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922Y1 -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922Y1
KR200209922Y1 KR2020000020665U KR20000020665U KR200209922Y1 KR 200209922 Y1 KR200209922 Y1 KR 200209922Y1 KR 2020000020665 U KR2020000020665 U KR 2020000020665U KR 20000020665 U KR20000020665 U KR 20000020665U KR 200209922 Y1 KR200209922 Y1 KR 200209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wiring
assembly
cover
wiring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6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복
Original Assignee
세일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일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일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06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9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922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조물내에 배선되는 케이블을 가지런히 정리, 보호하는 케이블 배선용덕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건물내의 전원선, 통신선 같은 케이블을 배선함에 있어서,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는 배선용덕트(10)와 조립부재(20)로 되고, 상기 배선용 덕트(10)는 구조물의 바닥에 시공하는 바닥배선용 덕트(30)와 구조물의 벽면에 시공하는 벽면배선용 덕트(40)로 구성되며, 조립부재(20)는 배선용덕트(10)와 배선용덕트(10)가 연결되는 연결부에 시공되는 덕트 연결부재(50), 배선용덕트(10)로부터 분기되는 위치에 시공되는 덕트 분기부재(60), 구조물의 모서리 부위에 시공되는 모서리부재(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고안은 전기 및 통신선 같은 각종 케이블의 배선용 덕트의 내측면이 2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따로 배선될 수 있게 함으로써 케이블간의 간섭이나 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며, 그 배선상태나 외관이 미려하고, 작업성도 크게 향상되게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 {Cable Duct Assembly}
본 고안은 건물내에 배선되는 각종 케이블을 가지런하게 정리하는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및 통신선 같은 각종 케이블이 배선되는 배선용덕트의 구조 개선으로 케이블간의 간섭이나 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게하고, 시공이나 배선상태 및 외관이 미려하고, 작업성도 크게 향상되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의 경우 각종 통신장비와 전기, 전자기기의 경우 전기선과 통신선 같은 유선 케이블을 필요로 하였고, 이들은 케이블은 별도의 배선용덕트를 이용하여 가지런하게 정리 정돈시키도록 되어 있다.
배선용덕트는 접착테이프와 같은 고정수단이 구비된 트레이에 커버가 결착되는 것으로 케이블은 트레이와 커버의 내측으로 배선하게 된다.
그렇지만 케이블의 용량과 용도가 서로 상이한 경우, 예를 들어 전력의 공급을 위한 전기선과 통신기기의 통신선도 하나의 케이블 덕트에 함께 배선되는 관계로 이들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전류파의 간섭으로 음량, 화상이 불안정하거나 노이 즈를 발생하는 등의 원인이 되었다.
특히 배선용덕트와 덕트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와 이들로부터 분기되는 분기점, 건물의 모서리부위의 마감 상태가 매끄럽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은 배선용덕트가 가지는 구조적인 문제에서 비롯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배선용덕트와 덕트가 연결되는 연결부와 분기되는 분기점, 모서리 부위를 커버할 수 있는 마감부재가 구비되지 않아 시공상태가 불안전하고 외관도 미려하지 않음으로써 야기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건물내의 전선, 통신선 등과 같은 케이블이 배선되는 배선용덕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용량과 용도가 각기 다른 케이블이 서로 구분되게 배선될 수 있게 하여 케이블간의 간섭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배선용덕트가 연결되는 연결부 및 분기점이나 모서리부의 마감 처리가 보다 더 매끄럽게 마무리되고, 케이블의 배선 상태가 양호하게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하여 구성 및 작용 효과 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케이블이 배선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바닥배선용 덕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벽면배선용 덕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덕트 연결부재의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덕트 분기부재의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모서리부재 및 벽면배선용 덕트에 콘센트가 부설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배선용덕트 20: 조립부재
