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869Y1 - 비누 수납망을 구비한 비누걸이 - Google Patents

비누 수납망을 구비한 비누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869Y1
KR200210869Y1 KR2020000020495U KR20000020495U KR200210869Y1 KR 200210869 Y1 KR200210869 Y1 KR 200210869Y1 KR 2020000020495 U KR2020000020495 U KR 2020000020495U KR 20000020495 U KR20000020495 U KR 20000020495U KR 200210869 Y1 KR200210869 Y1 KR 200210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present
net
plate
childr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경
김대성
Original Assignee
조은경
김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경, 김대성 filed Critical 조은경
Priority to KR2020000020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8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869Y1/ko

Links

Landscapes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면장 또는 화장실 등에서 벽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비누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하게는 사용한 비누를 보관하는 수단으로써 그물망(網)을 사용하는 것을 본 고안에 의한 비누걸이의 특징으로 하고 있다. 통상의 비누받침대는 배수수단을 갖춘 접시와 같은 판 위에 비누를 올려놓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본 고안에 의한 비누받침대는 일정한 규격(mesh)으로 짠 망 속에 비누를 넣고 망과 비누를 함께 비벼서 비누거품을 내어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비누걸이는 비누가 망속에 들어있는 상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후 비누에 가해진 물기가 바로 아래로 빠지게 되고, 항상 공중에 매달려 있기 때문에 건조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비누가 물에 불어서 없어지는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특히 유아나 아동들이 작은 손으로 큰 비누를 잡으려고 하는 경우, 미끄러운 비누를 망이 감싸고 있어 비누칠을 함에 있어 비누가 미끄러지지 않아 유아나 아동들도 비누칠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비누 수납망을 구비한 비누걸이{a soap hanger equipped with a gauzy purse}
통상의 기술에 의한 비누받침대의 경우는 사용한 비누를 그 바닥에 일정한 홈이나 돌기 및 배수수단을 갖춘 접시 또는 판 모양의 비누받침대위에 올려놓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비누받침에 형성된 배수홈이나 돌기가 있어도 통상 그 높이를 충분히 하지 못하고 물이 가진 표면장력 등의 성질로 인하여 홈과 홈 사이에 물이 남아 있게 되고 이것이 원인이 되어 비누가 불어서 적지 않은 양의 비누를 쓰지 못하고 버리게 되는 낭비를 하게 된다.
또한 가정이나 유아원, 유치원등에서 유아나 아동들이 손을 씻으려고 비누를 쥐려면 비누가 미끄러워 잘 놓쳐서 비누칠을 하는데 애로를 느끼게 되는데, 특히 비누크기에 비해 손의 크기가 작아 비누를 잘 쥘 수 없는 아동들의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이루어야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누보관 및 사용방법을 효과적으로 개선하여 비누가 마른 상태를 유지하므로서 불어서 버리게 되는 낭비요인을 없애고,
손이 작은 유아나 아동들이 세면장에서 미끄러운 비누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비누받침대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비누걸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비누걸이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비누걸이의 후레임의 부분상세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비누걸이의 인써트링의 단면(A-A')을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비누걸이의 벽체고정용 실린더의 단면(B-B')을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에 의한 비누걸이의 고정링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비누수납망 20 인써트링
30 후레임 40 고정링
50 캡 52 볼트
60 철판 70 벽체고정용 실린더
71 벽체부착용 철판 72 넛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비누걸이는 비누를 넣기 위한 수납망(10);과 그 수납망과 일체를 이루며 상기 수납망을 후레임(30)에 걸기 위한 인써트링(20); 비누수납망이 거치되는 후레임(30); 인써트링이 빠지지 않게 하는 고정링(40); 후레임과 연결된 철판(60);과 캡(50); 벽체고정용 실린더(70); 및 벽체고정판(7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비누걸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이고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비누걸이의 분해사시도이다.
우선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비누보관 방법을 개선하여 비누의 낭비를 예방하는 것과 유아나 아동들이 비누를 보다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과제들을 일거에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정한 크기의 그물코(메쉬:mesh)를 갖는 망을 일정한 수단을 사용하여 공중에 매다는 형식을 취하고, 그 망속에 비누를 넣어 사용하게 하는 것이다.
