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341Y1 - 2 샘플용 미생물 동정키트 - Google Patents

2 샘플용 미생물 동정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341Y1
KR200209341Y1 KR2020000020093U KR20000020093U KR200209341Y1 KR 200209341 Y1 KR200209341 Y1 KR 200209341Y1 KR 2020000020093 U KR2020000020093 U KR 2020000020093U KR 20000020093 U KR20000020093 U KR 20000020093U KR 200209341 Y1 KR200209341 Y1 KR 2002093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reaction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kit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수
김경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메드
Priority to KR2020000020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3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341Y1/ko

Links

Landscapes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세균의 종류를 파악하는 동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질액과 세균의 반응에 의한 색상의 변화를 이용하는 동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
이러한 동정법에서, 균액을 반응셀(11)에 골고루 분배하여 주고, 신속하고,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동정검사를 실시하도록 하여주기 위하여 본 고안의 동정키트는 각각의 반응시약이 담긴 반응셀(11)이 구분벽(12)에 의하여 구분되어 있으며, 또한 2종류의 세균을 동시에 동정하기 위하여 다른 종류의 균액이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트립 분리벽(15)이 스트립(10)의 중앙에 제공된다.
본 고안의 구체예인 동정키트를 이용하면, 균액의 1회 주입과 단순한 조작으로 동정검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2종류의 미생물을 동시에 동정검사 함으로써 많은 양의 미생물을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동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2 샘플용 미생물 동정키트{Identification kit for 2 samples}
본 고안은 각종 세균의 종류를 파악하는 동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질액과 세균의 반응에 의한 색상의 변화를 이용하는 동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균과 같은 미생물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정법에는 집락의 형성모양을 관찰하는 방법, 응집여부를 관찰하는 방법, 가스의 발생 또는 당의 분해 등에 따른 시약의 색상변화를 관찰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색상의 변화에 따라서 미생물의 종류를 동정하는 방법은 사용의 편리성 등의 이유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색상변화를 이용한 동정법의 편의성을 더하기 위하여 스트립내의 반응셀(Cell)에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색상의 변화가 다른 여러 종류의 시약을 미리 충진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동정법에서, 균액을 반응셀에 골고루 분배하여 주고, 신속하고,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동정검사를 실시하도록 하여주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균액의 일회 주입으로 동정검사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는 동정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2종류의 미생물을 동시에 동정할 수 있는 동정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체예인 동정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구체예인 동정키트에서 균액주입구가 형성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구체예인 동정키트에서 시약주입구가 형성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스트립 10a: 스트립A
10b: 스트립B 11: 반응셀
12: 반응셀 구분벽 13: 경사면 구분벽
14: 균액주입부 구분벽 15: 스트립 분리벽
16: 균액주입부 17: 경사면
18: 슬라이딩 홈
20: 커버 21: 상판
22: 슬라이딩 블록 23: 걸림턱
30: 균액주입구 40: 시약주입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구체예인 미생물 동정키트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박스 내부를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양분하는 분리벽(15)이 박스의 가운데에 위치하여 상기 박스를 양분하고, 둘로 양분된 각각의 직육면체박스에서, 전반부에는 상기 박스의 깊이와 동일한 깊이를 갖는 다수의 반응셀(11)들이 구분벽(12)에 의하여 구분되어 구비되고, 상기 반응셀(11)들의 후방에는 셀의 수만큼 균액주입부(16)가 균액주입부 구분벽(13)들에 의하여 구분되어 구비되고, 상기 반응셀(11)과 균액주입부(16) 사이에는 경사면(17)이 경사면 구분벽(13)에 의하여 구분되어 구비되고, 상기 박스의 양 끝단에는 슬라이딩 홈(18)이 구비된 스트립(10) 및, 상기 슬라이딩 홈(18)에 삽입되는 걸림턱(23)을 구비한 슬라이딩 블록(22)이양 끝단에 구비된 커버(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균액주입부 구분벽(14)은 상기 경사면 구분벽(13)보다 높이가 낮으며, 상기 분리벽(15)에 의하여 양분된 스트립의 반응셀(11)들에는 특정 미생물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다양한 반응시약들이 동일 순서로 채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스트립(10)과 커버(20)는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체예인 미생물 동정키트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10)과 커버(20)로 구성된다.
