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157Y1 - 신축기능을 갖는 플랜지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신축기능을 갖는 플랜지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157Y1
KR200209157Y1 KR2020000020122U KR20000020122U KR200209157Y1 KR 200209157 Y1 KR200209157 Y1 KR 200209157Y1 KR 2020000020122 U KR2020000020122 U KR 2020000020122U KR 20000020122 U KR20000020122 U KR 20000020122U KR 200209157 Y1 KR200209157 Y1 KR 2002091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variable
guide
present
thread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1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용
Original Assignee
황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용 filed Critical 황정용
Priority to KR20200000201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1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1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157Y1/ko

Links

Landscapes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관체 또는 밸브등에 부착되는 플랜지의 결합구조를 개량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플랜지를 관체 또는 밸브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치하여 설치작업 등이 편리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플랜지를 구성함에 있어서,
나사부(2)가 형성되는 가이드플랜지(3)와, 나사공(6)이 형성된 가이드관(7)과 일체 형성된 가변플랜지(5)로 분리 구성하며, 가변플랜지(5)의 외주연에는 나사가 형성된 수개의 돌기(8)를 형성하고, 나사부(2)와 나사공(6)에는 패킹제(9)를 코팅하며, 가변플랜지(5)와 가이드관(7) 상간에는 수개의 보강리브(10)를 형성하여 가이드플랜지(3)를 관체 또는 밸브(1) 단부에 용접 고정함으로써 가변플랜지(5)가 가이드플랜지(3)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 작업등에서 작업공간을 확보하거나 또는 접합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신축기능을 갖는 플랜지 결합구조{Combining structure for flange having a function of flexibility}
본 고안은 각종 관체 또는 밸브에 부착되는 플랜지의 결합구조를 개량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플랜지를 관체 또는 밸브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치하여 설치작업 등이 편리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각종 시설물 등에는 여러 가지 기기와 유체를 이송하기 위하여 배관망이 구성되어 있으며 기기와 배관망을 연결하기 위하여 용접을 하거나, 관체 또는 밸브에 용접 고정한 플랜지를 볼트 너트로 상호 연결하고 있으며 특히 대구경(75mm이상)의 배관 등에는 플랜지를 이용한 접합 방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플랜지로 구성되는 플랜지접합에 있어서는 접합면간의 설치간격을 정확히 맞추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설치간격이 맞지 않을 경우 패킹을 추가 삽입하거나 배관을 강압적으로 밀어서 결합을 하게 되는 등의 부실 시공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장이나 노후로 이를 교체하여야 하나 상기한 방법과 같이 억지 끼움되는 플랜지를 분리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실정이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관로상의 신축량을 흡수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신축관을 이용하는 예가 있으나, 고가의 신축관을 상기한 바와 같은 밸브와 기기등을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것은 비경제적인 바, 플랜지를 간편하게 접합할 수 있는 플랜지접합 수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플랜지접합 시에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을 해소코자 안출한 것으로서, 관체 또는 밸브의 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가이드플랜지를 용접 고정하고, 가변플랜지에는 나사공이 형성된 가이드관을 형성하여 나사부를 따라서 가변플랜지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랜지 접합시 가변플랜지를 이동시켜 설치공간을 확보하여 접합성을 개선하고 고장이나 노후로 인한 교체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신축기능을 갖는 플랜지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플랜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플랜지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4,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1 : 관체 또는 밸브 2 : 나사부
2a, 6a : 테이퍼형요입홈 3: 가이드플랜지
4 : 패킹밀착부 5 : 가변플랜지
6 : 나사공 7 : 가이드관
8 :돌기 9 : 패킹제
10 : 보강리브 11 : 나사형패킹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플랜지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 플랜지의 사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관체 또는 밸브(1) 단부에 용접 고정할 수 있도록 나사부(2)가 형성되는 가이드플랜지(3)를 형성하며, 나사부(2)에는 패킹밀착부(4)가 형성된 가변플랜지(5) 후방으로 나사공(6)이 형성된 가이드관(7)의 나사공(6)을 결합한다.
상기 가변플랜지(5)의 외주연에는 나사가 형성된 수개의 돌기(8)를 형성하며, 나사부(2)와 나사공(6)에는 패킹제(8)를 코팅하여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가변플랜지(5)와 가이드관(7) 상간에는 수개의 보강리브(10)를 형성하여 플랜지를 보강토록 한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주로 용접이 불가능한 주철 관체 등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관체 또는 밸브(1)의 단부에 나사부(2)를 형성하고, 이에는 상기한 가변플랜지(5)의 가이드관(7)을 결합한 구성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은 가변플랜지(5)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4,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상기한 구성으로 되는 가이드플랜지(3)의 나사부(2)에 테이퍼형요입홈 (2a)을 서로 대칭되게 두 개소 형성하고, 테이퍼형요입홈(2a)에는 나사형패킹(11)을 삽입하거나, 가변플랜지(5)의 나사공(6)에 서로 대칭되는 테이퍼형요입홈(6a)을 형성하고 나사형패킹(11)을 삽입함으로써 가변플랜지(5)에 의해 플랜지가 확장 또는 축소시 나사형패킹(11)에 의해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주로 관체 또는 밸브(1) 등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즉, 본 고안은 관체 또는 밸브(1)의 단부에 나사부(2)가 형성된 가이드플랜지(3)를 용접 고정하고, 나사부(2)에 가변플랜지(5)의 일측에 마련된 가이드관(7)의 나사공(3)을 결합하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플랜지를 사용하여 배관을 하다가 종래와 같이 플랜지간의 접합면의 설치간격이 맞지 않을 때 가변플랜지 (5) 외주연에 마련되는 돌기(8)를 이용하여 가변플랜지(5)를 회동시켜 이동시킴으로써 설치 간격을 긴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플랜지(3)상의 나사부(2)와 가이드관(7)의 나사공(3)에는 패킹제 (9)가 코팅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패킹수단을 끼움하지 않아도 기밀을 유지할 수 있으며 가변플랜지(5)와 가이드관(7) 상간에는 보강리브(9)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용접 고정되는 종래의 플랜지와 같은 견고성이 유지된다.
이렇게 조립 후 사용하다가 고장이나 노후 등으로 밸브 등을 교체 시에는 본 고안의 가변플랜지(5) 외주연에 형성된 돌기(8)를 이용하여 가변플랜지(5)를 회전시키면 가이드관(7)이 가이드플랜지(3)를 따라서 이동함으로 설치공간을 쉽게 확보하여 밸브 등의 교체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할 경우에는 용접이 불가능한 주철 관체 등에도 본 고안의 가변플랜지(5)를 적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작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와 같이 본 고안의 가이드플랜지(3)의 나사부(2)에 테입퍼형요입홈 (2a)을 형성하거나, 가변플랜지(5)의 나사공(6)에 테이퍼형요입홈(6a)을 형성하고 이에 나사형패킹(11)을 삽입함으로써, 가변플랜지(5)가 축소 또는 확장될 때는 이동 방향측에 위치하는 나사형패킹(11)가 테입퍼형요입홈(2a)(6a)을 따라서 이동되어 밀착되어 나사부(2)와 나사공(6)에 코팅된 패킹제(9)와 더불어 기밀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반대측 나사형패킹(11)는 테입퍼형요입홈 (2a)(6a)상에서 헐거워진 상태로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관체 또는 밸브(1)의 단부에 나사부(2)가 형성되는 가이드플랜지(3)를 용접 고정하고, 이에는 가변플랜지(5) 일측에 형성되고 나사공(6)이 형성된 가이드관(7)을 결합하여 가변플랜지(5)가 가이드플랜지(3)상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변플랜지(5)의 설치간격을 조절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고, 개보수 시에는 작업공간을 쉽게 확보하여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등 기대 이상의 실익이 보장되는 매우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3)

