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037Y1 - 호안용 블럭(A block for embankment) - Google Patents
호안용 블럭(A block for embank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1037Y1 KR200211037Y1 KR2019980008473U KR19980008473U KR200211037Y1 KR 200211037 Y1 KR200211037 Y1 KR 200211037Y1 KR 2019980008473 U KR2019980008473 U KR 2019980008473U KR 19980008473 U KR19980008473 U KR 19980008473U KR 200211037 Y1 KR200211037 Y1 KR 20021103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hole
- jaw
- curved portion
- convex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록을 결합하여 보다 큰 홀을 형성하여 식물 등의 번식 및 활착할 수 있게 하면서 블록의 내구력(강도)을 높일 수 있도록 한 호안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하천이나 제방 등에 시공하는 호안용 블럭에 있어서, 일측면에 일정지름이 형성됨과 함께 상부에 제1턱(3)이 형성되는 제1곡면부(2)와, 상기 제1곡면부(2)와 대응되는 위치 타면에 제1곡면부(2)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됨과 함께 상부에 제2턱(3a)이 형성되는 제2곡면부(2a)와,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록면 결합부(5)와, 상기 볼록면 결합부(5)가 형성되지 않은 외측면에 볼록면 결합부(5)와 대응되게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오목면 결합부(5a)와,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보강부(4)로 이루어진 볼록몸체(1); 상기 어느 하나의 블록몸체(1)의 볼록면 결합부(5)와 어느 다른 하나의 블록몸체(1)의 오목면 결합부(5a)를 결합하여 제1곡면부(2) 및 제2곡면부(2a)에 의해 단일의 제1홀(7) 및 제2홀(9)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블록몸체(1)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블록유니트(6); 상기 복수개의 블록몸체(1)가 결합된 블록유니트(6) 제1홀(7) 및 제2홀(9) 내의 상측 주연부에는 각 제1턱(3)에 의해 형성되는 제1환턱(8) 및 각 제2턱(3a)에 의해 형성되는 제2환턱(10);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하천이나 제방 등에 시공하는 호안(護岸)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을 결합하여 보다 큰 홀을 형성하여 식물 등의 번식 및 활착을 할 수 있게 하면서 블록의 내구력(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호안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호안용 블록은 낱개의 블록자체에 홀을 형성하여 식물 등의 번식 및 활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홀의 크기가 한정될 수 밖에 없이 식물등의 번식 및 활착이 제대로 되지 못하여 생태계 보존에 미흡하였다. 즉 낱개의 블록 자체에서 홀을 형성할 경우 홀의 크기가 지나치게 되면 블록의 내구력이 떨어져 호안용 블록으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됨으로 홀의 크기가 한정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식물 등의 번식 및 활착이 미흡함은 물론 블록자체의 홀 형성에 따른 내구력 약화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낱개로 된 블록과 블록이 결합하여 보다 큰 홀을 형성시킴으로써 식물 등의 번식 및 활착 효과를 높이도록 하여 생태계 보존을 높이고, 또한 블록의 내구력을 높여 호안용으로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천이나 제방 등에 시공하는 호안용 블록에 있어서, 일측면에 일정지름이 형성됨과 함께 상부에 제1턱이 형성되는 제1곡면부와, 상기 제1곡면부와 대응되는 위치 타면에 제1곡면부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됨과 함께 상부에 제2턱이 형성되는 제2곡면부와,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록면 결합부와, 상기 볼록면 결합부가 형성되지 않은 외측면에 볼록면 결합부와 대응되게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오목면 결합부와,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보강부로 이루어진 블록몸체; 상기 어느 하나의 블록몸체의 볼록면 결합부와 어느 다른 하나의 블록몸체의 오목면 결합부를 결합하여 제1곡면부 및 제2곡면부에 의해 단일의 제1홀 및 제2홀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블록몸체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블록유니트; 상기 복수개의 블록 몸체가 결합된 블록유니트 제1홀 및 제2홀 내의 상측 주연부에는 각 제1턱에 의해 형성되는 제1환턱 및 각 제2턱에 의해 형성되는 제2환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용 블록이 제공된다.
제1도 내지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護岸)용 블록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도는 사시도.
제1a도는 정면도.
제1b도는 평면도.
제1c도는 저면도.
제1d도는 좌측면도.
제1e도는 우측면도.
제1f도는 배면도.
제1g도는 제1a도의 A-A'선 단면도.
제2도는 호안용 블록이 다수 결합되어 유니트를 이룬 상태의 사용상태도.