30: 바닥배선용 덕트 32: 고정수단
34,44: 트레이 35,45a,45b: 격판
36,46a: 결착홈 37,47: 커버
38: 조립돌기 40: 벽면배선용 덕트
41: 스페이서 43: 고정구
48: 고정부 49: 조립돌기
50: 덕트 연결부재 60: 덕트 분기부재
70: 모서리부재 80: 바닥
90: 벽면 A,B,a,b: 공간
C: 케이블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케이블이 배선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고안의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는 배선용덕트(10)와 이들 배선용덕트(10)와 함께 사용되는 조립부재(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선용 덕트(10)는 구조물의 바닥쪽으로 배선되어지는 케이블을 시공하는 바닥배선용 덕트(30)와 구조물의 벽면으로 배선되어지는 케이블을 시공하는 벽면배선용 덕트(40)로 구성되며, 조립부재(20)는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배선용덕트(10)의 연결부에 시공되는 덕트 연결부재(50)와, 배선용덕트(10)로부터 분기되는 위치에 시공되는 덕트 분기부재(60), 구조물의 모서리 부위에 시공되는 모서리부재(70)로 이루어지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바닥배선용 덕트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바닥배선용 덕트(30)는 저부에 부설되는 고정수단(32)에 의해 바닥(80)에 고정되는 트레이(34)와 상기 트레이(34)에 결착되는 커버(37)로 구성되고, 상기 트레이(34)의 내측에는 그 내부공간을 2개 이상으로 구획하는 격판(35)이 부설되며 상기 격판(35)의 선단에는 트레이(34)와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결착홈(36)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트레이(34)에 결착되는 커버(37)는 트레이(34)의 양측단부를 충분히 덮을 수 있는 크기로 되고, 그 내측에는 커버(37) 몸체와 동일한 방향으로 하향돌출되는 조립돌기(38)가 구비되어 상기 결착홈(36)에 조립돌기(38)를 결합 및 해지시키는 구성에 의해 커버(37)가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바닥배선용 덕트(30)는 그 내측면이 격판(35)에 의해 2개 이상으로 구획되는 공간(A,B)이 형성하고 있어 이들 공간(A,B)에 케이블(C)의 종류와 용량에 따라 상호 구분되게 배선이 가능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벽면배선용 덕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벽면배선용 덕트(40)는 벽면(90)에 고정되는 트레이(44)와 상기 트레이(44)에 결착되는 커버(47)로 구성되고, 상기 트레이(44)는 별도의 나사못과 같은 고정구(43) 또는 이와 유사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트레이(44)의 내측에는 격판(45a)(45b)이 부설되고, 트레이(44)의 양쪽면에는 걸림턱(42a)이 구비된 걸림편(42)과 결착홈(46a)이 형성된 커버고정부(46)가 구비되어 커버(47)를 고정할 수 있게 하였다.
커버(47)는 트레이(44)의 한쪽면(상면부)을 감싼 상태에서 그 전면부까지 막을 수 있는 구조로 되며, 그 내측면에는 트레이(44)의 걸림편(42)과 결착홈(46a)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부(48)와 조립돌기(49)가 구비되어 있다.
이처럼 벽면배선용 덕트(40)도 바닥배선용 덕트(30)와 동일하게 내측면이 최소한 2개 이상으로 구획되는 공간(a,b)을 형성하고 있어 이들 공간(a,b)에는 케이블(C)의 종류와 용량에 따라 상호 구분되게 배선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벽면배선용 덕트(40)는 구조물의 바닥(80)과 근접되는 벽면(90) 하부측에 위치하도록 시공하게 되므로 전선을 보호하는 주된 목적 이외에 벽면의 하부를 장식하는 걸레받이의 기능을 함께 겸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벽면배선용 덕트(40)는 적절한 안료를 혼합하여 색채의 다양성을 부각하면 전선류를 분리하는 기능 외에 걸레받이가 지니는 미감도 충족시킬 수 있 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벽면배면용 덕트(40)의 하부측(벽면(90)에 고정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그 바닥(80)쪽으로 향하는 면)에 삽입되는 별도의 스페이서(41)가 구비되어 상기 스페이서(41)가 벽면배선용 덕트(4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이격되게 하여 바닥(80)면에 물이 엎질러지더라도 벽면배선용 덕트(40)의 하부측이 물에 잠기는 것을 예방하고 있다.