  1. 플랜지를 구성함에 있어서,
    나사부(2)가 형성되는 가이드플랜지(3)와, 나사공(6)이 형성된 가이드관(7)과 일체 형성된 가변플랜지(5)로 분리 구성하며,
    상기 가변플랜지(5)의 외주연에는 나사가 형성된 수개의 돌기(8)를 형성하고, 나사부(2)와 나사공(6)에는 패킹제(9)를 코팅하며,
    상기 가변플랜지(5)와 가이드관(7) 상간에는 수개의 보강리브(1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기능을 갖는 플랜지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2)는 관체 또는 밸브(1)의 단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기능을 갖는 플랜지 결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공(6)에는 테이퍼형요입홈(6a)을 서로 대칭되게 두 개소 형성하고, 테이퍼형요입홈(6a)에는 나사형패킹(11)을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기능을 갖는 플랜지 결합구조.
KR2020000020122U 2000-07-13 2000-07-13 신축기능을 갖는 플랜지 결합구조 KR2002091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122U KR200209157Y1 (ko) 2000-07-13 2000-07-13 신축기능을 갖는 플랜지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122U KR200209157Y1 (ko) 2000-07-13 2000-07-13 신축기능을 갖는 플랜지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157Y1 true KR200209157Y1 (ko) 2001-01-15

Family

ID=73079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122U KR200209157Y1 (ko) 2000-07-13 2000-07-13 신축기능을 갖는 플랜지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15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883B1 (ko) 2009-07-17 2010-02-16 두리화학 주식회사 배관연결구
KR101045662B1 (ko) * 2009-03-31 2011-07-01 엄장우 배관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662B1 (ko) * 2009-03-31 2011-07-01 엄장우 배관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KR100941883B1 (ko) 2009-07-17 2010-02-16 두리화학 주식회사 배관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7428B2 (en) Clamp for connecting pipe and device for connecting pipe including the same
KR20090042557A (ko) 패킹을 이용한 관 이음장치
JP6526144B2 (ja) グルーブ式管継手アダプター
JP7411273B2 (ja) 弁ケース分割部の固定治具の取付方法
CN103363236A (zh) 具有补偿器的管道连接器
GB2180311A (en) Flexible pipe coupling
KR100942957B1 (ko) 배관용 분기관 연결 피팅
KR200209157Y1 (ko) 신축기능을 갖는 플랜지 결합구조
KR20180132318A (ko) 파이프 구조체
CA2458710C (en) Improved pipe clamp inner seal
KR100956766B1 (ko) 패킹을 이용한 관 이음장치
JP4717409B2 (ja) 挿入体の設置工事における切断口防錆方法
KR200318955Y1 (ko) 관 조인트의 구조
KR200206360Y1 (ko) 관 조인트의 구조
JP6980204B2 (ja) マンホール用下水バイパス装置
KR100568879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390480Y1 (ko) 앵글이 부가된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KR102524349B1 (ko) 배관연결구조 및 배관연결방법
KR101304551B1 (ko) 회전식 파이프 연결 장치
KR102167300B1 (ko) 빠른 신축과 패킹교환이 가능한 신축관 이음체
KR200411385Y1 (ko) 상, 하수도관 연결장치
KR100318009B1 (ko) 배관용 연결 소켓링
KR102472669B1 (ko) 무용접 및 무압착 관이음 어셈블리
KR200269987Y1 (ko) 관 이음 장치
JPH0251789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