제3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이다.
제4도는 블록간에 형성된 홀에 망사형캡을 결합시킨 상태의 확대단면도.
제5도는 블록간에 형성된 홀에 밀봉형캡을 결합시킨 상태의 확대단면도.
제6도는 블록간에 형성된 홀에 마대를 결합시킨 상태의 확대단면도.
제7도 내지 제9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용 블록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7도는 사시도.
제7a도는 정면도.
제7b도는 평면도.
제7c도는 저면도.
제7d도는 배면도.
제7e도는 좌측면도.
제7f도는 우측면도.
제7g도는 제7a도의 A-A'선 단면도.
제8도는 호안용 블록이 다수 결합되어 유니트를 이룬 상태의 사용상태도.
제9도는 제8도의 B-B'선 단면도.
제10도 내지 제1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용 블록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0도는 사시도.
제10a도는 정면도.
제10b도는 평면도.
제10c도는 저면도.
제10d도는 배면도.
제10e도는 제10a도의 A-A'선 단면도.
제11도는 호안용 블록이 다수 결합되어 유니트를 이룬 상태의 사용상태도.
제12도는 제11도의 B-B'선 단면도.
제13도 내지 제1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용 블록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3도는 사시도.
제13a도는 정면도.
제13b도는 평면도.
제13c도는 저면도.
제13d도는 우측면도.
제13e도는 배면도.
제13f도는 제13a도의 A-A'선 단면도.
제14도는 호안용 블록이 다수 결합되어 유니트를 이룬 상태의 사용상태도.
제15도는 제14도의 B-B'선 단면도.
제1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용 블록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다수의 블록이 결합되어 유니트를 이룬 상태의 사용상태도.
제17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용 블록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다수의 블록이 결합되어 유니트를 이룬 상태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블록몸체 2,2a : 제 1 및 제 2 곡면부
2",2'" : 곡면부 3,3a : 제1 및 제 2 턱
4 : 보강부 5 : 볼록면의 결합부
5a : 오목면의 결합부 51 : 결합돌기
5a1: 결합홈 52,53: 결합용돌기
5a2,5a3: 결합용 요홈 6 : 블록유니트
7,7a,7b,7c,7d,7e : 제1홀 8 : 제1환턱
9 : 제2홀 10 : 제2환턱
11 : 망사 12 : 망사형캡
13 : 밀봉형캡 14 : 마대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로서 도시된 도 1 내지 도 6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낱개로 블록몸체(1)는 서로 대응되는 방향에 일정지름을 갖는 제1곡면부(2)와 상기 제1곡면부(2)의 지름보다 작은 제2곡면부(2a)를 형성하고, 이들 각 곡면부에는 제1턱(3)과 제2턱(3a)을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블록몸체(1)의 상부면 즉, 표면에는 보강부(4)를 돌출형성하고,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주연부를 따라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볼록면 결합부(5)와 상기 볼록면의 결합부(5)가 형성되지 않은 외측면에 볼록면의 결합부(5)와 대응되게 주연부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오목면 결합부(5a)를 형성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블록몸체(1)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다수의 즉, 적어도 2개 이상의 블록몸체(1)를 결합하여 블록유니트(6)를 형성하며, 즉, 어느 하나의 블록몸체(5)의 볼록면 결합부(5)와 어느 다른 하나의 블록몸체(5)의 오목면 결합부(5a)가 결합되어 블록유니트(6)를 형성한다.
상기 다수개의 블록몸체(1)가 결합되는 상태에 따라 형성되는 블록유니트(6)의 제1곡면부(2) 및 제2곡면부(2a)에 의해 단일의 제1홀(7) 및 제2홀(9)을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상기, 다수의 블록유니트(6)라 함은 바람직하게는 4개로써 이루어짐을 말한다. 상기 제1홀(7)이 형성됨에 따라 제1곡면부(2)의 제1턱(3)에 의해 제1환턱(8)이 형성되고, 상기 제2홀(9)이 형성됨에 따라 제2곡면부(2a)의 제2턱(3a)에 의해 제2환턱(10)이 형성된다.
