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783Y1 - 자동차 후사경과 측면유리의 습기 및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후사경과 측면유리의 습기 및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783Y1
KR200210783Y1 KR2020000025151U KR20000025151U KR200210783Y1 KR 200210783 Y1 KR200210783 Y1 KR 200210783Y1 KR 2020000025151 U KR2020000025151 U KR 2020000025151U KR 20000025151 U KR20000025151 U KR 20000025151U KR 200210783 Y1 KR200210783 Y1 KR 2002107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sher fluid
vehicle
pump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1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성호
Original Assignee
경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성호 filed Critical 경성호
Priority to KR20200000251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7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7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783Y1/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면유리, 측면유리, 후사경에 각각의 펌프를 사용하여 주행중 운전자가 간단히 스위치를 누르는 수단에 의하여 워셔액 탱크로부터의 워셔액이 분사되도록 하고, 노즐을 후사경 및 지지부재에 선택적으로 부착시켜 바람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과 함께 2개의 노즐 분사구를 사용하여 워셔액의 분사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후사경과 측면유리의 습기 및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워셔액 탱크의 일측 하단에 워셔액을 펌핑할 수 있도록 하는 워셔액 펌프가 배치되고 상기 워셔액 펌프의 토출구에는 배출관이 연결되어 그 선단에 결합되는 노즐을 통하여 자동차의 전면유리에 워셔액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워셔액 분사장치에 있어서, 워셔액 탱크(100)에 다수의 펌프(110-130)를 구비하고 각각의 펌프(110-130)에 각 노즐관(112)(122)(132)을 통하여 후사경(220)과 측면유리(210)에 분사노즐(114)(124)(134)을 설치하여 운전자가 스위치를 누르는 수단에 의해 분사노즐(114)(124)(134)로부터 전면유리(200), 측면유리(210) 및 후사경(220)에 워셔액을 분사시켜 이물질과 빗물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후사경과 측면유리의 습기 및 이물질 제거장치{Device for removing moisture and alien substance of automobile back mirror and side-window}
본 고안은 자동차 후사경과 측면 윈도우의 습기 및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전면유리, 측면유리, 후사경에 각각의 펌프를 사용하여 주행중운전자가 간단히 스위치를 누르는 수단에 의하여 워셔액이 분사되도록 하고, 노즐을 후사경 및 지지부재에 선택적으로 부착시켜 바람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과 함께 2개의 노즐 분사구를 사용하여 워셔액의 분사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사경은 주행중인 차량이 차선을 변경시킬 때 주행차선의 양측차선을 주행중인 타차량을 차량의 운전석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차의 후사경은 차량이 안전주행을 하는데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어 이의 관리가 매우 중요한 것이며, 특히 우천시에는 내리는 빗물 등에 의해 상기 후사경의 밀러가 쉽게 흐려지게 되어 후방시야를 관측하는데 많은 곤란성을 느끼게 되며 또한, 기후의 변화가 심한 경우에는 그 온도차에 의해 상기 후사경에 성애가 끼이게 되거나 물방울이 맺히게 되는 소위 결로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시야가 흐려지게 됨으로써 운전자는 필수적으로 상기 후사경을 휴지나 마른걸레 등을 이용하여 수시로 닦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특히, 고속도로와 같이 차량이 고속주행 하는데 있어 상기와 같이 주행중 차량의 후사경 등이 내리는 빗방울 및 기후변화에 의해 성애 및 결로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차량의 운전자는 측면차선으로 진행중인 차량을 명확히 식별해 내기가 곤란하여 자칫 대형사고를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차량의 주행 중에 빗방울이 떨어지게 되면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에 각각 배치되어진 후사경 만이 아닌 측면유리에도 상기 후사경의 밀러에 발생하는 현상이 동일하게 나타나게 됨으로써 운전자가 혼자 차량을 주행하는 경우에는 후사경 만이 아닌 운전석 및 조수석의 측면유리를 일일이 닦아주어야 한다는 문제점을 야기 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량의 후사경 및 양 측면유리에는 전면유리창에 설치된 와이퍼의 기능이 없어 장시간의 주행으로 유리면에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뭍게 되더라도 이를 닦아주기 위한 수단이 없어 사람의 손으로 닦아주어야 함으로써 이물질을 제거시키는데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사경(1)의 상방에 분사구(26)(27)를 가진 장치를 기존의 펌프와 병렬로 설치하여 워셔액을 후사경과 측면 유리에 분사하도록 하였으나, 이 경우 기존의 펌프와 병렬로 설치되어 있어 토출 압력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후사경(1)의 상방에 이러한 분사장치를 설치하므로 운전시 후사경(1)에 의해 시야가 가려지게 되는 결점이 있었으며, 또한 바람이 불 경우 분사되는 워셔액이 흩어지게 되어 후사경(1)이나 측면유리(5)에 제대로 분사되지 못하게 되는 결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시 비가 오거나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하여 후사경과 전면유리 및 측면유리의 시야가 흐려지게 될 경우 상기 후사경과 전면유리 및 