이드봉과 가이드봉의 상하 유격거리(약 140mm)가 크기 때문에 벨트 측면의 개방이 불가피하여 본체 내부의 일측에서 부터 발생되는 냉풍(바람)에 의해 제품의 이탈가능성이 높고, 또한 상기의 냉풍은 기류를 형성하여 드럼의 측면을 감아도는 형태 이므로 제품에 미치는 냉풍의 영향이 달라 결국 제품에 대한 온도분포가 고르지 못하여 제품이 균일하게 동결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메쉬 벨트의 측면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이 직접 닿는 부위에 위치한 제품의 표면물질(빵가루, 튀김가루등)이 흩날려 장치, 즉 냉동고의 내부에 비산되므로 이로인한 제품품질의 저하와 동시에 냉동고 내부의 비위생적인 문제를 함께 야기시킨다.
또한 상기의 드럼을 회전 시키는 구동방식은 냉동고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로 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드럼의 하부에 벨트 연결하여 상당한 하중을 유지하고 있는 드럼의 축을 직접 회전시키는 방식을 택하고 있으므로 구동에 많은 힘을 필요로 하고 있고, 이는 결국 구동 모터에 과부하를 발생시켜 잦은 유지보수가 뒤 따라야 하는등의 문제가 상존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본 고안자는 상기한 종래의 회전형 냉동고가 갖는 제반 폐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식품에 대한 급속 동결 시스템을 개발하여 본 고안과 동일자로 출원 개시한 바 있는데,
이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이는 메쉬벨트가 냉동고 내의 회전부에서 상호 적층되어 냉풍을 가두어주는 작용을 하게 됨으로 냉동효율이 매우 향상되어 적재 이송되는 피 동결물의 동결거리를 연장하는 작동을 하므로 냉동고 내에서 체류되는 소요시간을 감소시킬수 있고, 그에 따라 회전장치부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피 동결물의 다량, 연속동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증대 시킬수 있으며, 외측지지브라켓트에 의해 냉동고 내의 외면부와 차단되어 있으므로 피 동결물이 냉풍압력에 의해 이탈되거나 피동결물의 표면에 묻어 있는 빵가루와 같은 표면물질이 비산될 우려가 없어 안전하면서 위생적으로 그 동결작업을 취할수 있게 되어 작업성의 향상을 기함과 동시에 장치의 구성이 비교적 단순화 되어 제작에 소요되는 자재비 및 인건비의 절감을 기하는등의 여러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자의 선행발명에서 채택된 구동부와, 특히 메쉬벨트의 연속적층을 가능하게 하는 적층장치를 더욱 구체화 하여 급속 동결시스템의 작동을 원만히 이룰수 있게 하려는데 그 주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장착된 회전형 냉동고의 작동을 설명키 위한 평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회전장치부에 대한 발췌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일부를 삭제한 상태의 발췌확대도,
도 5는 도 4의 A부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회전장치부에 대한 발췌확대 정단면도,
도 7은 도 6의 B부에 대한 확대 발췌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회전장치부를 이루는 가이드레일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내측 가이드레일에 대한 전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외측 가이드레일에 대한 전개도,
도 11은 외측가이드레일상에 회전하는 왜건의 위치 및 회전 각도를 보여주기 위한 전개 예시도,
도 12는 도 11에 표현된 함몰수평부에 대한 상세도,
도 13은 적층된 메쉬벨트의 일부를 발췌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쉬벨트 2 : 회전장치부
3 : 드럼 4 : 탄성판
5 : 지지프레임 6 : 가이드판체
10 : 본체 10a, 10b : 입,출구부
11,12 : 내,외측지지프레임 11a, 12a :분할절개부
11b,12b : 절곡면 21, 21' : 가이드레일
22 : 왜건 22' : 왜건조립체
22" : 돌출편 22a,22b : 내,외측면
22a',22b' :돌출단 31 : 안내간
32 : 지지보 33 : 관통공
