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700Y1 - 치약내장 자동 압출식 칫솔. - Google Patents

치약내장 자동 압출식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700Y1
KR200209700Y1 KR2020000020794U KR20000020794U KR200209700Y1 KR 200209700 Y1 KR200209700 Y1 KR 200209700Y1 KR 2020000020794 U KR2020000020794 U KR 2020000020794U KR 20000020794 U KR20000020794 U KR 20000020794U KR 200209700 Y1 KR200209700 Y1 KR 2002097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toothpaste
toothbrush
connecting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규
Original Assignee
박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규 filed Critical 박선규
Priority to KR2020000020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7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700Y1/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치작업을 하는 칫솔에 치약이 자동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하여 불편함이나 양치시간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고, 또한 양치작업에 사용되는 치약량을 일정량으로 공급되게 하여 치약의 이용효율을 향상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칫솔을 구성하는 칫솔대의 내부에 공간과 입구를 구비하고 신축자재로 형성되어 설치된 치약튜브와, 상기 치약튜브의 입구에 압축밸브 및 스프링 또는 차단밸브를 내부에 구성하고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압축밸브에 일부가 부착되어 유입구를 개, 폐하며 중앙에 유출구가 형성된 연질밸브와, 상기 칫솔대의 결합부에 조립되어 내부로 유통로 및 홀이 형성된 칫솔모부와, 상기 칫솔모부의 후단부에 돌출되어 차단밸브를 개방시키도록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홀에 설치되는 연결관에 분출구를 구성하고 수직으로 결합되어 설치된 분출관과, 상기 분출관을 개, 폐하는 분출관밸브와 또한 강모가 동체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연결관입구를 개, 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 연결관밸브와, 상기 연결관의 하단부에 연결관밸브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홈으로 형성된 밸브시트와, 상기 연결관밸브를 하단에서 지지하도록 연결관밸브의 하단부에 설치된 쿠션볼과, 상기 칫솔모부에 식모되어 치아를 세척하는 칫솔모로 구성된 치약내장 자동 압출식 칫솔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Description

치약내장 자동 압출식 칫솔.{.}
본 고안은 치약내장 자동 압출식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치작업에서 치약이 자동적으로 칫솔모 표면으로 공급되면서 사용하는 불편함이나 양치시간이 감소되게 함으로써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게 하고, 치약이 일정량으로 공급되어 이용 효율이 상승되게 함으로서 치약이 절약될 수 있는 것과, 칫솔의 표면으로 치약이 공급되게 하면서 치약 분출구를 완전히 밀폐되게 하여 기밀유지와 위생상태를 향상되게 한 치약내장 자동 압출식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치약 내장식 칫솔은 칫솔대의 내부에 공간이나 저장기구를 구성하여 치약을 내장하고, 외부에 구성된 압출장치를 수동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치약이 인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이러한 기술은 치약을 인출하는 불편함이나 시간이 소모되는 불리함이 있는가하면, 구조상에 있어서도 수동식 압출장치가 다수의 부품으로 복잡하게 구성되어야 하는 비경제적인 요인으로 인해 제품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리고 수동에 의해 인출되는 치약은 인출에 따라 부족하거나 과다한 용량으로 불균등하게 인출되고 있어, 다량으로 인출된 치약은 치아 세척에 제대로 이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치약이 다량으로 발생될 확률이 높게 되어있고, 소량으로 인출되는 치약은 치아 세척능력이 감소될 확률이 높게되어 있으며, 또한 칫솔에 치약을 일회에 공급하고 양치작업을 하게되면 연질인 젤리형 타입이나 액상 치약은 문제가 없으나, 경질인 연고형 타입의 치약은 양치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완전히 분해되지 않은 치약덩이가 잔류되었다가 폐기되고 있는 문제가 따르고있어, 치약이 경제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치약을 공급해주는 분출구가 칫솔모부의 표면이나 저변에 형성되어 있어서, 치약을 공급하게되면 칫솔모의 저변이나 내부로 잠입되어 활용되지 못하거나 잔류되어 오염될 가능성이 있는 위생상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양치작업을 하는 칫솔의 표면에 치약이 자동적으로 공급되면서 양치작업의 불편함이나 시간이 감소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칫솔을 사용하는 편리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치약이 일정량으로 공급되면서 불균등한 공급으로 이용효율이 감소되는 손실을 방지되게 하는 것과 치약을 칫솔의 표면으로 공급시키면서 분출구를 명확히 개, 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칫솔을 