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855Y1 -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855Y1
KR200210855Y1 KR2020000019695U KR20000019695U KR200210855Y1 KR 200210855 Y1 KR200210855 Y1 KR 200210855Y1 KR 2020000019695 U KR2020000019695 U KR 2020000019695U KR 20000019695 U KR20000019695 U KR 20000019695U KR 200210855 Y1 KR200210855 Y1 KR 2002108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ir
motor
nozzle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재
Original Assignee
강신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재 filed Critical 강신재
Priority to KR2020000019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8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8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855Y1/ko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는, 일단에 공기흡입구가, 타단에 분출구가, 내부에 공기가 통과되는 유로가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액상의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 수용통과; 공기흡입구측에 인접한 본체의 유로상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한쌍의 임펠러와; 임펠러 사이의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디퓨저와; 약제 수용통의 약제가 임펠러와 디퓨저에 의해 이송된 압축 공기에 의해 흡입되어 본체의 분출구를 통해 분출되도록 본체의 분출구상에 설치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에서 흡입한 공기를 압축하여 이송함으로써, 약제 수용통내에 수용된 약제의 분무 거리에 관계없이 노즐을 통해 분무될때 무화상태로 분무되도록 함과 공기를 압축하는 구동원인 모터의 회전수를 고속으로 증가시키지 않아도 되어 소비 전력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A APRAYER FOR SPREADING AN INSECTICIDE}
본 고안은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흡입한 공기를 압축하여 이송함으로써, 약제 수용통내에 수용된 약제의 분무 거리에 관계없이 노즐을 통해 분무될때 무화상태로 분무되도록 함과 공기를 압축하는 구동원인 모터의 회전수를 고속으로 증가시키지 않아도 되는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 농가나 창고 또는 악취시설등의 장소에는 파리, 모기, 나방, 말벌, 좀벌레, 개미등을 살충하기 위해 액체로된 살충제를 살포하거나, 화훼단지나 원예단지 또는 비닐하우스에서 발생하는 총체벌레나 유충의 부화방지 등에도 상기 살충제를 살포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 부응하여 상기 살충제를 살포할 수 있는 장치로 현재 개발된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98-8338호인 휴대용 분무기가 있는데, 이를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분무기는 배터리 케이스에 내장되는 배터리(20)와; 본체(5)와, 약제 등을 주입하기 이한 주입구(2)와, 분무기(10)에 연결되는 튜브(3)와, 상기 분무기(10)로 약제 등을 공급하는 호스(4)로 구성되는 약제 탱크(1)와; 후방에 위치하며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 카바(11)와, 배터리(20)에 연결되는 모터(12)와, 상기 모터(12)에 의해 구동되어 강한 에어를 발생하는 팬(13)과, 약제 탱크(1)의 튜브(3)에 체결되는 체크 밸브(14)와, 호스(4)에 체결되는 노즐(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분무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키면 모터(12)는 팬(13)을 구동시켜 에어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에어의 일부는 체크 밸브(14)를 통해 튜브(3)를 거쳐서 약제 탱크(1)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약제 탱크(1) 내부에 압력을 발생시킨다. 약제등은 상기 에어의 압력에 의해 호스(4)를 거쳐 분무기(10)의 노즐(15)을 통해 분무된다. 이때, 상기 팬(13)에서 생성된 에어는 분무된 약제를 더욱 강하게 노즐 구멍(16)을 통해 분무시킨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에어를 발생시키는 수단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2엽 타입의 팬(13)으로만 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13)이 회전함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분출할때 속도선도(V)는 공기의 흡입시보다 분출시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반면에 압력선도(P)는 공기의 흡입시와 분출시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었다. 이로 인해, 모터(1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팬(13)은 공기압의 증가가 한정되고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이 빠른 상태 그대로 노즐(15)을 지나 노즐구멍(16)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노즐(15)을 통해 배출되는 약제는 그 배출 속도만 증가할뿐 무화 상태로 노즐구멍(16)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터(12)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게 되면 노즐구멍(16)을 통해 약제를 원거리까지 살포할 수 있으나 고속으로 회전되는 팬(13)으로 인해 소음이 많이 발생되었고, 반면에 모터(12)의 회전수를 감소시키게 되면 저속으로 회전되는 팬(13)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감소시킬 수 있으나 노즐구멍(16)을 통해 약제를 근거리까지 밖에 살포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약제를 원거리까지 살포하기 위해 모터(12)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소비 전력이 증가되어 배터리의 사용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부에서 흡입한 공기를 압축하여 이송함으로써, 약제 수용통내에 수용된 약제의 분무 거리에 관계없이 노즐을 통해 분무될때 무화상태로 분무되도록 함과 공기를 압축하는 구동원인 모터의 회전수를 고속으로 증가시키지 않아도 되는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용 살충분무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살충분무기의 팬에 따른 속도선도와 압력선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의 임펠러와 디퓨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임펠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일측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디퓨저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본체 51 : 공기흡입구
52 : 분출구 53 : 유로
60 : 약제 수용통 70 : 모터
72,73 : 임펠러 74 : 디퓨저
80 : 노즐 90 : 분출량 조절수단
91 : 나사공 92 : 조절봉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는, 일단에 공기흡입구가, 타단에 분출구가, 내부에 공기가 통과되는 유로가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액상의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 수용통과; 공기흡입구측에 인접한 본체의 유로상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한쌍의 임펠러와; 임펠러 사이의 회전축상에 설치되는 디퓨저와; 약제 수용통의 약제가 임펠러와 디퓨저에 의해 이송된 압축 공기에 의해 흡입되어 본체의 분출구를 통해 분출되도록 본체의 분출구상에 설치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의 임펠러와 디퓨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임펠러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일측면도이며,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디퓨저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살충분무기는 본체(50)와, 약제 수용통(60)과, 모터(70)와, 임펠러(72,73)와, 디퓨저(74)와, 노즐(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50)는 그 외관이 양단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부에는 공기흡입구(51)가 형성되고, 그 타단부에는 분출구(52)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공기가 통과되는 유로(53)가 형성된다.