34 : 설치홈 41 : 돌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회전장치부의 레일을 일정 각도를 갖도록 경사 형성하되, 순환하는 메쉬벨트의 초입 적층부에는 함몰수평부를 형성하여 이루고, 레일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드럼의 외면에는 탄성판을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여 상기의 메쉬벨트가 상기의 적층부를 통과할 때 상기의 탄성판이 그 외면부로 돌출되어 이송되고 있는 메쉬벨트의 내측 지지브라켓트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면 저면을 지지하는채로 회전 가능하게 하여 그 하부에 회전하는 메쉬벨트의 다른 내측 지지브라켓트의 상면이 지지되는 반복 작동을 수행할수 있게 함으로서 가능하였는데,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2 에 도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단열재로 되어 일정면적을 갖는 함체형의 냉동고 본체(10) 내부 일측에는 냉풍발생기(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내부 중앙부위에는 상기 본체(10)의 일측 입구부(10a)로 부터 타측 상부의 출구부(10b)로 연속하여 순환 이동되는 메쉬벨트(1)가 냉동고의 내부에서 일정 시간동안 체류 이동하면서 그 상부에 재치된채 이송되는 피 동결물을 설정된 온도로 급속 동결시킬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장치부(2)가 설치되어 이루어진것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장치부(2)는 본체(10)의 내부 중앙부에 한조의 원형 가이드 레일(21),(21')이 일정 간격을 유지한채 회전 방향으로 점차상승되는 경사각도를 유지한채 고정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레일의 경사각이 시작되는 하사점과 경사각이 끝나는 상사점 사이에는 함몰수평부(21a),(21'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21),(21')의 상부에는 외측 중간부에 돌출편(22")이 고정된 왜건조립체(22')가 다수개 연속 절 연결되어 이루어진 왜건(22)이 회전 가능하게 재치되고, 상기 돌출편(22")에는 왜건(22)의 외측에 설치된 모터(M)의 동력을 받아 일정구간을 횡 회전하는 체인(C)이 치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왜건 조립체(22)는 그 내,외측면(22a),(22b)이 반호상을 이루어 그 각 상면에 돌출단(22a'),(22b')이 형성되는것에 의해 메쉬벨트(1)의 내,외측 지지브라켓트(11),(12) 하부에 위치한 분할절개부(11a),(12a)를 지지안내할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원형을 이루는 가이드 레일(21),(21')의 중앙부에는 일정높이를 갖는 드럼(3)이 상부에 안내간(31)을 다수의 지지보(32)로 고정한채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드럼(3)의 하부측 외면에는 중간부에 관통공(33)을 갖는 다수의 설치홈(3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34)에는 상부가 외측으로 경사형성된 형태를 갖고 중간 상부측 내면에 일정길이를 갖는 돌편(41)이 용착된 탄성판(4)이 고정수단에 의해 각각 고정 되되, 상기 돌편(41)은 상기 관통공(33)에 끼워져 그 단부가 상기 드럼(3)의 내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드럼(3)의 하부 일측에는 하부의 지지프레임(5)에 고정된 브라켓(51) 상부에 가이드판체(52)가 고정부착되어 그 일측면이 드럼(3)의 회전에 따라 회전 되어 오는 상기 돌편(41)의 단부를 선택적으로 눌러주어 상기 탄성판(4)이 드럼(3)의 설치홈(34)으로부터 그 외측면으로 탄지,굴절되어 그 상면이 상기 왜건조립체(22')의 내측면 돌출단(22b')에 지지되는 채로 회전하는 메쉬벨트(1)의 내측 지지브라케트(12) 하부에 형성된 절곡면(12b)의 하부를 지지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장치부(2)를 이루는 외측 가이드레일(21)의 상부 외측에는 지지프레임(5)에 고정된 일정길이의 반호상을 이루는 가이드판체(6)가 회전,상승하는 메쉬벨트(1)를 안내할수 있도록 경사설치 되어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동일자로 특허 출원되는 본 고안자의 개발기술, 즉 급속 동결시스템에 장착하여 사용되게 되므로 그 제작에 따른 작용설명은 이를 준용하기로한다.