또는, 상기 블록몸체(1)의 블록면의 결합부(5)와 오목면의 결합부(5a)에 각각 다른 블록몸체의 오목면의 결합부와 볼록면의 결합부가 각각 결합되어 1개의 블록유니트(6)가 구성되고, 위와 같이 4개의 블록몸체(1)가 결합된 블록유니트(6)에는 제1곡면부(2)에 의해 제1홀(7)을 형성하며, 제1홀(7)이 형성됨에 따라 제1환턱(8)이 형성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블록유니트(6)를 4개가 결합됨에 따라 제2곡면부(2a)에 의해 제2홀(9)을 형성하며, 제2홀(9)이 형성됨에 따라 제2환턱(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홀(7) 및 제2홀(9)에서 도 3에서와 같이 식물 등이 번식 및 활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홀(7) 또는 제2홀(9)에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캡 또는 마대를 결합가능하게 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제1홀(7)에 상측으로 망사(11)가 설치된 망사형 캡(12)을 삽입 결합하되, 제1환턱(8)에 망사형캡(12)이 걸리도록 하고 밑면은 지면에 닿도록 한다.
도 5에서와 같이 제1홀(7)에 콘크리트 등으로 된 밀봉형캡(13)을 제1환턱(8)에 걸리도록 삽입 결합하되, 밑면은 지면에 닿도록 한다.
도 6에서와 같이 제1홀(7)에 흙 등을 담는 마대(14)를 제1환턱(8)에 걸리도록 삽입 결합하되, 밑면은 지면에 닿도록 한다.
다음,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로서 도 7 내지 도 9에 따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는 블록몸체(1)의 형상을 "ㄱ"형으로 변화시킨 것으로, 블록몸체(1)에는 서로 대응되는 방향에 ㄱ형의 제 1 및 제 2 각면부(2')(2a')를 각각 형성하고 이들 제 1 및 제 2 각면부(2')(2a')에 제 1 및 제 2 턱(3')(3a')을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외주연에는 돌기부(5')와 요홈부(5a')로 형성되는 결합부를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형성된 블록몸체(1)를 도 8에서와 같이 4개의 블록몸체(1)가 결합하여 블록유니트(6a)를 형성하면서 사각형의 제1홀(7a)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4개의 블록유니트(6)가 결합하여 사각형의 제 2홀(9a)을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제1홀(7a) 또는 제2홀(9a)에 도 9에서와 같이 식물 등이 번식 및 활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실시예에서의 제1 또는 제2홀(7a)(9a)에 상기 제1실시예의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은 망사형캡, 밀봉형캡 및 마대를 삽입 결합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본 고안의 제3실시예로서 도 10 내지 도 12에 따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는 블록몸체(1)의 형상을 "◇"형으로 변화시킨 것으로, 블록몸체(1)의 상, 하, 좌, 우 대응되는 방향에 곡면부(2")를 형성하고 상면에는 보강부(4)를 볼록되게 돌출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블록몸체(1)를 4개로써 결합하여 블록유니트를 구성하면서 제1홀(7b)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도면부호와 동일부호는 동일부재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제1홀(7b)에는 제1실시예의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은 망사형캡, 밀봉형캡 및 마대를 삽입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본 고안의 제4실시예로서 도 13 내지 도 15에 따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는 블록몸체(1)의 형상을 주연부가 굴곡면을 갖는 삼각형상으로 변화시킨 것으로, 블록몸체(1)의 각 모서리부에 곡면부(2'")를 형성하고 상면에는 보강용블록돌기(4)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블록몸체(1)를 도 14에서와 같이 6개로써 결합하여 블록유니트를 구성하면서 제1홀(7c)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실시예에서의 도면부호와 동일부호는 동일부재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또한, 제1홀(7c)에는 제1실시예의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은 망사형캡, 밀봉형캡 및 마대를 삽입 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본 고안의 제5실시예로서 도 16에 따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5실시예는 2개의 블록몸체(1)가 결합할 때마다 사각형의 제1홀(7d)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블록몸체(1)의 상,하측으로 홈(21)(2a1)을 형성하고 양측으로 결합돌기(51) 또는 결합홈(5a1)를 형성하여 결합함으로써 블록유니트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홀(7d)이 형성된다.
그리고, 블록몸체(1)의 상면에 보강부(4)를 돌출형성한다.
다음, 본 고안의 제6실시예로서 도 17에 따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6실시예는 4개의 블록몸체(1)가 결합하여 블록유니트를 형성하면서 단일의 사각형상을 갖는 제1홀(7e)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블록몸체(1)의 상, 하측으로 결합용돌기(52) 또는 결합용요홈(5a2)을 형성하고, 좌, 우측 또한 결합용돌기(53) 또는 결합용요홈(5a3)을 형성하며, 각 모서리부에 홀이 형성되기 위한 각홈면부(2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블록몸체(1)를 4개로써 결함함에 따라 각홈면부(22)에 의해 상기의 사각형 제1홀(7e)이 형성된다. 그리고, 블록몸체(1)의 상면부에 보강용돌기(4)를 돌출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제1실시예에 다른 도 1 내지 도 6에 따라 설명한다.
