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034Y1 - Rigidity reinforcement structure against side impact of passenger cars - Google Patents

Rigidity reinforcement structure against side impact of passenger ca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034Y1
KR200210034Y1 KR2019960045249U KR19960045249U KR200210034Y1 KR 200210034 Y1 KR200210034 Y1 KR 200210034Y1 KR 2019960045249 U KR2019960045249 U KR 2019960045249U KR 19960045249 U KR19960045249 U KR 19960045249U KR 200210034 Y1 KR200210034 Y1 KR 200210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upled
vehicle
floor
floo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5249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32427U (en
Inventor
최철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452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034Y1/en
Publication of KR199800324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42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034Y1/en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차량의 측면 충돌시 발생하는 차체 밀림량을 감소시켜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측면 충돌대비 강성보강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It is to provide a rigid reinforcement structure to the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to ensure the safety of the occupants by reducing the amount of body sliding generated during the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도어의 하측으로 외관을 이루는 아웃터 패널(3)과 아웃터 패널(3)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인너 패널(5)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실(1)과; 상기한 사이드 실(1)의 인너 패널(5)에 결합되어, 차량의 바닥을 형성하는 플로워 패널(7)과; 상기한 사이드 실(1)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한 플로워 패널(7)의 저면에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는 사이드 멤버(9)와; 상기한 사이드 실(1)과 사이드 멤버(9) 및 플로워 패널(7)이 이루는 공간에 위치하는 강성 보강부재로서 양측면은 사이드 실(1)과 사이드 멤버(9)에 결합되고, 상면은 플로워 패널(7)에 결합되는 지지 패널(15)과; 상기한 사이드 멤버(9)의 내측에 차폭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한 플로워 패널(7)의 저면에 결합되는 크로스 멤버(13)와; 상기한 지지 패널(15)과 사이드 멤버(9)와 크로스 멤버(13)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지지 패널(15)과 사이드 멤버(9)와 크로스 멤버(13)에 동시에 결합되는 보강 패널(20)을 포함하는 승용차량의 측면 충돌대비 강성보강 구조를 제공한다.A side seal 1 composed of an outer panel 3 forming an outer side of the door and an inner panel 5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outer panel 3; A floor panel 7 coupled to the inner panel 5 of the side seal 1 and forming a floor of the vehicle; A side member 9 maintained at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side seal 1 and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floor panel 7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Rigid reinforcing member locat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side seal 1, side member 9 and the floor panel 7, both sides are coupled to the side seal 1 and side member 9, the upper surface is the floor panel A support panel (15) coupled to (7); A cross member 13 position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inside the side member 9 and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floor panel 7; In order to reinforce the coupling force of the support panel 15, the side member 9, and the cross member 13, the reinforcement panel simultaneously coupled to the support panel 15, the side member 9, and the cross member 13 ( It provides a rigid reinforcement structure for the side impact of passenger vehicles, including 20).

Description

승용차량의 측면 충돌대비 강성보강 구조Rigidity reinforcement structure against side impact of passenger cars

본 고안은 승용차량의 측면 충돌대비 강성보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로워 패널 하부에 위치한 보강패널과 사이드 멤버 및 크로스 멤버의 결합력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차량의 측면 충돌시 차체의 밀림량을 감소시키는 보강 패널을 추가로 설치한 승용차량의 측면 충돌대비 강성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ffness reinforcement structure for a side collision of a passenger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strengthen the coupling force of the reinforcement panel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loor panel, the side member and the cross member, and at the same time, to reduce the amount of sliding of the vehicle body during the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ffening reinforcement structure against side impact of a passenger vehicle additionally equipped with a reducing reinforcement panel.