다만, 가이드레일(21),(21')의 경사각도와 함몰수평부(21a),(21'a)는 그 내,외측의 것을 같은 각도상에 위치하도록 정밀하게 고정시킬 필요가 있고, 외측 가이드판체(6)의 설치높이 또한 회전 상승하는 메쉬벨트(1)의 경사도를 지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를 고정하는 작업 또한 정밀히 이루어져야만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회전 장치부(2)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기 조립이 완료되어 있는 메쉬벨트(1)를 상기 왜건(22)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상호 적층시켜 적층된 메쉬벨트(1)가 나선의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음, 그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궤도를 따라 순환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공정이 완료되면 기 설치되어 있는 냉풍발생기에 전원을 인가하여 미도시된 콘트롤시스템에 의해 제어동작될수 있게하고, 모터(M)에 전원을 인가하여 일정 감속비로 감속조절된 체인(C)을 구동시켜주면 상기 체인(C)의 회전 구동에 따라 왜건(22)이 가이드레일(21),(21')상에서 일측으로 회전을 시작하여 그 상부에 적층되어 있는 메쉬벨트(1)가 회전 이동되면서 상기 메쉬벨트(1)의 순환 이동작동을 시작하게 되고 이때 드럼(3)의 회전도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동작동에 따라 상부에 적층된 상태의 메쉬벨트(1)를 재치하고 이동되어 오는 왜건(22)이 경사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의 270°부근을 통과하게 되면 회전하고 있는 드럼(3)의 하부측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판체(52)의 측면에 각 탄성판(4)의 돌편(41)이 점차 미끄러져 들어오기 시작하고,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여 그 회전이 지속되면 드럼(3)의 내면과 가이드판체(52) 사이가 좁아져 연속되는 부위에 상기 돌편(41)의 단부가 위치되어 그 드럼(3)의 외면 설치홈(34)에 위치되어 있는 각각의 탄성판(4)을 그 외측으로 굴절시켜 상기 탄성판(4)의 상면이 왜건조립체(22')의 내측면(22b) 돌출단(22b')상에 재치된채 이동하는 적층된 메쉬벨트(1)의 최하부측 내측지지브라켓트(12)의 절곡면(12b)을 각각 지지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의 이동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메쉬벨트(1)의 외측지지브라켓트(11)는 왜건조립체(22')가 가이드레일(21),(21')의 270°부근을 통과하게 되면 그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반원호상의 가이드판체(6) 내측 상면에 상기 메쉬벨트(1) 최하부측의 외측 지지브라켓트(11)에 형성되어 있는 절곡면(11b)의 저면을 지지안내 하는 상태를 동시에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메쉬벨트(1)를 이루는 내,외측 지지브라켓트(11),(12)의 절곡면(11b),(12b)이 내측의 것은 회전하는 드럼(3)에 부착되어 있는 탄성판(4)의 상면에, 외측의 것은 외측지지프레임(5)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판체(6)의 상면에 이첩되는 상태로 지지되면서 회전을 지속하면 상기의 메쉬벨트(1)는 드럼(3)의 탄성판(4)과 가이드판체(6)에 지지되는 상태로 그 회전 작동을 계속하게 되고,
이를 지지하고 있던 왜건(22)의 각 조립체(22')가 가이드레일(21),(21')의 288°를 통과하면서 급 강하하여 함몰수평부(21a),(21'a) 상면에 위치하면서 상기 메쉬벨트(1)의 내,외측지지브라켓트(11),(12)와 완전히 분리 이격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냉동고 본체(10)의 입구부(10a)를 통해 내부로 이동되어 오고 있는(적층부를 통과하고 있는) 적층될 메쉬벨트(1)가 가이드레일(21),(21')의 함몰수평부(21a),(21'a)(308°~ 0°사이)에 이르게 되고, 함몰 수평부(21a),(21'a)에 이동되어온 메쉬벨트(1)는 왜건(22)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내,외측 지지브라켓트(11),(12)가 상기의 탄성판(4)과 가이드판체(6)에 의해 왜건(22)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된채 이동되고 있는 그 상부측에 위치한 내,외측 지지브라켓트(11),(12)와 그 상,하 위치가 점차 일치되면서 그 이동 및 회전 작동이 계속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메쉬벨트(1)의 이동과 회전작동이 지속되어 왜건(22)의 각 조립체(22')가 가이드레일(21),(21')의 0°~ 10°사이(경사시작부)에 이르게 되면 상기 가이드레일(21),(21')의 하사점으로부터 시작되는 경사부에 왜건조립체(22')가 일정 경사각도를 유지하여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왜건(22)의 상부로 진입되고 있는 적층될 메쉬벨트(1)의 내,외측 지지브라켓트(11),(12)의 하부, 즉 상기 지지브라켓트(11),(1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각 절곡면(11b),(12b)을 왜건조립체(22')의 내,외측면(22a),(22b)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단(22a'),(22b')상에 지지, 재치하는 상태가 되고,
왜건(22)에 재치되는 메쉬벨트(1)의 상부에는 탄성판(4)과 가이드판체(6)에 의해 지지되는 채로 회전하고 있는 상부측에 위치한 메쉬벨트(1)가 위치하게 되며,
그 회전 작동에 따라 왜건(22)과, 그 상부에 위치한 적층될 메쉬벨트(1)와, 회전하고 있는 최하부측 메쉬벨트(1)가 상기 가이드레일(21),(21')의 0°~ 10°사이를 벗어나게 되면서 그 상,하부에 위치한 각각의 내,외측 지지브라켓트(11),(12)와 왜건조립체(22')의 돌출단(22a'),(22b')이 상호 일치되어 완전히 적층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회전작동을 계속하고, 이러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21),(21')의 15°부위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드럼(3)의 하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가이드판체(52)와 외측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판체(6)의 종단점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그에 지지되고 있던 메쉬벨트(1)의 절곡면(11b),(12b)들이 이탈하여 완전한 적층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회전작동을 지속시키게 된다.