낱개로 된 블록몸체(1)를 도 2에서와 같이 4개로써 결합함에 따라 즉, 어느 하나의 블록몸체(1) 볼록면 결합부(5)와 어느 다른 하나의 블록몸체(1) 오목면 결합부(5a)가 접촉되도록 결합함에 따라 하나의 블록유니트(6)이 형성되고, 상기 블록몸체(1)의 결합하는 방법에 따라 제1홀(7) 및 제2홀(9)이 형성되는데, 상기 복수개의 블록몸체(1)를 결합함에 따라 제1홀(7)이 형성된 블록유니트(6)를 또 4개 결합함에 따라 제2홀(9)이 형성된다.
위와 같이 형성된 제 1 및 제2홀(7)(9)은 보다 그 홀을 크게 함으로써 갈대나 억세 등 하천정화에 필요한 식물 기타 생태계 보존에 필요한 식물 등을 번식시킬 수 있고, 또 식물의 착화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동시에 블록몸체(1)에 직접홀을 형성시키지 아니하고 다수의 블록이 시공 결합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블록몸체(1)는 내구력(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홀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음에 따라 식물의 뿌리가 흙과의 활착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식물의 번식을 더욱 높이고 자생력을 높여 생태계 보존은 물론 하천이나 제방 등의 붕괴위험을 더 한층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제 1 또는 제2홀에 망사형캡(12)을 구성함으로써 망사(11)를 통해 식물의 번식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블록유니트(1)의 내구력을 높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홀에 밀봉형캡(13) 또는 마대(14)를 구성함으로써 블록유니트(6)의 시공상태 및 내구력을 높이고 제방 등에서 물에 잠기는 고정 수위부분에 시공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 또한 제1실시예와 같이 낱개로 된 블록몸체(1)를 도8에서와 같이 4개로써 결합하여 제1홀(7a)이 형성되고 또 4개의 블록유니트(6)가 결합함에 따라 제2홀(9a)이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제1 및 제2홀(7a)(9a)들의 형상이 사각형상을 하고 있을 뿐 그 외의 작용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여 번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는 도 10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마름모꼴형상의 블록몸체(1)로써 4개가 결합할 때마다 상, 하, 좌, 우의 곡면부(2")에 의해 단일의 제1홀(7b)을 형성하는것으로 이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작용설명과 동일하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는 도 13 내지 도 15에서와 같이 주연부를 따라 굴곡면을 갖는 삼각형상으로 변화시킨 것으로, 도 14에서와 같이 6개의 블록몸체(1)가 결합할 때마다 각 모서리부의 곡면부(2")에 의해 제1홀(7b)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작용설명과 동일하다.
본 고안의 제5실시예는 도 16에서와 같이 2개의 블록몸체(1)가 결합할 때마다 단일의 제1홀(7b)을 형성하고, 이 제1홀(7d)의 형상이 사각형의 형상을 하는 것으로, 이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작용설명과 동일하다.
본 고안의 제6실시예는 도 17에서와 같이 4개의 블록몸체(1)가 결합할 때마다 단일의 제1홀(7e)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작용설명과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블록몸체 자체에 홀을 형성하지 아니하고 다수의 블록몸체가 시공 결합함에 따라 홀이 형성되기 때문에 홀의 크기를 식물 등의 번식이나 착화가 잘되도록 충분하게 크게 하면서도 블록몸체의 자체 내구력(강도)을 유지할 수 있다.
