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167Y1 - 파이프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167Y1
KR200211167Y1 KR2020000023616U KR20000023616U KR200211167Y1 KR 200211167 Y1 KR200211167 Y1 KR 200211167Y1 KR 2020000023616 U KR2020000023616 U KR 2020000023616U KR 20000023616 U KR20000023616 U KR 20000023616U KR 200211167 Y1 KR200211167 Y1 KR 2002111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uxiliary
pipes
connection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구
Original Assignee
김인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구 filed Critical 김인구
Priority to KR2020000023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1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1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167Y1/ko

Links

Landscapes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수도의 냉난방을 위해 사용되는 동파이프이나 스텐레스 파이프 또는 주름관 파이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파이프를 연결할 때 별도의 보조파이프를 사용한 후 보조파이프와 파이프의 접결부를 용접하여야 하는데, 이런 경우에 상기 파이프는 금속이나 동 또는 스텐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관계로 보조파이프와의 접결부 용접시 가격이 고가인 은납 용접봉 등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작업 공정의 까다로움과 작업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용접도구들도 항상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외에 용접작업으로 인한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저하 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 또한 상당히 소요되는 폐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파이프의 내부 일측에 다수의 요홈부를 가진 보조연결관을 삽설하되, 보조연결관의 중앙 양측 요홈부에 밀폐용 패킹을 삽설한 상태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양 파이프의 선단 내부에 보조연결관을 삽설한 후 유압기계장치 등으로 양 파이프의 선단부 외주면을 지긋히 누르게 되면 밀폐형 패킹이 삽설 된 요홈부는 패킹에 의해 파이프의 원형을 어느정도 유지하지만 밀폐형 패킹이 삽설 되어 있지아니한 보조연결관의 요홈부는 유압기계장치 등의 강한 힘에 의해 파이프의 일단이 내측으로 오므라 들면서 오므라진 부분이 또 다시 보조연결관의 요홈부에 완전 밀착되어 결착되어 짐으로써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할 때 별도의 용접 작업 없이 파이프의 양측을 연결하는 보조연결관을 통해 그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수 있도록 하여 파이프의 연결에 따른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 그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시공비를 절약하고, 더불어 종래에서와 같이 용접불량으로 인해 발생하던 물의 누수를 차단할수 있는 파이프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구조{Pipe connection structure}
본 고안은 상하수도의 냉난방을 위해 사용되는 동파이프이나 스텐레스 파이프 또는 주름관 파이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파이프의 끝단 내부에 삽설 되는 보조연결관을 통해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할 때 별도의 용접 작업 없이도 파이프 상호간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파이프의 연결구조는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파이프(1)(2)의 내측에 파이프(1)(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보조파이프(3)을 삽설 한뒤 파이프(1)(2)의 접결 지점을 용접 하거나 또는 파이프(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보조파이프(4)을 삽설한 뒤 양 파이프(1)(2)와의 접점 끝단부를 용접토록 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도 3에서 보듯이 보조파이프(3)(4)를 구비해 놓은 상태에서 보조파이프의 절단→수정→청소→FLUX 도포→가열 및 용접→FLUX와 SOLDER 제거→시험 수순을 통해 보조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상기 보조파이프의 절단은 파이프의 끝단부가 용이하게 용접될 수 있도록 절단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한 뒤 파이프 절단기로 절단한다.
상기 수정은 절단된 관의 절단면에 붙어있는 덧살을 리머(reamer)나 줄로 제거한 후 프러그(plug)나 링(ring)으로 된 공구를 사용하여 진원으로 교정한다.
상기 청소는 땜납을 좋게 하기 위해 표면에 붙어있는 기름이나 산화물을 와어이 브러쉬로 사용한 후 면이나 모직으로 깨끗하게 닦는다.
상기 FLUX 도포는 청소가 끝난 후 가능한 빠르게 표면을 브러쉬나 깨끗한 천조각을 사용하여 FLUX로 도포한다.
상기 가열 및 용접에 사용되는 가열토치로는 프로판 토치 및 산소 아세치렌토치 등이 있는데 50ø이상 큰 관에는 2개의 노즐을 가진 토치를 사용한다.