측면 유리면을 흐르는 빗물 및 성애 등을 간편하게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후사경과 측면유리의 습기 및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의 전면유리, 측면유리, 후사경에 각각의 펌프를 사용하여 주행 중 운전자가 간단히 스위치를 누르는 수단에 의하여 워셔액이 분사되도록 함과 함께 노즐을 후사경 및 이의 지지부재에 선택적으로 부착시켜 바람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2개의 노즐 분사구를 사용하여 워셔액의 분사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후사경과 측면유리의 습기 및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2 - 본 고안의 분사노즐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 - 종래고안에 따른 워셔액분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워셔액 탱크 110:제1펌프
112:제1노즐관 114:제1분사노즐
120:제2펌프 122:제2노즐관
124:제2분사노즐 130:제3펌프
132:제3노즐관 134:제3분사노즐
140:노즐분사구 150:후사경지지부재
200:전면유리 210:측면유리
220:후사경 222:밀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은, 워셔액 탱크의 일측 하단에 워셔액을 펌핑할 수 있도록 하는 워셔액 펌프가 배치되고 상기 워셔액 펌프의 토출구에는 배출관이 연결되어 그 선단에 결합되는 노즐을 통하여 자동차의 전면유리에 워셔액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워셔액 분사장치에 있어서, 워셔액 탱크에 다수의 펌프를 구비하고 각각의 펌프에 노즐관을 통하여 끝단에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운전자가 스위치를 누르는 수단에 의해 분사노즐로부터 전면유리, 측면유리 및 후사경에 워셔액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구성상의 다른 특징은, 상기 분사노즐에 2개의 노즐 분사구를 설치하여 워셔액이 분사되는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있다.
본 고안의 구성상의 또 다른 특징은, 후사경 지지부재의 하단에 분사 노즐을 설치하여 주행중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워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후사경의 습기 및 이물질 제거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후사경의 습기 및 이물질 제거장치의 전체 계통도로, 워셔액탱크(100)의 일측하단에 워셔액을 펌핑할 수 있도록 제1펌프(110)가 배치되고, 상기 제1펌프(110)의 토출구에는 제1노즐관(112)이 연결되어 그 선단에 결합되는 제1분사노즐(114)을 통하여 자동차의 전면유리(200)에 워셔액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워셔액 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워셔액 탱크(100)의 하단에 제2펌프(120)와 제3펌프(13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펌프(120)와 제3펌프(130)의 끝단에 제2노즐관(122)과 제3노즐관(132)을 통하여 제2분사노즐(124)과 제3분사노즐(134)을 설치하여 이들 제2,제3분사노즐(124)(134)로부터의 워셔액이 측면유리(210)와 후사경(220)에 분사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제3분사노즐(124)(134)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들 제2,제3분사노즐(124)(134)의 끝단에는 각각 2개의 노즐 분사구(140)가 설치되어 있어 분사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후사경 지지부재(150)에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워셔액을 분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실내에 제1스위치 내지 제3스위치로 구성되는 작동버튼을 장착하여 운전자가 각각의 스위치 중 선택적으로 하나를 작동시켜 자동차의 운행시 그 차량의 운행여건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우천시에 차량의 전방시야에 빗물이 흐르거나 이물질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작동버튼인 제1스위치를 누르면, 전원이 인가되어 워셔액 펌프(100)가 작동되면서 제1펌프(110)가 작동되어 워셔액 탱크(100)의 토출 압력으로 워셔액이 제1노즐관(112)을 통하여 제1분사노즐(114)에 의해 전면유리(200)로 분사되며, 이에 따라 와이퍼 등에 의해 빗물이나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차량의 전방시야를 일시에 확보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사되는 워셔액에 의해 자동차의 전면유리(200)가 깨끗하게 세척됨은 물론 상기 자동차의 워셔액은 그 성분이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어 우천시에 내리는 빗방울이 유리면에 맺히지 않고 차량의 주행풍에 의해 곧바로 하방으로 흘러내리게 됨으로써 상기 전면유리(200)의 유리면이 혼탁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자동차의 후사경(220)이나 측면유리(210)에 빗물이 흐르거나 이물질이 있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예를 들어, 제2, 제3스위치를 누르면 전원이 인가되어 워셔액 펌프(100)가 작동되면서 제2펌프(120)와 제3펌프(130)가 작동되어 워셔액 탱크(100)의 토출 압력으로 워셔액이 제2노즐관(122)과 제3노즐관(132)을 통하여 제2,제3분사노즐(124)(134)에 의해 전면유리(200)로 분사되며, 이에 따라 와이퍼 등에 의해 빗물이나 이물질을 깨끗이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차량의 후방과 측방의 시야를 일시에 확보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제3분사노즐(124)(134)을 통하여 워셔액을 강력하게 후사경(220)과 측면유리(210)면에 분사시키게 됨으로써 후사경(220)및 측면유리(210)에 뭍은 각종 이물질이 그 분사압력에 의해 효과적으로 씻겨져 내려가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후사경(220) 및 측면유리(210)의 유리면에 동시에 분사되어진 워셔액은 후사경(220) 및 측면유리(210)의 표면에 매끄러운 코팅막을 형성시키게 됨으로서 먼지와 같은 각종 이물질이 쉽게 달라붙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기후변화가 