도3은 이러한 기술적 구성을 한 눈에 알아 볼 수 있도록 나타낸 본 고안에 의한 비누걸이의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우선 비누를 안에 넣을 그물망(網)(10)은 그물코의 크기를 본 고안의 사용목적에 적당한 것으로 하여 전체적으로 원추모양에 가깝게 짠 것을 이용하고 비누가 들어가게 될 개구부(開口部)(11)쪽을 다음에 설명될 인써트링(20)을 합성수지로 성형할 때 그 내부로 넣어 일체로 성형하거나, 별도로 인써트링을 플라스틱 성형을 하고 난 뒤에 망과 인써트링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인써트링(20)의 단면은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의 형상을 기본으로 하며, 그 평면의 형상은 후술할 후레임 및 고정링과 함께 원형,타원형,다각형등 얼마든지 다양한 형태로 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인써트링의 바깥쪽(21)은 후술하는 후레임의 내부홈(31)에 걸리고, 안쪽은 비누망의 개구부(開口部)(11)와 연결된다. 인써트링을 별도로 성형하고 후에 비누망과 결합시키는 방법을 취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 성형시 인써트링의 안쪽돌기에 비누망이 삽입될 수 있는 홈(22)이 구비되어야 한다.
비누망이 거치될 후레임(30)은 그 재질을 강화플라스틱이나 금속등으로 제작하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안쪽에 인써트링(20)을 걸 수 있도록 안쪽 원주를 따라 홈(31)을 형성하고, 형성된 홈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당한 폭 및 간격으로 형성한 다수의 절개부(32)를 형성한다.
후레임의 안쪽 상단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돌아가며 ┗자 형태로 수개의 홈(33)을 형성하는데, 이는 비누수납망을 구비한 상기 인써트링이 사용 중에 쉽게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인써트링의 윗면에 그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이고 평면의 형상이 원형인 링의 바깥쪽 원주방향으로 돌아가면서 형성된 수개의 결합용 돌기(41)가 끼워질 자리로서 만들어 진 것이다.
이 때 후레임 안쪽에 형성되는 홈의 위치와 숫자는 상기 고정링에 형성된 돌기의 수와 위치에 대응되도록 한다.
후레임과 망속의 비누를 벽체로 부터 떨어져 공중에 매달기 위한 수단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여기서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레임에 ┗자철판(60)의 끝이 들어갈 자리(34)를 형성하고 용접이나 압접 또는 접착제 등의 방법으로 상기 후레임과 ┗자철판을 일체로 연결하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철판의 다른 쪽 끝을 벽체고정용 실린더(70)에 형성된 홈(73)에 안치한 후 캡(50)에 그 머리가 매입된 볼트(52)로 상기 ┗자철판 및 벽체고정용 실린더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시켜 스크류나 나사를 사용하여 벽에 고정된 원형철판(71)의 중앙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된 넛트(72)와 체결하는 방법을 택하기로 한다.
도6은 상기 벽체고정용 실린더(70)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벽체고정용 실린더(70)는 속이 꽉 찬 상태에서 상기 ┗자철판이 안치될 홈(73)이나 볼트가 관통할 구멍 및 벽체부착용 철판(71) 및 넛트(72)가 들어갈 공간을 마련할 수 도 있으나, 속이 빈 상태에서 강도유지에 필요한 덧살등을 구비한 형태로 하는 것이 불필요한 무게를 줄일 수 있어 더 바람직하다.
도7은 본 고안에 의한 비누받침대를 사용함에 있어 기능적인 면뿐만 아니라 미관적인 요소도 함께 고려하여, 고정링(40)과 일체로 고정링의 윗면에 뚜껑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판(42)을 부착하는 경우와 상기 뚜껑 위에 면도기나 반지,시계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사각형이나 조개껍질모양등 다양한 형상의 접시(43)를 부착하거나 인형이나 인조꽃화분 등과 같은 인테리어 감각의 조형물을 설치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비누걸이는 비누를 망속에 넣어 공중에 매달게 되므로, 사용하고 난 즉시 물기가 아래로 빠지게 되어 비누가 불어서 버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조각난 비누도 망속에 함께 넣어 사용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고 물질적으로 풍요한 시대를 살아가는 후손들에게 절약정신을 심어줄수 있는 교육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비누받침대의 경우 비누를 받침대위에 엊어놓아 아동들이 비누를 집어내어 장난을 노는 경우가 흔히 볼 수 있는데, 본 고안에 의한 비누받침대는 비누를 망속에 넣고 뚜껑으로 막아 둠으로써 비누만을 따로 빼내어 장난을 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되어 아동들의 비누장난으로 인한 손실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유아나 아동들이 작은 손으로 큰 비누를 잡으려고 하는 경우, 미끄러운 비누를 망이 감싸고 있어 비누칠을 함에 있어 비누가 미끄러지지 않아 유아나 아동들도 비누칠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비누를 넣기 위한 수납망(10);과 그 수납망과 일체를 이루며 상기 수납망을 후레임(30)에 걸기 위한 인써트링(20); 비누수납망이 거치되는 후레임(30); 인써트링이 빠지지 않게 하는 고정링(40); 후레임과 연결된 철판(60);과 캡(50); 벽체고정용 실린더(70); 및 벽체고정판(71);으로 이루어진 비누수납망을 구비한 비누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링에 덮개(42)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수납망을 구비한 비누걸이.
  3. 제2항에 있어서, 덮개상단에 소지품보관용 접시(4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수납망을 구비한 비누걸이.
KR2020000020495U 2000-07-18 2000-07-18 비누 수납망을 구비한 비누걸이 KR200210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495U KR200210869Y1 (ko) 2000-07-18 2000-07-18 비누 수납망을 구비한 비누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495U KR200210869Y1 (ko) 2000-07-18 2000-07-18 비누 수납망을 구비한 비누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869Y1 true KR200210869Y1 (ko) 2001-01-15