상기 스페이서(41)는 신축성과 탄성을 가지는 고무 소재로 구성되어 벽면에 시공되는 벽면배선용 덕트(40)와 구조물 바닥(80) 사이에 삽입시 상기 스페이서(41)가 커버(47)가 결합되는 커버고정부(46)의 외주면을 밀어내는 압압력이 작용하게 하여 결착홈(46a)에 결합되는 결합돌기(49)와의 결합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같은 상기 스페이서(41)는 벽면배선용 덕트(40)의 트레이(44) 저부에 일체로 접착되는 구조이어도 무방하지만, 도시하는 바와같이 트레이(44)의 길이방향으로 가공되는 결합홈(44a)을 따라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44)와의 접촉면 상에 결합돌기(41a)를 돌설한 분리형의 스페이서(41)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분리형을 구조를 취하게 됨으로서 시공부위의 바닥면 굴곡정도나 사용용도에 따라 적합한 높이를 갖는 스페이서(41)를 선택적으로 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해 진다.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덕트 연결부재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덕트 연결부재(50)는 배선용덕트(30 또는 40)와 인접되는 또 다른 배선용덕트(30 또는 40)의 연결부위에 결합되어 좌, 우 또는 상, 하방향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덕트 연결부재(50)는 각각의 배선용 덕트(30 또는 40)의 커버(37 또는 47)와 동일한 것으로, 다만 덕트 연결부재(5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각각의 트레이(34 또는 44)의 결착홈(36 또는 46a)에 결합되는 조립돌기(54)는 배선용덕트의 조립돌기(38)의 길이(T)에 트레이와 결합되는 커버(37)의 두께(t)를 더한 길이(L)만큼 하부측으로 연장되게 형성하고, 커버와 포개어지는 양쪽날개(55a,55b) 또한 커버의 두께(t)만큼 하부측이 연장되는 길이로 되는 점이 다르다.
덕트 연결부재(50)는 양쪽날개부위(55a,55b)는 덕트 연결부재(50)가 결합되는 양쪽 커버(37,47)의 상면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하여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덕트 분기부재(6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면배선용 덕트(40)로부터 바닥배선용 덕트(30)로 분기되는 위치에 조립되어 이들 분기부위가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덕트 분기부재(60)는 벽면배선용 덕트(40)의 커버(47)와 동일한 형태로 된 수직고정부(61)와 바닥배선용 덕트(30)의 커버(37)와 동일한 형태로 된 수평고정부(65)가 서로 직교되게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고, 양기 고정부(61)(65)는 이들과 결합되는 커버(37,47)의 상면 일부와 포개어지도록 되고, 그 내측면에는 고정부(63)와 조립돌기(67)가 구비되어 트레이(34,44)에 결합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덕트 분기부재(60)는 각각의 배선용덕트(30,40)의 커버(37,47) 위에 포개어지도록 결합되는 것이므로 이들이 포개어지는 커버의 두께(t)만큼 양쪽 선단을 하부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커버(37,47)의 선단과 동일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처럼 덕트 분기부재(60)는 벽면배선용 덕트(40)와 바닥배선용 덕트(30)가 교차하는 분기지점을 감싸주므로 외관이 부드럽게 마감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구조물의 벽면 모서리에 시공되는 벽면배선용 덕트와 인접되는 또 다른 덕트가 모서리부재에 의해 조립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모서리부재(70)는 벽면배선용 덕트(40)의 커버(47)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좌,우고정부(72,73)가 서로 직교되는 구성으로 되고, 모서리부재(70)의 내측면에는 도 3의 트레이(44)의 걸림편(42)과 결착홈(46a)에 각각 결합되도록 된 고정부와 조립돌기가 구비되어 이들 고정부와 조립돌기가 트레이(44)의 걸림편(42)과 결착홈(46a)에 각각 결합되는 구성에 의해 조립되도록 하였다.
상기 모서리부재(70)는 벽면(90)을 따라 배선되는 벽면배선용 덕트(40)와 인접되는 덕트(40)가 서로 직교되는 모서리부위에서의 미려한 외관을 보장받을 수 있게 하였다.
도 6에는 또한, 모서리부재(70)와 함께, 벽면배선용 덕트(40)에 통신기기나 전기기구의 플러그가 결합될 수 있도록 콘센트(100)를 취부한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의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는 적절한 유연성을 가진 폴리에스테르, 합성 아크릴수지, PVC, 라미네이티드 폴리에스테르(Laminated Polyester) 소재를 사용하거나 내마모성이 양호한 천연고무와 합성고무의 배합소재로 제작 성형하여 유연성을 가질 수 있게 하면 다소 불균형한 벽이나 바닥에도 어느 정도 굴곡을 줄 수 있고 절단이 용이하여 설치에 따른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는 먼저, 케이블을 배선하고자 하는 위치에 벽면배선용 덕트(30)의 트레이(34)를 바닥(80)에 고정시킨 다음 트레이(34)의 내측으로 케이블이 수납되게 밀어 넣은 상태에서 커버(37)를 결합하여 배선상태를 확정한다.