이때 메쉬벨트(1)의 내측 지지브라켓트(12)의 절곡면(12b)을 지지하고 있는, 드럼(3)에 부착되어 있는 탄성판(4)의 해탈작동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의 드럼(3)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판체(52)가 회전하고 있는 드럼(3)에 고정된 탄성판(4)의 돌편(41)을 외측으로 밀어주는 작용을 하여 상기의 탄성판(4)이 그 외측으로 굴절되므로써, 내측 지지브라켓트(12)의 절곡면(12b)을 지지하는 상태로 회전작동하여 왜건(22)을 가이드레일(21')의 함몰수평부(21'a)로 분리, 이탈 시켯다가 그 사이에 적층시킬 메쉬벨트(1)를 전술한 바와같이 개재시키는 형태로 이동(회전)하여 가이드레일(21),(21')의 15°부위를 벗어나게됨과 동시에 돌편(41)을 외측으로 밀어주던 가이드판체(52)의 종단점을 벗어나게 됨으로 인해 외측으로 굴절되었던 탄성판(4)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되어 탄성판(4)의 돌편(41)이 드럼(3)의 관통공(33)에 깊숙히 진입되는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탄성판(4)은 드럼(3)의 설치홈(34)내에 끼워지는 형태로 원위치 되어 왜건(22)과 메쉬벨트(1)의 회전에 방해되지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같은 적층작동을 반복적으로 연속수행하므로써 메쉬벨트(1)의 연속 적층작업이 이루어지고 그에따라 식품등 피동결물의 다량 연속동결작업이 가능해져 그 생산성 및 작업성의 향상효과를 기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본 고안자의 선행발명에서 채택된 구동부와, 특히 메쉬벨트의 연속적층을 가능하게 하는 적층장치를 더욱 구체화 하여 급속 동결시스템의 작동을 원만히 이룰수 있게 하므로써 메쉬벨트의 연속적층에 따른 식품등의 피동결물에 대한 다량,연속동결을 가능하게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수 있는 매우 유익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3)

  1. 단열재로 되어 일정면적을 갖는 함체형의 냉동고 본체(10) 내부 일측에는 냉풍발생기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내부 중앙부위에는 상기 본체(10)의 일측 입구부(10a)로 부터 타측 상부의 출구부(10b)로 연속하여 순환 이동되는 메쉬벨트(1)가 냉동고의 내부에서 일정 시간동안 체류 이동하면서 그 상부에 재치된채 이송되는 피 동결물을 설정된 온도로 급속 동결시킬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장치부(2)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회전 장치부(2)는 본체(10)의 내부 중앙부에 한조의 원형 가이드 레일(21),(21')이 일정 간격을 유지한채 회전 방향으로 점차상승되는 경사각도를 유지한채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21),(21')의 상부에는 외측 중간부에 돌출편(22")이 고정된 왜건조립체(22')가 다수개 연속 절 연결되어 이루어진 왜건(22)이 회전 가능하게 재치되고, 상기 돌출편(22")에는 왜건(22)의 외측에 설치된 모터(M)의 동력을 받아 일정구간을 횡 회전하는 체인(C)이 치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왜건 조립체(22)는 그 내,외측면(22a),(22b)이 반호상을 이루어 그 각 상면에 돌출단(22a'),(22b')이 형성되는것에 의해 메쉬벨트(1)의 내,외측 지지브라켓트(11),(12) 하부에 위치한 분할절개부(11a),(12a)를 지지안내할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원형을 이루는 가이드 레일(21),(21')의 중앙부에는 일정높이를 갖는 드럼(3)이 상부에 안내간(31)을 다수의 지지보(32)로 고정한채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드럼(3)의 하부측 외면에는 중간부에 관통공(33)을 갖는 다수의 설치홈(3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34)에는 상부가 외측으로 경사형성된 형태를 갖고 중간 상부측 내면에 일정길이를 갖는 돌편(41)이 용착된 탄성판(4)이 고정수단에 의해 각각 고정 되되, 상기 돌편(41)은 상기 관통공(33)에 끼워져 그 단부가 상기 드럼(3)의 내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드럼(3)의 하부 일측에는 하부의 지지프레임(5)에 고정된 브라켓(51) 상부에 가이드판체(52)가 고정부착되어 그 일측면이 드럼(3)의 회전에 따라 회전 되어 오는 상기 돌편(41)의 단부를 선택적으로 눌러주어 상기 탄성판(4)이 드럼(3)의 설치홈(34)으로부터 그 외측면으로 탄지,굴절되어 그 상면이 상기 왜건조립체(22')의 내측면 돌출단(22b')에 지지되는 채로 회전하는 메쉬벨트(1)의 내측 지지브라케트(12) 하부에 형성된 절곡면(12b)의 