Family

ID=7305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495U KR200210869Y1 (ko) 2000-07-18 2000-07-18 비누 수납망을 구비한 비누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8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485B1 (ko) 2012-12-12 2014-01-03 조준기 시각 장애인을 위한 비누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485B1 (ko) 2012-12-12 2014-01-03 조준기 시각 장애인을 위한 비누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5860A (en) Planter and reservoir
US4723326A (en) Weighted shower curtain
CA2284344A1 (en) Infant bathtub with hook
USD498663S1 (en) Shower curtain rod
KR200411359Y1 (ko) 비누 수납망을 구비한 비누걸이
KR200210869Y1 (ko) 비누 수납망을 구비한 비누걸이
US20170027387A1 (en) Magnetically attachable bathroom accessory
US6167651B1 (en) Christmas tree watering device
US20030172502A1 (en) Fastening device
US20040128754A1 (en) Shower expander
CN209693563U (zh) 一种拼花固定件
US20120074148A1 (en) Bathroom toy caddy
EP1402808A4 (en) MECHANICAL WASHING BRUSH, INTEGRATED STRUCTURE OF GROOVED PULSATOR AND WATER REMOVAL CYLINDER
US20050051689A1 (en) Automobile plant holder
KR200406741Y1 (ko) 방향장식물의 방향체 결합구조
KR200268306Y1 (ko) 비누걸이
KR200486252Y1 (ko) 세면기 고정구조
JP3236838U (ja) 吸水鉢
CN210019098U (zh) 一种浴室用置物层架
KR900001143Y1 (ko) 화분
JPH059910Y2 (ko)
JPS6122534Y2 (ko)
KR200254623Y1 (ko) 비누 걸이구
KR200249879Y1 (ko) 벽걸이형 비누
KR200304193Y1 (ko) 어린이용 세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