이때 덕트(30)의 양쪽 공간(A,B)에는 각각의 전기선과 통신선과 같은 케이블(c)이 서로 구분되게 수장한다.
그리고 일정 단위 길이로 되는 하나 이상의 배선용덕트(30)를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시공하고자 할 때는 커버(37)의 전체 길이는 바닥에 고정되는 트레이(34,44)의 전체 길이보다 다소 짧게 형성한다.
그리하면 커버(37)와 커버(37) 사이에는 연결부재(50)가 조립될 수 있는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공간으로 연결부재(50)가 끼워질 수 있게 조립하여 연결부재의 일부가 트레이에 결합되는 양쪽 커버의 외주면으로 포개어지도록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바닥배선용 덕트(30)를 모두 시공한 후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벽면배선용 덕트(40)도 시공한다. 상기한 것에 있어 벽면배선용 덕트(40)를 먼저 시공한 후 바닥배선용 덕트(30)를 시공하는 수순은 작업 진행정도에 따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벽면배선용 덕트(40)를 시공할 때는 그 하부측으로 탄성부재(41)를 삽입하여 벽면배선용 덕트(40)가 탄성부재의 높이만큼 지면으로 이격되게 하여 바닥으로 엎질러진 물이 벽면배선용 덕트(40)의 내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덕트를 시공함에 있어 벽면(90)과 바닥(80)이 서로 교차하는 지점 즉 케이블(C)이 분기되는 곳은 분기부재(60)를 이용하여 외관이 미려하도록 시공한다.
분기부재(60)를 이용하여 덕트에 조립할 때는 수평고정부(65)쪽을 위쪽방향으로 약간 들어올려 수직고정부(61)의 고정부(63)가 벽면배선용 덕트(40)의 걸림편(42)에 끼워질 수 있도록 가조립한 상태에서 수평고정부(65)의 조립돌기(67)가 바닥배선용 덕트(30)의 결착홈(36)에 결합될 수 있도록 눌러 조립한다.
그리하면 수평고정부(65)와 수직고정부(61)의 양쪽선단은 각각의 커버 위로 일부가 겹치지며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은 수순을 통해 분기부재(60)를 이용하여 케이블이 분기되는 지점마다 차례로 시공한다.
또한 벽면배선용 덕트(40) 끼리 서로 만나는 모서리부위는 본 고안의 모서리부재(70)를 이용하면 모든 배선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는 건물내의 전선, 통신선의 배선에 완벽을 기할 수 있고, 작업 특성에 따라 다양한 마감부재를 구비하고 있어 배선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외관 또한 미려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벽면배선용 덕트는 케이블의 배선 이외에도 걸레받이의 기능을 함께 병행할 수 있어 따로 걸레받이를 시공하는데 따른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게 된다.