상기 FLUX와 SOLDER 제거는 접합부의 온도가 높을때 헝겊이나 왁스브러쉬로 과잉의 SOLDER와 FLUX를 제거하며, SOLDER부위가 완전히 응고될때까지 움직이거나 물을 끼얹지 않도록 한다.
상기 시험은 작업이 끝나면 물을 통과시켜 누수여부를 확인하고, 누수 발생시에는 다시 용접을 실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파이프(1)(2)를 연결할 때 별도의 보조파이프(3)(4) 사용한 후, 상기 보조파이프(3)(4)와 파이프(1)(2)의 접결부를 용접하여야 하는데 이때 상기 파이프(1)(2)는 금속이나 동 또는 스텐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관계로 보조파이프(3)(4)와의 접결부를 용접하는 공정자체가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용접시 가격이 고가인 은납 용접봉 등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이에따른 작업비용 또한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을 갖고 있다.
그리고 파이프를 연결할 경우에는 항상 용접도구들도 함께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은 물론, 용접작업으로 인한 작업의 효율성이 크게 저하될뿐만 아니라 그 작업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폐단이 뒤 따랐다.
또한, 상기 접결부의 용접 불량이 발생될 경우에는 파이프를 통해 흐르는 강한 수압으로 인해 파이프와 보조파이프와의 접결부가 터지면서 물의 누수현상이 발생되는 현상 또한 종종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파이프의 끝단 내부에 삽설되는 보조연결관을 통해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할 때 별도의 용접 작업 없이도 그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수 있도록 하여 파이프의 연결에 따른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 그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시공비를 절약하고, 더불어 종래에서와 같이 용접불량으로 인해 발생하던 물의 누수를 완전히 차단할수 있는 파이프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파이프의 연결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파이프의 또다른 연결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종래 파이프의 연결작업 수순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로 파이프의 연결구조를 보인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로 파이프의 연결구조를 보인 결합단면도.
도 6a는 보조연결관의 제 1 실시예로 양방향의 숫나사부와 요홈부를 이용한 파이프의 연결상태도.
도 6b는 보조연결관의 제 2 실시예로 양측의 요홈부와 일측의 숫나사부를 이용한 파이프의 연결상태도.
도 6c는 보조연결관의 제 3 실시예로 일측방향의 요홈부와 숫나사부를 이용한 파이프의 연결상태도.
도 7은 ''자 형태의 보조연결관을 이용한 파이프의 연결상태도.
도 8은 ''자 형태의 보조연결관을 이용한 파이프의 연결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파이프와 보조연결관의 연결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 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연결관(5)을 통해 파이프(1)(2)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연결구조에 있어서,
다수개의 요홈부(6)(6')를 가진 보조연결관(5)을 연결 시키고자 하는 양 파이프(1)(2)의 끝단 내측에 삽설 시키되, 보조연결관(5)의 중앙부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부(6)에는 밀폐형 패킹(7)을 삽설시킨 상태에서 보조연결관(5)을 상기 파이프(1)(2) 끝단 내측에 삽설시킨 뒤 유압기계장치(8) 등으로 양 파이프(1)(2)의 선단 외주면을 지긋이 누르게 되면 밀폐형 패킹(7)이 삽설된 요홈부(6)는 밀패형 패킹(7)에 의해 파이프(1)(2)의 원형을 어느 정도 유지 하지만 밀패형 패킹(7)이 삽설되어 있지 아니한 보조연결관(5)의 요홈부(6')는 유압기계장치(8) 또는 요홈 형성용 수동공구(9)의 강한 누름력에 의해 파이프(1)(2)의 일단이 내측으로 오므라 들면서 오므라진 부분이 연이어 보조연결관(5)의 요홈부(6')에 완전 밀착 됨으로써 파이프(1)(2)와 보조연결관(5)의 결착이 단단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연결관(5)의 요홈부(6)(6')는 파이프(1)(2)의 두께와 직경 및 길이 등을 고려하여 상당수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유압기계장치(8)를 이용할 경우에는 파이프(1)(2)의 외주면에 유압기계장치(8)를 갖다댄 후 파이프(1)(2)의 선단 외주면을 강하게 압착하면서 소정의 각도로 순간 회전시키면, 상기 파이프(1)(2)의 끝단부 일측이 보조연결관(5)의 요홈부(6')로 함몰 되면서 돌기(10)가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이어 이러한 돌기(10)가 요홈부(6')와 완전 밀착되어 결착되어 짐으로써 보조연결관(5)와 양 파이프(1)(2)가 매우 단단하게 체결된다.