일반적으로, 차량의 충돌은 정면 충돌과 측면 충돌로 구분할 수 있으며, 차량의 정면 충돌에 대응하는 구조물로는 범퍼와 엔진룸에 개재된 각종 멤버와 패널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어느정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차량의 측면 충돌에 대응하는 구조물로는 도어와 센터필러 어셈블리와 사이드 실 등이 있으나 그들은 차실과 가까이 개재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측면 충돌 사고로부터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어렵다.In general, a collision of a vehicle can be classified into a frontal collision and a side collision, and the structures corresponding to the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are provided with various members and panels interposed in the bumper and the engine room, thereby ensuring some stability. However, the structures corresponding to the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include a door, a center pillar assembly and a side seal, but since they are located close to the vehicle compartment, it is difficult to safely protect the passengers from the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상기한 차량의 측면 충돌에 대응하는 구조물로는 사이드 실과 플로워 패널과 플로워 패널의 하부에 결합되는 사이드 멤버와 클로스 멤버등이 있다.The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side impact of the vehicle includes a side seal, a floor panel, a side member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loor panel, a cloth member, and the like.

또한, 차량의 측면 충돌에 대응하기 위하여 사이드 실과 클로스 멤버 사이에 지지 패널을 개재시키는 경우도 있다.In addition, a support panel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ide seal and the cloth member in order to cope with the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측면 충돌대비 강성보강 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면부호 101은 사이드 실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tiffness reinforced structure compared to the side impact according to the prior art, reference numeral 101 is a side seal.

상기한 사이드 실(101)은 도어의 하측으로 위치하며, 차량의 외관을 이루는 아웃터 패널(103)과 아웃터 패널(103)과 결합되어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인너 패널(105)을 포함한다. 상기한 사이드 실(101)의 내측으로는 차량의 바닥을 이루며, 사이드 실(101)의 인너 패널(105)에 결합되는 플로워 패널(107)이 개재된다.The side seal 101 is positioned below the door, and includes an outer panel 103 and an inner panel 105 that form a predetermined space by being combined with the outer panel 103 formin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Inside the side seal 101, there is a floor panel 107 that forms the bottom of the vehicle and is coupled to the inner panel 105 of the side seal 101.

상기한 플로워 패널(107)의 하측으로는 사이드 실(101)과 일정간격 떨어진 사이드 멤버(109)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위치한다.Below the floor panel 107, the side member 109 spaced apart from the side seal 10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s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상기한 사이드 멤버(109)는 일측이 개방되어 플렌지(111)를 형성한 "ㄷ"형 멤버로서 양단의 플렌지(111)는 플로워 패널(107)의 저면에 결합된다.The side member 109 is a "c" type member in which one side is opened to form the flange 111, and the flanges 111 at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panel 107.

상기한 사이드 멤버(109)의 내측으로는 플로워 패널(107)에 결합되는 크로스 멤버(113)가 개재된다.Inside the side member 109, a cross member 113 coupled to the floor panel 107 is interposed.

상기한 크로스 멤버(113)는 차폭 방향으로 길게 위치하는 상태로 플로워 패널(107)의 저면에 결합된다.The cross member 113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panel 107 in a state in which the cross member 113 is elongat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상기한 플로워 패널(107)과 사이드 실(101) 및 사이드 멤버(109)가 이루는 공간에는 차량의 측면 충돌에 대비한 지지 패널(115)이 개재된다.In the space formed by the floor panel 107, the side seal 101, and the side member 109, a support panel 115 prepared for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is interposed.

상기한 지지 패널(115)은 플로워 패널(107)과 사이드 멤버(109) 및 크로스 멤버(113)의 저면으로 결합된다.The support panel 115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loor panel 107, the side member 109, and the cross member 113.

상기한 지지 패널(115)은 양측면과 하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사이드 실(101) 측에서 사이드 멤버(109)측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다.The support panel 115 is formed to have both side surfaces and a bottom surface, and is formed to be narrowed from the side seal 101 side to the side member 109 side.

상기한 차량의 하부 측면 구조를 자세히 보면, 지지 패널(115)과 사이드 멤버(109) 및 크로스 멤버(113) 상호 결합구조는 그들의 접합면의 결합력만으로 되어 있다.Looking at the lower side structure of the vehicle in detail, the support panel 115 and the side member 109 and the cross member 113 mutual coupling structure are only the coupling force of their joint surfaces.