심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유리면에 성애가 쉽게 끼이지 않게 되어 차량의 안전운행을 극대화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운전자가 좌측 후사경과 운전석 측면유리에만 워셔액이 분사되도록 할 경우 제2스위치만 눌러 좌측 후사경과 운전석 측면유리에만 워셔액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우측 후사경과 조수석 측면유리에만 워셔액이 분사되도록 할 경우 제3스위치만 눌러 우측 후사경과 조수석 측면유리에만 워셔액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장치에 적용되어진 워셔액 탱크(100)내에 담수되는 워셔액은 기존의 차량의 워셔액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성애제거, 물방울 맺힘 방지, 동결방지, 이물질 제거 등의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워셔액의 성분 중에서 계면활성의 효과는 유지하면서도 거품이 일어나지 않도록 된 워셔액을 적용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워셔액 탱크에 각각의 펌프를 구비하고 노즐관을 통하여 분사노즐에서 워셔액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전면유리와 후사경 및 측면유리에 뭍은 이물질이나 빗물 등을 깨끗이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분사노즐에 2개의 노즐 분사구를 구비하여 분사되는 워셔액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고, 후사경 지지부재에 이러한 분사노즐을 설치할 경우 주행중에도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워셔액을 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워셔액탱크(100)의 일측하단에 워셔액을 펌핑할 수 있도록 제1펌프(110)가 배치되고, 상기 제1펌프(110)의 토출구에는 제1노즐관(112)이 연결되어 그 선단에 결합되는 제1분사노즐(114)을 통하여 자동차의 전면유리(200)에 워셔액을 분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의 워셔액 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워셔액 탱크(100)의 하단에 제2펌프(120)와 제3펌프(13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펌프(120)와 제3펌프(130)끝단에 제2노즐관(122)과 제3노즐관(132)을 통하여 후사경(220)과 측면유리(210)에 각각 위치되도록 제2분사노즐(124)과 제3분사노즐(134)을 설치하여 이들 제2, 제3분사노즐(124)(134)로부터의 워셔액이 후사경(220)과 측면유리(210)에 분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사경과 측면윈도우의 습기 및 이물질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3분사노즐(124)(134)의 끝단에 각각 2개의 노즐 분사구가 설치되어 분사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3분사노즐(134)을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후사경 지지부재(150)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사경과 측면윈도우의 습기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2020000025151U 2000-09-04 2000-09-04 자동차 후사경과 측면유리의 습기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2002107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151U KR200210783Y1 (ko) 2000-09-04 2000-09-04 자동차 후사경과 측면유리의 습기 및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151U KR200210783Y1 (ko) 2000-09-04 2000-09-04 자동차 후사경과 측면유리의 습기 및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783Y1 true KR200210783Y1 (ko) 2001-01-15

Family

ID=73057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151U KR200210783Y1 (ko) 2000-09-04 2000-09-04 자동차 후사경과 측면유리의 습기 및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7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6021B2 (en) Windshield cleaner
KR200210783Y1 (ko) 자동차 후사경과 측면유리의 습기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9980087863A (ko) 자동차 후사경의 습기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9980010798U (ko) 전방유리 빗물 배수장치
KR100194193B1 (ko) 자동차 백미러용 물방울 제거장치
KR100447319B1 (ko) 와이퍼 암에 구비된 워셔액 분사 구조
KR200149669Y1 (ko) 자동차의 와셔액 분사압 조절장치
KR200312956Y1 (ko) 자동차 사이드미러와 차창의 물방울 제거장치
KR200144782Y1 (ko) 빗물제거장치가 설치된 승용차용 후사경
KR19980035452U (ko) 차량의 워셔액 분사장치
KR0166326B1 (ko) 자동차의 전면유리 빗물제거장치
JP2000351356A (ja) バックミラー用エアーワイパー
KR19980047991A (ko) 차량의 윈드 쉴드 글래스 먼지 제거장치
KR19990034930A (ko)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와이퍼
KR20140058072A (ko) 사이드미러 성애 방지 시스템
KR920005312Y1 (ko) 자동차의 도어글래스 웨더스트립(door glass weather strip)
KR19980046184U (ko) 차량용 와이퍼장치
KR19980036150A (ko) 자동차용 윈드 실드 와셔 노즐
KR980007742U (ko) 자동차 워셔장치
KR20000003866U (ko) 자동차용 워셔액 분사장치.
KR20010037971A (ko) 차량용 와이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47269U (ko) 자동차 와이퍼 와셔액 분사장치의 딜레이 구조
KR19980039241U (ko) 자동차의 윈드와셔 분사 구조
KR19980063872U (ko) 차량용 윈드실드 와셔 노즐
KR19980044288U (ko) 와셔분사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