상기 약제 수용통(60)은 상기 본체(5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액상의 약제가 수용 가능하도록 비었있다.
상기 모터(70)는 상기 공기흡입구(51)측에 입접한 상기 본체(50)의 유로(53)상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구동된다.
상기 모터(70)의 외측면과 상기 본체(50)의 내측면 사이에는 공기가 이동하여 흐를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의 갭이 형성된다.
즉, 상기 모터(70)는 본체(50)의 유로(52)의 중앙에 고정 배치되는 바, 바람직하게는 회전축(71)이 상기 공기흡입구(51)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70)를 본체(50)의 유로(53)상에 고정 배치하는 구조에 대하여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모터(70)의 회전축(71)에는 한쌍의 임펠러(72,73)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고, 이 임펠러(72,73) 사이에 해당되는 회전축(71)에는 디퓨저(74)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임펠러(72,7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회전축(71)이 삽입 고정되는 회전축 설치공(72a',73a')이 형성된 제1 원판(72a,73a)과, 중앙에 공기유입공(72b',73b')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원판(72a,73a)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원판(72b,73b)과, 이 제1 원판(72a,73a)와 제2 원판(72b,73b) 사이에 다수개 형성되는 날개(72c)로 구성된다.
상기 디퓨저(74)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회전축공 설치공(74a')이 형성된 원판(74a)과, 이 원판(74a)의 일측면에 다수개 설치되는 날개(74b)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50)의 분출구(52)내 중앙에는 약제 상승파이프(61)를 매개로 노즐(80)이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약제 상승파이프(61)의 일단은 약제 수용통(60)내의 바닥면에 위치되고, 그 타단은 노즐(80)과 연통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노즐(80)에는 약제의 분출량을 조절하는 분출량 조절수단(90)이 구비되어 있는 바, 분출량 조절수단(90)은 아래와 같이 구성된다.
상기 노즐(80)의 내부는 약제가 이동되어 분출될수 있도록 이동통로(81)가 형성되며, 이 이동통로(81)와 직각으로 연통되게 노즐(80)의 측부에는 외부로 개구된 나사공(91)이 형성된다.
이 나사공(91)에는 본체(50)의 외부로 돌출된 조절봉(92)의 단부가 나사 결합된다.
즉, 상기 조절봉(92)을 회동시킴에 따라 노즐(80)의 이동통로(81)의 개구 정도가 달라지게 되어 약제의 분출정도를 조절할수 있게 된다.
미설명 부호 54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하는 손잡이이고, 55는 외부 전원의 전류가 모터로 흐르도록 하는 전원코드이며, 56은 온/오프 겸용 모터 회전단수 조절스위치이며, 51a는 공기흡입그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코드(55)를 전원에 연결하고나서, 온/오프 겸용 모터 회전단수 조절 스위치(56)을 온시키게 되면, 전원이 모터(70)로 인가되어 구동되기 시작한다.
상기 모터(70)가 구동되기 시작하면, 회전축(71)이 회전되어 임펠러(72,73) 및 디퓨저(74)가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임펠러(72,73)와, 디퓨저(74)가 회전되기 시작하면, 본체(50)의 외부의 공기는 공기흡입그릴(51a)을 통해 공기흡입구(51)로 흡입되기 시작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50)내로 흡입된 공기는 먼저, 임펠러(72)의 제2 원판(72b)에 형성된 공기유입공(72b')를 통해 유입되며,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임펠러(72)의 원심 운동때문에 다수의 날개(72c) 사이로 안내되어 그 팁(tip) 방향, 즉 가장자리 부분 또는 레디얼(radial) 방향으로 가속되면서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경로를 거친 공기는 흐름 속도가 증가됨과 아울러 압력 상승이 동시에 일어난다.
또한, 임펠러(72)를 통과한 공기는 회전되는 상태로 디퓨저(74)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디퓨저(74)로 흘러들어간 공기는 그 속도가 감소되나, 압력은 한층 더 증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디퓨저(74)에서 압력 상승된 공기는 디퓨저(74)를 구성하는 날개(74b)의 안내에 의해 디퓨저(74)를 빠져나와 다시 임펠러(73)으로 흘러 들어가 한번더 압축된다.