즉, 홀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음에 따라 식물 등의 뿌리가 흙과의 활착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식물의 번식을 높이고 자생력을 높여 생태계 보존은 물로 하천이나 제방 등의 붕괴 위험을 더 한층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홀에 밀봉형캡을 결합하거나 몰탈 등을 타설하면 호안(護岸)용으로서의 내구력을 극대화함은 물론 물에 잠기는 고정수위 부분에도 시공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 하천이나 제방 등에 시공하는 호안용 블록에 있어서, 일측면에 일정지름이 형성됨과 함께 상부에 제1턱(3)이 형성되는 제1곡면부(2)와, 상기 제1곡면부(2)와 대응되는 위치 타면에 제1곡면부(2)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됨과 함께 상부에 제2턱(3a)이 형성되는 제2곡면부(2a)와,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볼록면 결합부(5)와, 상기 볼록면 결합부(5)가 형성되지 않은 외측면에 볼록면 결합부(5)와 대응되게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오목면 결합부(5a)와,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보강부(4)로 이루어진 블록몸체(1), 상기 어느 하나의 블록몸체(1)의 볼록면 결합부(5)와 어느 다른 하나의 블록몸체(1)의 오목면 결합부(5a)를 결합하여 제1곡면부(2) 및 제2곡면부(2a)에 의해 단일의 제1홀(7) 및 제2홀(9)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블록몸체(1)를 결합하여 형성되는 블록유니트(6), 상기 복수개의 블록몸체(1)가 결합된 블록유니트(6) 제1홀(7) 및 제2홀(9) 내의 상측 주연부에는 각 제1턱(3)에 의해 형성되는 제1환턱(8) 및 각 제2턱(3a)에 의해 형성되는 제2환턱(1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용 블록.
- 제1항에 있어서, 블록유니트(6)는 단일의 제1홀(7)을 형성하도록 바람직하기로는 4개의 블록몸체(1)를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용 블록.
- 제1항에 있어서, 블록유니트(6)는 단일의 제1홀(7)을 형성하도록 바람직하기로는 6개의 블록몸체(1)를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용 블록.
- 제1항 또는 제 2,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홀(7) 및 제2홀(9)에는 망사형캡(12), 밀봉형캡(13) 또는 흙을 채운 마대(14)를 선택하여 결합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용 블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8473U KR200211037Y1 (ko) | 1998-05-21 | 1998-05-21 | 호안용 블럭(A block for embank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08473U KR200211037Y1 (ko) | 1998-05-21 | 1998-05-21 | 호안용 블럭(A block for embank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1560U KR19990041560U (ko) | 1999-12-15 |
KR200211037Y1 true KR200211037Y1 (ko) | 2001-02-01 |
Family
ID=6951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08473U KR200211037Y1 (ko) | 1998-05-21 | 1998-05-21 | 호안용 블럭(A block for embank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1037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2404B1 (ko) * | 2008-03-25 | 2010-09-15 | 주식회사 초원기업 | 방파제용 어초블럭 및 그의 설치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63024A (ko) * | 2001-01-26 | 2002-08-01 | 양종원 | 호안용 블록 |
-
1998
- 1998-05-21 KR KR2019980008473U patent/KR20021103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82404B1 (ko) * | 2008-03-25 | 2010-09-15 | 주식회사 초원기업 | 방파제용 어초블럭 및 그의 설치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1560U (ko) | 1999-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877236A (en) | Crib block and structure | |
KR200397518Y1 (ko) | 생태 식생옹벽블럭 | |
KR100626572B1 (ko) | 축조 블록 | |
KR200211037Y1 (ko) | 호안용 블럭(A block for embankment) | |
KR100892421B1 (ko) | 식생용 옹벽블럭 | |
JP4431138B2 (ja) | 護岸用ブロック | |
KR100522174B1 (ko) | 레고형 옹벽블럭 | |
KR100719520B1 (ko) | 어소겸용 식생블럭 | |
KR200426901Y1 (ko) | 하천 시설용 다용도 블록 | |
KR200414869Y1 (ko) | 옹벽블록 | |
KR200297571Y1 (ko) | 식생 옹벽 구조체 | |
KR100708599B1 (ko) | 하천 시설용 다용도 블록 | |
KR200395309Y1 (ko) | 식생 호안블록 | |
KR100934098B1 (ko) |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 | |
KR200361675Y1 (ko) | 식생이 가능한 옹벽 및 호안블록 | |
KR200240472Y1 (ko) | 다기능 환경블록 | |
KR200438545Y1 (ko) | 식생옹벽블럭 | |
KR200300447Y1 (ko) | 식생 호안 블럭 | |
KR200247956Y1 (ko) | 지지홀을 가지는 호안블록의 구조 | |
KR200410822Y1 (ko) | 하천 둔치 생태블록 시공구조 | |
KR200330328Y1 (ko) | 개량 식생 호안블럭어셈블리 | |
KR20050077980A (ko) | 호안블록 및 블록의 시공방법 | |
KR200348427Y1 (ko) | 식생 호안블록 | |
KR200291544Y1 (ko) | 자연용 호안블록 구조 | |
KR200422462Y1 (ko) | 식생재가 삽입 설치된 호안블럭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509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