또, 상기 요홈형성용 수동공구(9)를 이용할 경우에는 파이프(1)(2)의 선단 외주면에 요홈형성용 수동공구(9)를 갖다 댄후 레바를 돌려 순간 압박을 가하게 되면, 상기 파이프(1)(2)의 끝단 일측부가 요홈부(6')로 함몰 되면서 보조연결관(5)과의 연결이 단단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이용 될 회전공구로는 수작업 요소가 다소 강한 요홈형성용 수동공구(9)보다는 기계적으로 작동 될 유압기계장치(8)를 주로 이용함이 바람직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보조연결관(5)의 요홈부(6)(6')에는 별도의 절연체를 삽입할 수도 있고, 또 요홈부(6')의 좌·우측편에 밀페형 패킹(7)이나 별도의 절연체를 삽입할 수 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파이프(1)(2)는 통상 길이가 수 m(매우 긴것은 10m이상 되는 것도 상당함)이상 되었기에 본 고안이 개발되기 이전에는 번거롭지만 보조파이프를 별도로 삽설한 후 보조파이프(3)(4)와 상기 파이프(1)(2)를 용접하는 방법을 택하였던 바,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게 된 동기는 별다른 결착 방법이 없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 되는데, 어쨌든 이하에서는 상기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요홈부(6)에 밀패형 패킹(7)이 내설된 보조연결관(5)을 파이프(1)(2)의 선단 내측편에 삽설하고 양 파이프(1)(2)의 끝단부를 접결 시킨 뒤 양 파이프(1)(2)의 선단 외주면에 유압기계장치(8) 또는 요홈형성용 수동공구(9)를 갖다 대고 강하게 압착하면서 임의의 적정 지점을 소정의 각도로 순간 회전시키면, 상기 파이프(1)(2)의 끝단부 일측이 요홈부(6')로 순간 오므라 들면서 환 형대의 돌기(10)가 자연스럽게 형성됨과 아울러 이러한 돌기(10)가 요홈부(6')의 내면부에 완전 밀착되게 되어 보조연결관(5)과 상기 파이프(1)(2)의 체결이 매우 단단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파이프(1)(2)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0)부분이 보조연결관(5)의 요홈부(6')와 밀착되면서 그 걸림이 이루어지게 되며, 따라서 상기 파이프(1)(2)는 별도의 용접을 하지 않고도 그 연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누수현상까지도 예방하는 한편, 파이프(1)(2)의 연결작업 시간을 탁월하게 단축시키는 특징을 갖고 있다.
한편, 도 6은 보조연결관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일자 형태의 파이프 연결이 아닌, ''자 형태의 파이프 연결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자 형태의 파이프 연결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한 도 6 내지 도 8에서도 각 파이프(1)(2)의 연결이 별도의 용접작업 없이도 간편하게 체결 되고 있음을 알수 있다.
그리고 도 6a, 6b, 6c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여 보면,
다수개의 요홈부(6)(6')가 형성된 보조연결관(5)의 일측편 또는 양측편에 숫나사부(11)를 형성시키고 이와 대응되는 일측 파이프(2) 또는 양측 파이프(1)(2)의 선단부 내측에 암나사부(12)를 형성시킨 뒤, 상기 암·숫나사부(11)(12)를 체결시킨 상태에서 일측 파이프 또는 양측 파이프(1)(2)의 선단 외주면 가운데 요홈부(6')가 있는 부분을 유압기계장치(8) 등으로 강하게 압박하게 되면 파이프(1)(2)의 돌기(10)부분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러한 돌기(10)부분이 보조연결관(5)의 요홈부(6')에 밀착 되도록 구성 된 것인 바,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과 작용·효과는 본 고안의 실시예인 도 4 및 도 5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7의 경우에는 파이프(1)(2)의 연결구조가 일자 형태가 아닌, '' 형태의 연결구조 이고, 도 8의 경우에는 ''자 형태의 연결구조이나 이들 연결구조의 구성이나 작용·효과 등은 도 4 및 도 5의 경우와 다를 바 없는 대신, 보조연결관(5')(5') 형태가 달라질 뿐이다.