여기서, 임펠러(73)내로 이동하는 공기의 경로는 임펠러(72)의 경로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렇게 디퓨저(74)와, 임펠러(73)에 의해 2번 압축된 공기는 임펠러(73)를 빠져 나올때의 속도 및 압력 상승된 상태를 유지한채로 본체(50)내의 유로(53)를 따라 흘러 분출구(52)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분출구(52) 상에는 노즐(80)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분출구(52)를 통과하는 압축된 상태의 공기의 속도에 의해 약제 수용통(60)내의 약제는 약제 상승파이프(61)를 따라 흡상승되어 노즐(80)에서 분출되어 분출구(52)를 통해 본체(50) 외부로 분사된다.
상기와 같이 분출구(52)를 통해 분출되는 약제는 미립화된 상태로 분출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약제의 분무 거리를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변경할 경우에 온/오프 겸용 모터 모터 회전단수 조절스위치(56)를 조작하여 모터(70)의 출력을 증가시키면,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 따라 공기는 압력 상승된 상태로 고속으로 분출구(52)를 통과하게 되며, 이에 따라 노즐(80)에서는 약제가 분무되어 공기와 함께 원거리까지 미립화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본체(50)의 분출구(52)에서 분출되는 약제의 분무량이 많거나 분무 상태가 별로 좋지 않을 경우에는 조절봉(92)을 적당하게 회동시켜 노즐(80)의 이동통로(81)가 적정치 개구되도록 할수도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에서 흡입한 공기를 압축하여 이송함으로써, 약제 수용통내에 수용된 약제의 분무 거리에 관계없이 노즐을 통해 분무될때 무화상태로 분무되도록 함과 공기를 압축하는 구동원인 모터의 회전수를 고속으로 증가시키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일단에 공기흡입구(51)가, 타단에 분출구(52)가, 내부에 공기가 통과되는 유로(53)가 형성된 본체(50)와;
    상기 본체(50)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액상의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 수용통(60)과;
    상기 공기흡입구(51)측에 인접한 상기 본체(50)의 유로(53)상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70)와;
    상기 모터(70)의 회전축(71)상에 설치되는 한쌍의 임펠러(72,73)와;
    상기 임펠러(72,73) 사이의 회전축(71)상에 설치되는 디퓨저(74)와;
    상기 약제 수용통(60)의 약제가 상기 임펠러(72,73)와 디퓨저(74)에 의해 이송된 압축 공기에 의해 흡입되어 상기 본체(50)의 분출구(53)를 통해 분출되도록 상기 본체(50)의 분출구(53)상에 설치되는 노즐(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80)을 통해 약제의 분출량을 조절하는 분출량 조절수단(9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량 조절수단(90)은,
    상기 노즐(80)의 측부에 그 내부와 연통 가능하게 나사공(91)을 형성하고, 조절봉(92)을 상기 본체(50)의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 설치하여 그 단부를 상기 나사공(91)에 나사 결합되도록 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
KR2020000019695U 2000-07-10 2000-07-10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 KR2002108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695U KR200210855Y1 (ko) 2000-07-10 2000-07-10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695U KR200210855Y1 (ko) 2000-07-10 2000-07-10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4860A Division KR100365865B1 (ko) 2000-05-10 2000-05-10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855Y1 true KR200210855Y1 (ko) 2001-01-15

Family

ID=7308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695U KR200210855Y1 (ko) 2000-07-10 2000-07-10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8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625B1 (ko) 가습 장치
US20200154693A1 (en) Heatless and cordless fogging/misting apparatus having a low cfm dc-powered blower motor and a mixing chamber for ultra-low volume atomized fog
US20070006520A1 (en) Insect trapping apparatus with fog generator
US20120111961A1 (en) Grove sprayer
CN209330979U (zh) 一种智能喷药机
KR102107052B1 (ko) 휴대용 연무 방역기
CN111760690A (zh) 喷雾器
TWI790205B (zh) 用於空氣消毒的霧化裝置、其使用方法及其用途
KR20160097491A (ko) 약제 희석기능을 갖는 휴대용 분무기
KR100365865B1 (ko)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
KR200210855Y1 (ko) 휴대용 살충 바이오분무기
JP3429263B2 (ja) 加湿装置
KR100365864B1 (ko) 휴대용 살충분무기의 약제 분무화장치
KR100427778B1 (ko) 원심식 농약 살포기
KR200210856Y1 (ko) 휴대용 살충분무기의 약제 분무화장치
KR100431153B1 (ko)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
KR200302270Y1 (ko) 농축산용 연무기
KR200315427Y1 (ko) 농업용 분무장치
CN114698618A (zh) 一种绿化植物杀虫养护系统
KR200260778Y1 (ko) 원심식 농약 살포기
KR20230096621A (ko) 휴대용 방역장치
KR20070045877A (ko) 분무기
KR20000058687A (ko) 진공청소분무기
KR20220040276A (ko) 초미세입자 미스트 분사 방역 및 미세먼지 제거 장치
KR200246643Y1 (ko) 휴대용 살충 바이오 분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