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314Y1 - 원적외선 타일 및 내외장재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타일 및 내외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314Y1
KR200209314Y1 KR2020000006561U KR20000006561U KR200209314Y1 KR 200209314 Y1 KR200209314 Y1 KR 200209314Y1 KR 2020000006561 U KR2020000006561 U KR 2020000006561U KR 20000006561 U KR20000006561 U KR 20000006561U KR 200209314 Y1 KR200209314 Y1 KR 2002093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far
materials
biotite
c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주
Original Assignee
김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주 filed Critical 김영주
Priority to KR2020000006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3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3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314Y1/ko

Links

Landscapes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Porous Artificial Stone Or Porous Ceramic Products (AREA)

Abstract

원적외선이 발생되는 광석중에 흑운모{VERMICULITE}와 불에 타는 소지와 도자기용 점토를 섞어 원적외선 타일과 내외장재를 만드는 것이다.
흑운모를 넣은 점토에 800℃이하에서 녹아 없어지는 연소성 소지와 1,000℃ 이상 견디는 소지와 구별하여 사용하여 소지 내부에 일정하고 작은 둥근원형의 공간을 만듦으로서 열의 차단과 원적외선 방출되게 한다.
그리고 가벼운 것이 장점이다.

Description

원적외선 타일 및 내외장재{Tile & within-wrapping materials of ceramic ware}
종래의 기술은 흑운모를 사용한 원적외선 타일은 자체내에 작은 구멍이 없이 속이 꽉 찬 것이였다. 그래서 열의 차단성이 떨어졌고 무게가 무겁웠다.
본 고안은 흑운모를 섞은 점토에 타는 소지를 배합하여 일정한 온도에서 타므로서 원형공간이 생기게 하여 열의 차단성과 무게가 가볍게 한다.
본 고안은 도자기 점토와 타는 소지{예:톱밥},운모를 적당한 비율로 배합하여 가마에 초벌구이를 하면 800℃ 이하에서 톱밥이 다 타고 없기 때문에 작고 미세한 공간이 생기게 된다. 이것은 열이 차단되게 하여 보온효과를 가져오고 무게를 가볍게 한다.
원형 작은 공간의 크기는 0.001mm - 0.5mm로 용도와 성질에 의하여 결정이 된다.
유약을 바를경우에 유약에 운모를 섞어 사용한다.
도1는 타일 단면도
점토와 (1)타는 소지와 (2)백운모 및 흑운모를 일정한 비율로 배합하여 타일을 만들어 가마에서 굽는다.
타일 내부에 일정하고 작은 둥근 원형공간을 만듦으로서 열의 차단과 흑운모를 사용하므로서 원적외선이 방출된다. 그리고 무게가 가볍다.

Claims (1)

  1. 점토에 흑운모와 타는 소지를 섞어만든 내외장타일
KR2020000006561U 2000-03-06 2000-03-06 원적외선 타일 및 내외장재 KR2002093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561U KR200209314Y1 (ko) 2000-03-06 2000-03-06 원적외선 타일 및 내외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561U KR200209314Y1 (ko) 2000-03-06 2000-03-06 원적외선 타일 및 내외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314Y1 true KR200209314Y1 (ko) 2001-01-15

Family

ID=73056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561U KR200209314Y1 (ko) 2000-03-06 2000-03-06 원적외선 타일 및 내외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3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9314Y1 (ko) 원적외선 타일 및 내외장재
KR100415329B1 (ko) 석탄재를 이용한 벽돌 및 바닥재의 제조방법
ATE277239T1 (de) Ziegel aus feuerfestem material
KR940011439B1 (ko) 원적외선 방사부항기의 제조방법
KR900008588B1 (ko) 경량성 단열 반사재 및 그 제조방법
CN106587957A (zh) 一种轻质耐火砖及其制备方法
JPS6146426B2 (ko)
Padros EFFECTIVE WAYS OF USING THE HEAT ORIGINATING FROM COGENERATION IN THE KILN
JP2017154934A (ja) 遮熱タ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Moreno FIRING OF CERAMIC MATERIALS
RU93042466A (ru) Многокамерная печь для сушки и обжига керамических и других изделий непрерывно-циклического действия
JPH08245258A (ja) 焼却灰を原料とするレンガの装飾方法
Cubbon Tile and brick manufacture- a decade of progress
Chorlet USE OF MANGANESE DIOXIDE FOR TH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IN CERAMIC PIECES
Elmi FAST FIRING TECHNOLOGY IN THE BRICK AND TILE INDUSTRY- A TECHNICAL EVALUATION
Manara EVOLUTION OF SINGLE FIRING
Skvorecz et al. ENERGY CONTENT OF COAL GASIFICATION PRODUCTS FORMED IN BRICK KILNS
SU952792A1 (ru) Глазурь
JPH04144950A (ja) 粘土焼成品
Argerich OPTIMISATION OF TUNNEL KILNS
Denissen REDUCTION FIRING OF BUILDING CERAMICS. PT. 2
KIM UTILIZATION OF SLAG AND WASTE ANORTHITE IN TILE BODIES
JP2004131354A (ja) 直炎式陶芸焼成炉
RU93029870A (ru) Туннельная печь
JPS62108762A (ja) 陶磁器の焼成法及びその焼成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