스트립(10)은 스트립 분리벽(15)에 의하여 두 개의 부분, 즉 스트립A(10a)와 스트립B(10b)로 나누어지며, 각각의 스트립A와 스트립B에는 같은 수량의 반응셀이 구비된다. 상기 스트립 분리벽에 의하여 서로 다른 2종류의 균액이 동정키트내에서 섞이는 것을 막아주며, 반응셀과 반응셀 사이에는 구분벽(12)이 구비되어서 반응셀 간의 시약의 섞임을 방지하여 준다.
스트립(10)내의 반응셀(11)의 반대쪽에는 균액주입부가 구비되고, 균액주입부와 반응셀 사이에는 경사면이 구비된다. 상기 균액주입부와 경사면 역시 각각의 구분벽(13,14)에 의하여 분리된다. 이때 균액주입부의 구분벽(14)은 다른 구분벽(12,13)들에 비하여 그 높이가 낮다. 따라서 구분벽을 넘는 균액의 이동이 허용된다. 이 경우에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균액주입부에 균액을 주입하고 스트립을 좌우로 기울여서 균액을 주입부내에서 골고루 분배하는 경우에 구분벽이 낮아서 균액의 이동이 쉬우며, 동시에 구분벽이 존재하므로 각각의 균액주입부에 잔류하는 균액의 양을 거의 동일하게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반응시약에 제공되는 균액의 양도 균일하게 된다.
상기 스트립(10)의 양 끝단에는 슬라이딩 홈(18)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커버의 양 끝단에는 상기 슬라이딩 홈(18)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홈을 따라 왕복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딩 블록(22)이 구비된다.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끝에는 걸림턱(23)이 구비되어 커버가 스트립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는 동시에 커버의 슬라이딩 전후방 최대 위치를 지정하여 준다. 즉, 커버를 최전방으로 이동시키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정키트의 후방에는 스트립(10)과 커버(20)에 의하여 직사각형의 균액주입구(30)가 형성된다. 반대로 커버를 최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정키트의 전방에는 스트립(10)과 커버(20)에 의하여 직사각형의 시약주입구(40)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구체예인 2 샘플용 미생물 동정키트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스트립A와 스트립B의 반응셀에 동일한 반응시약 또는 검출배지를 동일한 순서로 충진시키고 커버(20)를 덮어서 동정키트를 준비하여 둔다. 평판배지(Nonselective medium)에서 자란 세균들의 집락(colony)을 면봉이나 루프(loop)를 이용하여 D.W(2.5ml)용액에 풀어 McFarland Nephelometer Standard 탁도 1(Mcf. 1)에 맞추어서 균액들을 준비한다.
커버(20)를 앞으로 이동시켜서 형성된 균액주입구(30)를 통해 상기 균액들을 스트립A(10a)의 균액주입부와 스트립B(10b)의 균액주입부에 각각 분주하고, 커버를 원위치 시켜서 균액주입구(30)를 닫은 후 동정키트를 좌우로 2∼3회 흔들어 준 뒤 수평을 유지한다. 이때 상기 스트립A(10a)와 스트립B(10b)는 상기 스트립 분리벽(15)에 의하여 구분되어 있으므로 서로 다른 균액들이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동정키트를 약 45°전방으로 기울여 균액이 각 반응셀(11)들에 골고루 흘러가게 한다. 필요시에는 반응셀(11)에 Mineral Oil을 시약주입구(40)를 통하여 6∼7방울씩 떨어뜨린다. 상기 시약주입구를 다시 닫고 37℃ 배양기에서 18~24시간 배양한다. 배양이 끝난 동정키트에 필요시 추가시약을 1∼2방울 가한 후 색상변화를 관찰한다. 관찰된 색상변화를 이용하여 미생물의 종류를 확인한다.
본 고안의 구체예인 동정키트를 이용하면, 균액의 1회 주입과 단순한 조작으로 동정검사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2종류의 미생물을 동시에 동정검사 함으로써 많은 양의 미생물을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동정검사할 수 있다.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박스 내부를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양분하는 분리벽(15)이 박스의 가운데에 위치하여 전체가 둘로 양분된 직육면체박스 각각의 전반부에는 상기 박스의 깊이와 동일한 깊이를 갖는 다수의 반응셀(11)들이 구분벽(12)에 의하여 구분되어 구비되고, 상기 반응셀(11)들의 후방에는 셀의 수만큼 균액주입부(16)가 균액주입부 구분벽(13)들에 의하여 구분되어 구비되고, 상기 반응셀(11)과 균액주입부(16) 사이에는 경사면(17)이 경사면 구분벽(13)에 의하여 구분되어 구비되고, 상기 박스의 양 끝단에는 슬라이딩 홈(18)이 구비된 스트립(10); 및,
    상기 슬라이딩 홈(18)에 삽입되는 걸림턱(23)을 구비한 슬라이딩 블록(22)이양 끝단에 구비된 커버(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샘플용 미생물 동정키트
  2. 제 1항에서 상기 균액주입부 구분벽(14)은 상기 경사면 구분벽(13)보다 높이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샘플용 미생물 동정키트
  3. 제 1항에서 상기 분리벽(15)에 의하여 양분된 스트립의 반응셀(11)들에는 특정 미생물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다양한 반응시약들이 동일 순서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샘플용 미생물 동정키트
  4. 제 1항에서 상기 스트립(10)과 커버(20)는 투명한 아크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샘플용 미생물 동정키트
KR2020000020093U 2000-07-13 2000-07-13 2 샘플용 미생물 동정키트 KR200209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093U KR200209341Y1 (ko) 2000-07-13 2000-07-13 2 샘플용 미생물 동정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093U KR200209341Y1 (ko) 2000-07-13 2000-07-13 2 샘플용 미생물 동정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341Y1 true KR200209341Y1 (ko) 2001-01-15