구성하는 칫솔대의 내부에 공간과 입구를 구비하고 신축자재로 형성되어 설치된 치약튜브와, 상기 치약튜브의 입구에 압축밸브 및 스프링 또는 차단밸브를 내부에 구성하고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압축밸브에 일부가 부착되어 유입구를 개, 폐하며 중앙에 유출구가 형성된 연질밸브와, 상기 칫솔대의 결합부에 조립되어 내부로 유통로 및 홀이 형성된 칫솔모부와, 상기 칫솔모부의 후단부에 돌출되어 차단밸브를 개방시키도록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홀에 설치되는 연결관에 분출구를 구성하고 수직으로 결합되어 설치된 분출관과, 상기 분출관을 개, 폐하는 분출관밸브와 또한 강모가 동체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연결관 입구를 개, 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 연결관밸브와, 상기 연결관의 하단부에 연결관밸브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홈으로 형성된 밸브시트와, 상기 연결관밸브를 하단에서 지지하도록 연결관밸브의 하단에 설치된 쿠션볼과, 상기 칫솔모부에 식모되어 치아를 세척하는 칫솔모로 구성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결합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치약튜브에 치약이 주입되는 상태의 부분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차단밸브에 의해 출입구가 밀폐된 상태의 부분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요부들을 정지상태로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요부들을 작동상태로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칫솔모부 2: 치약튜브 3,3a: 조립부
4: 칫솔대 5,5a: 결합부 6: 치약
7: 실린더 8: 출입구 9: 차단밸브
10: 스프링 11: 유통홈 12: 압축밸브
13: 유입구 14: 연질밸브 15: 유출구
16: 유통로 17: 돌기부 18: 칫솔모
19: 홀 20: 연결관 21: 분출관
22: 분출구 23: 연결관밸브 24: 분출관밸브
25: 쿠션볼 26: 밸브시트 27: 강모
28: 치약용기 29: 배기구
본 고안은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을 구성하는 칫솔모부(1)와 치약튜브(2)의 일정부위에 조립부(3),(3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칫솔모부(1)의 후단외부와 칫솔대(4)의 내부에도 결합부(5),(5a)가 형성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치약튜브(2)는 치약(6)이 주입되는 입구와 내장되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신축자재로 형성되며, 상기 치약튜브(2)의 입구에는 수축력으로 고정되어 내부로 치약(6)이 유통되도록 된 실린더(7)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7)는 전면의 중앙부분에 치약(6)이 유통되는 출입구(8)가 형성되어 상기 출입구(8)를 개, 폐하는 차단밸브(9)가 내측에 설치된 스프링(10)의 지지로 설치되며, 차단밸브(9)의 외주에는 내측으로 일정부분이 공간으로 요각되어 치약(6)이 유통되는 다수의 유통홈(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7)의 후방은 공간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공간을 밀폐하며 압축작동을 하는 압축밸브(12)가 내측에 설치된 스프링(10)의 지지로 설치되고, 압축밸브(10)의 후면에는 중앙에 형성된 유입구(13)를 개, 폐하는 연질밸브(14)가 돌출한 부분으로 부착되어 설치되며, 연질밸브(14)의 중앙에는 치약(6)이 극소량으로 유출되는 극소형의 유출구(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칫솔모부(1)의 후단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약(6)이 유통되는 유통로(16)가 내부의 일정부분까지 형성되고, 유통로(16)의 입구 주위에는 상기 차단밸브(9)를 접촉하여 출입구(8)가 개방되게 해주는 다수의 돌기부(17)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칫솔모부(1)의 전방부에는 치아를 세척해주는 칫솔모(18)가 일정한 간격으로 식모된다.
상기 유통로(16)의 종단부는 칫솔모(18)가 식모된 부분과 내, 외부에서 연결되게 치약(6)이 유통되는 홀(19)이 형성되고, 상기 홀(19)에는 연질로서 통로가 형성되어 수직으로 결합되는 연결관(20)에 신축자재로 형성된 분출관(21)이 분출구(22)를 구성하고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분출관(21) 내부에는 상, 하에서 연결관밸브(23)와 분출관밸브(24)가 연결되게 형성되어, 연결관밸브(23)는 연결관(20) 입구를 개, 폐할 수 있도록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하단에 설치된 쿠션볼(25)의 지지로 밸브시트(26)에 설치되고, 상단에 위치한 분출관밸브(24)는 분출관(21)의 신축으로 형성되는 분출구(22)를 개, 폐하도록 설치되며, 그 상단부에는 칫솔모(18)와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치아와 접촉되는 강모(27)가 식모된다.
상기 밸브시트(26)는 연결관밸브(23)가 작동할 때에 측면으로 이탈하지 못하 도록 홈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칫솔대(4)에는 치약튜브(2)에 있는 치약(6)량이 변동됨에 따라 내부에 기체가 유통되는 배기구(29)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약(6)이 내장된 치약용기(28)를 치약튜브(2)의 조립부(3a)에 결합하고 외부에서 압축하면, 압축력이 가해진 상기 치약(6)이 출입구(8)를 밀폐하는 차단밸브(9)를 가압하여 개방시키며 차단밸브(9)의 유통홈(11)을 지나 실린더(7)에 유입되어 유입구(13)를 밀폐하는 연질밸브(14)를 개방시키고 상기 치약튜브(2)를 팽창시키면서 주입된다.