배선용 덕트는 그 내측면이 최소한 2개 이상으로 공간으로 구획되고 있어 전기선이나 통신선이 상호 구분되게 배선이 가능하여 케이블간의 간섭이나 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는 반복사용이 가능하여 반영구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배선 위치 또한 사용자가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8)

  1. 건물내의 전원선, 통신선 같은 케이블을 배선함에 있어서,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는 배선용덕트(10)와 조립부재(20)로 되고,
    상기 배선용 덕트(10)는 구조물의 바닥에 시공하는 바닥배선용 덕트(30)와 구조물의 벽면에 시공하는 벽면배선용 덕트(40)로 구성되며,
    조립부재(20)는 배선용덕트(10)와 배선용덕트(10)가 연결되는 연결부에 시공되는 덕트 연결부재(50), 배선용덕트(10)로부터 분기되는 위치에 시공되는 덕트 분기부재(60), 구조물의 모서리 부위에 시공되는 모서리부재(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바닥배선용 덕트(30)는, 격판(35)에 의해 내측면이 2개 이상의 공간(A,B)으로 구획되고 상기 격판(35)의 선단에 결착홈(36)이 구비된 트레이(34)와, 상기 결착홈(36)에 결합되는 조립돌기(38)를 갖는 커버(3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벽면배선용 덕트(40)는, 격판(45a)(45b)에 의해 최소한 2개이상의 공간(a,b)으로 구획되고 양쪽에는 걸림턱(42a)이 구비된 걸림편(42)과 결착홈(46a)이 구비된 커버고정부(46)가 형성된 트레이(44)와, 상기 걸림편(42)과 결착홈(46a)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부(48)와 조립돌기(49)가 형성된 커버(4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벽면배면용 덕트(40)에는 벽면배선용 덕트(4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이격시키도록 된 스페이서(41)가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41)는 고무 소재로 되어 커버고정부(46)의 외주면을 밀어내는 압압력이 작용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41)는 트레이(44)의 길이방향으로 가공되는 결합홈(44a)을 따라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이(44)와의 접촉면 상에 결합돌기(41a)를 돌설한 분리형의 구조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배선용덕트(10)를 연결하는 덕트 연결부재(50)는 그 내측에 결착홈(36 또는 46a)과 결합되는 조립돌기(54)가 형성되고 상기 조립돌기(54)는 커버(37 또는 47)의 두께(t)만큼 더 길게 연장되는 길이(L)로 구성하여 양쪽날개부위(55a,55b)가 양쪽 커버(37,47)의 상면으로 일부가 포개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덕트 분기부재(60)는 배선용덕트(30,40)의 커버(34,47)를 감싸는 수직고정부(61)와 수평고정부(65)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61,65)에는 각각의 트레이(34,44)에 결합되어지는 고정부(63)와 조립돌기(67)는 커버(37,47)의 두께(t)만큼 길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부재(70)는 벽면배선용 덕트(40)의 커버(47)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좌,우고정부(72,73)가 서로 직교되는 구조로 되고, 그 내측에는 트레이(44)의 걸림편(42)과 결착홈(46a)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부와 조립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
KR2020000020665U 2000-07-19 2000-07-19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 KR200209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665U KR200209922Y1 (ko) 2000-07-19 2000-07-19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665U KR200209922Y1 (ko) 2000-07-19 2000-07-19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328A Division KR100381218B1 (ko) 2000-07-19 2000-07-19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922Y1 true KR200209922Y1 (ko) 2001-01-15

Family

ID=7308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665U KR200209922Y1 (ko) 2000-07-19 2000-07-19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9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684B1 (ko) * 2003-04-11 2006-05-29 강은숙 전선 수납이 가능한 전선수납용 몰딩
KR101079045B1 (ko) 2008-10-17 2011-11-02 주식회사 성영루디스 돌출형 패널디스플레이를 구비한 김치저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684B1 (ko) * 2003-04-11 2006-05-29 강은숙 전선 수납이 가능한 전선수납용 몰딩
KR101079045B1 (ko) 2008-10-17 2011-11-02 주식회사 성영루디스 돌출형 패널디스플레이를 구비한 김치저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2820E (en) Electric cord holder assembly
US4530865A (en) Cable protection device
US5535787A (en) Flexible cable holder
US4563542A (en) Electric cord holder assembly
KR100381218B1 (ko)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
KR200209922Y1 (ko) 케이블 배선용 덕트 어셈블리
KR102285484B1 (ko) 케이블 몰드
US20200040576A1 (en) Transparent sheets with connection members
CN205296750U (zh) 一种踢脚线
CN204681024U (zh) 电工拼装接线盒
CN216664867U (zh) 一种角码连接的踢脚板
US9800003B1 (en) Standing structure for shell of extension cord
CN105971248A (zh) 可大容量布线的踢脚线及其组装方法
US4583802A (en) Decoration board for electric wire laid
KR200214704Y1 (ko) 배선 덕트
JPH0260003A (ja) 電気コード
KR0137748Y1 (ko) 철판 칸막이용 건축 판넬
CN219825985U (zh) 一种易于安装的踢脚线组件
KR102567945B1 (ko) 케이블 몰드의 연결장치
CN204385969U (zh) 角柱连接结构及具有其的可拆卸箱式房屋
CA1235410A (en) Electric cord holder connecting element
GB2152768A (en) Decoration housing for electric wires
KR0136682Y1 (ko) 다목적 배선몰드
CN217590121U (zh) 一种封闭式便捷施工线盒
KR200423626Y1 (ko) 칸막이 판넬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