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484Y1 - 양초용 불꽃 감지센서 - Google Patents

양초용 불꽃 감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484Y1
KR200209484Y1 KR2020000005393U KR20000005393U KR200209484Y1 KR 200209484 Y1 KR200209484 Y1 KR 200209484Y1 KR 2020000005393 U KR2020000005393 U KR 2020000005393U KR 20000005393 U KR20000005393 U KR 20000005393U KR 200209484 Y1 KR200209484 Y1 KR 2002094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wick
candle
resistanc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훈
김재술
Original Assignee
김재술
임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술, 임성훈 filed Critical 김재술
Priority to KR2020000005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4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4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484Y1/ko

Links

Landscapes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멜로디 양초는 양초의 심지에 불꽂을 감지 할수 있는 구조의 센서를 장치하고 이 센서에 의하여 불꽃이 감지되었을 경우 미리 녹음되어져 있는 전자장치를 가동하여 음악을 재생한다.
본 고안은 양초의 심지 내에 장치하여 불꽃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에 대한 것이다. 양초의 심지는 면종류로서 불을 켜 있을때나 껐을때는 항시 심지가 탄화된 탄소가 존재한다. 본 고안은 탄소의 저항을 이용하여 불꽃을 감지한다. 즉, 불꽃이 있을 때의 전기저항과 불을 껐을때는 서로 다른 저항값이 나타나는데 이는 불이 꺼졌을시는 양초가 고형화되어 탄소입자간 전기 통전이 어려워지므로서 저항값이 커지고 상대적으로 불꽃이 있을시는 고온으로 인하여 액화된 양초가 기화되는 상태이므로 탄소간 전기저항이 작아진다. 본 고안은 불꽃이 있을시와 불이 꺼졌을때 전기저항의 차이를 이용한다.

Description

양초용 불꽃 감지센서{SENSOR FOR CANDLE}
기존에서의 불꽃을 감지하는 방법은 면심지내에 2개의 전극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였다. 이는 불꽃이 미약하지만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것을 이용하여 불꽃을 감지하기 위함이다. 즉, 전극간 저항의 차이에 있어 불꽃이 없을때는 전극에 공기저항만 존재하므로 저항값이 무한대이다. 반면 연소중에는 불꽃이 도전체 역활을 하므로 일정한 전기저항이 존재한다. 이러한 방법은 불꽃감지에 있어 현실성이 부족하다. 즉, 연소가 이루어 지면 심지의 끝부분은 연소되기전 탄화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탄소가 도전체역활을 하여 전기가 통전되며 이때의 전기저항은 불꽃이 지닌 전기저항보다 훨씬 낮은 값을 표시하므로 최초에 이루어지는 연소 싯점외에는 불꽃의 감지는 불가능하다.
즉, 불꽃의 전기적 저항은 십수메가옴 이상으로 높은편이다. 최초의 경우 양초심지는 연소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전극간의 저항은 공기저항뿐이므로 무한대에 가까운 절연상태이다. 연소되면 불꽃에 의하여 통전되므로 감지가 가능하다.
전극간의 저항값은 불꽃외의 저항이 존재하는데 이는 면심지의 탄화된 탄소이다. 탄소가 전기적통로를 형성하여 전기가 통하게 된다. 본 고안은 형성된 탄소가 연소시와 불이 꺼졌을 시의 저항차를 이용한다.
양초가 타고 있는 동안에는 전기통로는 불꽃외에 탄소가 있는데 양초의 심지가 연소시에 형성되는 탄소는 전기적으로 양호한 도체이다. 심지는 면종류로서 불을 켜있을 때나 껐을 때는 항시 탄화된 탄소가 존재한다. 본 고안은 연소시에 발생되는 탄소의 저항을 이용하여 불꽂을 감지한다. 즉, 불꽃이 있을 때는 도1(a)의 전극(3)과 전극(4)사이에 일정한 량의 탄소가 존재한다. 동일한 환경 아래에서 탄소는 일정한 저항값을 나타내지만 본 양초심지의 경우는 불이 있을 경우와 없을 경우에는 조건이 다르다. 즉, 탄소로 인하여 전극간 저항은 불이 켜있을 때와 불을 껐을때는 서로 다른 저항값이 나타나는데 이는 불이 꺼졌을시는 액화된 양초가 고체화되면서 탄소입자간 전기 통로를 차단하기 때문에 통전이 어려워져서 저항값이 커지고 상대적으로 불꽃이 있을시는 고온으로 인하여 액화된 양초가 기화되는 상태이므로 전극간 전기저항이 작아진다. 본 고안은 불꽃이 있을시와 불이 꺼졌을때 탄소의 전기저항의 차이를 이용한다. 한편, 도1(a)의 전극(3)과 전극(4)이 절연체(2)없이 면심지에 이식이 되어 있으면 연소시 혹은 불이 꺼졌을시 저항값이 일정하지가 않다. 이는 연소중에 전극이 한쪽 방향으로 휘어서 저항값이 바뀌거나 혹은 불꽃이 꺼진뒤 일정시간 동안 생심지가 타는 경우가 많은데 이 생심지가 타는 정도에 따라 전극간 저항값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때 생심지가 타는 시간은 일정하지가 않다. 본 고안에 있어 탄소의 형성정도에 따라 저항이 바뀌므로 생심지가 타는 시간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 방법에서는 면심지에 전극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불이 있고 없음에 따른 저항의 변화는 매우 심하다. 이러한 변화를 줄이고 안정된 저항값을 얻기 위하여 전극간에 별도의 절연체를 삽입하였다.
도1(a) ; 절연체에 전극을 삽입한 구조의 감지센서
도1(b) ; 동심원 구조의 감지센서
도2 ; 독립된 구조를 가진 감지센서
도3 ; 절연판을 이용한 감지 센서
도4 ; 다각형 구조를 지닌 감지센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면심지 ; 1,6,10,21,25,26
전극 ; 3,4,7,9,12,13,21,22,28,29
절연체 ; 2,8,11,14,23,27
도1(a)에 두개의 전극을 동일한 절연체에 삽입한 감지센서를 보인다. 절연체(2)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전극(3)과 전극(4)을 장치되도록 성형하고 이 절연체(2)를 면심지(1)의 중심부에 삽입한다. 면심지에 불이 붙으면 면심지와 함께 튜브와 튜브내부에 삽입된 전극은 같이 연소된다. 도1(b)는 전극을 장치하는 다른 방법을 보인다. 절연체(8)의 중심에 전극(9)을 장치하고 절연체(8) 외부를 도체가 감싸도록 하여 전극(7)을 형성한다. 도2(a)는 전극을 장치하는 방법에 있어 전극(12)와 전극(13)이 독립된 절연체(11)와 절연체(14)에 각각 삽입되고 이 두개를 한개의 면심지 내에 삽입한다. 도3은 심지(21),(25)에 각각 전극(22),전극(24)를 삽입하고 이들을 절연판(23)으로 하여금 분리되도록 하여 불이 꺼졌을 때 탄소에 의한 저항변화를 최소화 하였다. 도4는 절연체(27)가 다각형인 구조이다. 다각형의 대응대는 면에 전극(28)와 전극(29)를 각각 형성하고 절연체(27)를 면심지내에 삽입한다.
전극과 전극사이에 별도의 절연체를 삽입하므로서 불꽃의 유무에 따른 탄소저항의 변화를 최소화 하므로서 불꽃을 보다 정확히 감지할 수가 있다.