상기와 같이 치약(6)을 주입시키고 치약튜브(2)에서 치약용기(28)를 분리하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8)를 개방하던 차단밸브(9)와 유입구(13)를 개방하던 연질밸브(14)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로 이동되어 밀폐되면서 치약튜브(2)에는 치약(6)이 저장된다.
이와 같이 치약(6)이 내장된 치약튜브(2)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칫솔모부(1)와 조립부(3),(3a)에서 조립되는데, 이때 조립직전에 출입구(8)를 밀폐하던 차단밸브(9)가 조립 중에 상기 돌기부(17)에 접촉되면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어, 실린더(7)의 치약(6)이 차단밸브(9)의 유통홈(11)과 다수로 있는 돌기부(17) 사이를 통과하여 유통로(16)에 내장되며, 상기 칫솔모부(1)를 칫솔대(4)와 결합부(5),(5a)에서 결합시키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칫솔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칫솔을 치아에 밀착시키고 양치작업을 하면 칫솔모(18)와 강모(27)는 칫솔모부(1)를 따라 이동하면서 치아를 세척하게된다.
이때 치아를 세척하는 칫솔모(18)와 강모(27)는 치아와 접촉에서 발생되는 마찰로 인해 이동이 저지되면서 칫솔모부(1)보다 출발이 지연되게 이동되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모(27)와 동체인 분출관밸브(24)가 연결관밸브(23)를 고정축으로 굴절하며 수평상태였던 연결관밸브(23)가 대각선으로 변동되게 하여, 일 측면은 탄력있는 쿠션볼(25)의 지지로 밸브시트(26)의 홈에 고정되면서 반대편은 밸브시트(26)에서 격리되어 연결관(20) 입구가 개방된다.
따라서 연결관(20)이 개방되면서 치약튜브(2)의 수축력이 치약(6)을 통해 압축밸브(12)를 압축하여 실린더(7)에 있던 치약(6)이 출입구(8)를 통해 유통로(16)로 이동하게 되고, 유통로(16)의 치약(6)이 연결관(20) 내부로 이동하게 되어 분출관(21) 내부에서 치약(6)이 분출관밸브(24)를 가압하여 연질인 분출관(21)의 분출구(22)를 형성시키며 외부로 분출하게 된다. 이때 분출구(22)를 통하여 분출되던 치약(6)은 칫솔의 진행이 도착지에 도착하여 이동이 정지되는 순간에 분출관밸브(24)의 대각선 형태가 수직선 형태로 복귀되면서, 연결관밸브(23)가 수평상태로 변동되게 하여 연결관(20) 입구가 연결관밸브(23)에 의해 밀폐되면서 분출이 차단되며, 반대방향으로 칫솔의 진행이 계속되면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연결관(20) 입구가 개방되어 치약(6)은 분출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양치작업 초기에서 일정기간내에 한하여 칫솔의 진행방향이 전환될 때마다 소량으로 수회에 분배되어 칫솔모(18)와 치아간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치약튜브(2)에 의해 압축되는 압축밸브(12)는 스프링(10)이 완전히 수축되어 정지되는 것으로 압축작용이 종료되면서, 치약튜브(2)에서는 치약(6)이 극소량으로 유출구(15)를 통하여 양치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 압출된다.
이때 압축밸브(12)의 정지기간은 치약(6)이 압축되던 기간보다 수배의 일정비율로 길게 구성되어 있으며, 유출구(15)의 크기는 최대한 작게 구성되어야 치약(6)의 유출량이 적게되어 유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압축되던 치약(6)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치작업이 종료될 때 분출관밸브(24)의 작동이 정지되면서 이와 연결된 연결관밸브(23)가 연결관(20)을 밀폐하게되어 치약(6) 이동이 정지되는데, 이때 분출구(22)는 분출관(21)이 수축되어 분출관밸브(24)에 밀착되면서 치약(6)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밀폐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연결관(20) 입구가 연결관밸브(23)에 의해 밀폐되면 치약튜브(2)와 실린더(7)에 있는 치약(6)이 동일한 압력으로 변동하게 되는데, 이때 치약튜브(2)의 압력에 압축되었던 압축밸브(12)가 스프링(10)의 반발력으로 후퇴되면서, 치약튜브(2)의 치약(6)이 유출구(22)를 통해 실린더(7) 내부로 이동되어 실린더(7)에는 연결관(20)이 밀폐되는 순간부터 치약(6)이 저장된다.