따라서, 차량의 측면충돌시에 그들의 결합부가 조기 파손되어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한다.Therefore, in the event of a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their engaging portions are prematurely damaged, so that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to the vehicle body cannot be sufficiently absorbed.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승용차량의 측면 충돌대비 강성보강 구조는 플로워패널의 하부에 위치한 지지 패널과 사이드 멤버 및 크로스 멤버들의 상호 결합력이 약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력에 차체 하부의 사이드가 쉽게 밀려서,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iffness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side impact of the conventional passenger vehicle has a low mutual coupl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panel, the side members and the cross member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loor panel, so that the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body is easily affected by the impact force generated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side. Pushed back,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guarantee the safety of the occupant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측면 충돌시 가해지는 충격력을 차량의 측면 하부에서 충분히 흡수하고, 차체 밀림량을 감소시켜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측면 충돌대비 강성보강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fficiently absorb the impact force applied during the side impact of the vehicle from the lower side of the vehicle, and to reduce the amount of vehicle body sliding, the occupant's safety It is to provide a stiffness reinforcement structure for the side collision of a vehicle so as to ensure the safety.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도어의 하측으로 외관을 이루는 아웃터 패널과 아웃터 패널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인너 패널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실과; 상기한 사이드 실의 인너 패널에 결합되어, 차량의 바닥을 형성하는 플로워패널과; 상기한 사이드 실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한 플로워 패널의 저면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사이드 멤버와; 상기한 사이드 실과 사이드 멤버 및 플로워 패널가 이루는 공간에 위치하는 강성 보강부재로서 양측면은 사이드 실과 사이드 멤버에 결합되고, 상면은 플로워 패널에 결합되는 지지 패널과; 상기한 사이드 멤버의 내측에 차폭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한 플로워 패널의 저면에 결합되는 크로스 멤버와; 상기한 지지 패널과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지지 패널과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에 동시에 결합되는 보강 패널을 포함하는 승용차량의 측면 충돌대비 강성보강 구조를 제공한다.In order to realiz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seal comprising an outer panel forming an outer side of the door and an inner panel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outer panel; A floor panel coupled to the inner panel of the side seal and forming a floor of the vehicle; A side member which maintains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side seal and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panel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 rigid reinforcing member positioned in a space formed by the side seal, the side member, and the floor panel, both sides of which are coupled to the side seal and the side member, and an upper surface of which is coupled to the floor panel; A cross member positioned inside the side member in a vehicle width direction and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floor panel; In order to reinforc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panel and the side member and the cross member, it provides a stiffening reinforcement structure for the side collision of the passenger vehicle including a reinforcement panel coupled to the support panel and the side member and the cross member at the same time.

상기한 승용차량의 측면 충돌대비 강성보강 구조는 추가로 설치된 보강 패널이 지지 패널과 사이드 멤버와 크로스 멤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보강 패널 자체가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는 강성을 갖는다.The stiffness reinforcement structure for the side collision of the passenger vehicle further has a rigidity that the reinforcement panel further installed to strengthen the bonding force of the support panel and the side member and the cross member, the reinforcement panel itself can absorb the impact force.

제 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의 골조도.1 is a skeleton diagram of a vehic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측면 충돌대비 강성보강 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ide collision-resistant stiffen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ing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4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측면 충돌대비 강성보강 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tiffness reinforcement structure compared to the side collis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사이드 실 3 : 아웃터 패널1: side seal 3: outer panel

5 : 인너 패널 7 : 플로워 패널5: inner panel 7: floor panel

9 : 사이드 멤버 11 : 플렌지9: side member 11: flange

13 : 크로스 멤버 15 : 지지 패널13: cross member 15: support panel

20 : 보강 패널20: reinforcement pane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반적으로, 승용차량의 측면 충돌에 대응하는 구조물로는 사이드 실과 플로워 패널과 플로워 패널의 하부에 결합되는 사이드 멤버와 클로스 멤버등이 있다.In general, the structures corresponding to the side impact of the passenger vehicle include a side seal, a floor panel, and a side member and a cloth member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loor panel.