Family

ID=7305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093U KR200209341Y1 (ko) 2000-07-13 2000-07-13 2 샘플용 미생물 동정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3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2809A (zh) * 2018-03-17 2019-09-24 龚萍 一种atb仪器配套细菌生化鉴定板条存放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2809A (zh) * 2018-03-17 2019-09-24 龚萍 一种atb仪器配套细菌生化鉴定板条存放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60265B1 (de) System mit Verfahrenseinheit zum Hybridisieren von Nukleinsäureproben, Proteinen und Gewebeschnitten
US4798706A (en) Device for holding horizontal array of liquid aliquots
Boitard et al. Growing microbes in millifluidic droplets
Churski et al. Rapid screening of antibiotic toxicity in an automated microdroplet system
CA1308635C (en) Disposable device for use in chemical, immunochemical and microorganism analysis
CA2307123C (en) Device and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analyte in a solution
US10118177B2 (en) Single column microplate system and carrier for analysis of biological samples
US7112444B2 (en) Method of performing gradient-based assays in a microfluidic device
JP7221968B2 (ja) インビトロ診断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改善された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使用方法
US3702806A (en) Disposable culture media container
DE3938559A1 (de) Reagenzbevorratungssystem fuer ein medizinisches analysegeraet
ES2049179A1 (es) Placa para cultivos celulares con un sistema de difusion lateral de moleculas a traves de membrana barrera.
US8361783B2 (en) Micromethod and device for the rapid detection, enumeration and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Hengoju et al. Droplet microfluidics for microbial biotechnology
US7282362B2 (en) Tray with protrusions
KR200209341Y1 (ko) 2 샘플용 미생물 동정키트
Illing et al. Ecotoxicity assessment using ciliate cells in millifluidic droplets
EP3261762B1 (en) A sample receptacle, sample container and method of use
Geersens et al. Growth-associated droplet shrinkage for bacterial quantification, growth monitoring, and separation by ultrahigh-throughput microfluidics
US20100062521A1 (en) Packaging device for biological analysis
EP3103862A1 (en) Method for manipulating the evolution of collectives of self-replicating entities and variation between collectives of self-replicating entities
KR20050115540A (ko) 마이크로 플루이딕 칩 및 그 용도
US8945486B2 (en) Microwell device
CA2362412A1 (fr) Dispositif de test pour l&#39;analyse des analytes chimiques, biochimiques ou biologiques
CN107683413B (zh) 利用液体样本使吸水介质吸水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