상기 치약튜브(2)에서 실린더(7) 내부로 저장되는 치약(6)은 압축밸브(12)가 스프링(10)의 압력으로 실린더(7) 후단부까지 이동되는 기간내에 저장되는데, 실시 예로 수분간 이동되면서 적당량으로 저장되어 다음에 양치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칫솔에 치약을 손수 공급하는 데에 비해 양치작업 중에 치약이 자동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함으로써 편리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시간과 치약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되며, 또한 위생이 신뢰되도록 기밀유지를 향상되게 함으로써 치약을 다량으로 내장하고 가정에서나 여행 시에 일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칫솔을 구성하는 칫솔대(4)의 내부에 공간과 입구를 구비하고 신축자재로 형성되어 설치된 치약튜브(2)와.
    상기 치약튜브(2)의 입구에 압축밸브(12) 및 스프링(10) 또는 차단밸브(9)를 내부에 구성하고 설치된 실린더(7)와.
    상기 압축밸브(12)에 일부가 부착되어 유입구(13)를 개, 폐하며 중앙에 유출구(15)가 형성된 연질밸브(14)와.
    상기 칫솔대(4)의 결합부(5a)에 조립되어 내부로 유통로(16) 및 홀(19)이 형성된 칫솔모부(1)와.
    상기 칫솔모부(1)의 후단부에 돌출되어 차단밸브(9)를 개방시키도록 형성된 돌기부(17)와.
    상기 홀(19)에 설치되는 연결관(20)에 분출구(22)를 구성하고 수직으로 결합되어 설치된 분출관(21)과.
    상기 분출관(21)을 개, 폐하는 분출관밸브(24)와 또한 강모(27)가 동체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연결관(20) 입구를 개, 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 연결관밸브(23)와.
    상기 연결관(20)의 하단부에 연결관밸브(2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홈으로 형성된 밸브시트(26)와.
    상기 연결관밸브(23)를 하단에서 지지하도록 연결관밸브(23)의 하단부에 설치된 쿠션볼(25)과.
    상기 칫솔모부(1)에 식모되어 치아를 세척하는 칫솔모(18)로 구성된 치약내장 자동 압출식 칫솔.
KR2020000020794U 2000-07-20 2000-07-20 치약내장 자동 압출식 칫솔. KR2002097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794U KR200209700Y1 (ko) 2000-07-20 2000-07-20 치약내장 자동 압출식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794U KR200209700Y1 (ko) 2000-07-20 2000-07-20 치약내장 자동 압출식 칫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488A Division KR100335725B1 (ko) 2000-07-19 2000-07-19 치약내장 자동 압출식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700Y1 true KR200209700Y1 (ko) 2001-01-15

Family

ID=73086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794U KR200209700Y1 (ko) 2000-07-20 2000-07-20 치약내장 자동 압출식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7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623A (ko) * 2001-10-31 2003-05-09 박선규 치약 내장 자동 압출식 칫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623A (ko) * 2001-10-31 2003-05-09 박선규 치약 내장 자동 압출식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23742A1 (en) Air injection type portable dental flosses
CN113413225B (zh) 一种用于食管癌术后病人口腔清洗装置
JP2004073558A (ja) 口腔洗浄具
KR100335725B1 (ko) 치약내장 자동 압출식 칫솔
KR200209700Y1 (ko) 치약내장 자동 압출식 칫솔.
CN1262251C (zh) 自给式口腔清洁装置
CN220494500U (zh) 具有洁牙介质通道的牙刷或冲牙器
KR102036779B1 (ko) 구강세척이 가능한 샤워헤드
CN204862900U (zh) 便携式牙膏牙刷一体盒
KR200282839Y1 (ko) 치약 내장식 칫솔
CN207383834U (zh) 牙刷
KR101492836B1 (ko) 휴대용 치간 세정장치
KR101242578B1 (ko) 이중챔버 공기압 발생장치를 적용한 공기 분사식 구강세정기
KR100800988B1 (ko)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
CN204599717U (zh) 预防保健用清洁护理器
KR101042646B1 (ko) 토출유닛 및 이를 구비한 디스펜서
KR200305839Y1 (ko) 배출구가 돌기되는 치약내장형 칫솔
KR20030035623A (ko) 치약 내장 자동 압출식 칫솔
KR200222199Y1 (ko) 치약 자동공급 칫솔
CN209547365U (zh) 一种新型刷头
KR200282840Y1 (ko) 칫솔의 치약 인출장치
CN219712316U (zh) 水封结构和洗地机
CN207428714U (zh) 刷头及具有其的牙刷
CN208911105U (zh) 一种带消毒功能的便携式冲洗器
CN207754789U (zh) 一种无毛刷喷水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