또한, 차량의 측면 충돌에 대응하기 위하여 사이드 실과 클로스 멤버 사이에 지지 패널을 개재시키는 경우도 있다.In addition, a support panel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ide seal and the cloth member in order to cope with the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는 차량의 골조도로서 도면부호 9는 사이드 멤버이다.1 is a skeleton diagram of a vehic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nd reference numeral 9 is a side member.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측면 충돌대비 강성보다 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탄낸 단면도로서 화살표 방향은 충격력이 가해지는 방향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engagement of the structure rather than the stiffness of the side imp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direction of the arrow is a direction in which the impact force is applied.

상기한 사이드 실(1)은 도어의 하측으로 위치햐며, 차량의 외관을 이루는 아웃터 패널(3)과 아웃터 패널과 결합되어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인너 패널(5)을 포함한다.The side seal 1 is positioned below the door and includes an outer panel 3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nd an inner panel 5 that is coupled to the outer panel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상기한 사이드 실(1)의 내측으로는 차량의 바닥을 이루며, 사이드 실(1)의 인너 패널(5)에 결합되는 플로워 패널(7)이 개재된다.Inside the side seal 1, there is a floor panel 7 that forms the bottom of the vehicle and is coupled to the inner panel 5 of the side seal 1.

상기한 플로워 패널(7)의 하측으로는 사이드 실(1)과 일정간격 떨어진 사이드 멤버(9)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위치한다.Below the floor panel 7, the side member 9 spaced apart from the side seal 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s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상기한 사이드 멤버(9)는 일측이 개방되어 플렌지(11)를 형성한 "ㄷ"형 멤버로서 양단의 플렌지(11)는 플로워 패널(7)의 저면에 결합된다.The side member 9 is a "c" type member having one side open to form a flange 11, and the flanges 11 at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panel 7.

상기한 사이드 멤버(9)의 내측으로는 플로워 패널(7)에 결합되는 크로스 멤버(13)가 개재된다.Inside the side member 9 described above, a cross member 13 coupled to the floor panel 7 is interposed.

상기한 크로스 멤버(13)는 사이드 멤버와 같이 일측이 개방되어 플렌지를 형성한 "ㄷ"형 멤버로서 측면 양단에 플렌지는 플로워 패널(7)의 저면에 결합된다.The cross member 13 is a " c " type member in which one side is opened to form a flange like the side member, and the flanges are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panel 7 at both ends.

상기한 플로워 패널(7)과 사이드 멤버(9) 및 크로스 멤버(13)가 이루는 공간에는 차량의 측면 충돌에 대비한 지지 패널(15)이 개재된다.In the space formed by the floor panel 7, the side member 9, and the cross member 13, the support panel 15 is prepared for the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상기한 지지 패널(15)은 플로워 패널(7)과 사이드 멤버(9) 및 크로스 멤버(13)의 저면으로 결합되며, 결합부위는 플렌지를 형성한다.The support panel 15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floor panel 7, the side member 9, and the cross member 13, and the coupling portion forms a flange.

상기한 지지 패널(15)은 양측면과 하면이 일체로 형성되며, 사이드 실(1) 측에서 사이드 멤버(9) 측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Both sides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anel 15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support panel 15 is formed in a shape narrowing from the side seal 1 side to the side member 9 side.

상기한 지지 패널(15)과 사이드 멤버(9)와 크로스 멤버(13)의 하부에는 차량의 측면 충돌시 가해지는 충격력에 대응하기 위한 보강 패널(20)이 개재된다.A reinforcement panel 20 is disposed below the support panel 15, the side member 9, and the cross member 13 to cope with the impact force applied during the side collision of the vehicle.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전방은 사이드 멤버와 결합되고, 후방은 크로스 멤버와 결합된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inforcing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is coupled to the side member, the rear is coupled to the cross member.

상기한 보강 패널(20)은 일체로 형성된 판재로서, 일정한 폭을 갖는 하면(22)과 하면의 양측으로 수직 연장되어 형성된 측면(24)을 갖는다.The reinforcement panel 20 is a plate formed integrally, and has a lower surface 22 having a constant width and a side surface 24 extending vertically to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상기한 보강 패널(20)에는 사이드 멤버(9)가 중앙부에 결합되고, 전, 후방에는 지지 패널(15)과 크로스 멤버(13)가 결합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The side member 9 is coupl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reinforcement panel 20, and the front and rear sides thereof have a length to which the support panel 15 and the cross member 13 can be coupled.