하부를 지지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 동결시스템의 메쉬벨트 적층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경사각이 시작되는 하사점과 경사각이 끝나는 상사점 사이에는 함몰수평부(21a),(21'a)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 동결시스템의 메쉬벨트 적층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부(2)를 이루는 외측 가이드레일(21)의 상부 외측에는 지지프레임(5)에 고정된 일정길이의 반호상을 이루는 가이드판체(6)가 회전,상승하는 메쉬벨트(1)를 안내할수 있도록 경사설치 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 동결시스템의 메쉬벨트 적층장치.
KR2019980017420U 1998-09-14 1998-09-14 급속 동결시스템의 메쉬벨트 적층장치 KR200211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420U KR200211300Y1 (ko) 1998-09-14 1998-09-14 급속 동결시스템의 메쉬벨트 적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420U KR200211300Y1 (ko) 1998-09-14 1998-09-14 급속 동결시스템의 메쉬벨트 적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792U KR19980068792U (ko) 1998-12-05
KR200211300Y1 true KR200211300Y1 (ko) 2001-02-01

Family

ID=69510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420U KR200211300Y1 (ko) 1998-09-14 1998-09-14 급속 동결시스템의 메쉬벨트 적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3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905B1 (ko) 2019-04-08 2020-05-14 주식회사 용성냉동 식품용 급속동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905B1 (ko) 2019-04-08 2020-05-14 주식회사 용성냉동 식품용 급속동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792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72250B1 (da) Klimakammer
CA2297322C (en) Machine for forming cones
US49129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production capacity and flexibility of a multi-tier refrigeration tunnel
RU246831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азовой термообработки
KR200211300Y1 (ko) 급속 동결시스템의 메쉬벨트 적층장치
EP1149034B1 (en) A flexible conveyor belt and a climate chamber comprising a belt of that kind
WO2014171455A1 (ja) トンネル式冷却装置
CA1232730A (en) Impingement oven and method
US4383604A (en) Device for the transfer of long products particularly bars or tubes
US5669261A (en) Apparatus for bending a heat-exchanger tube
CN113367203A (zh) 一种杀青理条机
KR20000070216A (ko) 선형 금속재의 청정화용 숏-블라스팅 기기
CN209783233U (zh) 一种双u型led灯管快速组装烘干设备
US5520012A (en) Crust freezer
US4084797A (en) Device intended for controlled cooling or wire, especially steel wire
JPS62284166A (ja) 凍結装置
KR100280696B1 (ko) 급속 동결 시스템
CN113367202A (zh) 一种高温热风快速仿形茶叶杀青理条方法
US5040974A (en) Internal air circulation system for lanham oven
KR100231320B1 (ko) 냉각기용 콘덴서 성형장치
CN219593563U (zh) 一种用于蔬菜加工的烘干装置
US20230345977A1 (en) Equilibration and cooling conveyor system
JPS603747Y2 (ja) 食品冷凍等処理装置用コンベア
RU2275026C2 (ru) Конвейерная печь
JP3773198B2 (ja) 食品解凍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O062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