Claims (2)

  1. 한개의 절연체(2) 내부에 전극(3)과 전극(4)을 일정한 간격이 되도록 삽입하고 이 절연체(2) 외부를 면심지(1)가 감싸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심지
  2. 청구항1에 있어서 전극을 배치하는 방법을 절연체(8)의 중심에 한개의 전극(9)을 삽입하고 절연체(8) 외피 전체를 도전체로 코팅하여 또다른 전극(7)으로 형성하여 이 절연체(8)을 면심지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심지
KR2020000005393U 2000-02-26 2000-02-26 양초용 불꽃 감지센서 KR2002094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393U KR200209484Y1 (ko) 2000-02-26 2000-02-26 양초용 불꽃 감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393U KR200209484Y1 (ko) 2000-02-26 2000-02-26 양초용 불꽃 감지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484Y1 true KR200209484Y1 (ko) 2001-01-15

Family

ID=73056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393U KR200209484Y1 (ko) 2000-02-26 2000-02-26 양초용 불꽃 감지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4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34652A4 (en) GLOW PLUG, YOUR PRODUCTION PROCESS AND ION CURRENT DETECTOR
BR9915565A (pt) Massa de vedação condutora de eletricidade para velas de ignição
KR200209484Y1 (ko) 양초용 불꽃 감지센서
WO2021157302A1 (ja) 燃焼器
CN209266848U (zh) 一种用于安装在发动机上的火花塞
CN102630333B (zh) 具有双灯头的金属卤素灯
CA2777405A1 (en) Environmentally friendly metal halogen lamp comprising burner made of quartz glass or ceramic glass
US3261008A (en) Spark monitor for fuel burner
US6351060B1 (en) Moisture-resistant igniter for a gas burner
US3051862A (en) Gas ignitor
CN100530869C (zh) 以全陶瓷电热体为中心电极的火花塞
US5380984A (en) Heater device of cigarette ligh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RU2096690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сжиганием топлива и ионизационный датчик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0182503Y1 (ko) 멜로디 양초의 전극 심지장치
KR102248859B1 (ko) 심지 화염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심지 화염 감지 양초
JPH0240415A (ja) パイロットバーナの火炎監視装置
JP2009257672A (ja) 予混合バーナ
JPH052591Y2 (ko)
JP2947319B2 (ja) 石油燃焼器の放電電極取付構造
KR200223237Y1 (ko) 멜로디 양초의 전극 심지장치
KR20010105704A (ko) 2중 염공을 구비한 가스 버너
US305164A (en) Electeical oigae lightee
KR19990019015U (ko) 화염감지봉과 일체화된 보일러의 점화플러그
KR920001095B1 (ko) 담배 자동 점화용 장치
KR200196552Y1 (ko) 유리섬유 심지를 이용한 멜로디 양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