상기한 보강 패널(20)은 사이드 멤버(9)와 결합되는 부위에 플렌지(26)를 형성하고, 크로스 멤버(13)와 결합되는 상단부(28)에도 플렌지(26)가 형성된다.The reinforcement panel 20 forms a flange 26 at a portion coupled to the side member 9, and a flange 26 is formed at an upper end portion 28 coupled to the cross member 13.

상기한 보강 패널(20)은 지지 패널(15)의 양측면과 크로스 멤버(13)의 양측면을 감싸는 형사으로 결합된다.The reinforcement panel 20 is coupled to detect both sides of the support panel 15 and both sides of the cross member 13.

상기한 보강 패널(20)의 결합상태를 자세히 살펴보면, 전방은 지지 패널(15)의 외측면에 끼워져 결합되고, 후방 또는 크로스 멤버(13)의 외측면에 끼워져 결합되며, 중앙부는 사이드 멤버(9)의 양측면과 하면에 결합된다.Looking at the coupling state of the reinforcement panel 20 in detail, the front is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anel 15 is coupled, the rear or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ross member 13, the central portion is the side member (9) It is coupled to both sides and the bottom of).

이와 같이 구성되는 승용차량의 측면 충돌대비 강성보다 구조에 측면 충돌이 발생하면, 사이드 실(1)이 차량의 내측으로 밀려들며 1차로 충격력을 흡수하고, 플로워 패널(7)과 지지 패널(15)에 잔류 충격력이 작용하게 되어, 그 들은 다시 2차로 충격력을 흡수하게 되고, 나머지 잔류 충격력은 사이드 멤버(9)와 크로스 멤버(13)에 순차적으로 충격력을 가하게 되며, 그로 인하여 사이드 멤버(9)와 크로스 멤버(13)는 변형을 일으키며 3차로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When a side collision occurs in the structure rather than the rigidity of the side collision of the passenger vehic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ide seal 1 is pushed into the inside of the vehicle to absorb the impact force primarily, and the floor panel 7 and the support panel 15 are absorbed. Residual impact force acts on them, and the second impact force is absorbed again, and the remaining residual impact force is applied to the side member 9 and the cross member 13 in sequence, thereby causing the side member 9 and The cross member 13 deforms and absorbs the impact force in a third order.

이때, 강한 충격력으로 인하여 플로워 패널(7) 하부의 각 파트 결합부위는 조기 파손 되려하는 경향이 있으며 노후화 된 차량은 그 정도가 심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지지 패널(15)과 사이드 멤버(9)와 크로스 멤버(13)의 결합을 보강하는 보강패널(20)이 결합되어, 각 파트의 조기 파손을 방지한다.At this time, due to the strong impact force, each part coupling portion under the floor panel 7 tends to be damaged prematurely, and the deteriorated vehicle is severe enough, an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the support panel 15 and the side member 9 and The reinforcement panel 20 for reinforcing the engagement of the cross member 13 is coupled to prevent premature failure of each part.

상기한 보강 패널(20)은 각 파트의 결합력을 보강할 뿐 아니라, 자체 강성으로 충격력을 흡수하여 차체 밀림량을 줄여준다.The reinforcement panel 20 not only reinforces the bonding force of each part, but also absorbs the impact force by its rigidity,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vehicle body slip.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량의 측면 충돌대비 강성보강 구조는 차량의 측면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력에도 국부적인 파손을 일으키지 않고 보다 많은 충격량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Rigidity reinforcement structure compared to the side impact of the passenger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nd acting as described above can absorb more impact amount without causing local damage to the impact force generated during the side impact of the vehicle, thereby making the occupant safer. I can protect it.