즉, 도 7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보조연결관(5')은 다수개의 요홈부(6)(6')만을 가진 상태 또는 다수개의 요홈부(6)(6') 및 숫나사부(11)를 가진 상태에서 그 형태만이 ''자 형태로 절곡되어 졌을 따름인 것이고, 도 8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보조연결관(5')은 다수개의 요홈부(6)(6') 및 숫나사부(11)가 여러 형태로 조합된 상태에서 ''자 형태의 보조연결관(5')이 형성된 형태상의 차이점만이 있을 따름인 것이다.
따라서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보조연결관(5')(5')의 구성과 작용·효과 등은 본 고안의 실시예인 도 4와 5의 구성 및 작용·효과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유압기계장치 또는 요홈형성용 수동공구 등을 통해 연결 시키고자 하는 파이프의 선단 외주면 일측을 압착시켜 보조연결관과 일체로 형성토록 하므로서,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할 때 별도의 용접 작업 없이 파이프의 선단부 내측에 내설된 보조연결관을 통해 그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수 있도록 하여 파이프의 연결에 따른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 그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시공비 절약과 함께 종래에서와 같이 용접불량으로 인해 발생하던 물의 누수 및 파이프간의 이탈을 완전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3)

  1. 보조연결관을 통해 파이프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선단 내부에 다수개의 요홈부를 가진 보조연결관을 삽설한 상태에서 유압기계장치 또는 요홈형성용 수동공구로 상기 파이프의 일측 외주면을 환 형태로 순간 압착시켜 돌기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어 상기 보조연결관의 요홈부에 돌기가 밀착 형성 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의 연결이 보조연결관을 통해 용접 없이 일체로 형성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연결구조.
  2. 제 1항 있어서,
    상기 보조연결관에는 다수개의 요홈부 외에 숫나사부까지도 형성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연결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연결관자,자,자 형태 등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보조연결관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요홈부와 숫나사부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형성 할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20000023616U 2000-08-21 2000-08-21 파이프 연결구조 KR2002111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616U KR200211167Y1 (ko) 2000-08-21 2000-08-21 파이프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616U KR200211167Y1 (ko) 2000-08-21 2000-08-21 파이프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167Y1 true KR200211167Y1 (ko) 2001-01-15

Family

ID=73087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616U KR200211167Y1 (ko) 2000-08-21 2000-08-21 파이프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1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8923B2 (ja) 波形のたわみ管用の管継手
KR100635244B1 (ko) 튜브 커플링
US5638869A (en) Flexible metal hose connector and method of forming same
KR102060935B1 (ko) 프레스 피팅 장치, 구성요소 및 방법
KR20000048670A (ko) 가요성 호스 슬리이브
CA2512379A1 (fr) Bague de visualisation du sertissage d'un raccord pour tubes
JP7489170B2 (ja) センサコネクタ付きスリーブ及び導管にセンサを取り付けるための方法
KR200434256Y1 (ko) 고압호스 연결구
KR200211167Y1 (ko) 파이프 연결구조
KR100305893B1 (ko) 철근 이음장치
KR200451357Y1 (ko) 관 연결구
JP2015124862A (ja) パイプの分岐部および分岐管ユニットとそれらの製造方法
JP4730079B2 (ja) フレア式管継手兼用の食い込み式管継手
CN215568597U (zh) 空调用管接头、空调管路以及空调
KR200209191Y1 (ko) 파이프 연결구조
JP6382424B1 (ja) 管継手構造
KR200165067Y1 (ko) 관연결구
JP4293426B2 (ja) 金属管と接続体との接続構造
JP4668958B2 (ja) 差込み継ぎ手
JP6404434B1 (ja) 管継手構造
RU277454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ессвар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JP4545861B2 (ja) 管継手
KR200187003Y1 (ko) 관(管) 연결장치
JPH0257788A (ja) 銅管用管継手
JP4895069B2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