Claims (2)

도어의 하측으로 외관을 이루는 아웃터 패널(3)과 아웃터 패널(3)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인너 패널(5)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실(1)과, 상기한 사이드 실(1)의 인너 패널(5)에 결합되어, 차량의 바닥을 형성하는 플로워 패널(7)와, 상기한 사이드 실(1)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한 플로워 패널(7)의 저면에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는 사이드 멤버(9)와, 상기한 사이드 실(1)과 사이드 멤버(9) 및 플로워 패널(7)이 이루는 공간에 위치하는 강성 보강부재로서 양측면은 사이드 실(1)과 사이드 멤버(9)의 내측에 차폭 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한 플로워패널(7)의 저면에 결합되면 크로스 멤버(13)와, 상기한 지지 패널(15)과 사이드 멤버(9)와 크로스 멤버(13)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지지 패널(15)과 사이드 멤버(9)와 크로스(13)에 동시에 결합되는 보강 패널(20)을 포함하는 승용차량의 측면 충돌대비 강성보강 구조.A side seal 1 composed of an outer panel 3 forming an outer side of the door and an inner panel 5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panel 3, and the inner panel 5 of the side seal 1. A side panel coupled to the floor panel 7 to form a floor of the vehicle and at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side seal 1, and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floor panel 7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9) and the rigid reinforcement member locat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side seal 1, the side member 9, and the floor panel 7, both side surfaces of the side seal 1 and the side member 9 are located inside. Locat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when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or panel 7 to enhance the coupling force of the cross member 13, the support panel 15, the side member 9 and the cross member 13; Reinforcement panel 2 simultaneously coupled to support panel 15 and side member 9 and cross 13 Rigidity reinforcement structure against side impact of passenger vehicles including 0). 제1항에 있어서, 보강 패널(20)의 전방은 지지 패널(15)의 양측면과 하면에 결합되고, 중앙부는 사이드 멤버(9)에 결합되며, 후방은 크로스 멤버(13)의 양측면과 하면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량의 측면 충돌대비 강성보강 구조.The front of the reinforcing panel 20 is coupled to both side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anel 15, the center portion is coupled to the side member 9, the rear portion is to both side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ross member (13). Rigid reinforcement structure against side impact of passenger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KR2019960045249U 1996-12-03 1996-12-03 Rigidity reinforcement structure against side impact of passenger cars KR20021003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249U KR200210034Y1 (en) 1996-12-03 1996-12-03 Rigidity reinforcement structure against side impact of passenger ca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249U KR200210034Y1 (en) 1996-12-03 1996-12-03 Rigidity reinforcement structure against side impact of passenger ca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427U KR19980032427U (en) 1998-09-05
KR200210034Y1 true KR200210034Y1 (en) 2001-02-01

Family

ID=5398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5249U KR200210034Y1 (en) 1996-12-03 1996-12-03 Rigidity reinforcement structure against side impact of passenger ca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034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427U (en)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0204A (en) Body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US5653495A (en) Reinforced door aperture frame for reducing deformation from offset collisions
JPS6218492Y2 (en)
KR200210034Y1 (en) Rigidity reinforcement structure against side impact of passenger cars
KR200143784Y1 (en) Side space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car
KR100381250B1 (en) Door for a motor vehicle
KR100309612B1 (en) High rigidity structure of sill side for vehicle
KR200146703Y1 (en) Car door structure
KR200197875Y1 (en) The reinforcement structure of rear member
JP2008012932A (en)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automobile
KR100204509B1 (en) Structure of door reinforcement for a car
KR0184173B1 (en) Side sill reinforcing structure of a car
KR200149826Y1 (en) Rear side sill of automobile
KR970002212Y1 (en) A reinforcement structure of sides body of 3-door automobile
KR0129215Y1 (en) Impact reinforcement door for a car
KR0128313Y1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side sill member for an automobile
KR970003662Y1 (en) A center pillar structure of a car
KR100204510B1 (en) Structure of door reinforcement for a car
KR100410924B1 (en) Door having a high stiffness in a motor vehicle
KR19980042048U (en) Rigid Structure Under Door for Passenger Vehicle
KR200197871Y1 (en) Center piller for vehicle
KR200149568Y1 (en) Side sill reinforcement structure of automobile
KR0132798Y1 (en) Reinforcement for floor panel of a car
KR200201345Y1 (en) Floor side member mounting structure for automobile
KR200145816Y1 (en) A car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